KR960007105B1 - 기어형 유연축 커플링 - Google Patents

기어형 유연축 커플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7105B1
KR960007105B1 KR1019930002560A KR930002560A KR960007105B1 KR 960007105 B1 KR960007105 B1 KR 960007105B1 KR 1019930002560 A KR1019930002560 A KR 1019930002560A KR 930002560 A KR930002560 A KR 930002560A KR 960007105 B1 KR960007105 B1 KR 9600071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teeth
shaft
tooth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2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미찌 사카네
야수히로 세끼네
히데오 데라사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뎅끼 가부시끼가이샤
시기 모리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뎅끼 가부시끼가이샤, 시기 모리야 filed Critical 미쓰비시 뎅끼 가부시끼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7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1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16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 F16D3/18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the coupling parts (1) having slidably-interengaging teeth
    • F16D3/185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the coupling parts (1) having slidably-interengaging teeth radial teeth connecting concentric inner and outer coupl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s, Cams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기어형 유연축 커플링
제 1 도는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서로 맞물리는 내부톱니기어와 외부톱니기어와를 표시하는 단면도a와 그의 주요부의 확대도b.
제 2 도는 이 발명의 타의 실시예에서 서로 맞물리는 내부톱니기어와 외부톱니기어를 표시하는 단면도.
제 3 도는 종래의 기어형 유연축 커플링을 사용한 대차를 표시한 평면도.
제 4 도는 제 3 도의 기어형 유연측 커플링의 서로 맞물리는 내부톱니기어와 외부톱니기어와를 표시하는 단면도a와 그의 주요부의 확대도b.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대차틀 2 : 차축
3 : 차륜 4 : 기어유닛
5 : 전동기 6 : 기어형 유연축 커플링
11 : 내부톱니기어 11a : 톱니
12 : 외부톱니기어 13 : 영구자석
14 : 스프링
본 발명은 예컨대 전차의 대차틀에 부착한 전동기의 회전축과 이 회전축에 대하여 변위가능한 차축에 기어유닛의 피니언축과를 유연하게 연결하는 기어형 유연축 커플리에 관한다.
제 3 도는 예컨대 미쓰비시 전기(주)발행의 선전인쇄물 「미쓰비시 WN드라이브 구동장치」(A-L7211-B, 소화, 63년 9월 작성)에 소재의 종래의 기어형 유연측 커플링을 사용한 대차를 표시하는 평면도, 제 4 도는 제 3 도의 기어형 유연축 커플링의 서로 맞물리는 내부톱니기어와 외부톱니기어와를 표시하는 단면도a와 그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확대도b이다.
우선 제 3 도에 있어서 1은 대차틀, 2는 대차틀(1)에 탄성지지함과 함께 좌우로 이동자유롭게해서 부착한 좌축, 3은 자축(2)에 끼워넣어서 고정된 차륜, 4는 차축(2)에 부착한 기어유닛, 5는 대차틀(1)에 회전축을 차축(2)과 평행으로 하여 부착한 전동기, 6은 기어유닛(4)의 피니언축과 전동기(5)의 회전축과를 유연하게 연결하는 기어형윤연축 커플링, 7은 차체(도시되지 않음)을 얹어서 견인하는 견인부이다.
다음에 제 4 도ab에 있어서, 10은 기어형 유연측 커필링(6)의 원통형상을 한 커플링슬리브, 11은 커플링슬리브(10)의 양단내주에 설치한 내부톱니기어, 11a는 내부톱니기어(11)의 톱니, 12는 내부톱니기어(11)와 각각 맞물린 외부톱니기어에서 한편은 전동기(5)의 회전축에 고정하고, 타편은 기어유닛(4)의 피니언측에 고정한다.
12a는 외부톱니기어의 톱니이다. 다음에 동작에 관하여 설명하면 대차틀(1)에 고정한 전동기(5)의 회전력은 기어형 유연축 커플링은 축이음(6)을 지나 기어유닛(4)에 전달되어, 차축(2), 차륜(3)을 회전구동 한다.
