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5948B1 - 스트랩 공구용 텐션장치 - Google Patents

스트랩 공구용 텐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5948B1
KR960005948B1 KR1019920006825A KR920006825A KR960005948B1 KR 960005948 B1 KR960005948 B1 KR 960005948B1 KR 1019920006825 A KR1019920006825 A KR 1019920006825A KR 920006825 A KR920006825 A KR 920006825A KR 960005948 B1 KR960005948 B1 KR 9600059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member
shaft
stop
handle
sh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6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9662A (ko
Inventor
제이.닉스 로버트
Original Assignee
시그노드 코포레이션
원본미기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그노드 코포레이션, 원본미기재 filed Critical 시그노드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920019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96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5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9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65B13/22Means for controlling tension of bind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02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 B65B13/025Hand-held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02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스트랩 공구용 텐션장치
제1도는 스트랩 공구용 텐션장치의 부분 확대 사시도로서, 스트랩은 패키지의 텐션 루프에 사용되고, 기타 스트랩 공구의 부품과 패키지가 파선에 의해 부분적으로 보여진다.
제2도는 상기 텐션장치에 포함되는 핸들 및 이와 결합하는 기타 부품의 부분 확대 사시도.
제3도는 제1도, 제2도의 핸들이 조립된 상태의 부분 확대 단면도.
제4도는 제1도, 제2도의 핸들이 파선으로 보여지는 숨겨진 부품과 결합된 상태의 축소 입면도.
제5도는 핸들에 포함되거나 이에 결합된 바이어스 장치와 기타 결합된 부품의 부분 확대 사시도.
제6도는 조정된 바이어스 장치의 단면도.
제7도는 제6도와 유사하나, 바이어스 장치가 다르게 조정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제8도는 제5도에서 부분적으로 보여지는 드라이브 폴과, 스톱폴과 이에 결합된 스프링의 확대 입면도로서, 폴의 일부분의 축을 자른 단면도가 보여짐.
제9도는 핸들과 결합되거나 이에 포함된, 제5도에서 보여지는 바이어스 장치와 이에 결합된 부품과 기타 결합 부품들의 입면도.
제10도는 폴과 그 결합 부품들의 입면도로서, 폴의 축을 자른 단면이 보임.
제11도는 제9도와 유사하나, 제9도와는 다른 위치에 있는 바이어스 장치와 그 결합 부품을 보여줌.
제12도는 제9도와 제11도의 위치와 다른 위치에 있는 폴과 결합 부품의 상세 부분 입면도로서, 폴의 축을 자른 단면이 보임.
제13도는 제9도, 제11도, 제12도와 다른 위치의 스톱폴과 결합 부품의 부분 상세 입면도로서, 스톱풀이 두 위치에 있을때의 축을 자른 단면이 보임.
제14도는 제9도, 제11도와 유사하나, 제9도, 제11도와 다른 위치에 바이어스 장치와 그 결합부품을 보여줌.
제15도는 제9도, 제11도, 제14도와 다른 위치의 스톱폴과 그 결합 부품의 부분 입면도로서, 스톱풀은 그 축을 다른 단면이 보임.
제16도는 제12도와 유사하나, 제16도와 다른 위치에 있는 폴과 그 결합부품을 보여줌.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텐션장치 12 : 핸들
20 : 하우징 22 : 샤프트
24 : 연결수단 25 : 얹음부재
28 : 그립부재 30 : 반발부재
200 : 조절나사 202 : 헤드
210 : 생크 220 : 종차
230 : 스프링 240 : 리미트나사
본 발명은 패키지의 텐션루프의 폴리머 스트랩이나 스틸 스트랩에 사용되는 스트랩 공구용 텐션장치로서, 특별한 기능을 가진 텐션 감지 핸들들을 갖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특징은 분리된 조정범위내에서 사용자에 의해 텐션한계가 조절될 수 있는 것이며, 제2특징은 텐션한계가 정해지면 핸들이 조금도 피봇회전될 수 없다는 것이다.
다양한 패키지에 사용되는 텐션루프의 폴리에스테르 스트랩이나 폴리프로필렌 스트랩등의, 스틸 스트랩이나 폴리머 스트랩에 사용하기 위해 수 해동안 수동공구가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스트립들은 스틸스트랩이나 폴리머 스트랩의 겹친 층상에서 오그라뜨려지는 메탈 실을 사용한다. 스틸 스트랩의 겹친 층에 연동가능한 키를 펀치하기도 하며 폴리머 스트랩의 겹친 층에 마찰을 일으키거나 그 사이를 용접하는 것도 있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3,998,429에는 핸들에 의해 회전가능한 샤프트를 통해 텐션장치를 작동시키는 텐션감지 핸들을 갖는 수동스트랩 공구가 개시되어 있다. 이 핸들은 아치형으로, 래치드라이브를 통해 샤프트에 연결되는 드라이브 레버 및 드라이브 레버에 피봇회전식으로 얹혀지는 핸들 레버로 구성된다. 핸들 레버는 조절나사로 조절할 수 있는 바이어스 스프링에 의한 드라이브 레버에 편향되어 있다.
상기 특허의 수동 스트랩 공구에서는 핸들을 한 방향으로 피봇회전 시킴으로써 스트랩이 텐션된다. 스트랩에 충분한 텐션이 가해지는 핸들의 암이 고정된 한 세트의 스톱 톱니와 맞물릴 때까지 바이어스 스프링이 압력을 받아 핸들 레버를 드라이브 레버상에서 피봇회전시킨다. 암이 상기 톱니와 맞물리면 약간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드라이브 레버가 회전 방향으로 더 이상 피봇회전하지 못한다.
스트랩 공구용 텐션장치에 있어서, 두 가지의 특징이 요구된다. 특히, 텐션 한계가 사용자에 의해 분리된 범위내에서 정해질 수 있어야 하고, 텐션 한계에 이른 후에 조금이라도 텐션장치가 피봇 회전될 수 없어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두 특징을 포함한 스트랩 공구용 텐션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범위하게는 본 발명의 텐션장치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얹혀지는 샤프트 및 특정방법으로 샤프트에 연결되는 핸들로 구성된다. 핸들이 샤프트에 대해 한쪽 피봇방향으로 회전될 때 샤프트가 텐션 방향으로 회전되나, 샤프트를 회전시키지 않고 샤프트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피봇회전될 수 있는 식으로 핸들은 샤프트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핸들은 텐션감지 핸들로써 개선된 특징을 갖고 있다. 방식으로 핸들은 샤프트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제1면에 의하면, 핸들은 아치형이고, 상호간에 피봇회전가능하고, 개선된 방법으로 편향되는 다수의 핸들 부재로 구성되어, 텐션 한계가 사용자에 의해 분리된 범위내에서 정해질 수 있다. 제2면에 의하면, 핸들의 피봇회전이 개선된 방법으로 정해지는, 일단 핸들의 텐션 한계가 정해지면 조금도 더 이상 피봇회전되지 않는다.
핸들은 대략 얹음부재와 그립부재 및 반발부재로 구성된다. 얹음부재는 상기에 설명한 대로 샤프트에 연결된다. 그립부재는 정상위치와 이동위치간을 그립부재가 얹음부재에 대해 피봇회전할 수 있도록 얹혀진다. 반발부재는 정상 위치와 이동위치 사이에서 그립부재와 함께 움직일 수 있다.
