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5999Y1 - 자동차의 파워모드 표시램프 작동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파워모드 표시램프 작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5999Y1
KR960005999Y1 KR2019940022255U KR19940022255U KR960005999Y1 KR 960005999 Y1 KR960005999 Y1 KR 960005999Y1 KR 2019940022255 U KR2019940022255 U KR 2019940022255U KR 19940022255 U KR19940022255 U KR 19940022255U KR 960005999 Y1 KR960005999 Y1 KR 9600059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signal
throttle valve
opening amount
comparison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22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7508U (ko
Inventor
김병기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400222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5999Y1/ko
Publication of KR9600075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5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59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9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60K35/6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자동차의 파워모드 표시램프 작동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자동차에 장착된 계기판을 도시한 도면
제2도는 본 고안의 파위모드 지시등의 작동에 따른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드로틀밸브 개도량 감지수단 20 : 제1 비교수단
40 : 주파수/전합변환기 50 : 제2 비교수단
60 : POWER 모드 표시램프
본 고안은 자동차의 파워모드 표시램프 작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운전자가 과도한 액셀레이터페달 작동이나 엔진의 회전수를 높이므로 연비가 나빠지는 것을 운전자에게 시각적인 인식을 줌으로써 차량의 연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에 첨부한 제1도와 같이 자동차의 계기판(1)에는 수동변속기를 사용하는 자동차의 경우에 엔진의 회전수(RPM)의 과다함에 따라 엎 시프트(Up shift)를 알리는 램프가 점등된다. 즉, 엎 시프트는 변속레버를 저속단으로 고속단으로 바꾸었을때에 ↑표시램프(120가 점등되는 것이다. 또한 수동변속기를 사용하는 차량의 경우에 드로틀밸브의 개도량에 따라 드로틀밸브의 개도량이 20% 미만일 때는 ECONOMY 모드표시램프(3)가 점등되고, 드로틀밸브의 개도량이 20% 이상일 때는 POWER 모드 표시램프(4)가 점등된다. 따라서 드로틀밸브의 개도량과 엔진의 회전수에 따라 연료 소비량은 상이해진다.
그러나 통상은 상기의 ↑ 표시램프(2)와 ECONOMY 모드 표시램프(3) 및 POWER 모드 표시램프(40)를 자동차에 동시에 적용하여 사용하지 않는다. 그러므로운전자가 과격한 액셀레이터 페달을 밟거나 엔진의 회전수를 높이게 되어 차량의 연비를 좋지 않게 하므로 차량의 수명단측 및 연료소비의 증대를 가져오게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운전자가 액셀레이터 페달을 과도하게 밟아 드로틀밸브의 개도량이 일정의 비율 이상이 되거나 엔진의 회전수를 과도하게 상승시키면 POWER 모드표시램프를 점등시켜 운전자로 하여금 급발진이나 급가속을 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연비효율을 중대시키기 위한것이 목적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액셀레이터 페달의 압력에 따라 드로틀밸브의 개도량을 감지하는 드로틀밸브 개도량 감지수단과 드로틀밸브 감지수단에서 발생되는 드로틀밸브의 개도량에 대한 전압신호와 설정된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일정전압 이상일 때에 출력신호를 발생하는 제1 비교수단과, 엔진의 회전수와 동일한 펄스신호를 발생하는 배전기와 배전기에서 발생되는 주파수신호를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주파수/전압변환기와 주파수/전압변환기에서 출력되는 전압신호와 설정된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일정전압 이상일 때에 출력신호를 발생하는제2 비교수단과 상기 제1 비교수단과 제2 비교수단중 어느 하나의 신호가 입력되면 점등되는 POWER 모드 표시램프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파워모드 표시램프 작동장치에 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2도에서 액셀레이터 페달(5)의 압력에 따라 드로틀밸브의 개도량을 감지하는 드로틀밸브 개도량 감지수단(10)과, 상기 드로를밸브 감지수단(10)에서 발생되는 드로틀밸브의 개도량에 대한 전압신호와 설정된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일정전압 이상일 때에 출력신호를 발생하는 제1 비교수단(20)과 엔진의 회전수와 동일한 펄스신호를 발생하는 배전기(30)와 상기 배전기(30)에서 발생되는 주파수신호를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주파수/전압변환기(40)와, 주파수/전압변환기(40)에서 출력되는 전압신호와 설정된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일정전압 이상일 때에 출력신호를 발생하는 제2 비교수단(50)과 상기 제1 비교수단(20)과 제2 비교수단(50)중 어느 하나의 신호가 입력되면 점등되는 POWER 모드 표시램프(60)를 구비하여 구성하였다.
