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62Y1 -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62Y1
KR200300262Y1 KR20-2002-0025822U KR20020025822U KR200300262Y1 KR 200300262 Y1 KR200300262 Y1 KR 200300262Y1 KR 20020025822 U KR20020025822 U KR 20020025822U KR 200300262 Y1 KR200300262 Y1 KR 2003002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inlet
food
discharge
screw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58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준
Original Assignee
박태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태준 filed Critical 박태준
Priority to KR20-2002-00258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2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02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B09B2101/02Gases or liquids enclosed in discarded articles, e.g. aerosol cans or cooling systems of refrig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0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entrifugal trea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식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싱크대(6)의 바닥면에 음식물이 투입되는 투입구(10)가 형성되고, 이 투입구(10)의 저면으로 연결되어 음식쓰레기를 배출시키는 배출관(57)이 구비된 음식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이 배출관(57)의 소정부위에 투입된 음식쓰레기로부터 수분을 분리시키고 난 찌꺼기를 외부로 별도 배출시키는 음식물처리기(59)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싱크대(6)의 투입구(10)로 투입된 음식쓰레기의 분쇄, 탈수, 배출을 동시에 수행하는 음식물처리기(59)를 통해 효율적으로 음식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고, 또한 장치의 부피나 부품수를 줄일 수 있어 싱크대(6)등에 간편하게 설치 할 수 있으며 부피축소에 따른 소음저감, 제작단가 절감 효과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음식쓰레기 처리장치{Refuse disposal apparatus}
본 고안은 음식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쓰레기의 분쇄, 탈수, 배출을 수행하는 기능이 단일화된 음식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음식쓰레기의 처리는 위생적이고도 효율적인 처리를 도모하기 위하여 음식쓰레기의 분쇄 및 탈수처리를 병행하는 것이 보통이며, 이러한 처리절차를 수행하는 기존의 음식쓰레기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대의 투입구(1)를 통해 투입된 음식쓰레기를 분쇄하는 분쇄기(16)와, 이 분쇄기(16)로부터 분쇄된 음식쓰레기를 탈수 처리하는 탈수기(17)를 포함하여, 음식쓰레기의 분쇄 및 탈수처리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음식쓰레기 처리장치를 일 예로서 설명할 수 있다.
한편, 분쇄기(16)를 지나 탈수기(17)를 거친 음식쓰레기는 적재통(18)에 적재되고,음식쓰레기로부터 분리된 수분은 배수호스(19)를 통해 배출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음식쓰레기 처리장치는 분쇄기와 탈수기가 각각 독립된 장치로 나뉘어져 있어, 단순히 대량의 음식쓰레기를 처리한다는 측면에 있어서는 그 나름대로 효과적이라고 볼 수는 있겠으나, 특히 싱크대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가정용 음식쓰레기 처리장치로서는 부피가 너무 크고 진동 및 소음발생이 심하며, 구입비용 면에 있어서도 고가인 단점이 있어 적합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음식쓰레기의 분쇄, 탈수, 배출기능을 함께 갖는 단일화된 처리장치를 구성함으로써 부피축소, 간편설치, 소음저감, 및 제작단가 절감에 적합하도록 한 음식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음식쓰레기 처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음식쓰레기 처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스크류컨베이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음식물처리기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투입구 2: 오버호스
3: 하우징 4: 걸름망
5: 배출구 6: 싱크대
7: 배수구 8: 배출호스
9: 걸림턱 11,19: 배수호스
13,18: 적재통 14: 침전통
15: 하부케이스 16:분쇄기
17: 탈수기 20: 모터
21: 구동축 31,32: 나사산
44: 스크류컨베이어 44a, 44b: 돌출편
44c:배수공 44d: 요홈
45: 분쇄날 46: 힌지핀
48: 회전날개 50: 샤프트
51:뚜껑 56:유입구
57:배출관 58: 원판
59:음식물처리기
이와 같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음식쓰레기 처리장치는 싱크대의 바닥면에 음식물이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되고, 이 투입구의 저면으로 연결되어 음식쓰레기를 배출시키는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의 소정부위에 투입된 음식쓰레기에서 수분을 분리시키고 난 찌꺼기를 외부로 별도 배출시키는 음식물처리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음식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처리기는 외주부에 음식쓰레기 유입구와 배수구 및 탈수된 찌꺼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축회전되면서 유입구로 유입된 음식쓰레기를 탈수 및 분쇄시키는 동시에 배출구로 배출시키는 스크류컨베이어와, 상기 스크류컨베이어의 외주부를 감싸 탈수된 찌꺼기가 배출구로만 배출되도록 하는 걸름망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음식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컨베이어의 회전날개 표면에는 이 스크류컨베이어가 회전되는 동안 음식쓰레기가 분쇄되도록 하는 분쇄날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음식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의 일단부에는 음식물처리기로 투입되는 음식쓰레기에 포함된 오수가 싱크대의 투입구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오버호스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음식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처리기 후단의 배수호스 소정부위에는 이 음식물처리기에서 배수되는 수분에 섞여있는 찌꺼기를 침전시키기 위한 침전통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음식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처리기의 배출호스 단부에는 수분이 분리된 찌꺼기가 적재되도록 하는 적재통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음식쓰레기 처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스크류컨베이어(44)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음식물처리기(59)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음식쓰레기 처리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쓰레기가 투입되는 싱크대(6)의 투입구(10)와, 이 투입구에 결합되는 배출관(57)과, 이 배출관의 하부에 설치되는 음식물처리기(59)와, 싱크대(6)로의 오수 역류방지를 위한 오버호스(2)와, 배수되는 수분의 침전물을 확인할 수 있는 침전통(14)과, 음식물처리기(59)의 배출되는 음식쓰레기를 적재할 수 있는 적재통(13)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우선, 싱크대(6)상의 투입구(10)는 싱크대(6)의 음식쓰레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이 투입구(10)에는 음식쓰레기의 배출로를 제공하는 배출관(57)이 연결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이 투입구(10)상에는 음식쓰레기의 배출을 막는 뚜껑(51)이 마련된다.