그립부재와 반발부재는 정상 위치로 편향될 수 있으나 이동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립부재와 반발부재가 정상 위치에 있을 때 얹음부재가 텐션 방향으로 피봇회전될 수 있고, 정상 위치에서 이동위치로 그립부재와 반발부재가 피봇회전하지 못하도록 샤프트에 대해 얹음부재의 피봇회전이 조절된다.
본 발명의 제1면에 의하면, 그립부재와 반발부재는 조절나사와 종차와 스프링 및 조절나사의 회전조절을 제한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는 부품들에 의해 편향된다. 축을 형성하고 생크와 헤드로 구성되는 조절나사는, 재치부재에 대해 조절나사가 축회전함이 없이 조절나사를 얹음부재에 대해 회전조절하기 위해 핸들의 얹음부재에 언혀진다. 조절나사 생크의 외측 나사부와 함께 작동하는 내부 나사를 갖는 구멍을 갖는 종차는 얹음부재와 함께 작동하여, 조절나사를 회전조절하면 종차가 회전됨이 없이 조절나사의 생크를 따라 축이동한다.
반발부재와 종차와 함께 작동하는 스프링은 그립부재와 반발부재를 정상위치로 편향시킨다. 스프링은 조절나사가 제1회전 방향으로 회전조절되면 더욱 압축되고, 제1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회전 방향으로 조절나사를 회전조절하면 덜 압축되는 구성을 갖는다. 리미트수단은 제1혹은 2회전 방향에 대해 조절나사의 조절을 제한하고 제한 범위를 조절한다.
조절나사 생크는 튜브형이며, 상기 외측 나사부 및 내측 나사부를 갖고, 리미트수단은 조절나사 생크의 내측 나사부와 함께 작동하는 외측나사부를 갖는 헤드와 생크로 구성된다. 리미트나사의 헤드는 반발부재와 결합하여 조절나사를 제1방향으로 회전조절한다.
리미트수단은 리미트나사헤드와 조절나사 생크사이의 리미트나사생트 주위에 위치되는 와셔로 구성된다. 와셔는, 조절나사 생크와 리미트나사헤드 사이의 리미트나사 생크 주위에 위치되는 환형부와 조절나사 생크 주위에 위치되는 슬리브부를 갖는다. 내측 나사부는 조절나사 헤드 및 조절나사 생크를 통해 연장형성되고, 리미트수단은 내측 나사부와 함께 작동되고 리미트나사 생크를 눌러 조절나사에 대해 리미트나사를 안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면에 의하면 샤프트에 대한 얹음부재의 피봇회전은 스톱판, 스톱, 풀, 바이어스 요소 및 스톱폴유지수단으로 구성되는 부품에 의해 제어된다. 스톱판은 샤프트와 동축이며 하우징에 접착되는 아치형의 스톱톱니를 갖는다. 스톱폴은 얹음부재에 얹혀져 작동위치와 비작동위치간을 회전할 수 있다.
스톱폴을 포함함으로써, 스톱폴이 비작동위치에 있을 때 얹음부재가 텐션 방향으로 피봇회전하게 된다. 스톱폴은 스톱판과 함께 작동하여 스톱폴이 작동위치에 있을 때 얹음부재가 텐션 방향으로 피봇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스톱폴이 비작동위치에 있을 때 스톱폴의 작동연부는 스톱톱니 완전히 분리되고, 스톱폴이 비작동위치에 있을 때는 스톱톱니 중 적어도 하나는 작동 연부와 맞물린다. 바이어스 수단은 스톱폴을 작동위치로 회전 편향시킨다. 바이어스 수단은 스톱폴을 작동위치로 회전 편향시킨다. 리테이닝(유지)수단은 그립부재와 반발부재가 정상위치에 있을 때 스톱폴을 비작동 위치에서 풀려질 수 있도록 한다. 리테이닝수단은 스톱폴을 풀어주어 그립부재와 반발부재가 정상위치에서 이동위치로 이동하면서 스톱폴이 작동위치로 회전하도록 해준다.
스톱폴은 포켓을 가지며 리테이닝 수단은 반발부재에 의해 운반되는 핀으로 구성된다. 핀은 포켓에 뺏다 끼웠다 할 수 있게 설치되므로, 그립부재와 반발부재가 정상위치에 있을 때 스톱폴이 비작동위치로 회전되면, 핀은 스톱폴을 비작동 위치에 유지시킨다. 또한 이 구성으로 인해 그립부재와 반발부재가 정상 위치에서 이동 위치로 이동되면 핀은 스톱폴을 풀어 준다.
스톱폴에 의해 얹음부재가 텐션방향으로 피봇회전되지 못할 경우를 제외하고는, 얹음부재는 텐션 방향과 반대 방향에서 정반대의 위치사이를 피봇회전하고, 텐션부재는, 텐션방향과 반대 방향인 위치에 해당하는 위치로 얹음부재가 피봇회전하면 스톱폴을 작동위치에서 비작동위치로 회전시키는 수단으로 구성된다. 회전수단은 스톱폴과 함께 작동하여, 얹음부재가 상기 해당 위치전의 지체위치에 도착하면 재치부재가 해당위치로 피봇회전하지 못하게 한다.
본 발명의 제1,2면에 의하면, 텐션장치는 기존의 것과 유사하게 사용되나 상당한 잇점을 갖고 있다. 텐션 장치의 핸들에 의해 감지되는 텐션 단계는 분리된 조절범위내에서 사용자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고장력의 스틸 스트랩이나 저장력의 폴리머 스트랩의 특정한 정도나 수준, 넓이 혹은 게이지를 위한 텐션장치에 사용되기 위하여 분리된 조절 범위는 미리 조절될 수 있다.
제1도를 참조하면, 스트랩 공구(T)용 텐션장치(10)의 기타 구성요소들이 파선에 의해 단편적으로 보여진다. 텐션장치(10)는 텐션장치를 작동하기 위해 수동으로 피봇회전 되는 텐션감지 핸들(12)로 이루어진다. 핸들(12)은 상호간에 서로 회전 될 수 있고 개선된 방법으로 편향되는 다수 부재로 구성되어, 분리된 조절 범위내에서 사용자에 의해 텐션한계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핸들(12)의 회전은 개선된 방법으로 제한되어 핸들(12)은 텐션 한계가 핸들(12)에 의해 감지된 후에는 더이상 피봇 회전할 수 없다. 핸들(12)의 개선된 특징은 하기와 같다.
또한, 텐션(10)는 하우징(20)과, 하우징(20)에 회전가능하게 얹혀서, 하우징(20)으로부터 연장되는 샤프트(22) 및 핸들(12)을 샤프트(22)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24; 제3도 참조)으로 구성된다. 샤프트(22)는 축을 구성한다. 연결수단(24)은, 핸들(12)이 샤프트(22)에 의해 형성되는 축에 대한 한 쪽 피봇회전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샤프트(22)를 텐션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 때의 방향은 제1도, 제2도에서 처럼 시계 반대방향이다. 연결수단(24)을 설치함으로써 샤프트(22)를 회전시키지 않고, 샤프트(22)에 의해 형성되는 축에 대해 핸들(12)을 반대방향으로 피봇회전시킬 수 있다. 스트랩 공구(T)는 기존의 스틸 스트랩이나 폴리머 스트랩에 적용되는 스트랩 공구와 유사하다. 즉, 제1도에서 부분적으로 보이는 패키지(P)에 사용되는 텐션 루프에 사용되는 스트랩(S)이 보여진다. 텐션장치(10)는 다음의 경우에 유용하다. 즉, 메탈 실(도시안됨)을 스틸 혹은 폴리머 스트랩의 겹친 두층위로 오그라뜨리거나, 스틸 스트랩의 겹친 두층에 연동열쇠를 펀칭하거나 폴리머 스트랩의 겹친 두층 사이에 마찰을 일으키거나 기타 용접을 할 경우에 유용하다.
