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5784Y1 - 악세스플로어(access floor)용 판넬-조인트(panel joint) - Google Patents

악세스플로어(access floor)용 판넬-조인트(panel joi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5784Y1
KR960005784Y1 KR2019930007300U KR930007300U KR960005784Y1 KR 960005784 Y1 KR960005784 Y1 KR 960005784Y1 KR 2019930007300 U KR2019930007300 U KR 2019930007300U KR 930007300 U KR930007300 U KR 930007300U KR 960005784 Y1 KR960005784 Y1 KR 9600057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joint
access floor
coupl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73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6933U (ko
Inventor
박종도
Original Assignee
박종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도 filed Critical 박종도
Priority to KR20199300073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5784Y1/ko
Publication of KR9400269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693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57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7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05Floor panels
    • E04F15/02435Sealing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05Means to increase the friction-coeffici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004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in abutting relationship
    • F16B5/0008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in abutting relationship by moving the sheets, plates or panels substantially in their own plane, perpendicular to the abutting edge
    • F16B5/002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in abutting relationship by moving the sheets, plates or panels substantially in their own plane, perpendicular to the abutting edge both sheets, plates or panels having a groove, e.g. with strip-type connect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1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with edges in abutting relationship
    • E04F2201/0123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with edges in abutting relationship by moving the sheets, plates or panels parallel to the abutting e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5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keys or strips
    • E04F2201/0511Strips or bars, e.g. nailing st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악세스플로어(access floor)용 판넬-조인트(panel joint)
제 1 도(a,b)는 종래의 판넬-조인트를 보인 일부파절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일부파절분해 사시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제 4 도(a,b,c,)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판넬(panel) 2 : 조인트(joint)
3 : 타일(tile) 4,4' : 결합공
5,5' : 결합편 6,6' : 걸림턱
본 고안은 악세스플로어(access floor)용 판넬-조인트(panel-joint)에 관한 것이다.
근자에 들어 생활환경의 급속한 변화로 인하여 실내바닥면에 악세스플로어를 설치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악세스플로어는 실내의 인테리어를 보조하는 기능으로 볼 수 있으며, 특히 전개배선등의 은폐, 습기차단, 바닥인테리어 기능등이 탁월하여 호응도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기존의 악세스플로어는 개략사각형의 판넬을 지지포스트등을 사용하여 바닥면으로 부터 일정간격 이격설치한 후 내부공간부상에 전기등의 배선을 수납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판넬(1)연접면은 제 1 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조인트(2)를 개재시켜 판넬(1) 및 판넬상면의 타일(3)을 보호함과 동시에 시각적인 효과를 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지존의 조인트(2)는 경질의 P,V,C 또는 합성수지필름등을 사용한 경우로 대분 할 수 있는데, 전자의 경우는 운반 또는 설치사용시 재질특성으로 인한 파손의 폐해가 높았고, 특히 설치사용중의 파손으로 인하여 판넬(1)이 유동, 또는 판넬(1) 및 타일(3)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후자인 합성수지 필름(2')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판넬(1)조립, 분리시를 고려하여 판넬(1)의 모서리면을 하향경사지게 가공한 후 합성수지필름(2')등을 부착하여야 하므로 가공상의 난점이 많음은 물론, 합성수지필름(2')을 접착제등으로서 판넬(1)에 부착하므로 오래지 않아 합성수지필름(2)등이 분리되는등의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결국 기존의 악세스플로어에 있어서 판넬-조인트는 파손 또는 분리의 폐단이 있어 악세스플로어 하자중 가장 높은 비율을 점하고 있으며, 가공의 어려움등으로 인하여 양산에 장애요인이 되어 왔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그 가공이 극히 용이하면서도 파손, 분리등의 장애요소가 없어 하자발생요인을 미연에 최소화할 수 있는 악세스플로어용 조인트를 제공코져 한다.
즉, 연질의 합성수지제를 사용하여 파손의 우려를 극소화함과 아울러 조립, 가공의 용이성을 위하여 횡방향으로 억지끼움결합되는 결합공과 결합편을 각기 판넬및 조인트상에 형성한 것으로서, 이하의 부수되는 도면과 함께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중 종래와 동일한 구성은 부제를 사용한다.
제 2 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일부파절 분해사시도로서, 판넬(1)의 상하면에는 통상 타일(3)이 압착고정되고, 본 고안의 판넬(1)은 정사각형등으로 수직절단된다.
판넬(1)의 수직모서리면에는 조인트(2)를 결합할 수 있는 결합공(4,4')이 형성된다.
결합공(4,4')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도면상에서는 조인트(2)의결합편(5,5')과 일치하는 개략 직사각형의 결합공(4,4')을 형성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조인트(2)는 연질의 합성수지제로 압출성형된다. 예를들어 연질 P,V,C등을 채택할 수 있을 것이다. 조인트(2)의 판넬(1)모서리결합면은 수직으로 형성되고 타방은 하향경사면을 가진다. 이는 판넬(1)을 조립, 분리시에 이웃하는 판넬간에 스페이스를 확보토록 하여 작업시의 이점을 제공케 된다.
조인트(2)의 판넬모서리 결합면상에는 상기 결합공(4,4')상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될 수 있는 결합편(5,5')이 조형된다.
결합편(5,5')은 조립후의 이탈등을 확고히 방지할 수 있도록 산형의 걸림턱(6,6')을 형성하되 두께(t)는 결합공(4,4')의 폭(t')보다 약간 크게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3 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며, 제 4 도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제 4 도(a)의 경우는 상기 결합공(4,4')과 결합편(5,5')을 각기 하나씩만 형성하여 억지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 4 도 (b,c)의 경우는 결합공(4,4')과 결합편(5,5')을 원형으로 하나, 또는 2개를 형성하여 억지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상기 결합공과 결합편의 형상및 갯수는 언급되지 아니한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갯수로 가감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중의 부제 7은 지지포스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악세스플로어용 판넬(1)은 통상의 방법과 같이 바닥면에 고정된 지지용 포스트(7)상단에 안착시켜 사용되는 것으로서, 하기와 같은 잇점을 제공케 된다.
첫째 본 고안은 판넬의 가공및 조립이 극히 용이하다는 것이다. 즉 타일(3)이 부착된 판넬(1)을 적정규격으로 수직절단후 결합공(4,4')을 가공한 후 압출성형등으로 성형된 조인트(2)만 억지끼움 결합하면 되므로 종래와 같이 가공상의 난점을 일소하여 염가생산 및 양산에 기여할 수 있는 것이며, 둘째 조인트(2)으 재질이 연질합성수지제로 gud성되어 있어 운반 또는 설치사용중에 파손의 우려가 전혀 없어 제품의 내구성 향상은 물론, 설치사용시 하자발생 요인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것이며, 셋째 판넬(1)상의 결합공(4,4')에 산형의 걸림턱(6,6')을 가진 결합편(5,5')을 억지끼움 결합방식으로 고정하되, 판넬(1)의 조립및 분리 방향과는 수직방향으로 조인트(2)를 결합하여 운반, 설치사용중의 임의분리를 확고히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부수적으로 조인트(2)간의 상호 연접면을 하향경사지게 성형함으로서 조립 및 분리상의 편익을 제공할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고안이다.
이하의 부수되는 실용신안등록 청구의 범위에 본 고안에서 보호받고져 하는 기술의 보호범위가 언급될 것이지만, 단순히 재질을 변경하거나 형상의 일부수정등 당해업계에 숙달된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경실시할 수 있는 기술적 태양 역시 본 고안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Claims (1)

