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5868B1 - 트럭의 측면 개폐판의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트럭의 측면 개폐판의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5868B1
KR960005868B1 KR1019880016098A KR880016098A KR960005868B1 KR 960005868 B1 KR960005868 B1 KR 960005868B1 KR 1019880016098 A KR1019880016098 A KR 1019880016098A KR 880016098 A KR880016098 A KR 880016098A KR 960005868 B1 KR960005868 B1 KR 960005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truck
handle
stopper
carg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6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0244A (ko
Inventor
호리마사끼
Original Assignee
세이꼬우 기껜 가부시끼가이샤
호리 마사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꼬우 기껜 가부시끼가이샤, 호리 마사끼 filed Critical 세이꼬우 기껜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00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02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5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트럭의 측면 개폐판의 지지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에 관한 트럭의 측면 개폐판의 지지장치를 예시한 정면도이다.
제 2 도는 제 1 도의 일부 단면을 포함하는 측면도이다.
제 3 도는 제 1 도에 있어서의 A-A 단편을 확살표 방향으로 나타낸 확대도이다.
제4(a)도는 제 3 도에 있어서의 단면 B-B를 확살표 방향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제4(b)도는 제4(a)도의 요부의 우측면도이다.
제 5 도 및 제 6 도는, 각각,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측면 개폐판의 지지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요부에 대한 확대분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트럭 2 : 화물대
3 : 측면 개폐판 4 : 경첩
5 : 지지틀 6 : 지지기둥
6a : 지지기둥 협부 6b : 지지기둥 광부
7 : 고정구 8 : 고정봉
11 : 지지기둥 12 : 일단부
13 : 당접면 21, 22 : 경첩
31 : 브라케트 41 : 스톱퍼
42 : 일단부 43 : 당접면
51 : 클리핑 핸들 52, 54 : 핀
53 : 핸들 55 : U 금구
56 : 접속금구 57 : 핀
58 : 고정금구 58a : 타단부
58b : 테이퍼면 59 : 스프링
60 : 후크 61 : 시이트
61a : 테이퍼면 62 : 붙임판
62a : 장공 63 : 볼트
71 : 클리핑 핸들 72, 74 : 핀
73 : 핸들 75 : U 금구
76 : 접속금구 78 : 고정금구
78a : 후크 79 : 스프링
80 : 고리
본 발명은 대형 화물차나 트레일러등의 화물대의 측면 개폐판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형 화물자동차나 트레일러 등의 화물대의 측면 개폐판은 화물대의 길이 방향으로 둘로 분할하거나 셋으로 분할하여 취급을 편리하게 하고 있는 경우가 있으며, 그 일예를 제 5 도(정면도) 및 제 6 도(요부의 확대 분해 사시도)에 나타냈다. 즉, 양 도면에 있어서 트럭(1)의 길이가 긴 화물대(2)의 측면에는 여러짝(도시한 것은 2짝)으로 분할된 측면 개폐판(3)이 경첩(4)에 의하여 화물대(2)의 옆 가장자리에 평행한 축 주위로 회전 운동이 가능하게 붙여져 있다. 2개의 측판 사이의 화물대 부분에는 사각통상의 지지틀(5)이 고정되어 있다. 폭이 넓은 단형판과 폭이 좁은 단형판으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지지기둥(6)의 폭이 좁은 협부(6a)가 지지틀(5)의 중앙으로 삽통되어 화물대(2)에 이어붙여지며, 더우기 폭이 넓은 광부(6b)에는 고정구(7)가 붙여져 있으며, 이 고정구(7)로 각각의 측면 개폐판(4)에 붙여져 있는 고정봉(8)을 거는 것에 의하여 각각의 측면 개폐판(3)이 지지기둥(6), 지지틀(5)을 통하여 화물대(2)에 지지되어 있다.