제2도와 제3도를 참조하면, 핸들(12)은 아치형으로 얹음부재(29)와 그립부재(28)과 반발부재(30) 및 브라켓부재(32)로 구성된다. 얹음부재(26)는 연결수단(24)에 의해 샤프트(22)에 연결된다.
얹음부재(26)는 시트스틸로 만들어져 상부벽(34)과 테이퍼된 유사한 측벽(36,38)을 형성한다. 브라켓부재(32)는 시트스틸로 만들어져 상부벽(40)과 이와 유사한 측벽(42,44)을 갖는다. 측벽(42)은 테이퍼된 장방형 연장부(46)를 포함하고, 이는 얹음부재(26)의 측벽(36)에 대략 일치한다. 테이퍼된 측벽(44)은 얹음부재(26)의 측벽(38)에 대략 일치한다. 측벽(42)의 장방형 연장부(46)는 상부벽(40)에 대해 둔각을 이루는 상부연부(50)를 갖는다. 측벽(44)의 장방형 연장부(48)는 상부벽(40)에 대해 유사한 각도로 향해 있는 상부 연부(52)를 갖는다. 브라켓부재(32)와 얹음부재(26)는 얹음부재 측벽(36,38)에 용접되고 그 사이에 위치되는 각각의 연장부(46,48)와 결합되고 상부벽(40)에 가까이 위치한 상부 연부(50,52)와 결합한다. 그래서 브라켓부재(32)는 그 각각의 연장부(46,48)가 얹음부재(26)에 용접된다. 브라켓부재 측벽(42)은 장방형 연장부(46)의 반대인 절단부(54)에 원형인 피봇된 수용구멍(56)을 갖는다. 피봇핀 수용구멍(56)과 장방형 연장부(46) 사이에, 브라켓부재 측벽(42)은 장방형인 롤핀 수용슬롯(58)을 갖는다. 장방형 연장부(48)와 반대쪽에 있는 일단에, 브라켓부재(44)은 피봇된 수용구멍(56)과 유사하며 그와 일렬인 피봇핀 수용구멍(62)를 갖는다. 피봇된 수용구멍(62)과 장방형 연장부(48) 사이에 브라켓부재 측벽(44)은 롤수용 슬롯(58)과 유사하면 그와 일렬인 롤핀 수용슬롯(64)을 갖는다.
그립부재(28)는 근접부(66)와 말단부(68)를 가지고 시트메탈로 이루어져 상부벽(70)과 유사한 측벽(72,74)을 형성하는데 이는 근접부(66)가 말단부(68)와 접하는 곳에서 약간 구부러진다. 노브(76)는 말단부(68)에 접착된다. 핸들(12)이 조립될 때, 브라켓부재 측벽(42,44)은 근접부(66)에서 그립부재 측벽(42,44)사이에 위치된다. 역시 브라켓부재 상부벽(40)은 그립부재 상부벽(67)과 떨어져 그립부재 상부벽(70)아래에 위치된다. 그립부재(28)의 근접부(66)의 측벽(72)에는 브라켓부재 측벽(42)의 피봇된 수용구멍(78)과 유사한 피봇된 수용구멍(78)과 그 구멍(78)으로부터 떨어진 롤핀 수용구멍(80)이 형성된다. 그 구멍(80)은 원형이다. 측벽(74)은 그립부재(28)의 근접부(66)에, 브라켓부재 측벽(44)의 피봇핀 수용구멍(62)과 유사한 피봇핀 수용구멍(82)과 구멍(82)로부터 떨어지며 구멍(70)과 유사한 롤핀 수용구멍(84)을 갖는다. 핸들(12)이 조립될 때 피봇된 수용구멍(78,82)은 서로 일렬이며, 피봇핀 수용구멍(80,84)과도 일렬이다. 또한 롤핀 수용구멍(80,84)은 서로 일렬이며 브라켓부재 측벽(42,44)의 롤핀 수용슬롯(58,64)과도 일렬이다. 반동부재(30)은 스틸 스톡으로 만들어지며 근접부(86)과 말단부(88)를 갖는다. 근접부(86)의 상부 연부(90)과 말단부(88)의 상부 연부(92)는 둔각을 이루며 연부(90,92)는 서로 접하고 있다. 말단부(88)는 반원통형면(96)을 가진 단부(94)를 갖는다. 그 단부(94)와 간격을 두고, 말단부(88)는 원통형 피봇핀 수용구멍(98)을 갖는다. 핸들(12)이 조립될 때 말단부(88)는 브라켓부재 측벽(42,44) 사이에 위치된다. 또한 단부(94)의 반원통형면(96)은 브라켓부재 측벽(42,44)의 피봇핀 수용구멍(56,62)와 그립부재 측벽(72,74)의 피봇핀 수용구멍(78,82)과 일렬이다.
실패 모양의 피봇핀(100)은 보다 긴 직경의 일단부와(102)와 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반원통형면(96)과 일치하는 중간 부분(106)을 갖는 일단부(104)를 갖고 있다. 보다 긴 직경으로 인해 단부(102)가 피봇된 수용구멍(56,62)으로 축방향으로 끼워지고, 단부(104)가 피봇핀 수용구멍(78,82)으로 축방향으로 끼워질 수 있다. 각각의 단부(102,104)의 축길이는, 단부(102)가 축방향으로 외측으로 연장하여, 피봇된 수용구멍(56)을 통해 피봇된 수용구멍(76)으로 삽입될 수 있고, 또한 단부(104)가 반대방향의 축방향으로 연장하여 피봇핀 수용 구멍(62)을 통하여 피봇핀 수용구멍(82)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를 갖는다. 핸들(12)이 조립될때 피봇핀(102)은 다음과 같이 삽입된다. 축단부(102,104)는 축방향으로 관통되고 반발부재(30)의 말단부(88)의 단부(94)는 단부(102,104)사이로 끼워진다. 또한 중간부분(106)은 단부(94)의 반원통형면(96)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롤핀(106)은 그립부재 측벽(72,74)의 롤 핀 수용구멍(80,84)의 외측으로 연장하고, 브라켓부재 측벽(42,44)의 롤 핀 수용 슬롯(58,64)의 내측을 통과하여 반발부재(30)의 말단부(88)의 롤 핀 수용구멍(98)의 내측을 통과하는 식으로 삽입된다.
롤 핀 수용 슬롯(58),(64)은 롤 핀(106)을 위해 충분한 여유를 주어, 반발부재(28)와 반발부재(30)가 브라켓부재(32)와 얹음부재(30)에 대해 피봇회전하도록 한다. 즉 브라켓부재(32)에 용접되어 피봇회전의 범위를 제한한다. 그러므로, 그립부재(28)는 브라켓부재(32)와 피봇핀(100)을 통해 얹음부재(26)에 설치되어, 그립부재(28)가 정상위치와 이동위치 사이에서 얹음부재(26)에 대해 피봇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제4도에서, 그립부재(28)의 정상위치는 파선으로 도시되며, 이동 위치는 실선으로 도시된다. 또한, 반발부재(30)는 정상위치와 이동위치 사이에서 그리핑 부재에 꼭 붙어서 움직일 수 있다.
