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7041B1 - 운송기관용 환기장치 - Google Patents

운송기관용 환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7041B1
KR960007041B1 KR1019920020069A KR920020069A KR960007041B1 KR 960007041 B1 KR960007041 B1 KR 960007041B1 KR 1019920020069 A KR1019920020069 A KR 1019920020069A KR 920020069 A KR920020069 A KR 920020069A KR 960007041 B1 KR960007041 B1 KR 9600070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mpartment
conduit
ventilation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0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8982A (ko
Inventor
타케시 이시다
히로키 하야시
Original Assignee
가와사끼주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오오바 히로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와사끼주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오오바 히로시 filed Critical 가와사끼주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1019920020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7041B1/ko
Publication of KR940008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89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7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0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17/00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e of control gear and control systems
    • B61C17/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driving cabins, footplates or engine rooms; Ventilation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운송기관용 환기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철도차량에 적용한 개략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상부구조를 나타낸 개략평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송기관의 하부구조를 나타낸 개략평면도.
제4도는 제 3 도의 Ⅳ-Ⅳ선을 따라 절단한 개략단면도.
제5도는 제 4 도의 Ⅴ-Ⅴ선을 따라 절단한 개략단면도.
제6도는 제 4 도의 Ⅵ-Ⅵ선을 따라 절단한 개략단면도.
제7도는 제1 내지 제 6 도에 도시된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개략사시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제9도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를 철도차량에 적용한 개략사시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를 따른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제11도는 종래 환기장치를 나타낸 부분평면도.
제12도는 제11도의 XII-XII선을 따라 절단한 개략단면도.
제13도는 제11도의 XIII-XIII선을 따라 절단한 개략단면도.
제14도는 제11도의 XIV-XIV선을 따라 절단한 개략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7 : 차량 29, 30 : 제 1 도관
31, 32 : 연결관 34, 35 : 공기제어수단
36, 37 : 수평도관 38, 39 : 라이싱도관
42, 43 : 도오포킷 44 : 격실
46, 47 : 제 2 도관 48, 49 : 공기공급도관
51, 52 : 제 3 도관 53, 54 : 환기수단
57 : 화장실 58 : 세면실
70 : 절연벽
본 발명은 철도차량과 같은 운송기관의 실내를 환기시켜 주기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블로워에 연결된 환기통로를 변경시켜주기위한 완화수단을 갖는 환기장치는 일본특허공개 소63-199170호에 개시되고, 흡.배기용 루트팬을 갖는 환기장치는 일본특허공개 소64-18766호에 개시되었다.
이 구조는 각각이 지붕면에 형성된 흡기구와 통기구로 구성된 다수쌍을 가지며, 이들 다수쌍은 전적으로 공기제어장치와 결합되는 식으로 되어있다.
이하, 종래구조의 전형적인 일예를 일부생략 평면도인 제11도를 참고로 설명한다.
흡입수단(2)은 제1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철도차량(1)의 상부, 예를들면 천정과 지붕사이의 부분에 배치된다.
흡입수단(2)에 의해 흡입된 격실외공기는 공기통로(3)를 통과한 후, 2부분으로 분기된다. 분기된 공기흐름중 하나는 공기통로(3a)를 거쳐 공기제어수단(4)에 공급되는 한편, 나머지 다른하나의 흐름은 공기통로(3b)를 처겨 다른 하나의 공기제어수단(9)으로 공급된다.
또한, 공기제어수단(4,9)에는 공기통로(6,16)와 공기통로(11,17)를 거쳐 천정의 임의위치에 형성된 순환포트(5,14)와 순환포트(10,15)를 통하여 흘러온 순환공기가 각각 공급된다.
차량의 격실외측으로부터 유입된 순환공기와 신선한 공기는 서로 제어되도록 공기제어수단(4,9)에 의해 서로 혼합되고, 혼합공기는 대응하는 소음(muffling)수단(7,13)으로 공그되어 덕트(duct)(8)로 유입된다.
덕트(8)는 제어된 공기를 실내로 유입하여 이 공기를 필요한 부분, 예를들면 운전실 및 화장실 등에 공급한다.
실내에 순환된 공기는 각각의 덕트를 거쳐 플로워에 형성된 배기구를 통하여 배기수단으로 유입되고, 배기수단을 통하여 차량의 외측으로 배기된다.