차륜(3)과 레일(도시되지 않음)과의 사이의 마찰력이 대차와 대차에 얹힌 차체(도시되지 않음)에 견인력이라 하여 작용하여 주행시킨다.
차측(2)는 차체의 진동을 경감하고 승심지(乘心地)를 좋게하는 목적으로 대차틀(1)에 탄성지지되어 있다.
대차 차체가 주행하면 레일면의 부정이나 레일의 이음매 등에 의해 차축(2)을 지지하는 축스프링(도시되지 않음)이 휘어진가는 다축케이스(도시되지 않음)가 좌우로 이동하여 차축(2)은 대차틀(1)에 대하여 변위하고 대차틀(1)에 고정한 전동기(5)의 회전축과 차축(2)에 부착한 기어유닛(4)의 피니언축과의 사이에 상당히 큰 축변위가 생긴다.
이 측변위는 항상 변동함으로 전동기(5)의 회전축과 기어유닛(4)의 피니언축과를 유연하게 연결하여 회전력을 전달한다. 기어형 유연축 커플링(6)의 2개의 외부톱니기어(12)의 톱니(12a)와 커플링슬리브(10)의 양단내주에 설치한 내부톱니기어(11)의 톱니(11a)는 모두 맞물리지만 양외부톱니기어(12)에 각각 내부톱니기어(11)에 대한 어느 일정한 각도까지의 축변위를 허용하기 위한 외부톱니기어(12)의 톱니끝에 특수한 크라우닝(crowning)을 행하여 곡면형상으로 함과 같이 서로 맞물리는 외부톱니기어(12)와, 내부톱니기어(11)와의 사이에 백래쉬(톱니면간의 헐거움으로 생기는 역행)와 차선간극(톱니끝원과 톱니밀원 사이의 거리)을 갖게하여 원활한 유연성을 얻도록 되어 있다.
종래의 기어형 유연축 커플링은 축이음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어 회전력을 전달하지 않은 상태로 회전하고 있으며 서로 맞물리는 외부톱니기어(12)의 톱니(12a)와 내부톱니기어(11)의 톱니(11a)의 사이에 가지게하는 백래쉬때문에 톱니(12a)와 톱니(11a)가 충돌을 반복하여 내부톱니기어(11)를 설치한 커플링슬리브(10)가 이상으로 진동하여 소음을 발생한다고 하는 해결하여야하는 기술적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것으로 전동기의 회전축과 기어유닛의 피니언축과의 사이에서 회전력을 전달하지 않고 회전하고 있을때, 커플링슬리브가 이상으로 진동하여 소음을 발생하는 것이 없는 기어형유연축 커플링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기어형 유연축 커플링은 원통상의 커플링슬리브의 양단내부에 설치된 내부톱니기어에 각각 외부톱니기어를 끼워넣어 백래슁촤 차선간극을 갖게하여, 모든 톱니를 맞물리게하여 한편의 외부톱니기어를 전동기의 회전축에 고정함과 같이 다른쪽의 외부톱니기어를 회전축과 상대적인 측변위를 생기는 피니언축에 고정하여 회전축과 피니언축과를 유연하게 연결하는 것에 있어서 회전축과 피니언축과의 사이에서 회전력을 전달하지 않고 회전하고 있을때 내부톱니기어의 톱니와 외부톱니기어의 톱니를 접촉상태로 유지하는 구속수단을 설치한 것이다.
[작용]
본 발명에 있어 구속수단은 회전축과 피니언축과의 사이에서 회전력을 전달하지 않고 회전하고 있을때 내부톱니기어의 톱니와 외부톱니기어의 톱니를 접촉상태로 유지한다.