제1도에서, 널리드 휠(110)은 하우징(20)에 저널되고, 하우징(20)에 피봇설치되는 앤빌(112)과 함께 작동되어, 스트랩의 겹친 두층 중 외측 층을 당긴다. 즉 겹친층 중 내측층에 따라 놓여 있는 스트랩(S)은, 널리드 휠(110)이 제2도에서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 즉 텐션 방향으로 회전할 때, 패키지(P)등과 같은 패키지 주위의 텐션 루프로 끌어 당겨진다. 이러한 것들이 공구 스트랩용 텐션장치에 흔히 사용도는 부품들이다.
샤프트(22)는 동시 회전을 위해, 기어(118; 한개만 도시됨) 및, 하우징 저널에 삽입되고, 하우징(20)으로부터 연장되는 래치(도시안됨)를 통해, 샤프트(116)에 연결된다. 릴리즈 폴(122)은 후에 설명될 목적을 위해 코드 면(chordal surface; 124)을 갖는다. 래치 장치는 기존의 방식으로 배열되는데, 즉 제1도의 시계 방향인, 한 방향으로 릴리즈 폴(122)이 회전하면, 샤프트(116)은 하우징(20)에 대해 자유 회전한다. 릴리즈 폴(122)은 반대 방향으로 편향되어 있어, 하우징(20)에 대해 샤프트(116)가 자유회전하기 위해 릴리즈 폴(122)이 회전되지 않는 한, 샤프트가 역회전(결과적으로 스트랩 텐션이 이루어지지 않음)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1도와 같이, 샤프트(22)는 베어링 관(130)의 저널에 삽입되어 베어링 관(130)으로부터 연장된다. 베어링관(13)은 텐션장치(10)를 위한, 서로 떨어진 두개의 직립한 플랜지(198; 한개만 도시됨)의 저널에 삽입된다. 베어링 튜브(130)로 인해 하우징(20)이 플랜지(198)에 대해 피봇 회전하게 되고, 샤프트(22)가 하우징(20)에 대해 피봇 회전하게 된다. 말단부(132)가 비원형 단면을 갖도록 하기 위해, 샤프트(22)의 말단부(132)에는 정반대쪽에 위치하며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두 평면부(134,136)가 형성되어 있다. 환형 스페이서(138)에는 중앙 구멍(140)이 형성되어 있고, 환형 스페이서(138)에는 중앙 구멍(140)이 형성되어 있고, 이는 하우징(20)에 인접하여 베어링 관(130) 주변에 위치된다. 원형구멍(144)을 갖고 있는 작동판(142)은 환형 스페이서(138)에 인접하여 베어링관(130) 주위에 위치된다. 원형 구멍(148)이 형성된 스톱판(146)은 작동판(142)에 인접하여 베어링관(130)에 인접하여 베어링 관(130) 주위에 위치된다. 작동 판(142)은, 베어링관(130)에 대해 스톱판(146)과 작동판(142)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하여, 축방향으로 스톱판(142)의 아치형 슬롯(152)으로 뻗어 있는 탭(150)을 갖고 있다. 코일 스프링(154)은 슬롯(152)에 꼭 낄 수 있는 치수로 슬롯(152)내에, 제1도 같이 시계 반대 방향인 한 방향으로 작동판(142)을 스톱판(146)에 대해 편향시키기 위해 탭(150)과 슬롯(152)의 일단부(152a) 사이에 위치된다. 작동판(142)은 그 작동을 후에 설명한 인풋 암(156)과 작동 암(158)을 갖고 있다. 작동 암(158)은 릴리즈 폴(122)의 코드면(124)와 결합함으로써 릴리즈 폴(122)을 충분히 회전시켜 상기에 설명한 대로 작동판(142)이 제1도에서 처럼 충분한 거리를 회전함에 따라 하우징(20)에 대한 샤프트(116)의 자유회전을 방지한다. 스톱판(146)은 리미트암(160)과 이에 인접한 아치형 스톱 톱니(162)와 스톱 톱니(162)에 인접한 캠부와 포지셔닝 암(166)을 갖고 있다. 포지셔닝 암(166)은 노치(168)를 가져 플랜지(198)의 한쪽으로부터 연장된 핀(170)을 수용하여, 샤프트(22)에 대한 스톱판(146)의 회전을 방지한다.
샤프트(22)의 말단부(132)는 얹음부재 측벽(36,38)에 서로 일렬로 배열된 원형구멍(172,174)을 통해 연장되는데, 즉 얹음부재(26)는 샤프트(22)에 의해 형성되는 축에 대해 피봇회전할 수 있다. 말단부(132)를 수용할 수 있는 형태의 비원형 구멍(178)을 갖는 한쌍의 유사한 래치 휠(176)은 말단부(132)에 설치되어 샤프트(22)와 동시에 회전할 수 있다. 각각의 래치 휠(174)은 그 주변에 래치톱니(182)를 갖고, 래치 휠(176)은 그 주위에 래치 톱니(184)를 갖는다. 광학 프라스틱으로 주조된 커버(186)는 얹음부재(26)에 설치되는데, 측벽(36)의 하부 노치(190)와 스냅결합하는 하부 탭(188)과, 측벽(38)의 유사한 노치(도시안됨)와 스냅 결합하는 유사한 탭(도시안됨)과 상부 벽(34)의 두 상부 슬롯(194)과 스냅 결합하는 두 상부 텝(192)을 통해 설치되어, 래치 휠(176)을 커버한다.
축을 형성하는 조절나사(200)는 핸들(12)의 얹음부재(26)에 설치되어, 얹음부재(26)에 대해 조절나사(200)가 축 회전하지 않고, 설치부재(26)에 대해 조절나사(200)를 회전조절할 수 있다. 조절나사(200)는 얹음부재(26)의 상부 벽(340)의 원형 구멍(204)을 통해 연장된 튜브형 헤드(202)를 갖고 있다. 조절나사(200)는 얹음부재(26)의 상부 벽(340)의 원형 구멍(204)을 통해 연장된 튜브형 헤드(202)를 갖고 있다. 조절나사 헤드(202)는 슬롯(204)을 갖는데, 이는 수동 나사 드라이버 등의 기존 공구(도시안됨)와 함께 작동될 수 있다. 조절나사(200)는 와셔형의 일체로 된 환형 플랜지(206)를 갖는데, 이는 조절나사 헤드(202)와 접하며, 구멍(204)의 내부 여유부(208)와 접하며, 또한 조절나사(200)는 내·외 나사부를 갖는 튜브형 생크(210)을 갖는다. 내부 나사부는 조절나사 생크(210)와 조절나사 헤드(202)에 연장형성되어 있다.
종차(follower)는, 조절나사 생크(210)의 외부 나사부와 함께 작동하는 내측+나사부(제2도 참조)가 형성된 구멍(222)을 갖고, 또한 얹음부재(26)의 측벽(38)과 함께 작동하는 평면부(224)를 가져 조절나사(200)기 회전조절될 때 얹음부재(26)에 대해 종차(220)를 회전시키지 않고, 조절나사 생크를 따라 종차(220)를 축이동 시킬 수 있다. 종차(220)는 넓은 텅(226; tongue)과 튜브형 허브(228)를 갖고 있다.