제12도는 제11도의 XII-XII선을 따라 절단한 개략단면도로서, 공기통로(3a,3b)는 차체(1)의 외측면(18) 내부로 구획하여 형성된다. 제13도는 제11도의 XIII-XI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로서, 공기통로(3b,12)는 격벽부재(20)에 의해 구획되는 식으로 형성된다. 제14도는 제11도의 XIV-XIV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로서, 이 부분에서는 공기통로(3b)만이 형성된다.
그러나, 이와같이 설치된 구조는 화장실이 격실내에 위치된 경우 화장실의 악취가 순환공기와 혼합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종래구조에 있어서는 화장실용 배기통로 및 별도의 배기수단이 제공된다. 이경우 시설 및 장비가 증가되어 구조가 복잡하며 원가가 상승된다.
또한, 시설의 형상이 제11 내지 제1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너무 복잡하게 되므로, 종래구조는 쉽게 설치할 수 없다.
더욱이 설치공간의 제한때문에 각각의 공기통로를 위해 필요한 공간을 확보하기가 어렵다. 그러므로, 냉각 및 가열성능, 공기량 그리고 풍속 때문에 소음문제가 흔히 발생된다.
또한, 종래구조는 차량전체에 단하나의 환기시스템으로 구성되므로, 어떤 환기장치가 결함이 있을 경우, 전체기능이 정지되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순환공기가 분리되지 않기때문에, 격실내는 금연석과 흡연석으로 분리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 및 구성이 단순화될 수 있고, 제작이 용이하며, 소정의 공기제어성능을 유지하고 적당한 공기량과 풍속을 유지하면서 소음을 제거할 수 있으며, 화장실용으로 별도의 배기수단이 필요치않고, 환기장치의 어느하나가 오동작될경우에도 나머지 환기장치가 동작되어 오동작의 영향이 감소될 수 있으며, 격실이 임의로 구획되고 서로 다른실간의 영향이 미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기 때문에, 각격실내의 대기가 유지될 수 있게 되므로서, 차량의 기능이 향상되는 운송기관용 환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형태에 따르면, 제어된 공기를 격실내로 공급하기 위한 제1도관; 격실내에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제2도관; 격실내에 공기를 배기하기 위한 제3도관; 실외로 흡기 및 배기하기위한 환기수단; 제어된 공기를 형성하기 위해 환기수단을 거쳐 실외로부터 흡입된 공기와 제 2 도관을 거쳐 실내로부터 순환된 공기를 서로 혼합하는 공기제어수단을 구비한 운송기관용 환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제 1 도관은 차량의 상부에 설치되고, 차량의 상부에서 차량의 하부로 정열된 라이싱(rising)도관과 차량의 플로워하부에 설치된 수평도관을 거쳐 공기제어수단에 연결되며, 제 2 도관은 플로워에 인접한 차량하부에 설치되고, 공기제어수단에 연결되며, 제 3 도관은 차량하부의 플로워에 인접설치되고, 환기수단에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은 2개의 환기장치가 하나의 격실에 제공되고, 2개의 환기장치의 적어도 제 1 도관이 서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격실이 절연벽에 의해 다수의 부분으로 구획되고, 각각의 구획된 격실에는 각각 제1, 제2, 제 3 도관과 환기수단 및 공기제어수단을 구비한 환기장치가 제공됨을 다른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 3 도관이 화장실에 형성된 배기포트에 연결됨을 다른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환기수단이 격실외측으로부터 흡기하기위한 흡기수단과 격실내에서 배기하기위한 배기수단을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됨을 다른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라이싱도관용으로 소음기가 제공됨을 다른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하부에 설치된 공기제어수단으로부터 공급된 제어된 공기가 수평도관과 라이싱도관에 의해 상부에 설치된 제 1 도관으로 공급되고, 이공기는 제 1 도관을 통하여 격실의 내측으로 공급된다.