상기 싱크대(6)내 음식쓰레기의 배출통로를 제공하는 배출관(57)은 양방이 개방된 통형으로 이루어져 음식쓰레기가 음식물처리기로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배출관(57)의 걸림턱(9)은 투입구(10)에 밀착되고, 이 배출관(57)외주의 나사산(32)으로 투입구(10)에 결합된다.
도 3에 도시된 분해사시도에서 음식물처리기(59)는 배출관(57)에 결합되어 음식쓰레기를 분쇄, 탈수, 배출을 동시에 수행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음식물처리기(59)의 외부에는 상부가 개방되고, 음식쓰레기의 유입을 위한 하부의 외주면에 절개된 유입구(56)와, 수분의 배수를 위한 배수구(7)가 형성된 하우징(3)이 마련되어 있다. 이 하우징(3)의 유입구(56)에는 배출관(57)이 결합되며, 배수구(7)에는 배수호스(11)가 연결되고, 개방된 상부의 내주에는 걸름망(4)의 나사결합을 위해 나사산(31)이 형성되어 있다. 위와 같은 하우징(3) 내부에는 모터에 의해서 구동되어 음식쓰레기를 분쇄하여 배출하는 스크류컨베이어(44)가 설치되고, 이 스크류컨베이어(44)의 외주부를 걸름망(4)이 둘러 싸고 있다. 상기 스크류컨베이어(44)는 하우징(3)의 내부에 설치되어 음식쓰레기를 분쇄하여 배출하기 위한 나선형의 회전날개(48)와, 이 회전날개(48)의 샤프트(50)와 결합된 원주상에 요홈(44d)이 있는 원판(58)으로 되어 있다. 스크류컨베이어(44)는 회전날개(48)의 외주가 걸름망(4)의 내측과 밀착회전하여 음식쓰레기의 배출이 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회전날개(48)상에는 배수공(44c)이 형성되어 하측으로 수분이 배수된다. 회전날개(48)상에 힌지핀(46)으로 결합되는 분쇄날(45)은 음식쓰레기를 분쇄하기 위해서 회전방향으로 날이 향하고, 회전날개(48)의 각층 윗면을 따라 두개가 한 조씩 설치된다. 또한, 힌지결합으로 인한 분쇄날(45)의 자유로운 회전범위를 제한하도록 돌출편(44a,44b)이 마련된다. 이러한 분쇄날(45)의 제한된 회전범위가 음식쓰레기의 분쇄범위가 되도록 돌출편(44a,44b)을 회전날개(48)상에 프레스가공이나 별도의 부품을 부착하여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걸름망(4)은 하우징(3)의 상단에 나사결합으로 결합되어 스크류컨베이어(44) 하단에 존재하는 원판(58)의 요홈(44d)에 미소의 틈을 남기고 삽입된다. 이는 걸름망(4)에 둘러싸인 스크류컨베이어(44)의 부드러운 회전을 위한 것이다. 또한, 걸름망(4)하부의 외주면상에는 음식쓰레기의 용이한 유입을 위하여 하우징(3)과 연결되어 배출관(57)으로 통하는 유입구(5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출관(57)의 외주면상에 부착된 오버호스(2)는 투입구(10)에 급격한 음식쓰레기의 방출로 인한 투입구(10)로의 역류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침전통(14)을 경유하는 배수호수(11)와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배수호스(11)의 배수경로상에는 수분에 혼합되어 있는 찌꺼기를 가라앉히기 위한 침전통(14)이 설치된다. 이 침전통(14)은 배수되는 수분의 찌꺼기를 검사하기 위한 것이며, 침전된 수분은 침전통(14)의 상부 외주면에 부착된 배수호스(11)로 배수된다.