이와같이 구성된 파워모드 표시램프의 작동장치에 관하여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자동차 엔진의 드로틀바디에 정착된 드로틀밸브 개도량 감지수단(10)에서 드로틀밸브 개도량에 대한 신호를받아 드로틀밸브의 개도량이 기준되는 전압보다 일정비율(일례로 약 40%)이상이 되면 제1 비교수단(20)에서는 출력신호를 발생시킨다. 드로틀밸브 개도량 감지수단(10)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전압신호로 제1 비교수단(20)의 기준전압과 비교된다. 이때 제1비교수단(20)에서 출력되는신호는 클러스터의 POWER 모드표시램프(60)를 점등시킨다.
또한 엔진의 각 점화 플러그로 전류를 분배하는 배전기(30)에서는 엔진의 회전수가 증가되면 출력되는 펄스신호도 증가한다. 따라서 배전기(30)에서 발생되는 주파수신호는 주파수/전압변환기(40)로 입력되어 전압신호로 출력된다. 즉 배전기(30)에서 엔진의 회전수에 대한 펄스신호는 주파수/전압변환기(40)를 거쳐 전압으로변환되어 제2 비교수단(50)에 입력되고 제2 비교수단(50)에 설정된 기준되는 전압과 엔진의 회전수가 일정회전수(일례로 약 3000RPM) 이상이 되면, 제2 비교수단(50)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클러스터의 POWER'' 모드 표시램프(60)를 점등시킨다.
따라서 액셀레이터 페달(5)의 급작스런 조작으르 드로틀밸브의 개도량이 일정비율 이상이거나 변속레버의 엎 시프트에 의해 엔진의 회전수의 증대에 따른 배진기의 주파수 증가시에 POWER 모드 표시램프(60)를 점등시커 운전자로 하여금 급발진이나 급가속을 배제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차량의 연비효율을 향상시커 차량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액셀레이터 페달(5)의 압력에 따라 드로틀밸브의 개도량을 감지하는 드로틀밸브 개도량 감지수단(10)과상기 드로틀밸브 감지수단(10)에서 발생되는 드로틀밸브의 개도량에 대한 전압신호와 설정된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일정전압 이상일 때에 출력신호를 발생하는 제1 비교수단(20)과 엔진의 회전수와 동일한 펄스신호를 발생하는 배전기(30)와, 상기 배전기(30)에서 발생되는 주파수신호를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주파수/전압변환기(40)와 상기 주파수/전압변환기(40)에서 출력되는 전압신호와 설정된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일정전압 이상일 때에 출력신호를 발생하는 제2 비교수단(50)과 상기 제1 비교수단(20)과 제2 비교수단(50)중 어느 하나의 신호가 입력되면 점등되는 "POWER" 모드 표시램프(6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파워모드 표시램프 작등장치.
KR2019940022255U 1994-08-31 1994-08-31 자동차의 파워모드 표시램프 작동장치 KR9600059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2255U KR960005999Y1 (ko) 1994-08-31 1994-08-31 자동차의 파워모드 표시램프 작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2255U KR960005999Y1 (ko) 1994-08-31 1994-08-31 자동차의 파워모드 표시램프 작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7508U KR960007508U (ko) 1996-03-13
KR960005999Y1 true KR960005999Y1 (ko) 1996-07-19

Family

ID=19392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2255U KR960005999Y1 (ko) 1994-08-31 1994-08-31 자동차의 파워모드 표시램프 작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599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7508U (ko) 1996-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74306A (en) Vehicle transmission shift control apparatus
US4438423A (en) Device for producing an optical or acoustic shift instruction
EP2210789A1 (en) Automatic start controlling apparatu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detector for detecting engagement of clutch
KR20040021879A (ko)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의 엔진 제어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870003890A (ko) 클러치 제어 장치
US4723215A (en) Method for indicating a vehicle operation in a fuel economy range for a vehicle with a manual transmission
JPS62118038A (ja) 車両用エンジンのトルクセツト方法
US4598679A (en) Fuel control system for a vehicle powered by an engine
US4683455A (en) Shifting timing indicating system for a vehicle
KR960005999Y1 (ko) 자동차의 파워모드 표시램프 작동장치
US4712452A (en) Method for directing an up-shift operation for a vehicle with a manual transmission
JPS6220925B2 (ko)
JPS627006B2 (ko)
JP2701428B2 (ja) 車速制御装置
JPH0112984B2 (ko)
KR100257164B1 (ko) 자동 변속 차량의 댐퍼 클러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422661B1 (ko) 자동 변속기의 탑재차량의 주행 레인지 정차중 아이들공기량 제어방법
JP3403084B2 (ja) 無段変速機付車両
KR960010362A (ko) 댐퍼 클러치 작동범위 조절장치 및 그 방법
KR19980037739A (ko) 댐퍼 클러치를 이용한 엔진 시동 제어장치
KR970000859B1 (ko) 자동 변속동작 제어장치 및 그 방법
US4895127A (en) Ignition timing control system
KR100264569B1 (ko) 아이들시의 다운 시프트 변속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S5853639A (ja) 走行状態表示装置
KR970062291A (ko) 자동차용 엔진의 가열정도 감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