이와같은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작은 화물을 실고 부리는 경우에는 한 쪽의 측면 개폐판만을 내려서 편안하게 작업을 할 수가 있으며, 또한 큰 화물을 실고 부리는 경우에는 양 쪽의 측면 개폐판을 내린 다음, 지지기둥을 뽑아서 자유로이 작업을 할 수가 있으므로 극히 편리하다. 그러나, 한편으로 이러한 종래의 측면 개폐판의 다음과 같은 결점을 나타낸다. 즉, 뽑은 지지기둥의 보관에 충분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을 시에는 이를 분실하거나 또는 부려진 화물의 밑에 깔려서 발견하여 꺼내는데 많은 노력이 드는 바와 같은 일이 생긴다. 더우기, 지지틀의 지지기둥을 삽통시키는 부분은 비바람에 노출되고 분진이 혼입되므로 녹이 나기 쉬워서, 가령 빼내려고 할 때에 빠지지 않거나, 지지틀이 화물대의 밖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화물을 취급하는 경우에 충돌되어 변형되거나 지지기둥이 변형되어 삽통시키려고 할 대에 삽통시킬 수 없는 일이 빈번히 나타난다. 또한, 이러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기둥을 강고한 것으로 만들면 무거워져서 취급에 힘이 드는 결점이 발생한다.
또한, 종래의 트럭 측면 개폐판의 지지 방식은 위에서 서술한 바와 같은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예컨대, 다음에 나타낸 바와 같은 여러가지 제안이 되어 있다.
① 일본국 실용신안등록출원 공개 1984년(소화 59년) 제190680호
『트럭의 측면 개폐판 중간 지지장치』
② 일본국 실용신안등록출원 공개 1982년(소화 57년) 제165577호
『측면 개폐판 중간기둥』
이중, ①의 것은 앞서 기술한 종래예와 마찬가지로 지지기둥을 사용하고, 지지기둥을 화물대에 붙이는 수단으로서는 사각통상의 지지틀에 지지기둥의 일부인 단형판을 삽통시키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또한, 이 지지기둥은 측면 개폐판을 전부 개방하는 때에는, 지지기둥 자체가 그 중간에서 경첩에 의하여 절곡되어 화물대의 측면 하방으로 드리워지므로 뽑아낼 필요가 없고, 앞서 기술한 종래예에서와 같이 그것을 분실하거나 하는 일이 없다. 그러나, 이 제안된 예에서는 앞서 기술한 종래예의 결점중 하나인 삽통 부분의 변형이나 녹이 스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또한, 이러한 녹이 스는 것과 변형에 의한 폐해는 지지기둥과 지지틀과의 삽통부에 큰 간격을 두게되면 방지할 수 있지만, 그렇게하면 지지기둥과 측면 개폐판에 소위 덜그럭거림이 생겨서 화물의 안정한 수송이 이루어질 수 없다라고 하는 결점이 발생한다.
②로 표시한 것은 지지기둥이 화물대에 핀에 의해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붙여져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이것이 화물대의 아래 옆방향 밑으로 드리워지므로 앞서 기술한 ①과 마찬가지로 뽑아낼 필요가 없어서 분실할 염려가 없다. 그러나, 화물대에 대한 지지기둥의 붙임은 종래예 또는 앞서 기술한 ①과 마찬가지로 지지기둥에 붙여진 판상체를 화물대에 붙여진 사각통상의 지지틀에 삽통시켜 형성되는 것이므로 녹이 슨다거나 변형에 의한 폐해의 문제는 여전히 남아 있다.
본 발명은 복수개로 분할되어 있는 트럭의 측면 개폐판의 중간 또는 단부에 설치되어 측면 개폐판을 지지하는 트럭의 측면 개폐판 지지장치를 다음 (A)~(D)의 요소로 구성되는 것에 의하여 앞서 기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있는 것이다. 즉,
(A) 경첩에 의하여 트럭의 화물대에 대하여 화물대의 옆가장자리에 평행한 축 주위로 회전 운동이 자유롭게 붙여지며, 또한 인접한 개폐판에 대한 붙임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지지기둥.
(B) 일단이 경업에 의하여 트럭의 화물대에 대하여 화물대의 옆가장자리에 평행한 축 주위로 회전 운동이 자유롭게 붙여지며, 타단에는 상기한 지지기둥의 외측면에 당접하는 당접면을 구비한 스톱퍼.
