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5861Y1 - 잔반처리기의 브러쉬 교체장치 - Google Patents

잔반처리기의 브러쉬 교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5861Y1
KR960005861Y1 KR2019930012177U KR930012177U KR960005861Y1 KR 960005861 Y1 KR960005861 Y1 KR 960005861Y1 KR 2019930012177 U KR2019930012177 U KR 2019930012177U KR 930012177 U KR930012177 U KR 930012177U KR 960005861 Y1 KR960005861 Y1 KR 9600058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strainers
strainer
food waste
replacemen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21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3174U (ko
Inventor
송인철
Original Assignee
금성계전 주식회사
성기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계전 주식회사, 성기설 filed Critical 금성계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121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5861Y1/ko
Publication of KR9500031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1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58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8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잔반처리기의 브러쉬 교체장치
제1도는 잔반처리기의 일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부 상세도
제3도는 종래의 스트레이너를 나타낸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 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제5도는 제4도는 결합상태 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8 : 모터 9 : 축
10 : 스크류날개 11a : 구멍
26a, 25b : 스트레이너 27a, 27b : 플랜지
29 : 보울트 30 : 경첩
31 : 자물쇠 32 : 링
본 고안은 음식물쓰레기를 잘게 파쇄하여 처리하는 잔반처리기의 브러쉬 교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스트레이너의 구멍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브러쉬의 교체작업이 용이해질 수 있도록한 것이다.
첨부도면 제1도는 잔반처리기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씽크대 본체(1)내에 배수공(2a)이 형성된 씽크대베이스(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배수공의 하부에는 음식물쓰레기를 분쇄시키는 디스포자(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디스포자(3)의 내부에는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는 디스포자나이프(5)가 모터(4)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디스포자나이프의 일측으로는 디스포자나이프의 회전으로 분쇄된 음식물쓰레기와 오수가 이동되는 이송로(6)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이송로(6)의 끝단에는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오수를 l차 탈수시키면서 상부로 이송시키기 위해 원통형의 하우징(7)이 설치되어 중심부에 모터(8)에 의해 회전되는 축(9)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축(9)의 둘레면에는 스크류날개(10)가 고정되어 있으며 이송로(6)의 수평방향으로는 음식물쓰레기에서 분리된 오수를 하수구(도시는 생략함)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호스(16)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날개(10)의 근접부에는 음식물쓰레기가 스크류날개에 얹혀져 상부로 이송될때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오수를 배출시키는 망상의 스트레이너(11)가 스크류날개(10)와 근접되게 설치되어 있고 축(9)의 상부, 즉 스크류날개(10)의 상단부에는 1차 탈수된 음식물쓰레기를 2차 탈수시키는 압축판(12)이 축(9)에 나사끼우기로 결합되어 너트(13)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스트레이너(11)의 하부에는 환형의 링(l4)이 고정되어 있고 환형의 링에는 음식물쓰레기와 오수가 유입되는 이송로(6)가 연결되어 있어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오수는 환형의 링(14) 상단으로 넘치거나 음식물쓰레기가 스크류날개(10)에 얹혀져 상부로 이송되면서 탈수되어 스트레이너(11)를 통해서만 배수로(15)로 배수된다.
또한 스트레이너(11)의 상부에 가이드판(17)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압축판(12)의 상부에는 압축판에 의해 2차 탈수되어 배출되는 섬유질과 같은 음식물쓰레기를 잘게 분쇄하는 커터(18)가 스크류(19)로 고정되어 있다.
