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5523Y1 - 배출튜브가 부설된 드레인 플러그 - Google Patents

배출튜브가 부설된 드레인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5523Y1
KR960005523Y1 KR92015477U KR920015477U KR960005523Y1 KR 960005523 Y1 KR960005523 Y1 KR 960005523Y1 KR 92015477 U KR92015477 U KR 92015477U KR 920015477 U KR920015477 U KR 920015477U KR 960005523 Y1 KR960005523 Y1 KR 9600055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plug
discharge tube
engine
discharg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54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5831U (ko
Inventor
이재근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920154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5523Y1/ko
Publication of KR9400058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58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55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5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4Filling or draining lubricant of or from machines or engines
    • F01M11/0408Sump drainage devices, e.g. valves, plu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4Filling or draining lubricant of or from machines or engines
    • F01M11/0408Sump drainage devices, e.g. valves, plugs
    • F01M2011/0416Plu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배출튜브가 부설된 드레인 플러그
제 1 도는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 조립단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드레인 플러그의 단면도.
제 4 도는 종래의 조립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엔진하부몸체 20 : 고정볼트
22 : 막힘판 23 : 유입공
24 : 핀홈 26 : 핀홈 가이드
28 : 개폐조절 너트 30 : 돌출핀
32 : 배출튜브 34 : 배출구
36 : 개스킷 38 : 볼트체결부
40 : 드레인 플러그
본 고안은 배출튜브가 부설된 드레인 플러그(DRAIN PLUG)에 관한 것으로, 특히 드레인 플러그 내부에 개재된 개폐조절 너트의 조작으로 엔진오일이 배출튜브를 통하여 밖으로 배출되게 하는 드레인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드레인 플러그는 엔진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엔진오일의 교환시 상기 드레인 플러그를 풀어서 엔진오일을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작용을 하는 종래의 드레인 플러그의 구조를 보면 제 4 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엔진의 하부몸체(10) 일측에 나사산이 형성된 배출공(12)이 구성되고, 상기 배출공(12)에 볼트형상의 드레인 플러그(40)가 나사조립된 것이다.
상기 되어진 바와 같이 엔진의 하부몸체(10)에 드레인 플러그(14)가 결합된 상태에서 오일을 교환하기 위하여 드레인 플러그(14)를 배출공(12)으로부터 완전히 분리하여야 엔진오일이 배출공(12)으로 배출될 수 있기 때문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드레인 플러그(14)를 분리시키는 과정에서 엔진 내부의 오일압력 때문에 배출공(12)으로 배출되는 엔진오일이 드레인 플러그(14)의 머리부(16)에 부딪혀 사방으로 비산되므로 오일이 작업자에서 튀거나, 타부품에 튀는 등 엔진오일의 수거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엔진오일의 교환시 드레인 플러그(14)를 반복하여 풀고 조이는 조작을 하게 되어 배출공(12)과 드레인 플러그(14)의 나사산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고저 고안한 것으로, 드레인 플러그가 엔진의 하부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개폐조절너트의 조작으로 개폐를 하게하여 배출튜브에 의해 엔진오일이 배출되는 것으로, 이는 안정된 폐오일 수거와 함께 고정볼트등의 나사산을 보호할 수 있는 배출튜브가 부설된 드레인 플러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고정볼트의 상면에 막힘판을 일체로 형성하고, 돌출핀이 형성된 개폐조절 너트가 고정볼트의 내측에 개재되어 회전가능하게 하고, 배출튜브가 상기 개폐조절 너트에 나사 결합되어 개폐조절 너트의 좌, 우 회전에 의하여 배출튜브가 상, 하 이동하여 이 배출튜브가 막힘판으로부터 밀착, 이격되게 하여 엔진오일이 막힘판의 주위에 형성된 유입공을 통하여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적으로 엔진의 하부몸체에 체결되어 엔진오일 교환시 폐엔진오일을 배출할 수 있도록 된 드레인 플러그에 있어서, 엔진 하부몸체(10)에 형성된 볼트체결부(38)에 핀홈(24)과 핀홈가이드(26)가 내부에 형성되고, 상면에 유입공(23)을 막힘판(22)이 일체로 된 고정볼트(20)를 나사 결합하고, 개폐조절 너트(28)의 둘레에 대향되게 형성된 돌출핀(30)이 상기 드레인 플러그(40)의 핀홈 가이드(26)를 통하여 핀홈(24)에 조립되어 회전가능하게 하며, 개폐조절 너트(28)의 내부에 형성된 암나사를 통해 배출구(34)가 형성된 배출튜브(32)가 나사 결합 되어진다.
상기된 바와 같이 결합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하면 개폐조절 너트(28)를 회전시키게 되면, 돌출핀(30)이 핀홈을 따라 회전하면서 개폐조절 너트(28)에 나사결합된 배출튜브(32)가 나사회전되어 상, 하 유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즉, 배출튜브(32)의 회전을 멈추게한 상태에서 개폐조절 너트(28)를 좌로 회전시키면 배출튜브(32)를 오른쪽으로 회전시키는 것과 같은 효과를 주게되어 배출튜브(32)는 나사산을 따라 위로올라가 막힘판(22)에 밀착되어 엔진오일의 고정볼트(20)의 유입공(23)과 배출튜브(32)의 배출구(34)를 통하여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배출튜브가 형성된 드레인 플러그의 사용으로 엔진오일을 배출시 폐오일의 수거가 용이하게 되었고, 주변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엔진의 하부몸체에 형성된 배출공과 드레인 플러그의 나사산이 손상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게 한 고안이다.

