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5796Y1 - 피봇힌지(Pivot hinge) - Google Patents

피봇힌지(Pivot hin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5796Y1
KR960005796Y1 KR2019930002806U KR930002806U KR960005796Y1 KR 960005796 Y1 KR960005796 Y1 KR 960005796Y1 KR 2019930002806 U KR2019930002806 U KR 2019930002806U KR 930002806 U KR930002806 U KR 930002806U KR 960005796 Y1 KR960005796 Y1 KR 9600057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bearing
hinge shaft
bracket
assemb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28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0860U (ko
Inventor
김송기
Original Assignee
김송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송기 filed Critical 김송기
Priority to KR20199300028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5796Y1/ko
Publication of KR9400208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086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57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7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피봇힌지(Pivot hinge)
제 1 도는 종래 피봇힌지의 단면도.
제 2 도는 종래 피봇힌지의 다른 실시예시도 및 단면도.
제 3 도는 종래 피봇힌지의 또다른 실시 단면도.
제 4 도는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로써, 제 4a 도는 본 고안 브라켓의 분리 사시도, 제 4b 도는 본 고안 경첩의 분리 사시도.
제 5 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
제 6 도는 본 고안의 실시 예시도.
본 고안은 피봇형 힌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중량체를 지지하는 힌지축을 개량한 것이다.
통상 건축물에 사용되는 문은 방범, 방화 및 방음을 목적으로 내부에 방음재 및 내연재를 내장하는 철문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문은 여닫이식으로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철문을 문틀에 고정하고 여닫기 위한 장치의 설치에 있어서 종래에는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틀에 고착되는 브라켓(10)의 설치된 힌지축(11)에 문(20)에 고정되는 경첩(15)의 구멍(12)을 형성하고 상기 힌지축(11)을 구멍(12)에 삽입하여 상기 힌지축(11)을 중심으로 경첩(15)이 회전됨에 따라 문을 여닫도록 구성하였다.
그러나 위와 같은 장치는 브라켓(10)이 받히고 있는 문의 무게 중심이 하측으로 치우쳐짐에 따라 경첩(15)의 하면과 브라켓(10)의 상면이 접촉하면서 마찰이 일어나 문을 여닫을 때 힘이 많이 소요되며 파열음이 발생하여 사용자의 불쾌함을 초래할 뿐아니라 접촉면이 깍여져 문 자체가 기울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제 2 도와 같은 장치가 고안되었다. 즉 문틀에 부착되는 브라켓(10)에 고정되는 힌지축(11)에 베어링(30)을 설치하여 경첩(15)과 브라켓(10)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장치에 사용되는 베어링(30)은 경첩(15)과 브라켓(10)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으로써 베어링(30)의 구멍(36)에 힌지축(11)에 헐겁게 축끼움 되어 있으며 구좌(30a)와 캡(30b)사이에 볼(35)을 삽입시켜, 상,하면의 마찰력을 감소시켜 주게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장치는 건축물 시공자는 문틀에 브라켓(10)을 부착시킨 후 베어링(30)이 헐겁게 축끼움된 상태에서 문을 고정하기 까지에는 공정상 많은 시간이 필요하게 되는데 이때 힌지축(11) 및 베어링(30) 주변에 각종 불순물(오물 및 몰타르)등의 묻어 조립작업이 어려우며 또한 베어링(30)이 분실되는 경우가 발생하며 이러한 경우 작업자는 베어링이 이탈된 상태에서 힌지축(11)에 경첩(15)의 구멍(12)을 끼워 조립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즉, 제 1 도에 도시한 것과 동일한 구조로 조립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문틀에 부착되는 브라켓10)은 절곡되어 측벽은 문틀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며, 바닥면 중앙에는 고정 설치되는 힌지축(21)은 2중의 단턱(21a, 21b)를 형성하여 중간축(24)에 베어링(30)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하며 상부 돌출부는 문에 고정된 경첩(15)의 구멍(36)에 끼워져 문의 회전축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한 고안이 본건 출원인에 의해 1992년 실용신안 등록 출원번호 제 18481호로 고안되었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실시예에서는 우선 브라켓(10)의 바닥면에 형성된 구멍에 힌지축(21)을 조립하기 위하여서는 힌지축(21)의 중간축(24)에 베어링(30)의 구멍에 맞추어 끼우면 베어링(30)의 상면은 단턱(21a)에 걸리게 된다. 이후 힌지축(21)의 하단축을 브라켓 바닥면의 구멍에 끼우면 단턱(21b)에 걸리게 되고 이상태에서 하면을 타발하면 힌지축(21)은 브라켓(10)에 견고히 고정되며 베어링(30)은 브라켓의 바닥면에 얹힌 상태에서 힌지축(21)의 중간축(24)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면은 힌지축(21)의 단턱(21a)에 걸리어 이탈 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는 용접 등의 부착수단을 이용하여 브라켓(10)을 도시하지 않은 문틀에 부착하게 된다.