또, 커터(18)의 일측으로 2차 탈수된 음식물쓰레기(20)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로(2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배출로의 끝단하부에는 음식물쓰레기가 담겨지는 비닐용기(22)가 넣어진 잔반통(23)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된 잔반처리기에서는 음식물쓰레기가 지방질인 경우나 지방질이 많이 포함된 경우에는 스크류날개(10)의 회전으로 음식물쓰레기를 상부로 이송시키면서 스트레이너(11)를 통해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오수를 1차 탈수시킬때 음식물쓰레기의 지방빌이 스트레이너(11)의 미세한 구멍(11a)에 흡착되어 패쇄시키게 되므로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오수의 탈수효율을 저하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오수의 탈수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 스크류날개(10) 사이에 핀(24)으로 브러쉬(25)를 장착하여 스크류날개(10)의 회전시 브러쉬(25)가 스트레이너(11)의 내벽면과 접속되도록 하므로서 스트레이너(11)의 내벽면에 부착된 지방질, 음식물쓰레기를 제거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브러쉬(25)가 스트레이너(11)의 내벽면과 접속회전하면서 내벽면에 부착된 지방질이나 음식물쓰레기를 제거시킴에 따라 마찰에 의해 브러쉬(25)의 마모가 발생되어 청소효율이 저하되므로 정기적으로 브러쉬를 교체시켜 주어야 된다.
그러나 종래의 스트레이너(11)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체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브러쉬(25)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스트레이너(11)내에서 축(9)을 분리시킨 다음 작업을 하여야 되었으므로 브러쉬의 교체작업이 번거롭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브러쉬의 교체작업시 스트레이너에서 축을 분리시키지 않고도 가능토록 하는데 그 목적을 갖는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태에 다르면 모터의 구동으로 축이 회전됨에 따라 스크류날개에 얹혀져 이송되는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오수가 배출되도록 스크류날개의 외주면으로 스트레이너를 설치하도록 된것에 있어서 스크류날개에 설치되어 스트레이너의 구멍을 긁어내는 브러쉬의 설치부위까지 개폐시키도록 스트레이너를 분리가능하게 구성하여서 된 잔반처리기 브러쉬교체 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을 일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면 제4도 내지 제6도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4도는 본 고안 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제5도는 제4도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제6도는 본 고안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로서, 모터(8)의 구동으르 축(9)이 회전됨에 따라 스트레이너(26a)(26b)의 구멍(11a)을 긁어내는 브러쉬(25)가 스크류날개(10)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브러쉬(25)는 반복사용함에 따라 스트레이너(26a)(26b)의 내면과 접속회전되어 마모되므로 정기적인 교체를 필요로 한다.
이를 위해 브러쉬(25)의 설치부위(스트레이너 높이의 약 1/2지점)까지 스트레이너(26a)(26b)를 분리가능하게 설치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트레이너(26a)(26b)의 접속부에 플랜지(27a)(27b)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각 플랜지에는 삽입공(28)을 형성하여 이들을 보울트(29)로 결합 분리하게 된다.
또는 제6도에 도시한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스트레이너(26a)(26b)의 일측에 경첩(30)을 설치하고 다른 일측에는 잠금쇠(31)를 설치하여 브러쉬(25)의 교체를 위해 스트레이너(26b)의 개방시 스트레이너(26a)(26b)가 상호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한편, 스트레이너(26a)(26b)의 개방부 상측으로는 비교적 두께가 얇은 스트레이너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링(32)이 스트레이너(26a)와 밀착되게 삽입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스트레이너(26a)(26b)를 상호결합 시킨 상태에서의 동작은 종래의 잔반처리기와 동일한 것으로 음식물쓰레기의 처리동작은 생략하고 브러쉬의 교체에 따른 동작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브러쉬(25)가 스트레이너(26a)(26b)의 내면과 접속회전하면서 스트레이너(26a)(26b)의 구멍(11a)을 막고 있던 음식물쓰레기 긁어냄에 따라 점진적으로 마모된다.
이에 따라 브러쉬(25)의 마모량이 커져 구멍(11a)을 막고 있던 음식물쓰레기를 긁어내지 못하면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오수의 탈수효율이 지하되므로 브러쉬(25)를 교체시켜 주어야 된다.
마모된 브러쉬(25)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27b)에 조여져 있던 보울트(29)를 분리시켜 주면 스트레이너(26b)를 제4도와 같이 분리시킬 수 있게 되므로 스크류날개(10) 사이에 고정된브러쉬(25)가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서비스요원이 하이징(7)에서 축(9)을 분리시키지 않고도 브러쉬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
브러쉬의 교체작업이 완료되면 분리되었던 스트레이너를 다시 일치시킨 후 보울트(29)를 조여주므로서 모든작업이 완료된다.
한편 제6도와 같은 형태에서 브러쉬(25)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잠금쇠(31)를 해제시킨 다음 경첩(30)을 중심으로 스트레이너(26b)를 일측으로 젖히면 브러쉬(25)가 외부로 노출되므로 간단하게 브러쉬를 교체시킬 수있게 됨을 이해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 장치는 스트레이너(26a)(26b)를 상호분리 가능하게 설치하여 하우징(7)에서 축(9)을 분리시키지 않고도 브러쉬(25)를 교체시키게 되므로 브러쉬의 교체작업이 용이해지게 되는 효과를 얻게된다.