[실시예]
[실시예 1]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면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 1 도는 그의 실시예에서 서로 맞물리는 내부톱니기어와 외부톱니기어와를 표시하는 단면도a와 그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확대도b이다. 제 1 도 ab에 있어서 10,11,11a,12,12a는 종래의 기어형 유연축 커플링에 있어서의 것과 같다. 13은 내부톱니기어(11)의 톱니(11a)로 매꾸어진 영구자석으로 구속수단에 상당한다.
본 실시예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내부톱니기어(11)의 모든 톱니(11a)에 영구자석(13)을 매꾸어져서, 서로 맞물리는 외부톱니기어(12)의 톱니(12a)와 내부톱니기어(11)의 톱니(11a)에 자기적 흡인력을 작용시킨다.
전동기(5)의 회전축과 기어유닛(4)의 피니언축과의 사이에서 회전력을 전달하지 않고 회전하고 있을때는 영구자석(13)의 자기적 흡인력에 의해 내부톱니기어(11)의 톱니(11a)와 외부톱니기어(12)의 톱니(12a)의 접촉상태가 유지되어, 서로 맞물리는 톱니(11a)와 톱니(12a)의 사이에 가지게한 백래쉬때문에 충동을 반복하여 내부톱니기어(11)를 설치한 커플링슬리브(10)가 이상(異常)하게 진동하는 것은 없다.
또 전동기(5)의 회전축 기어유닛(4)의 피니언축과의 사이에 회전력을 전달할때는 회전력이 영구자석(13)의 자기적 흡인력과 같은 방향으로 작용한다면 내부톱니기어(11)의 톱니(11a)와 외부톱니기어(12)의 톱니(12a)는 상기와 같은 톱니면에서 접촉하고 회전력이 영구자석(13)의 자기적 흡인력과 역의 방향으로 작용한다면 회전력을 자기적 흡인력보다 매우크므로 이것을 극복하여 내부톱니기어(11)의 톱니(11a)와 외부톱니기어(12)의 톱니(12a)는 백래쉬를 끼워서 대향하는 톱니면에서 접촉한다.
[실시예 2]
제 2 도는 본 발명의 타의 실시예에서 서로 맞물리는 내부톱니기어와 외부톱니기어와를 표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내부톱니기어(11)와 외부톱니기어(12)와에 스프링(14)에 의해 서로 회전하는 방향의 탄성력을 주는 것으로 전동기(5)의 회전축과 기어유닛(4)이 피니언축과의 사이에서 회전력을 전달하지 않고 회전하고 있을때는 스프링(14)의 탄성력에 의해 내부톱니기어(11)의 톱니(11a)와 외부톱니기어(12)의 톱니(12a)의 접촉상태가 유지되어, 서로 맞물리는 톱니(11a)와 톱니(12a)의 사이에 가지게한 백레쉬때문에 충돌을 반복하여 내부톱니기어(11)를 설치한 커플링슬리브(10)가 이상으로 진동하는 것은 없다.
또 전동기(5)의 회전축과 기어유닛(4)의 피니언축과의 사이에서 회전력을 전달할때에는 회전력이 스프링(14)의 탄성력과 같은 방향으로 작용한다면 내부톱니기어(11)의 톱니(11a)와 외부톱니기어(12)의 톱니(12a)는 상기와 같은 톱니면에서 접촉하여 회전력이 스프링(14)의 탄성력과 역의 방향으로 작용한다면 회전력은 스프링(14)의 탄성력보다 매우 크므로 이것에 극복하여 내부톱니기어(11)이 톱니(11a)와 외부톱니기어(12)의 톱니(12a)는 백래쉬를 끼워서 대향하는 톱니면에서 접촉한다.