하부에 설치된 제 2 도관은 격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제어수단으로 공기를 순환시킨다. 또한, 공기제어수단은 순환된 공기와 혼합되도록 환기수단으로 구성된 흡기수단에 의해 차량의 외측으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공급된다. 또한, 제 3 도관은 환기수단으로 구성된 배기수단에 의해 차량의 외측으로 배기시키기위하여 배기된 격실내의 공기를 유입하도록 하부에 설치된다. 따라서, 제 1 도관만이 상부에 설치되는 한편, 제 2 및 제 3 도관은 각각 별도로 설치된다. 이때문에 각각의 도관은 충분히 큰 단면적을 가질 수 있게 되어 적당한 량의 공기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에따라, 구조가 단순화되면서 소음이 충분히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격실은 그 각각이 제1, 제2, 제 3 도관과 공기제어수단 및 별도로 설치되어 각 격실내의 공기를 각각 제어하고 환기시킬 수 있는 환기수단을 구비한 다수의 부분으로 구획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로 첨부한 도면 제1 내지 제 7 도를 참고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사시도로서, 운송기관의 일예인 차량(27)용 환기장치가 제공된다.
제2도는 이실시예의 상부구조를 나타낸 개략평면도이다.
제3도는 차량(27)의 하부구조를 나타낸 개략평면도이다.
제4도는 제 3 도의 IV-IV선을 따라 절단한 개략단면도이다.
제5도는 제 4 도의 V-V선을 따라 절단한 개략단면도이다.
제6도는 제 4 도의 VI-VI선을 따라 절단한 개략단면도이다.
제7도는 차량용 환기장치의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는 환기장치가 제 2 도 및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상 수직으로 연장한 대칭축(28)에 대하여 실제로 축대칭되게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환기장치의 형상이 평면대칭, 즉 대칭축(28)을 관총한 일점쇄선으로 표시한 대칭면에 대하여 미러대칭으로 구성되더라도 동일효과가 얻어진다. 차량(27)은 그 상부의 양측에 제 1 도관(29,30)을 가진다. 이들 좌.우 제 1 도관(29,30)은 차량(27)의 소정위치에 도관(31,32)을 연결하여 서로 연결된다.
공기제어수단(34,35)는 차량(27)의 플로워(33) 하부측에 설치된다.
공기제어수단(34,35) 에 의해 냉각되거나 가열된 제어공기는 플로워(33)를 따라 하부에 설치된 수평도관(36,37)을 통과한 다음, 라이싱도관(38,39)을 통하여 냉각 또는 가열공기가 제 1 도관(29,30)에 공급된다.
격실을 구획하는 격벽을 이용하여 라이싱도관(38,39)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도어(40,41)에 대해 도어포킷(42,43)에 대향하는 위치에 이들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결과, 라이싱도관(38,39)은 충분히 큰 단면적이 주어지는 한편, 도어(40,41)가 원활하게 개폐된다.
상기와 같이 비교적 큰 공간이 얻어질 수 있으므로, 공기제어수단(34,35) 에 의해 형성된 소음을 없애주기 위한 소음수단이 위치될 수 있다.
특히, 라이싱도관(38,39)은 소음기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는 격실(44)내의 공기를 순환시키기위한 제 2 도관(46,47)이 차량(27)의 격실(44)에 대면하도록 차량(27) 하부의 플로워(33)에 인접설치되고, 상기와 같이 축대칭되게 설치되도록 정열된다.
격실(44)로부터 순환된 공기는 제 2 도관(46,47)을 통하여 유입되어 공기 제어수단(34,35) 내에서 순환된다.
공기제어수단(34,35)에는 각각이 축방향팬을 포함하는 환기수단(53,54)의 흡기수단에 의해 공기공급도관(48,49)을 거쳐 격실외측의 신선한 공기가 공급된다.
공기제어수단(34,35)에 있어서, 제 2 도관(46,47)으로부터 통과된 순환공기와 공기공급도관(48,49)으로부터 통과된 공기가 서로 혼합되어, 제어된 공기는 다시 수평도관(36,37)으로 통과된다.
또한, 격실에 대면하는 제 3 도관(51,52)은 플로워(33)에 인접한 차량(27)의 하부에 축대층으로 설치되고, 격실(44)내의 공기를 차량(27)의 외측으로 배기하도록 정열된다. 각각이 팬을 갖는 환기수단(53,54)은 제 3 도관(51,52)에 연결된다. 환기수단(53,54)은 플로워(33) 하부에 설치되고, 이들 각각은 격실(44)내의 공기(55,56)를 배기하기위한 배기수단과 격실외측공기를 흡기하여 격실(44)로 공급하기 위한 흡기수단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격실내에 화장실 및 세면실 위치된 경우를 설명한다.