Claims (1)

  1. 엔진의 하부몸체에 체결되어 엔진오일 교환시 폐오일을 배출할 수 있도록 된 드레인 플러그에 있어서, 엔진 하부몸체(10)에 형성된 볼트체결부(38)에 핀홈(24)과 핀홈 가이드(26)가 형성되고 그 상면에 유입공(23)을 갖는 막힘판(22)이 일체로 된 고정볼트(20)를 체결하고, 돌출핀(30)이 형성된 개폐조절 너트(28)를 핀홈 가이드(26)를 통해 고정볼트(20)에 조립하며 배출구(34)가 형성된 배출튜브(32)를 개폐조절 너트(28)의 내부에 나사결합되어 고정볼트(20)의 유입공(23)과 배출튜브(32)의 배출구(34)를 통하여 폐오일을 배출할 수 있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튜브가 부설된 드레인 플러그.
KR92015477U 1992-08-18 1992-08-18 배출튜브가 부설된 드레인 플러그 KR9600055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5477U KR960005523Y1 (ko) 1992-08-18 1992-08-18 배출튜브가 부설된 드레인 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5477U KR960005523Y1 (ko) 1992-08-18 1992-08-18 배출튜브가 부설된 드레인 플러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5831U KR940005831U (ko) 1994-03-18
KR960005523Y1 true KR960005523Y1 (ko) 1996-07-04

Family

ID=19338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5477U KR960005523Y1 (ko) 1992-08-18 1992-08-18 배출튜브가 부설된 드레인 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552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5831U (ko) 1994-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01000A (en) Easy access oil filter drain system
US7455474B2 (en) Device permitting a plug or a cover to lock in a detachable manner onto a frame
US20110048873A1 (en) Structure of hydraulic brake lever assembly
KR20080043367A (ko) 오일 필터 조립체 및 오일 필터 조립체를 위한 필터 부재
KR960005523Y1 (ko) 배출튜브가 부설된 드레인 플러그
US4295964A (en) Motorcyle apparatus
DE2062989A1 (de) Ventil
US4133350A (en) Tamper-resistant flow control attachment for shower arm
KR0119986Y1 (ko) 동력조향장치 리저버의 불순물배출장치
US5273652A (en) Orifice restriction shielding device
CN220929357U (zh) 一种偏心配水器
JP2780229B2 (ja) 水中ポンプ
JPH0420484Y2 (ko)
CN217327458U (zh) 发动机放油阀
EP0893579B1 (en) Connecting system for the lubrication oil aspiration conduit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218207418U (zh) 一种防退丝螺栓
CN212080276U (zh) 一种开启压力可调的集成阀及其旁通阀体
KR0130576Y1 (ko) 스트레이너
US5603427A (en) Access door construction for a hot water tank assembly
JP3294686B2 (ja) 流体清浄化機器の取付構造
CA3205437A1 (en) Relief valve assembly
SU1491408A1 (ru) Гидрант-водовыпуск
US2949326A (en) Sand trap
KR910003523Y1 (ko) 급수변
CN111365501A (zh) 一种开启压力可调的集成阀及其旁通阀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