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5402Y1 - 자동차의 후방시계 확보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후방시계 확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5402Y1
KR960005402Y1 KR2019940002368U KR19940002368U KR960005402Y1 KR 960005402 Y1 KR960005402 Y1 KR 960005402Y1 KR 2019940002368 U KR2019940002368 U KR 2019940002368U KR 19940002368 U KR19940002368 U KR 19940002368U KR 960005402 Y1 KR960005402 Y1 KR 9600054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view
driver
vehicle
mirro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23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4837U (ko
Inventor
공선홍
Original Assignee
공선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선홍 filed Critical 공선홍
Priority to KR20199400023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5402Y1/ko
Publication of KR9500248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483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54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4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0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clear vision, e.g. anti-frost or defog panes, rain shie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04Mounting of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자동차의 후방시계 확보구조
제1도는 본 고안의 후방 시계 확보구조에 다른 일실시 상태를 보인 요부 발췌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물방울 배척면의 설치 상태 단면도로서
a도는 측면 유리창의 발췌 단면도.
b도는 백미러의 발췌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후방 시계 확보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자동차의 개략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케이스 12 : 백미러
13 : 측면 유리창 14, 15 : 물방울 배척면
본 고안은 자동차에 있어서 특히 차내 운전석에서 운전자가 눈, 비 또는 습기 등에 의해서도 측면 유리창 및 백미러를 통한 후방시계를 용이하게 확인함으로써, 누구나 항상 안전 운행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후방시계 확보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가 오는 경우에 있어서는 전면 및 후면 유리창 또는 백미러 등에 눈이 녹거나 빗물에 의해 물방울이 맺혀지게 되는 것이며, 이때 전, 후면 유리창에 형성된 물방울은 통상적으로 윈도우 브러쉬를 작동시키면 제거 가능하게 되는 것이나 운전석의 좌, 우 측면 유리창 및 백미러에 형성된 물방울은 차량 실내에서 운전자가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수단이 전혀 마련되지 못하였기 때문에 이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일부러 차량을 정차시키거나, 신호 대기시 운전자가 하차하여 손수 닦아주거나 아니면 물방울이 형성된 상태에서 그냥 운전하게 되는 것이 통상적이라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경우와 같이 물방울이 맺힌 상태에서 운전을 하게 될 경우 차선 변경이나 차선 진입 등의 차량 주행시 운전자가 측면 유리창 및 백미러를 통한 측방 및 후방의 시계 확인을 반드시 하여야만 되는 것인데 불구하고 이의 확인이 매우 곤란하거나 또는 선명한 확인을 할 수 없어 안전 운행에 많은 지장을 초래하게 되고 특히, 야간의 경우 상기한 현상은 더욱 심화되어 차량 사고의 주요 원인이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여러 가지 고안들이 안출된 바 있으나, 즉 국내 실용신안 공보 공고 번호 92-2206호 및 공고번호 92-8304호에 게재된 바와 같이 이들은 모두 반사면에 미세공을 다수 천공하거나 와이퍼를 설치하여 우천시 백미러 케이스 내의 반사경에 맺혀지는 물방울만이 제거되도록 하였고 측면 유리창에 맺혀지는 물방울은 전혀 제거가 이루어지지 않아 실질적으로 운전자는 상기 측면 유리창을 통해 측방을 보거나 후사경을 통해 후방시계를 확인하여야 하기 때문에 전혀 도움을 주지 못하는 결점이 있는 것이다.