코일 스프링(230)은 반발부재(30)의 근접부분(86)의 소켓(232)에 설치된다. 스프링(230)은 조절나사 생크(210)와 튜브형허브(228) 둘레를 감고 종차(220)에 접한다. 그래서, 스프링(230)은 종차(220)와 조절나사 생크(210)를 통해 조절나사(230)를 구멍(204)의 내부 여유부(208)에 대해 편향시킨다. 또한 스프링(230)은 그립부재(28)와 반발부재(30)를 얹음부재(26)와 브라켓부재(32)에 대해 편향시켜 이러한 부재들을 정상위치에 있게 하며, 이러한 부재들이 피봇회전되어 이동위치에 있게 한다. 조절나사(200)를 얹음부재(26)에 대해 회전조절하는 것은 제한된 범위내에서 이루어지며, 하기와 같이 분리조절될 수 있다. 즉, 제1회전 방향 즉 종차(220)가 조절나사 헤드(202)로부터 떨어지는 위치로 회전조절되면 코일 스프링(230)이 더욱 압축되고, 제2방향 즉, 종차를 조절나사헤드에 가깝도록 회전조절하면 코일 스프링은 덜 압축된다. 제2회전 방향은 제1회전 방향과 반대이다.
리미트나사(240)는 조절나사 생크(210)의 내부 나사부와 함께 작동하는 외부 나사부를 가진 생크(244)와 헤드(242)를 갖고 있다. 리미트나사 헤드(240)는 소켓(도시안됨)을 가져 기존의 알렌 렌치(allen wrench; 도시안됨)와 함께 작동하며 반발부재(30)의 근접부(86)의 구멍을 통해 사용가능하게 된다. 헤드가 없는 세트스크류(250)는 조절나사 생크(21)의 내부 나사부와 함께 작동하는 외부 나사부를 갖고, 나사 생크(244)에 접하여 리미트나사(240)를 조절나사(200)에 대해 안정시킨다. 일단부(252) 즉 조절나사 헤드(202)에 보다 가까운 단부에, 세트스크류(250)는 기존의 알렌 렌치(도시안됨)과 함께 작동하고, 조절나사헤드(202)를 통해 사용될 수 있도록 소켓(도시안됨)을 갖는다. 와셔(260)는 리미트나사헤드(242) 둘레에 환형부(262)를 갖고 또한 코일 스프링(230)내에 조절나사 생크(21) 둘레에 위치되는 슬리브 부(264)를 갖는다. 리미트나사(240)와 세트나사(250)는 조절가능하여, 조절나사(200)를 얹음부재(26)에 대해 제1방향은 제2회전 방향으로, 제한됨 범위내에서 조절되게 한다.
얹음부재(26)의 측벽(36)은 원형구멍(268)을 갖는다. 지시 다이얼(270)은 얹음부재(26)의 측벽(36,38)사이의 저널에 삽입되어, 지시 다이얼(270)과 일체로 된 피니언 기어(272)가 측벽(36)의 원형 구멍(268)내에서 회전한다. 래크 판(274)은 종차(220)와 일체로 된 텅(226)을 수용하는 장방형 슬롯(276)을 갖고 있다. 래크 판(274)은 조절나사 생크(210)와 평행한 장방형 오목부(278)를 갖고, 피니언 기어(272)와 함께 작동하는 톱니형 연부(280)를 형성하여, 종차(220)가 조절나사 생크(210)를 따라 축 이동할 때 피니언 기어(272)를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지시 다이얼(270)은 원주에 식별할 수 있는 표시(282; 제2도 참조)를 구성하고, 얹음부재(26)의 상부 벽(34)의 장방형 슬롯(284)을 통해 일부분이 보이게 한다. 이러한 표시(282)는 얹음부재(26)에 대한 조절나사(330)의 각기 다른 회전 위치에 해당한다.
얹음부재 측벽(36,38)은 서로 일렬인 원형 구멍(300,302)을 갖고 있다. 대략 원통형인 래치폴(304)은 구멍(300)에 회전가능하게 작동위치와 비작동위치로 위치된다. 래치폴(304)은 한쪽 회전방향으로 편향되고, 도면에서와 같이 작동위치인 시계방향에 있다. 래치폴(304)은 작동 연부를 형성하는 평면상의 코드 면(306)을 갖는다. 래치폴(304)이 작동하면 작동 연부(308)는 래치 휠(174)의 래치 톱니(182)와 맞물려 래치 휠(174)을 텐션 방향으로 움직이는데 즉, 텐션 방향에서 샤프트(22)에 의해 형성되는 축에 대해 핸들(12)이 피봇 회전함에 따라 도면에서와 같이 시계 반대 방향으로 움직인다. 또한 평면상의 작동 연부(308)는 캠면의 기능을 가져 핸들(12)이 샤프트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피봇 회전함에 따라 작동 연부(308)를 톱니와 톱니사이로 건너뛰게 하며, 이때 래치폴(304)은 작동 위치로 돌아온다. 래치폴(304)이 비작동위치에 있을 때, 작동 연부(308)에서 래치 톱니(182)가 분리된다.
래치폴(304)은 편향 단부(310)와 반대 단부(312)를 갖고 있다. 편향 단부(310)은 대각선 홈(314)을 갖고 있다. 래치폴(304)은 편향 단부(310)로 축방향 연장하는 평면상의 코드 면(304)을 갖고 있다. 래치폴(304)은 둥근 단부(320)을 갖고 반대 단부(320)로 축방향 연장하는 아치형의 플랜지(318)를 갖고 있다. 제12도에서와 같이, 래치폴(304)이 래치휠(174,176)의 톱니(182,184)와 함께 작동함에 따라 아치형의 플랜지(318)의 스톱판(146)의 톱니(162)부터 이탈된다. 나비형 휠(322)은 편향 단부(310)와 일치하는 비 원형 구멍(324)과 톱니모양의 외면을 갖고 있으며, 편향 단부(310) 상부로 끼워져 래치폴(304)과 동시에 회전한다. 나비형 휠(322)은 얹음부재(26)의 상부벽(34)의 장방형 슬롯(326)을 통해 부분적으로 연장한다. 나비형 휠(322)로 인해 래치폴(304)은 작동위치와 비작동 위치로 수동 회전한다.
얹음부재 측벽(36,38)은 서로 일렬인 원형 구멍(340,342)을 갖는다. 대략 원통형인 스톱 폴(344)은 구멍(340)내에서 작동위치와 비작동 위치 사이를 회전할 수 있다. 스톱 폴(344)은 한쪽 회전 방향으로 편향되는데, 즉 도면에서 시계 반대방향인 작동위치로 편향된다. 스톱들(344)은 작동 연부(348)를 형성하는 평면상의 코드 면(346)을 갖고 있다. 스톱폴(344)의 작동시에는 작동 연부(348)가 스톱판(146)의 톱니(162)와 맞물려 텐션방향에서 얹음부재(26)가 피봇회전하지 못하도록 하는데, 즉 도면에서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움직인다. 스톱폴(344)의 비작동시에는, 래치휠(174)의 톱니(182)와 스톱판(146)의 톱니(162)는 작동연부(348)에서 이탈된다. 또한, 평면상의 코드면(346)이 캠면 기능을 하여 얹음부재(26)가 샤프트(22)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피봇 회전함에 따라, 스톱판(146)의 작동연부(348)가 스톱판(146)과 래치휠(174)의 톱니(162,182)를 건너 뛴다. 스톱폴(344)은 스톱판(146)의 리미트암(160)과 맞물려 얹음부재(26)의 피봇회전을 텐션 방향에 제한한다.