(C) 일단이 상기한 트럭의 화물대 또는 스톱퍼 중의 한 쪽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타단이 손잡이부로 되어있는 핸들과, 대략 U자상의 판으로 형성되고 그 개방단이 상기한 핸들의 중앙부 부근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U 금구와, 일단이 상기한 U 금구와 이어붙여져 있는 접속금구와, 일단이 상기한 접속금구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테이퍼면을 갖고 있는 고정금구와, 상기한 U 금구의 저부와 상기한 접속금구의 일단과의 사이에 탄력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스프링과, 상기 트럭의 화물대 또는 스톱퍼중의 다른쪽에 설치되며 상기한 고정금구와 이어붙여지는 후크와, 상기한 트럭의 화물대 또는 스톱퍼중의 한 쪽의 상기한 고정금구중 한 쪽의 상기한 고정금구와 후크와의 이어붙여지는 부분에 미끄럼 운동이 가능하게 붙여지며 상기한 고정금구의 테이퍼면과 당접하는 테이퍼면을 갖는 시이트로 구성되는 클리핑 핸들로 이루어지며, 상기한 화물대와 스톱퍼와의 사이에 장착되어 있는 제 1 의 견고한 조임장치.
(D) 상기한 지지기둥과 스톱퍼 사이에 장착되어 있는 제 2의 견고한 조임장치.
이와같은 구성의 제 1 의 견고한 조임장치인 클리핑 핸들은 장시간 사용하여 후크와 고정금구의 이어붙여진 부분에 덜그럭거림이 생기는 경우에는 시이트를 미끄럼 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화물대와 스톱퍼 사이의 견고한 조임이 확실해지게 된다.
앞서 기술한 지지기둥과 스톱퍼와의 사이에 장착되는 제 2의 견고한 조임장치로서는 다음의 구성을 갖는 클리핑 핸들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일단이 상기한 지지기둥 또는 스톱퍼중의 한 쪽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타단이 손잡이부로 되어 있는 핸들과, 대략 U자상의 판으로 이루어지며 그 개방단이 상기한 핸들의 중앙부 부근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U 금구와, 일단이 상기한 U 금구와 이어붙여져 있는 접속금구와, 일단이 상기한 접속금구의 타단에 고정되어 있는 후크와, 상기한 U 금구의 저부와 상기한 접속금구의 일단과의 사이에 탄력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스프링과, 상기한 지지기둥과 스톱퍼중의 다른 쪽에 설치되며 상기한 후크와 이어붙여지는 고리로 구성되는 클리핑 핸들.
이와같이하면, 지지기둥과 스톱퍼사이의 견고한 조임도 확실하다.
[실시예]
이하, 도면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관한 트럭의 측면 개폐판의 지지장치를 예시한 정면도, 제 2 도는 그 일부 단면을 포함하는 측면도, 제 3 도는 제 1 도에 있어서의 A-A 단면을 화살표 방향으로 나타낸 확대도, 제4(a)도는 제 3 도에 있어서의 단면 B-B 화살표 방향으로 나타낸 도면, 제4(b)도는 제4(a)도의 요부의 우측면도이다. 제 1 도 내지 제 4 도에 있어서, 여러짝으로 분할되어져 있는 측면 개폐판(3)의 중간에는 지지기둥(11)이 그 일단부(12)에 있어서 경첩(21)에 의하여, 그 끝 가장자리에 평행한 축 주위로 회전 운동이 자유롭게 붙여져 있다. 지지기둥(11)과 측면 개폐판(3)은 적절히 선택되는 붙임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착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지지기둥(11)의 상부 부근에는 스톱퍼(41)와의 당접면(13)이 설치되어져 있다.