또, 국내 실용신안 공보 공고 번호 87-2297호에는 백미러 케이스 일 측면으로 후사경 및 측면 유리창으로 풍압이 분할 유도되는 안내격판을 설치하여 주행시 상기 안내격판의 유도판을 통해 들어온 풍압이 후사경과 측면 유리창을 때려 이에 묻어 있는 물방울이나 기타 이물질을 제거토록 한 것이 제시되어 있으나, 이 역시 내향 절곡된 유도판이 풍압에 의해 파손될 우려가 있고 주행시 풍압이 관통 마찰에 의해 심한 소음이 발생되며, 외관상으로도 미려하지 못할 뿐 아니라 후사경 및 측면 유리창과 마찰시 오히려 물방울을 퍼뜨리는 결과를 초래하여 일시적으로 시계를 흐리게 하는 구조적 모순에 의해 제품으로서의 가치 상실은 물론 전혀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에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외관이 미려하며, 눈, 비나 습기 등의 저해 요인에 구애받지 않고 운전자가 실내에서 좌, 우 측방 및 백미러를 통한 후방시계 확인을 항상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우천시 누구나가 차량을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후방시계 확보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차량의 전면 외부에 장착되어진 한 쌍의 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백미러 및 운전석에서 운전자가 상기 백미러를 볼 수 있는 부위에 측면 유리창의 표면 일부에 안경의 제조시 사용되는 통상의 카보레이트 CR39 단량체로 된 하드코팅제를 도포하여 점도, 농도, 온습도 및 청정도를 유지하도록 90℃에서 20분간 건조시킨 얇은 막 형태의 물방울 배척면을 코팅 또는 해당 부위에 유리 제조시 일체로 형성하여서 된 점에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후방시계 확인 구조를 보인 차량의 일예 발췌 사시도로서, 측면 유리창(13)이 승강작동 가능하게 설치된 앞문 프레임(10)의 바깥 양측으로 장착되어진 케이스(11)내에 백미러(12)가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측면 유리창(13) 및 백미러(12)의 외표면으로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얇은 막상의 물방울 배척면(14)(15)이 각각 유리창 제조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는 평상시 측면 유리창(13)을 승강시키더라도 기존 유리창의 승강동작과 동일하게 작동되어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백미러(2)에는 물방울 배척면(14)이 전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 유리창(13)에 형성된 물방울 배척면(15)의 경우 실내의 운전자가 유리창이 닫혀진 상태에서 운전중 백미러(12)를 자연스럽게 볼 수 있는 부위만큼의 폭으로 사전에 선정하여 형성되어 지는 것이다.
여기에서 물방울 배척면의 제조는 다음과 같다. 즉 백미러(12)와 운전석 좌, 우의 측면 유리창(13)의 표면 일부에 안졍의 제조시 사용되는 통상의 카보레이트 CR39 단량체로 된 하드코팅제(Hard Coating)를 도포하여 점도, 농도, 온습도 및 청정도를 유지하도록 90℃에서 20분간 건조시킴으로써 제2a도와 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물방울 배척면(14)(15)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물방울 배척면(15)을 이루고 있는 하드코팅제는 비교적 제조원가가 고가이기 때문에 자동차의 전체 유리면에 형성시킬 경우 자동차의 전체 단가가 상승되기 때문에 본 고안의 경우와 같이 시계 확보가 요구되는 부위에만 제한적으로 형성시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양측면의 백미러(12)와 운전석 좌, 우의 측면 유리창(13)의 표면 일부에 물방울 배척면(14)(15)을 각각 일정 부위만큼 형성하여 줌으로써, 눈, 비에 의한 물방울이나 습기 등이 상기한 물방울 배척면(14)(15)부에서는 맺혀져 부착되지 않고 자연스럽게 미끄러져 떨어지게 되기 때문에 그 부위에서만큼은 깨끗한 상태가 되어 운전자는 항상 선명한 상태로 측방 및 후방시계 확인이 가능하게 되고 그로 인하여 안전 운행을 도모할 수 있어 차량의 안전사고 등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후방시계 확인 구조에 있어 자동차의 특징상 화물차 등의 경우 운전자가 측면 유리창을 통하지 않고 전면의 유리창을 통해 백미러를 볼 경우에는 자동차의 백미러에만 물방울 배척면을 선택적으로 형성시켜 사용하면 되는 것이어서 외관상으로도 미려할 뿐만 아니라, 특정 자동차에 국한되지 않고 모든 자동차에 적용시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물방울 배척면(14)(15)을 최초 자동차 유리 제조시 운전자가 측방 및 후방 시계 확인시 요구되는 반경을 감안하여 그 설정된 부위로만 동시에 사출성형할 수도 있는 바 이럴 경우에는 별도의 제작비 및 인력이 요구되지 않고 간편하게 제작 사용할 수 있는 이점 또한 갖게 되는 것이어서 유리가 파손되지 않는 이상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자가 후방 시계 확인을 위해 반드시 보아야 되는 측면 유리창(13) 부위에 확인 반경을 감안하여 물방울 배척면(15)을 형성시켜 줌으로써 운전자의 체형이나 운전 자세등에 관계없이 물방울 배척면(14)(15)을 통해 측면 및 후방시계를 감시할 수 있어 상시 선명한 상태의 시계 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물방울 배척면(14)(15)부의 형성은 기존의 안경을 보면 기온 차이에 따른 습기나 물방울 등이 형성되지 않고 떨어지게 되는 원리를 적용하면 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의 자동차 유리에 적용시키는 것은 큰 문제가 없는 것은 물론이다.