스톱폴(344)은 편향 단부(350)와 반대 단부(352)를 갖고 있다. 편향 단부(350)는 대각선 홈(354)을 갖고 있다. 스톱폴(344)의 코드 바닥(358)에 의해 제한되는 포켓(356)과 코드 면에 수직인 코드 벽(360)과 코드바닥(358)과 코드 벽(360)에 수직인 두 측벽(362)을 갖고 있다(제5도 등 참조). 평면상의 코드면(346)은 반대 단부(352)로 연장된다. 스톱폴(344)은 인접부품들을 위한 여유부를 제공하는 또 다른 포켓(368)을 갖고 있다.
스프링 와이어 하나로 만들어지는 토션 스프링(370)은 래치폴(304)을 작동위치로 편향시키고, 스톱폴(344)을 작동위치로 변형시킨다. 토션 스프링(370)은 편향 단부(310)에 인접한 래치폴(304)주위로 감기는 코일부(372)를 갖고 있다. 토션 스프링(370)은 대각선의 홈(314)내에 위치되고 코일부(372)로부터 연장되는 암(374)을 갖고 있다. 토션 스프링(370)은 편향 단부(350)에 인접하여 스톱폴(304) 주변을 감는 코일부(376)와 대각선 홈(354)내에 위치되는 암(378)을 갖고 있다. 각각의 코일부(372,376)는 토션 스프링(370)이 설치될 때 미리 텐션된다.
핀(380)은 편향단부(382)와 작동단부(384)를 갖고 반동부재(30)의 근접부(86)에 의해 운반되어 작동위치와 비작동 위치사이에서 근접부(86)의 구멍(386)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핀(380)은 편향 단부(382) 가가이 핀(380)을 통해 연장되는 구멍(388)을 갖고 있다. 핀(380)은 토션 스프링(390)에 의해 작동위치로 편향되고, 토션 스프링(390)은 핀(380)의 편향 단부(382)에 인접한 구멍(388)을 통해 연장 형성되는 암(392)과 반발부재(300)의 원형 구멍(396)내에 위치되는 코일부(394)와 반발부재(30)의 플랜지(400)에 접한 암(398)으로 구성된다. 핀(380)이 작동 위치에 있을 때에는 작동단부(384)는 포켓(356)으로 연장되고, 포켓 벽(360)에 접하여 스톱폴(344)이 비작동 위치에서 작동위치로 회전하지 못하도록 한다. 핀(380)이 비작동 위치에 있을 때에는 작동 단부(384)는 포켓(356)에서 빠져나와 스톱폴(344)을 비작동위치에서 작동위치로 회전시킨다.
스톱판(146)의 캠부(166)는 선단부(410), 아치형 연부(412)와 상승부(414)를 갖고 있으며 포지셔닝 암(168)과 붙어 있다. 스톱폴(344)의 평면 코드면(346)을 캠부(166)와 맞물리기 위해 얹음부재(26)를 텐션 방향과 반대 방향의 회전위치로 충분한 거리만큼 회전시키고, 핀(380)이 포켓(356)에서 빠져 나온 후, 또한 스톱폴(344)이 비작동 위치로 회전한 후에는, 선단부(410)과 아치형 단부(412)는 면(346)과 함께 작동하여 스톱풀(344)이, 토션 스프링(380)에 의해 포켓(356)으로 다시 들어가기 위해 핀(370)을 위해 충분히 회전할 때까지 스톱폴(344)이 캠 작동하게 된다. 래치폴(304)의 아치형 플랜지(316)는 상승부(414)에 의해 캠 작동하여 래치폴(304)이 비작동 위치에서 작동위치로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아치형 플랜지(318)는 작동판(142)의 인풋 암(156)과 결합하고, 작동 판(142)의 탭(150)을 누르는 코일 스프링(154)에 대해 작동 판(142)을 충분히 회전시켜, 작동판(142)의 아웃풋 암(158)이 릴리즈 폴(122)의 코드면(124)과 결합하게 한다. 그래서, 암(158)에 의해 결합되듯이, 릴리즈 폴(120)은 충분히 회전하여 래치폴(120)을 작동위치에서 비작동 위치로 피봇 회전시킨다.
얹음부재(26)는, 얹음부재(26)가 텐션 방향으로의 피봇회전이 스톱판(146)과 함께 작동하는 스톱폴(344)에 의해 방해될 때, 두 상반된 위치사이에서, 상기 설명과 같이, 두 회전 방향중 어느 방향으로든 샤프트(22)에 의해 형성되는 축에 대해 피봇회전할 수 있다. 얹음부재(26)가 텐션 방향에서 두 상반된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제10도에 나타난다. 여기에서, 스톱폴(344)는 스톱판(146)의 (160)과 결합되어 얹음부재(26)가 텐션 방향에서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도록 한다. 얹음부재(26)가 반대방향으로 이동위치하는 것이 제16도에서 보여지는데, 즉 래치폴(304)의 아치형 플랜지(318)가 작동판(142)의 인풋 암(156)과 결합하고, 작동판(142)의 아웃 풋 암(158)이 릴리즈 폴(122)의 코드 면(124)과 결합한다. 그래서, 텐션장치(10)에 의해 조작되는 스트랩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어떤 텐션도, 스트랩 작동을 끝내고자 한다면, 풀어지게 된다. 얹음부재(26)가 반대방향으로 상반되는 위치로 회전함에 따라 즉, 도면에서 시계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얹음부재(26)는 지체 위치에 다다르고, 코일 스프링(154)에 의해 상반되는 위치로 더욱 늦게 다다른다. 여기에서 코일 스프링(154)은 스톱판(146)의 장방향 슬롯(152)의 일단부(152a)와 작동판(142)의 축방향 텝(150)을 누르고 있다. 얹음부재(26)를 상기 상반된 위치로 더욱 이동시키고자 하면, 코일 스프링(154)에 대한 압축력이 더욱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10)

  1. 스트랩 공구용 텐션장치로서, 상기 텐션장치(10)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샤프트(22)와, 샤프트(22)에 연결된 핸들(12) 및, 상기 핸들(12)이 샤프트(22)에 대해 한쪽 방향으로 피봇회전할 때 상기 샤프트(22)를 텐션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핸들(12)을 상기 샤프트(22)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24)으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수단(24)은 상기 샤프트(22)를 회전시키지 않고 상기 핸들(12)을 상기 샤프트(22)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피봇회전 시킬 수 있으며, 상기 핸들(12)은 관절형이며 얹음부재(26)와 그립부재(28) 및 반발부재(30)를 포함하고, 상기 얹음부재(26)는 상기 연결수단에 의해 상기 샤프트(22)에 연결되고, 상기 그립부재(28)는 상기 얹음부재(26)에 얹혀져 상기 그립부재(28)가 상기 얹음부재(26)에 대해 정상위치와 이동위치간을 피봇이동하게 하며, 상기 반발부재(30)는 상기 정상위치와 이동위치간을 상기 그립부재(28)와 함께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핸들(12)은 상기 그립부재(28)와 반발부재(30)를 정상위치로 편향시키기 위해 상기 얹음부재(26) 및 반발부재(30)와 함께 작동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편향수단은 상기 그립부재(28)와 상기 반발부재(30)를 이동위치로 이동시키며, 상기 텐션장치는 상기 얹음부재(26)가 상기 샤프트(22)에 대해 피봇회전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샤프트(22)와 함께 작동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그립부재(28)와 반발부재(30)가 정상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샤프트(22)에 대해 상기 얹음부재(26)를 텐션 방향으로 피봇회전시키며, 상기 그립부재(28)와 반발부재(30)가 정상위치에서 이동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샤프트(22)에 대해 상기 얹음부재(26)가 더이상 텐션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하며, 상기 편향 수단은 (a) 상기 헤드(202)와 생크(210)로 이루어져 축을 형성하며, 상기 얹음부재(26)에 얹혀져 얹음부재(26)에 대해 축이동 시키지 않으면서 얹음부재(26)에 대해 회전조절될 수 있게 하는 조절나사(200)와, (b) 상기 나사 생크(210)와 상기 얹음부재(26)와 함께 작동하여, 상기 조절나사(200)를 상기 얹음부재(26)에 대해 회전조절시키면, 상기 얹음부재(26)에 대해 회전시킴이 없이 상기 조절 나사 생크(210)를 따라 축 이동가능하게 하는 종차(220)와, (c) 상기 반발부재(30)와 상기 종차(220)와 함께 작동하여, 상기 그립부재(28)와 반발부재(30)를 정상 위치로 편향시키며, 상기 조절나사(200)가 제1회전 방향으로 회전조절될 때는 더욱 압축되나, 상기 조절나사(200)가 제1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회전 