  1. 악세스플로어(access floos)용 판넬-조인트(panel-joint)에 있어서 ; 상기 판넬(1)의 수직단면상에는 결합공(4,4')을 형성하고 ; 상기 조인트(2)의 판넬 결합면상에는 결합공(4,4')상에 억지끼움 결합될 수 있는 결합편(5,5')을 형성하며 ; 상기 결합편(5,5')상에는 이탈방지용의 걸림턱(6,6')이 형성되며 ; 상기 조인트(2)간의 결합면은 하향경사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스 플로어(access floos)용 판넬-조인트(panel-joint).
KR2019930007300U 1993-05-01 1993-05-01 악세스플로어(access floor)용 판넬-조인트(panel joint) KR9600057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7300U KR960005784Y1 (ko) 1993-05-01 1993-05-01 악세스플로어(access floor)용 판넬-조인트(panel joi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7300U KR960005784Y1 (ko) 1993-05-01 1993-05-01 악세스플로어(access floor)용 판넬-조인트(panel joi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6933U KR940026933U (ko) 1994-12-09
KR960005784Y1 true KR960005784Y1 (ko) 1996-07-15

Family

ID=19354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7300U KR960005784Y1 (ko) 1993-05-01 1993-05-01 악세스플로어(access floor)용 판넬-조인트(panel joi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578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6933U (ko) 1994-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86841A (en) Suspended ceiling
US5713159A (en) Multi part plastic lineal
US4542614A (en) Structural members with interlocked components
US5566517A (en) Architectural panel
KR960005784Y1 (ko) 악세스플로어(access floor)용 판넬-조인트(panel joint)
JP2005133304A (ja) サッシの接合構造
JP3410908B2 (ja) 部材間連結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出窓
JP3708039B2 (ja) 窓枠
JPH0115832Y2 (ko)
JP2640894B2 (ja) 床部伸縮継手の施工法
JP2846556B2 (ja) 建築用パネル材の取付構造
JP2696710B2 (ja) ロッグハウス及び木材の取付構造
KR940006577Y1 (ko) 조립식 창문틀의 모서리 결합연결부재
KR200397151Y1 (ko) 창틀 프레임용 코너 조인트
KR0174353B1 (ko) 지진 대비용 칸막이 판넬 구축용 연결 구조물
JPH07576Y2 (ja) 立体トラス式建造物用のルーフパネルサッシ
JPS6224648Y2 (ko)
JP3001370B2 (ja) 分割方立の連結装置
JPH0513904Y2 (ko)
JPH0810120Y2 (ja) 化粧板
JPH0229184Y2 (ko)
KR200183394Y1 (ko) 끼움홈이 형성된 프레임과 브라켓트의 상호 체결구조
JPH052785Y2 (ko)
JPH019857Y2 (ko)
JPH043545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1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