상기 하우징(3)의 배출구(5)에 결합되는 배출호스(8)의 끝단은 음식물처리기(59)로 처리되어 수분이 탈수되고 분쇄된 음식쓰레기를 적재하기 위한 적재통(13)이 마련되어 있다. 이 적재통(13)은 음식쓰레기의 용이한 처리를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음식쓰레기 방출량에 따라서 적정한 부피의 것을 택할 수 있다.
도 3의 미설명 부호 (21)과 (15)는 각각 모터의 구동축(21)과 모터가 안치되는 하부케이스(15)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고안의 음식쓰레기 처리장치는 싱크대의 투입구(10)에 음식쓰레기가 투입되고, 투입된 음식쓰레기는 배출관(57)을 따라 음식물처리기(59)로 유입된다. 한번에 과도한 음식쓰레기가 투입되면 배출관(59)에 부착된 오버호스(2)를 통해 수분이 배수된다. 음식물처리기(59)로 유입된 음식쓰레기는 배수구(7)를 통해 수분이 배수되며, 또한 스크류컨베이어(44)의 고속회전으로 수분이 걸름망(4) 외측으로 탈수되고, 탈수와 동시 스크류컨베이어(44)의 분쇄날(45)에 의해서 분쇄되며, 회전날개(48)에 의해서 이송되어 배출구(5)에 연결된 배출호스(8)를 통해 적재통(13)에 저장된다. 탈수된 수분은 배수구(7)를 통해 배수되어 침전통(14)에서 잔여 찌꺼기의 침전을 거쳐 침전통(14)의 상부에 연결된 배수호스(11)를 통해 오버호스(2)와 합류하여 배수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음식쓰레기 처리장치는 투입구로 투입된 음식쓰레기의 분쇄, 탈수, 배출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기 위한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스크류컨베이어가 장착된 음식물처리기를 싱크대에 설치하여 음식쓰레기를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고, 처리장치의 부피나 제반 부품 수를 축소시킬 수 있고, 부피축소에 따른 소음저감, 제작단가 절감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됨은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6)

  1. 싱크대의 바닥 면에 음식물이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되고, 이 투입구의 저 면으로 연결되어 음식쓰레기를 배출시키는 배출관이 구비된 음식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의 소정부위에 투입된 음식쓰레기로부터 수분을 분리시키고 난 찌꺼기를 외부로 별도 배출시키는 음식물처리기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처리기는 외주부에 음식쓰레기 유입구와 배수구 및 탈수된 찌꺼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축회전되면서 유입구로 유입된 음식쓰레기를 탈수 및 분쇄시키는 동시에 배출구로 배출시키는 스크류컨베이어;
    상기 스크류컨베이어의 외주부를 감싸 탈수된 찌꺼기가 배출구로만 배출되도록 하는 걸름망;
    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컨베이어의 회전날개 표면에는 이 스크류컨베이어가 회전되는 동안 음식쓰레기가 분쇄되도록 하는 분쇄날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의 일단부에는 음식물처리기로 투입되는 음식쓰레에 포함된 오수가 싱크대의 투입구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오버호스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처리기 후단의 배수호스 소정부위에는 이 음식물처리기에서 배수되는 수분에 섞여있는 찌꺼기를 침전시키기 위한 침전통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처리기의 배출호스 단부에는 수분이 분리된 찌꺼기가 적재되도록 하는 적재통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KR20-2002-0025822U 2002-08-29 2002-08-29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KR2003002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5822U KR200300262Y1 (ko) 2002-08-29 2002-08-29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5822U KR200300262Y1 (ko) 2002-08-29 2002-08-29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1473A Division KR20040019756A (ko) 2002-08-29 2002-08-29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62Y1 true KR200300262Y1 (ko) 2003-01-14

Family

ID=49398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5822U KR200300262Y1 (ko) 2002-08-29 2002-08-29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26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97021B2 (ja) 生ゴミ粉砕処理装置
KR101019856B1 (ko) 입형 원심 펌프의 회전식 스트레이너 및 이를 구비한 입형 원심 펌프
KR100718588B1 (ko)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
KR20040019756A (ko)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KR200300262Y1 (ko)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KR200414796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423438B1 (ko) 음식물 처리장치
KR102070921B1 (ko) 분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장치
KR100365896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H03110099A (ja) 生ゴミ処理装置
KR20100041613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이송유닛
KR100320401B1 (ko) 음식물 쓰레기 분쇄장치
KR200396649Y1 (ko) 음식물쓰레기 분쇄 및 탈수 장치
KR100378638B1 (ko) 싱크대용 음식물찌거기 분리장치
KR200300894Y1 (ko) 음식물쓰레기 분쇄 배출기
KR200265928Y1 (ko) 주방용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KR200424608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40041110A (ko)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2423431B1 (ko) 음식물 처리장치
KR20160073218A (ko) 분쇄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150207Y1 (ko) 음식찌꺼기 처리용 이송장치
KR200181324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312537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960005861Y1 (ko) 잔반처리기의 브러쉬 교체장치
KR200222021Y1 (ko) 잔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2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