화물대(2)에 고착되어 있는 브라켓트(31)에는 경첩(22)에 의하여 스톱퍼(41)의 일단(42)이 화물대(2)의 끝 가장자리에 평행한 축 주위로 회전 운동이 자유롭게 붙여져 있다. 스톱퍼(41)의 타단부에는 상기한 당접면(13)에 대응하는 당접면(43)이 설치되어 있다. 브라켓트(31)와 스톱퍼(41)는 제 1의 견고한 조임장치인 클리핑 핸들(51)에 의하여 착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클리핑 핸들(51)은 일단이 핀(52)에 의하여 브라켓트(31)에 회전 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며, 타단이 손잡이부로 되어 있는 핸들(53), 대략 U자상의 판으로 형성되며, 그 개방단이 핀(54)에 의하여 핸들(53)의 대략 중앙부에서 상호간에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는 U 금구(55), 일단이 U 금구(55)의 가운데에 이어붙여져 있는 접속금구(56), 일단이 접속금구(56)의 타단에 핀(57)에 의하여 상호간에 회전 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며, 타단부(58a)는 사각고리상을 이루고, 그 일면은 테이퍼면(58b)으로 되어 있는 고정금구(58), U 금구(55)의 저부와 접속금구(56)의 일단과의 사이에 압축 상태로 탄력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스프링(59) 및 스톱퍼(41)에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는 갈고리상의 후크(60) 등으로 형성되며, 상기한 고정금구(58) 타단의 사각고리(58a)와 후크(60)가 이어붙여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브라켓트(31)의 고정금구(58)와 후크(60)와의 이어붙여진 부분에는 브라켓트(31)에 고정되어 있는 붙임판(62)에 볼트(63)에 의해서 시이트(61)가 붙여져 있다. 시이트(61)에는 고정금구(58)이 테이퍼면(61a)이 설치되어 있다. 붙임판(62)의 볼트(63) 관통부는 장공(62a)으로 되어 있으며, 붙임판(62)과 시이트(61)가 상호간에 미끄럼 운동 가능하므로, 테이퍼면(58b)과 테이퍼면(61a)과의 당접 상황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지지기둥(11)과 스톱퍼(41)와의 사이에는 제 2 의 견고한 조임장치로서 클리핑 핸들(71)이 설치되어 있다. 클리핑 핸들(71)은 핀(72)에 의해서, 스톱퍼(41)에 회전 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며, 타단이 손잡이부로 되어 있는 핸들(&3), 대략 U자상의 판으로 형성되고, 그 개방단이 핀(74)에 의해서 핸들(73)의 대략 중앙부에 상호 회전 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는 U 금구(75), 일단이 U 금구(75)의 가운데에 이어붙여져 있는 접속금구(76), 일단이 접속금구(76)의 타단에 고정되며, 타단부는 후크(78a)로 되어 있는 고정금구(78), U 금구(75)의 저부와 접속금구(76)의 일단과의 사이에 압축 상태로 탄력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스프링(79) 및 지지기둥(11)에 붙여져 있는 고리(80)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핸들(73)을 조작하여 후크(78a)와 고리(80)를 이어붙이면, 지지기둥(11)과 스톱퍼(41)는 단단하고 견고하게 조여진다.
위에서 서술한 구성의 트럭의 측면 개폐판(3)의 지지장치에 의한 측면 개폐판(3)의 개폐 조작은 다음과 같이 수행된다. 우선, 측면 개폐판(3)이 완전히 닫힌 상태로부터 출발한다. 이때, 클리핑 핸들(51)의 고정금구(58)와 후크(60) 및 클리핑 핸들(71)의 후크(78a)와 고리(80)는 제1도,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상태로 서로 이어붙여져 있다. 이 상태로부터 측측면 개폐판(3)을 완전히 여는 데에는 다음과 같은 수순에 의한다.
① 한 쪽의 측면 개폐판(3)과 지지기둥(11)과의 붙임수단을 해제하고, 측면 개폐판(3)을 밑으로 내린다.
② 핸들(73)의 손잡이부를 조작하여 후크(78a)와 고리(80)가 이어붙여져 있는 것을 떼어낸다.
③ 핸들(53)의 손잡이부를 조작하여 고정금구(58)와 후크(60)가 이어붙여져 있는 것을 떼어낸다.
④ 스톱퍼(41)를 경첩(22)의 주위로 회전시켜 밑으로 내린다.
⑤ 다른 쪽의 측면 개폐판(3)의 지지기둥(11)과의 붙임수단이외의 붙임수단을 해제하고, 측면 개폐판(3)을 지지기둥(11)과 함께 밑으로 내린다.