Claims (1)

  1. (정정) 차량의 전면 외부에 장착되어진 케이스(11)내에 위치 보호되어지는 백미러(12)와 운전석에서 운전자가 상기 백미러(12)를 통한 후방 시계 및 측방을 볼 수 있는 부위의 측면 유리창(13) 외표면에 카보레이트 CR39 단량체로 된 하드코팅제(Hard Coating)를 도포하여 점도, 농도, 온습도 및 청정도를 유지하도록 90℃에서 20분간 건조시킨 얇은 막의 물방울 배척면(14)(15)을 선택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후방 시계 확보구조.
KR2019940002368U 1994-02-07 1994-02-07 자동차의 후방시계 확보구조 KR9600054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2368U KR960005402Y1 (ko) 1994-02-07 1994-02-07 자동차의 후방시계 확보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2368U KR960005402Y1 (ko) 1994-02-07 1994-02-07 자동차의 후방시계 확보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4837U KR950024837U (ko) 1995-09-15
KR960005402Y1 true KR960005402Y1 (ko) 1996-06-28

Family

ID=19377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2368U KR960005402Y1 (ko) 1994-02-07 1994-02-07 자동차의 후방시계 확보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540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4837U (ko) 1995-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5402Y1 (ko) 자동차의 후방시계 확보구조
KR200228398Y1 (ko) 자동차용 성에 방지커버
KR200162130Y1 (ko) 빗물제거부재가 설치된 웨더스트립
US20010040384A1 (en) High tech visor
KR200255971Y1 (ko) 차량용 윈도우 가리개
KR19980045196U (ko) 자동차의 성애방지용 덮개
KR0139708Y1 (ko) 자동차의 유리보호용 덮개
KR900003434Y1 (ko) 자동차의 창유리 덮개장치
JP3054596U (ja) 自動車用偏光強化ガラスウインドウ
KR960008235Y1 (ko) 자동차 유리의 김서림 방지 구조
JPH07132733A (ja) 自動車窓の日除け製造方法と装置および製造方法を達成するためのキット
KR200201163Y1 (ko) 차량 차광 제설포
KR200361187Y1 (ko) 자동차의 차양장치
JPS5822812Y2 (ja) 広視界側方窓を備えた自動車
KR0131030Y1 (ko) 좌우 동일 형상의 햇빛 가리개
KR900006553Y1 (ko) 차량용 차광커텐의 고정장치
KR20200117935A (ko) 자동차 사이드미러 빗물제거 방법
KR970034811A (ko) 자동차용 사이드 윈도우
KR940007455Y1 (ko) 자동차의 사이드미러 감시장치
KR200143376Y1 (ko) 와이퍼가 장치된 자동차 사이드미러
USRE13653E (en) Shield fob
KR200333373Y1 (ko) 볼록거울이 부착된 자동차 백미러
JPS6181225A (ja) 自動車の日除け霜除け装置
CN101229804A (zh) 车用双面磁力雨刮器
KR19980062769U (ko) 길이, 각도 가변이 가능한 선바이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