이후 문(20)에 고정된 경첩(15)의 구멍(36)을 힌지축의 돌출부에 맞추어 조립하면 조립이 완료되는 것이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문(20)을 여닫을 시 문의 하중이 경첩(15)을 통해 브라켓에 전달되며 힌지축(2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경첩이 회전할 때 경첩(15)과 브라켓(10)사이의 베어링(35)의 구좌(30a)와 캡(30b) 사이에서 볼(3)이 구름마찰을 부여하므로써 부드럽게 동작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위와같은 실시예에서는 힌지축에 단턱을 형성하여 조립하여야 하므로 힌지축(21)을 절삭 가공하여야 하므로 가공에 어려움이 있으며 시공 공정상의 문제로 발생하는 오물 제거에 어려움이 있으며, 오물을 제대로 제거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조립하게 되면 힌지축 또는 경첩의 구멍내부에 편마모 현상이 일어나게 되며, 베어링(30)의 마모시 베어링(30)을 교체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경첩이 힌지구멍에 끼워진 상태에서 문을 여닫을 때마다 미끄럼 접촉하게 되는데 이때 마찰에 의해 접촉면에 마모 현상이 일어나게 되어 헐겁게 되므로 문자체가 기울어지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힌지축에 베어리을 삽입한후 링을 끼워 베어링의 이탈을 방지하며, 베어링을 손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베어링캡을 구비하여 힌지축 주변의 오물을 손쉽게 제거한후 청결한 상태에서 경첩을 조립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힌지축이 조립되는 경첩의 구멍에 붓싱을 개재시켜 경첩의 작동시 원활하게 구동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브라켓의 절곡부에 보강돌기를 형성하여 브라켓의 견고성을 향상시켜 신뢰성을 향상시키도록 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브라켓에 고정되는 힌지축에 홈을 형성한후 베어링을 삽입하고 상기 홈에 베어링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링을 삽입하고 상기 베어링에 캡을 구비하며 상기 힌지축이 끼워지는 경첩의 구멍에 붓싱을 삽입하여 경첩의 구동시 원활하게 동작시키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 4 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면 문틀에 부착되는 브라켓(1)은 절곡되어 측벽(1a)은 문틀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며, 바닥면(1b)의 중앙에 고정설치되는 힌지축(2)의 중간부위에 홈(3)을 형성하여 상기 힌지축(2)에 베어링(4)을 삽입한후 상기 홈(3)에 링(5)을 조립하며, 상기 베어링(4)에 주면에 끼워지며 힌지축(2)을 감싸는 캡은(6)을 구비하며 상기 힌지축(2)에 조립되는 경첩(7)의 구멍(7a)에는 붓싱(8)를 조립하여 된 것으로 도면중 미설명부호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효과는 우선 브라켓(1)의 바닥면(1b)에 형성된 구멍(9)에 힌지축(2)의 하부를 맞추어 끼운 후 타발하면 힌지축(2)은 브라켓(1)에 견고히 고정된다.
이후 상기 힌지축(2)에 베어링(4)를 조립한후 홈(3)에 링(5)을 삽입하면 베어링(4)의 이탈이 방지된다.
이후 베어링(4)의 외주면에 캡(6)을 조립한다.