역시 이 실시예에는 스프링(14)이 구속수단에 상당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 발명에 의하며 회전축과 피니언축과의 사이에서 회전력을 전달하지 않고 회전하고 있을때 내부톱니기어의 톱니와 외부톱니기어의 톱니를 접촉상태로 유지하는 구속수단을 설치한 것으로 내부톱니기어를 설치한 커플링슬리브가 이상으로 진동하여 소음을 발생하는 것이 없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원통형의 커플링슬리브의 양단내부에 설치된 내부톱니기어에 각각 외부톱니기어를 끼워넣어 백래쉬(backlash)의 치선간극(top clearance of tooth)을 갖게해서 전체의 톱니를 서로 맞물리게하여, 한쪽의 외부톱니기어를 전동기의 회전축에 고정함과 동시에 다른쪽의 외부톱니기어를 상기 회전축과 상대적인 축변위를 발생하는 피니온축에 고정해서 상기 회전축과 상기 피니온축을 유연하게 연결하는 기어형 유연축커플링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과 상기 피니온축과의 사이에서 회전력을 전달하지 않고서 회전하고 있을때에, 상기 내부톱니기어의 톱니와 상기 외부톱니기어의 톱니를 접촉상태로 유지하는 구속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형 유연축 커플링.
KR1019930002560A 1992-02-27 1993-02-24 기어형 유연축 커플링 KR9600071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041175 1992-02-27
JP4041175A JPH05240260A (ja) 1992-02-27 1992-02-27 歯車形たわみ軸継手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7105B1 true KR960007105B1 (ko) 1996-05-27

Family

ID=12601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2560A KR960007105B1 (ko) 1992-02-27 1993-02-24 기어형 유연축 커플링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H05240260A (ko)
KR (1) KR960007105B1 (ko)
GB (1) GB2264548B (ko)
HK (1) HK14459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55025C2 (de) * 1998-11-28 2000-12-21 Sew Eurodrive Gmbh & Co Federung für eine Zahnkupplung
GB0418547D0 (en) 2004-08-19 2004-09-22 Boc Group Plc Vacuum pump
WO2012003880A1 (en) * 2010-07-09 2012-01-12 KASI FöRVALTNING I GöTEBORG AB A supercharging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10266361B2 (en) * 2011-08-31 2019-04-23 Pregis Intellipack Llc Spindle mechanism for protective packaging device
CN104334901B (zh) 2012-06-01 2017-02-22 奥迪股份公司 转矩传递装置
KR101646120B1 (ko) * 2014-12-03 2016-08-05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모터 커플링 장치
US9951810B2 (en) 2016-01-20 2018-04-24 Summit Esp, Llc Electrical submersible motor radial support bearing
US9976602B2 (en) * 2016-02-23 2018-05-22 Summit Esp, Llc Torque transmitting coupling for an electrical submersible pump equipment st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264548A (en) 1993-09-01
JPH05240260A (ja) 1993-09-17
HK144595A (en) 1995-09-22
GB2264548B (en) 1994-12-21
GB9225734D0 (en) 1993-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34279B (zh) 电子助力转向装置中的减速器
KR960007105B1 (ko) 기어형 유연축 커플링
EP1977951A2 (en) Vehicle steering system
CA2398181A1 (en) Electric drive for a vehicle
KR20170104150A (ko) 차량의 회전축의 지지 구조
EP1777140A1 (en) Tensioner for belt-type transmission and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170027176A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동력 전달 부재
CN108372880A (zh) 电动助力转向设备的减速器
US5398904A (en) Gear reducer
JP2007186021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3643950B2 (ja) 電動式舵取装置
JP3066060U (ja) 特に電気動力車用の一部が弾性懸架された駆動装置
JP3639948B2 (ja) 電動式舵取装置
GB2228461A (en)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JP3815962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0165934B1 (ko) 플렉시블 기어 커플링
JP3891113B2 (ja) 撓み軸継ぎ手
JPH1159441A (ja)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19980069889A (ko) 가요성 축 조인트
KR101424849B1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및 이를 구비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JP2003184995A (ja) 減速歯車機構及び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3641742B2 (ja) 電動式舵取装置
JPH0227243Y2 (ko)
WO2021112153A1 (ja) トルク伝達継手およびウォーム減速機付電動モータ
KR100589171B1 (ko) 차량용 프로펠러샤프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