측면 개폐판(3)을 완전히 열은 상태로부터 완전히 닫은 상태로 하는 경우에는 이상의 순서를 역으로 수행하면 좋다.
트럭을 장시간 운전하여 클리핑 핸들(51)의 고정금구(58)와 후크(60)와의 사이에 덜그럭거림이 생긴 경우에는 볼트(63)를 늦춰서 시이트(61)를 상하(도시한 것은 윗방향으로 임)로 미끄럼 운동시키면 테이퍼면(58b)와 (61a)와의 당접이 긴밀하게 되며, 덜그럭거림이 해소된다.
이상에서 예시한 트럭의 측면 개폐판(3)의 지지장치에서는 트럭의 화물대(2)와 스톱퍼(41)와의 사이에 설치된 클리핑 핸들(51)이 2개로 되어 있지만, 이것은 1개로 되어있어도 좋으며, 또한, 클리핑 핸들의 핸들등이 화물대에 고정되어 있는 브라켓트에 붙여지고, 후크가 스톱퍼에 고정되어 있으나, 이것은 역으로 핸들등이 스톱퍼에 붙여지고, 후크가 브라켓트에 고정되도록 형성되어도 좋다. 지지기둥과 스톱퍼 사이의 제 2의 견고한 조임장치인 클리핑 핸들(71)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라고 말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서술한 트럭의 측면 개폐판의 지지장치는 여러짝으로 분할되어 있는 측면 개폐판의 중간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관하여 서술하였지만, 이것은 측면 개폐판의 단부와 이것에 직각인 후부 개폐판과의 사이에 설치되어도 좋으며, 그 경우에도 본 발명은 유효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말할 필요도 없다.
본 발명은 트럭의 측면 개폐판의 지지장치를 지지기둥, 스톱퍼, 스톱퍼를 화물대에 고정하는 제1의 견고한 조임장치는 클리핑 핸들, 지지기둥과 스톱퍼를 고정하는 제 2의 견고한 조임장치로 구성되고, 스톱퍼의 화물대를 고정하는 클리핑 핸들의 고정금구와 후크와의 이어붙여지는 부분에 테이퍼면을 갖는 시이트를 설치하는 등에 의하여, 다음에 나타낸 바와같은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① 조작이 간단하고, 무거운 부품이 없으므로 조작이 용이하다.
② 부품이 분실되거나 변형되거나 하는 일이 없고, 또한 녹이 슬 염려가 없으므로 조작이 확실하다.
③ 구조가 간단하고, 저 코스트화가 가능하다. 또한 각 부분의 강도를 크게 할 수가 있으므로, 대형 트럭용으로 적합하다.
④ 장시간 운전하여, 클리핑 핸들의 이어붙여지는 부분에 덜그럭거림이 생기더라도 조정이 가능하므로 가혹한 운전을 하지 않으면 안되는 트럭에 적합하다.