방향으로 회전조절되면 덜 압축될 수 있도록 배열되는 스프링(330) 및, (d) 상기 조절나사(200)의 회전조절을 제한된 범위내에서 제1 또는 제2회전 방향으로 제한하는 회전 제한수단이 구비되어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랩 공구용 텐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나사 생크(210)는 튜브형으로 내·외측에 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종차(220)는 상기 조절나사 생크(210)의 외측 나사부와 함께 작동하는 내측 나사부를 가진 구멍(222)을 갖고 있고, 상기 제한수단은 상기 조절나사 생크(210)의 내측 나사부와 함께 작동하는 외측 나사부를 갖는 생크(210)와 헤드(202)를 갖는 리미트나사(240)로 구성되며, 상기 반발부재(30)와 결합하여 상기 조절나사(200)의 회전을 제1회전 방향으로 제한토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랩 공구용 텐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수단은 상기 리미트나사(240)의 헤드(242)와 조절나사(200)의 생크(210) 사이에 상기 리미트나사(240)의 생크(244) 일측에 위치되는 와셔(26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랩 공구용 텐션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260)는 상기 리미트나사(240)의 헤드(202)와 상기 조절나사 생크(210) 사이에 상기 리미트나사 생크(244) 둘레에 위치하는 환형부(262) 및 상기 조절나사 생크(210)둘레에 위치되는 슬리브부(264)를 갖는 특징으로 하는 스트랩 공구용 텐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230)은 상기 조절나사 생크(210)와 상기 와셔(26)의 스리브부(264) 및 상기 리미트나사(240) 헤드(242) 둘레에 위치되도록 코일형의 스프링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랩 공구용 텐션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종차(220)는 튜브형 부재로, 그 일측에 코일형의 스프링(330)이 탄력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랩 공구용 텐션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나사부는 상기 조절나사(200)의 생크(210) 및 헤드(202)를 관통하여 연장 성형되고, 상기 제한수단은 상기 내측 나사부와 함께 작동하고, 상기 리미트나사(240)의 생크(210)를 눌러 상기 조절나사(200)에 대해 상기 리미트나사(240)를 안정시키는 세트스크류(25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랩 공구용 텐션장치.
  8. 스트랩 공구용 텐션장치로서, 상기 텐션장치(10)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얹혀지는 샤프트(22)와, 샤프트(22)에 연결되는 핸들(12) 및 상기 핸들(12)을 상기 샤프트(22)에 연결함으로써, 상기 핸들(12)이 소정의 피봇 방향으로 피봇회전할 때 회전 가능한 방향으로 샤프트(22)를 회전시키는 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수단(24)은 상기 샤프트(22)를 회전시키지 않으면서 상기 핸들(12)을 상기 샤프트(22)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피봇회전시키며, 상기 핸들(12)은 관절이므로 얹음부재(26)와, 그립부재(28) 및 반발부재(30)를 포함하고, 상기 얹음부재(26)는 상기 연결수단(24)에 의해 상기 샤프트(22)에 연결되고, 상기 그립부재(28)는 상기 얹음부재(26)에 얹혀져 상기 그립부재(28)가 상기 얹음부재(26)에 대해 정상위치와 이동 위치사이를 피봇운동가능하게 하며, 상기 반발부재(30)는 상기 정상위치와 이동 위치사이를 상기 그립부재(28)와 함께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핸들(12)은 상기 얹음부재(26) 및 반발부재(30)와 함께 작동하여 상기 정상위치로 상기 그립부재(28)와 상기 반발부재(30)를 편향시키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편향수단은 상기 그립부재(28)와 상기 반발부재(30)를 상기 이동위치로 이동하게 하며, 상기 텐션장치는 상기 얹음부재(26)가 상기 샤프트(22)에 대한 피봇회전운동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샤프트(22)와 함께 작동하는 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그립부재(28)와 상기 반발부재(30)가 정상위치에 있을 때 상기 샤프트(22)에 대해 상기 얹음부재(26)를 소정의 회전 방향으로 피봇회전시키는 반면, 상기 그립부재(28)와 상기 반발부재(30)가 상기 정상위치로부터 상기 이동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샤프트(22)에 대해 상기 얹음부재(26)가 소정의 회전 방향으로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게 하며, 상기 제어 수단은 (a) 상기 샤프트(22)와 동축이며 상기 하우징(10)에 고착된 아치형으로 배열된 스톱 톱니(162)를 갖는 스톱판(146)과, (b) 상기 얹음부재(26)에 얹혀져 작동위치와 비작동 위치사이를 회전 가능하게 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얹음부재(26)를 상기 비작동 위치의 텐션 방향으로 피봇이동시키며, 상기 작동위치의 상기 스톱판(146)과 함께 작동하여 상기 얹음부재(26)를 상기 텐션방향으로 피봇이동하지 못하게 하며, 비작동위치에서는 상기 스톱 톱니(162) 전체로부터 완전히 분리되고 작동위치에서는 상기 스톱 톱니(162)중 적어도 하나와 맞물리도록 위치되는 맞물림부분을 갖는 스톱폴(344)과, (c) 상기 스톱폴(344)이 상기 작동위치로 회전편향되게 하는 편향수단 및, (d) 상기 그립부재(28)와 상기 반발부재(30)가 상기 정상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스톱폴(344)이 상기 비작동위치로 풀려나올 수 있는 상태로 유지시키고, 상기 그립부재(28)와 상기 반발부재(30)가 상기 정상위치에서 상기 이동위치로 이동할 때에는 상기 스톱폴(344)이 상기 작동위치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스톱폴(344)을 풀리게 하는 스톱폴 리테이닝 수단이 구비되어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랩 공구용 텐션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폴(344)은 포켓(356)을 갖고 있고, 상기 리테이닝 수단은 상기 반발부재(30)에 의해 운반되는 핀(370)으로 구성되고, 상기 핀(370)은 상기 포켓(356)에 끼웠다 뺐다 할 수 있게 배열되어 상기 그립부재(28)와 상기 반발부재(30)가 상기 정상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스톱폴(344)이 상기 비작동 위치로 회전되면 상기 스톱폴(344)을 상기 비작동 위치에 유지시키고, 상기 그립부재(28)와 상기 반발부재(30)가 상기 정상위치에서 상기 이동위치로 이동될 때는 상기 스톱폴(344)을 풀리게 하기 위해 상기 포켓(356)에서 빠져 나오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랩 공구용 텐션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얹음부재(26)의 설정된 회전 방향으로의 피봇회전이 상기 스톱폴(344)에 의해 억제될 때를 제외하고, 상기 얹음부재(26)는 상기 텐션방향과 그 반대 방향의 맨끝 위치들 사이에서 피봇회전할 수 있고, 상기 텐션장치(10)는, 상기 반대 방향의 맨끝 위치에 해당하는 회전 위치로 상기 얹음부재(26)가 피봇회전하면 상기 래칫폴(304)을 상기 작동위치로부터 상기 비작동 위치로 회전 시키기 위한 회전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스톱폴(344)과 함께 작동하여, 회전 위치 전의 지체 위치에 상기 얹음부재(26)가 도달할 때 상기 회전 위치로의 상기 얹음부재(26)의 회전을 지체시키나, 상기 얹음부재(26)가 회전되어 상기 지체위치를 지나 상기 회전위치까지 피봇 회전토록 상기 래치폴(304)과 함께 작동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랩 공구용 텐션장치.