이 경우, 제 3 도의 가상선으로 표시된 위치에 화장실 등이 위치되고, 악취를 방출한 화장실(57)은 제 3 도관(51)의 근처에 위치되는 한편, 악취를 방출하지 않은 세면실(58)은 제 3 도관(51)에 대향하는 제2도관(47)의 근처에 위치된다. 화장실(57)과 세면실(58) 각각의 배기포트는 제 3 도관(51) 또는 제 2 도관(47)에 연결된다.
따라서, 화장실(57)은 공기를 전적으로 배기하는 제 3 도관(51)에 연결되는 한편, 공기를 전적으로 순환시키는 제 2 도관(47)에서 절연된다. 그러므로, 화장실의 악취는 순환공기와 혼합될 수 없게되어 화장실용 배기수단을 각각 제공할 필요가 없게된다.
제8도는 이 실시예에 따른 공기통로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2개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환기장치는 하나의 격실(44)내에 위치된다. 2개의 시스템에 의해 구성된 제 1 도관(29,30)은 연결된(31,32)으로 서로 연결된다. 필요시, 제 2 도관(46,47)은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제 3 도관(51,52)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시스템은 제 1 시스템의 오동작을 보상할 수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제 1 도관(29,30), 제2도관(46,47) 그리고 제3도관(51,52)은 각각 간단하게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시스템의 전체구조가 상기문제를 해결하면서 간단화 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부품은 차량의 임의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는 한편, 만족스럽게 균형을 이룰 수 있으므로, 각각의 도관(29,30,46,47,52)은 바람직하지 못한 손실을 방지하면서 충분하고 적당한 크기의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이 때문에, 상기 각각의 도관을 통하여 필요한 량의 공기가 흡입될 수 있다. 따라서, 충분히 큰 공간을 가질 수 없는 격실(44)에서 발생되는 문제는 해결될 수 있다.
제9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절연벽(70)이 차량의 상기 대칭축(28)에 인접설치되어 격실이 흡연실과 금연실로 구획되도록 정열되었기 때문에 차량의 기능이 향상될 수 있다.
이경우, 제 1 도관(29,30)은 각각 절연벽(70)에 인접하여 폐쇄된다.
따라서, 각각의 격실내의 공기는 제10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정열된 각 시스템에 의해 각각 제어될 수 있고, 이에따라 흡연실내의 오염된 공기가 금연실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철도차량 뿐만 아니라 다른 차량 또는 시설에도 널리 적용가능하다.
언더플로워장비는 환기수단(53,54)의 출구를 통하여 플로워(33)의 하부에 설치된 언더플러워장비로 배기된 공기를(55,56)를 흡입 및 분사시키므로서 냉각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기제어수단으로부터 공급된 제어된 공기는 격실내로 공급되도록 차량의 상부에 설치된 제 1 도관과, 격실내의 공기를 흡기하여 순환시키기위해 차량의 하부에 배치된 제 2 도관으로 유입되고, 제 2 도관을 통과한 공기는 공기제어수단내로 유입된다.
그리고 공기제어수단에는 공기가 제어되도록 환기수단의 흡기수단에 의해 실외의 신선한 공기가 공급된다.
또한, 제 3 도관은 차량의 하부에 설치되어 격실내의 공기가 환기수단의 배기수단에 의해 차량의 격실외측으로 제 3 도관을 거쳐 배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구성의 단순화, 제작시 노동력감소화, 소정의 공기제어성능확보, 적당한 공기량의 풍속을 유지하면서 소음제거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는 2가지 시스템의 환기장치가 격실에 제공되고 상기 환기장치의 적어도 제 1 도관이 연결도관에 의해 서로 연결되므로서, 하나의 환기장치가 오동작시 일어나는 문제가 나머지 환기장치에 의해 소정의 환기와 공기제어를 계속하므로서 해결될 수 있도록 정열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조는 격실이 임의로 구획되고 각각의 구획된 격실은 각각 제1, 제2, 제 3 도관과 공기제어수단 및 환기수단을 가지며, 각격실의 공기가 다른 격실들에 영향을 주지않으면서 각각 제어되고 환기될 수 있도록 정열된다.
그러므로, 각각의 격실의 대기는 만족스럽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세면실이 격실내에 위치되더라도 세면실의 배기포트가 제 3 도관에 연결되기 때문에 격실내의 냄새확산은 방지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운송기관의 실용적 장점을 개선할 수 있다.