또한 힌지축(2)에 끼워지는 경첩(7)은 구멍(7a)에 붓싱(8)을 조립하여 붓싱(8)의 구멍(81)에 힌지축(2)의 상부가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붓싱(8)의 두께는 경첩(7)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힌지축(2)에 경첩(7)을 조립한후 경첩(7)의 바닥면과 베어링(4)의 상면을 밀착시키며 힌지축(2)의 외주로 돌출되는 링(5)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붓싱(8)의 두께를 경첩(7)보다 낮게 형성하여 링설치 공간을 확보하였지만 베어링 캡(4a)의 상면에 홈을 형성하여 링설치 공간을 형성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베어링(4)의 외주면에 캡(6)을 조립한 후 브라켓(1)의 측벽(1a)은 도시하지 않은 문틀에 용접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며 이와같은 상태에서 건축시 공상의 문제로 인하여 오랜시간이 지나게 되면 브라켓의 주면에 시공상 발생하는 몰타르(50)등의 오물이 붙게되는데 이는 캡(6)에 의해 힌지축(2) 및 베어링(4)에 직접 오물이 묻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후 문(20)을 조립하기 위하여서는 캡(6)을 제거한 후 문(20)에 설치된 경첩(7)을 힌지축(2)에 조립하게 되는데 브라켓(1)의 절곡부에 형성된 보강돌기(1d)에 의해 보강되어 있었으므로 내구성이 증가된다.
또한 힌지축(2)은 경첩(7)의 구멍(7a)에 조립된 붓싱(8)의 구멍(81)에 삽입되어 문의 회전시 힌지축(2)과 붓시(8)의 미끄럼 접촉시 마찰 계수가 작아지므로 마모가 방지된다.
따라서 장시간 사용할 수 있게 되는것이며 이후 베어링의 마모 또는 파손되더라도 문을 제거하고 링(5)을 제거한후 베어링(4)를 교환할 수 있게 되어 사용에 편리를 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문틀에 부착되는 브라켓(1)은 절곡되어 측벽(1a)은 물틀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며, 바닥면(1b)의 중앙에 고정설치되는 힌지축(2)의 중간부위에 홈(3)을 형성하여 상기 힌지축(2)에 베어링(4)을 삽입되며, 상기 홈(3)에 조립되는 링(5)과 상기 베어링(4)에 주면에 끼워지며 힌지축(2)을 감싸는 캡(6)을 구비하며, 상기 힌지축(2)에 조립되는 경첩(7)의 구멍(7a)에는 붓싱(8)이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봇힌지.
  2. 제 1 항에 있어서, 경첩(7)에 조립되는 붓싱(8)에 두께는 경첩(7)의 두께보다 얕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봇힌지.
  3. 제 1 항에 있어서, 힌지축(2)에 조립되는 베어링(4)의 상부에 홈 형성하며 링설치 공간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봇힌지.
KR2019930002806U 1993-02-26 1993-02-26 피봇힌지(Pivot hinge) KR9600057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2806U KR960005796Y1 (ko) 1993-02-26 1993-02-26 피봇힌지(Pivot hin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2806U KR960005796Y1 (ko) 1993-02-26 1993-02-26 피봇힌지(Pivot hin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0860U KR940020860U (ko) 1994-09-17
KR960005796Y1 true KR960005796Y1 (ko) 1996-07-15

Family

ID=19351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2806U KR960005796Y1 (ko) 1993-02-26 1993-02-26 피봇힌지(Pivot hin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579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0860U (ko) 1994-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87923A (en) Hinge with torsion bar
KR960005796Y1 (ko) 피봇힌지(Pivot hinge)
US6260305B1 (en) Gasket system for a horizontal door
KR950010340Y1 (ko) 피봇 힌지(Pivot hinge)
KR100641391B1 (ko) 건설중장비용 도어 힌지
KR200397647Y1 (ko)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바람막이 도어용 경첩
JP2857749B2 (ja) 開閉式ます蓋
KR100493521B1 (ko) 도어용 피벗힌지 및 피벗힌지용 베어링
KR200421490Y1 (ko) 보안형 상부 피봇힌지
KR200300592Y1 (ko) 도어용 피벗힌지 및 피벗힌지용 베어링
JP4096244B2 (ja) 門扉用ヒンジキャップ
JPH1082216A (ja) ハンドルの取付構造
JP3314664B2 (ja) 採光窓
KR200401116Y1 (ko) 요철형 경첩
KR102318267B1 (ko) 피봇식과 플래그식 조합형 방화문용 힌지
KR200157042Y1 (ko) 방화 문용 문틀
KR200491286Y1 (ko) 문틈 안전 커버
KR20000012299U (ko) 문틀용 하부 피벗힌지
KR960004191Y1 (ko) 철문용 힌지
KR200353798Y1 (ko) 도어용 피벗 힌지
JPS6139839Y2 (ko)
KR200338219Y1 (ko) 도어 개폐 완충기의 해체 방지구조
KR100561054B1 (ko) 도어용 피벗 힌지
JP2019173355A (ja) 建具
JP3076983U (ja) 建物用開き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3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