KR1019920006825A 1991-04-23 1992-04-22 스트랩 공구용 텐션장치 KR9600059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689,496 US5203541A (en) 1991-04-23 1991-04-23 Tensioning mechanism for strapping tool
US07/689,496 1991-04-23
US07/689496 1991-04-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9662A KR920019662A (ko) 1992-11-19
KR960005948B1 true KR960005948B1 (ko) 1996-05-06

Family

ID=24768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6825A KR960005948B1 (ko) 1991-04-23 1992-04-22 스트랩 공구용 텐션장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5203541A (ko)
EP (1) EP0510982B1 (ko)
JP (1) JP2586976B2 (ko)
KR (1) KR960005948B1 (ko)
AU (1) AU634688B2 (ko)
BR (1) BR9201488A (ko)
CA (1) CA2066818C (ko)
DE (1) DE69202813T2 (ko)
ES (1) ES2073865T3 (ko)
FI (1) FI95364C (ko)
HK (1) HK158095A (ko)
MX (1) MX9201832A (ko)
NZ (1) NZ24247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77477A (en) * 1993-12-09 1995-01-03 Signod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 power strapping machine
US5499664A (en) * 1994-03-07 1996-03-19 Illinois Tool Works Inc. Compressive cutting mechanism having plural-edged cutter
US5848621A (en) * 1996-03-22 1998-12-15 Illinois Tool Works Inc. Cutter for steel strapping tool
US7455080B2 (en) * 2006-01-26 2008-11-25 Illinois Tool Works Inc. Manual tensioner for non-metallic straps
US8800967B2 (en) * 2009-03-23 2014-08-12 Southwire Company, Llc Integrated systems facilitating wire and cable installations
US10003179B2 (en) 2008-01-21 2018-06-19 Southwire Company, Llc Integrated systems facilitating wire and cable installations
DK3483360T3 (da) * 2008-05-19 2022-07-25 Max Co Ltd Wirespolebremsesystem i en maskine til at binde armeringsstænger
US20120138882A1 (en) * 2010-12-02 2012-06-07 Mack Thomas Moore In-line strainer with tension control mechanisms for use on high tensile wire
GB201117251D0 (en) * 2011-10-05 2011-11-16 Autochair Ltd Hoist mechanism
US9221567B2 (en) 2012-01-25 2015-12-29 Southern Bracing Systems Enterprises, Ll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tensioning straps
US9254779B2 (en) * 2012-07-03 2016-02-09 Kenneth G. Kingery Large heavy duty ratchet
US10988071B2 (en) 2013-07-03 2021-04-27 Kenneth G. Kingery Heavy duty ratchet
US10836299B2 (en) * 2017-05-23 2020-11-17 Winston Products Llc Ratchet tie down
WO2020247636A1 (en) 2019-06-05 2020-12-10 Hurley Garrett Ray Tool operated adjustment devices, fit systems, and line tensioning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95347A (en) * 1933-07-15 1935-03-26 Leo M Harvey Tying machine
US2969221A (en) * 1955-04-15 1961-01-24 Oren B Harmes Binding tensioner
US3080148A (en) * 1961-05-29 1963-03-05 Acme Steel Co Strap tensioning tool
US3194541A (en) * 1961-10-30 1965-07-13 Interlake Steel Corp Strap stretching tool
US3380485A (en) * 1965-05-13 1968-04-30 Interlake Steel Corp Strapping tool
US3830263A (en) * 1973-06-07 1974-08-20 Amp Inc Strap applying tool
US4041993A (en) * 1975-03-07 1977-08-16 Signode Corporation Strap tensioner with automatic cut-off
US4015643A (en) * 1976-01-21 1977-04-05 Signode Corporation Tensioning tool with self-energizing gripper plug
US3998429A (en) * 1976-02-19 1976-12-21 Signode Corporation Strap tensioning tool with load-sensing handle
US4282907A (en) * 1979-10-10 1981-08-11 Signode Corporation Tension sensing mechanism for strapping to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I95364C (fi) 1996-01-25
AU1503692A (en) 1992-10-29
FI921783A (fi) 1992-10-24
ES2073865T3 (es) 1995-08-16
DE69202813D1 (de) 1995-07-13
US5203541A (en) 1993-04-20
NZ242470A (en) 1993-09-27
BR9201488A (pt) 1992-12-01
EP0510982B1 (en) 1995-06-07
MX9201832A (es) 1992-10-01
EP0510982A1 (en) 1992-10-28
FI95364B (fi) 1995-10-13
FI921783A0 (fi) 1992-04-22
HK158095A (en) 1995-10-13
JP2586976B2 (ja) 1997-03-05
JPH05229508A (ja) 1993-09-07
KR920019662A (ko) 1992-11-19
DE69202813T2 (de) 1995-10-12
AU634688B2 (en) 1993-02-25
CA2066818C (en) 1995-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5948B1 (ko) 스트랩 공구용 텐션장치
US6453764B1 (en) Switch style bicycle shift control device
JP4795678B2 (ja) ラチェット式結束工具
EP2374706B1 (en) Shift control device for a bicycle transmission
US7413065B2 (en) Ratcheting mechanism
US6641116B1 (en) Strap fastener
WO2014203416A1 (ja) 靴紐巻取用リール
US6564670B2 (en) Bicycle speed control apparatus
US8695452B2 (en) Bicycle shifter
MX2015002849A (es) Sistema de tensado de correa.
US8163988B2 (en) Snare tension device
US6820862B2 (en) Wire strainer
GB2356371A (en) A multifunction tool
US4824046A (en) Clutch mechanism for use in fishing reels
DE10013262A1 (de) Einwegkraftübertragung
US6510757B1 (en) Cable guide in a shift lever for bicycle gears
US6722233B2 (en) Pawl shifting device for a ratchet tool
JP4724819B2 (ja) 動力作業機
US6360977B1 (en) Change-speed construction for a fishing reel
EP0302806B1 (fr) Dispositif pour le serrage et le maintien d'éléments à assembler par collage, agrafage, clouage ou rivetage
JPS5936510Y2 (ja) 自動調整クラッチペダル装置
US20040261566A1 (en) Bicycle transmission contro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5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