Claims (2)

  1. 복수개로 분할되어 있는 트럭의 측면 개폐판의 중간 또는 단부에 설치되어 측면 개폐판을 지지하는 트럭의 측면 개폐판 지지장치에 있어서, (A) 경첩에 의하여 트럭의 화물대에 대하여 화물대의 옆가장자리에 평행한 축 주위로 회전 운동이 자유롭게 붙여지며, 또한 인접한 개폐판에 대한 붙임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지지기둥과; (B) 일달이 경첩에 의하여 트럭의 화물대에 대하여 화물대의 옆가장자리에 평행한 축 주위로 회전 운동이 자유롭게 붙여지며, 타단에는 상기한 지지기둥의 외측면에 당접하는 당접면을 구비한 수톱퍼와; (C) 일단이 상기한 트럭의 화물대 또는 스톱퍼 중의 한 쪽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타단이 손잡이부로 되어있는 핸들과, 대략 U자상의 판으로 형성되고 그 개방단이 상기한 핸들의 중앙부 부근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U 금구와, 일단이 상기한 U 금구와 이어붙여져 있는 접속금구와, 일단이 상기한 접속금구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테이퍼면을 갖고 있는 고정금구와, 상기한 U 금구의 저부와 상기한 접속금구의 일단과의 사이에 탄력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스프링과, 상기 트럭의 화물대 또는 스톱퍼중의 다른쪽에 설치되며 상기한 고정금구와 이어붙여지는 후크와, 상기한 트럭의 화물대 또는 스톱퍼중의 한 쪽의 상기한 고정금구중 한 쪽의 상기한 고정금구와 후크와의 이어붙여지는 부분에 미끄럼 운동이 가능하게 붙여지며 상기한 고정금구의 테이퍼면과 당접하는 테이퍼면을 갖는 시이트로 구성되는 클리핑 핸들로 이루어지며, 상기한 화물대와 스톱퍼와의 사이에 장착되어 있는 제 1 의 견고한 조임장치와; (D) 상기한 지지기둥과 스톱퍼 사이에 장착되어 있는 제 2의 견고한 조임장치의 4개 요소로 구성되는 트럭의 측면 개폐판의 지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2의 견고한 조임장치가, 일단이 지지기둥 또는 스톱퍼중의 한 쪽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타단이 손잡이부로 되어 있는 핸들과, 대략 U자상의 판으로 이루어지며 그 개방단이 상기한 핸들의 중앙부 부근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U 금구와, 일단이 상기한 U 금구와 이어붙여져 있는 접속금구와, 일단이 상기한 접속금구의 타단에 고정되어 있는 후크와, 상기한 U 금구의 저부와 상기한 접속금구의 일단과의 사이에 탄력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스프링과, 상기한 지지기둥과 스톱퍼중의 다른 쪽에 설치되며 상기한 후크와 이어붙여지는 고리로 구성되는 클리핑 핸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측면 개폐판의 지지장치.
KR1019880016098A 1988-06-28 1988-12-03 트럭의 측면 개폐판의 지지장치 KR9600058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160368 1988-06-28
JP63160368A JP2631515B2 (ja) 1988-06-28 1988-06-28 トラックの側あおり板の支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0244A KR900000244A (ko) 1990-01-30
KR960005868B1 true KR960005868B1 (ko) 1996-05-03

Family

ID=15713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6098A KR960005868B1 (ko) 1988-06-28 1988-12-03 트럭의 측면 개폐판의 지지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631515B2 (ko)
KR (1) KR96000586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211480A (ja) 1990-01-16
KR900000244A (ko) 1990-01-30
JP2631515B2 (ja) 1997-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32522A (en) Hinge assembly for a bed cover of a truck
US4507033A (en) Load securing apparatus for a cargo carrying vehicle
US5509709A (en) Pick-up truck bed attachment
US20200031289A1 (en) Rail top cargo management system
US6336580B1 (en) Vehicle load carrier and fastening mechanism
JPH01500897A (ja) 小型無蓋トラックの荷台の側壁に物を支持・固定するためのマウント
US6986494B2 (en) Self-aligning mounting bracket and system for mounting a planar structure to a fixed structure
US3840250A (en) Grab rail for pickup truck
KR200412701Y1 (ko)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
KR960005868B1 (ko) 트럭의 측면 개폐판의 지지장치
CN1120780C (zh) 车辆天窗拆卸设备
JP2008189229A (ja) ナット固定構造およびそれを備えたアオリ
KR0159526B1 (ko) 트럭의 사이드 게이트 판의 지지장치
JP3448154B2 (ja) 雪止め金具
KR200411893Y1 (ko) 자전거 자물쇠
CN220096257U (zh) 一种多用途连接固定座
JPH0238158A (ja) 車両用ルーフキャリア
JPH0434148Y2 (ko)
KR0134160Y1 (ko) 루프캐리어 체결 브래킷
KR200353954Y1 (ko) 화물차량용 수화물 선반장치
JPH0433123Y2 (ko)
JPH0649707Y2 (ja) 棟板等の取付装置
JP2540966Y2 (ja) 荷台カバー
JP2000052883A (ja) 車両用キャリア
JPH061482Y2 (ja) ル−フキヤリヤ−取付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4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