Claims (6)

  1. 제어된 공기를 격실(44)내로 공급하기 위한 제 1 도관(29,30); 상기 격실내의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제 2 도관(46,47); 상기 격실내의 공기를 배기하기 위한 제 3 도관(51,52); 상기 격실외측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고 이공기를 상기 격실외측으로 배기하기위한 환기장치(53,54); 그리고 제어된 공기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환기장치에 의해 상기 격실의 외측으로부터 흡입된 공기와, 상기 제 2 도관에 의해 상기 격실의 내측으로부터 순환된 공기를 서로 혼합하는 공기제어수단(34,35)을 구비하여, 상기 제 1 도관(29,30)은 차량(27)의 상부에 설치되며, 차량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정열된 라이싱도관(38,39)과 상기 차량하부에 설치된 수평도관(36,37)에 의해 상기 공기제어수단(34,35)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도관(46.47)은 플러워에 인접한 차량(27)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공기제어수단(34,35)에 연결되고, 상기 제 3 도관(51,52)은 상기 차량의 하부의 상기 차량의 상기 플로워에 인접 설치되며, 상기 환기수단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기관용 환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2개의 환기장치가 하나의 격실(44)용으로 제공되고, 상기 2개의 환기장치의 적어도 제 1 도관이 서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기관용 환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실(44)이 절연벽(70)에 의해 다수의 부분으로 구획되고 각각의 상기 구획된 격실에는 각각 제1, 제2, 제 3 도관과 환기수단 및 공기제어수단을 갖는 상기 환기장치가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기관용 환기장치.
  4. 제1,2 또는 3항중 어느한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도관(51,52)이 세면실에 형성된 배기포트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기관용 환기장치.
  5. 제1,2,3 또는 4항중 어느한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수단(53,54)이 상기 격실(44)의 외측으로부터 공기를 흡기하기 위한 흡기수단과 상기 격실내의 공기를 배기하기 위한 배기수단을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기관용 환기장치.
  6. 제1,2,3 또는 4항중 어느한항에 있어서, 소음기가 상기 라이싱도관(38,39)을 위해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기관용 환기장치.
KR1019920020069A 1992-10-29 1992-10-29 운송기관용 환기장치 KR9600070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0069A KR960007041B1 (ko) 1992-10-29 1992-10-29 운송기관용 환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0069A KR960007041B1 (ko) 1992-10-29 1992-10-29 운송기관용 환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8982A KR940008982A (ko) 1994-05-16
KR960007041B1 true KR960007041B1 (ko) 1996-05-27

Family

ID=19342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0069A KR960007041B1 (ko) 1992-10-29 1992-10-29 운송기관용 환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704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8982A (ko) 1994-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94882B1 (en) Ventilating apparatus for conveyance
US20160101869A1 (en) System and method for air conditioning at least one partial region of an airplane
RU2696133C2 (ru) Система обработки воздух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варианты)
JP2732487B2 (ja) 乗物の換気装置
JP2010044692A (ja) 空調システム
KR960007041B1 (ko) 운송기관용 환기장치
KR20150064295A (ko) 선박이나 해양 구조물의 변위 환기 시스템 및 변위 환기 방법
JP3470386B2 (ja) 二階建て車両の空調系構造
JP4724454B2 (ja) 鉄道車両の車体構造と空調方法
US2656779A (en) Ventilation of passenger compartment of automotive buses
JPH10318582A (ja) 換気装置
JP5058030B2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鉄道車両
CZ288197A3 (cs) Kolejové vozidlo, zejména pro dopravu osob
JP3823539B2 (ja) トイレ室内個別空調方法および空調装置
CN218703238U (zh) 一种轨道列车新型空调通风系统
JPH09207894A (ja) 移動空調車
JPH082411A (ja) 誘引ダクト構造
KR200204481Y1 (ko) 기차의 서비스룸 공기조화장치
KR20010114028A (ko) 기차의 서비스룸 공기조화장치
JPH08108850A (ja) 鉄道車輌用換気装置
JPH0830597B2 (ja) 外気冷房兼用換気ユニット
SU564187A1 (ru) Система кондиционирован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H04106334A (ja) 空気調和装置
KR20190058818A (ko) 차량용 공조장치
JPS5924568Y2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における内気導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5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