Claims (4)

  1. 모터(8)의 회전으로 축(9)이 회전됨에 따라 스크류날개(10)에 얹혀져 이송되는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오수가 배출되도록 스크류날개의 외주면으로 스트레이너를 설치하도록 된것에 있어서, 스크류날개(10) 사이에 설치되어 스트레이너(26a)(26b)의 구멍(11a)을 긁어내는 브러쉬(25)의 설치부위까지 개폐시키도록 스트레이너(26a)(26b)를 분리가능하게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잔반처리기의 브러쉬 교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개폐되는 스트레이너(26a)(26b)의 접속부에 플렌지(27a)(27b)를 각각 형성하여 보울트(29)에 의해 결합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잔반처리기의 브러쉬 교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개폐되는 스트레이너(26a)(26b)의 일측을 경첩(30)으로 힌지결합하고 다른 일측은 잠금쇠(31)에 의해 스트레이너(26a)(26b)를 상호결합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잔반처리기의 브러쉬 교체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스트레이너(26a)(26b)의 개폐부상부로 위치되게 스트레이너(26a)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링(32)을 삽입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잔반처리기의 브러쉬 교체장치
KR2019930012177U 1993-07-03 1993-07-03 잔반처리기의 브러쉬 교체장치 KR9600058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2177U KR960005861Y1 (ko) 1993-07-03 1993-07-03 잔반처리기의 브러쉬 교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2177U KR960005861Y1 (ko) 1993-07-03 1993-07-03 잔반처리기의 브러쉬 교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3174U KR950003174U (ko) 1995-02-16
KR960005861Y1 true KR960005861Y1 (ko) 1996-07-18

Family

ID=19358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2177U KR960005861Y1 (ko) 1993-07-03 1993-07-03 잔반처리기의 브러쉬 교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586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3174U (ko) 1995-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97021B2 (ja) 生ゴミ粉砕処理装置
KR100718588B1 (ko)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
KR960005861Y1 (ko) 잔반처리기의 브러쉬 교체장치
KR102141295B1 (ko) 음식물쓰레기 감량기
CN216631205U (zh) 一种固液分离式垃圾处理器
JP4693274B2 (ja) 生ゴミ処理装置
KR102079541B1 (ko) 음식물 분쇄처리장치용 감량기
JPH03110099A (ja) 生ゴミ処理装置
JP3352138B2 (ja) 生ゴミ脱水処理装置
KR20040019756A (ko)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KR102423431B1 (ko) 음식물 처리장치
KR100278778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20090037110A (ko) 음식물 처리기
KR100251484B1 (ko) 싱크대용 음식물찌꺼기 분쇄 배출장치
KR19990025318A (ko)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
KR200300262Y1 (ko)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KR200387101Y1 (ko) 싱크대에 설치되는 음식폐기물 처리기 연결구
KR19990021745U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850002148Y1 (ko) 싱크대용 오물 처리기
KR200229479Y1 (ko) 싱크대용 음식물찌거기 분리장치
KR200154687Y1 (ko) 축산폐수원심분리장치
JP4153126B2 (ja) スクリュー式脱水機
JPH0329000B2 (ko)
KR10039745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S633889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