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5297B1 -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 Google Patents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5297B1
KR960005297B1 KR1019890013446A KR890013446A KR960005297B1 KR 960005297 B1 KR960005297 B1 KR 960005297B1 KR 1019890013446 A KR1019890013446 A KR 1019890013446A KR 890013446 A KR890013446 A KR 890013446A KR 960005297 B1 KR960005297 B1 KR 960005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layer
polyester
density
lamin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3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4505A (ko
Inventor
사또시 오또나리
요시노리 사또
나리히로 마스다
가즈유끼 아까쯔
Original Assignee
다이아호일 가부시끼가이샤
다까미야 다다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아호일 가부시끼가이샤, 다까미야 다다시 filed Critical 다이아호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04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45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5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2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67/00Polyesters, e.g. PET, i.e. polyethylene terephtha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본 발명은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단위 체적당 중량을 감소시키기위해 미새 독립기포(closed cell)을 함유하고 표면 평활성 및 접착성이 탁월한 백색의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스테르 필름, 특히 폴리에틸렌 테래이트 필름은 그의 탁월한 기계적 특성, 전기적 특성, 내약품성, 표면 특성등 때문에 여태까지 각종 산업 분야에서 정보 기록 재료, 콘덴서, 인쇄판 및 포장 재료에 대한 기본 물질로서 널리 사용되어왔다. 이들 탁월한 특성을 이용함으로써 높은 은폐성을 갖는 백색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사무실 및 회의실에서 사용되는 전자 백판에 대한 기재로서 최근 사용되게되었다.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또한 선불(prepaid)카드로 대표되는 자기 카드에 대한 기재로 사용되고 있고 그 용도 범위는 이후에도 점점 확대될 것이다.
이들 백색 필름은 매우 바람직한 특성을 갖지만 은폐성(opacifying properties)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산화티탄과 같은 무기 입자를 다량 함유하기 때문에 여러 가지 결점을 갖는다. 예를들어 무기 입자를 부가하면 필름의 밀도를 통상의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비교하여 20 내지 50% 정도 증가시키고 또 필름자체 중량에 의한 늘어짐 노화를 초래한다. 백판의 경우, 상당히 단기간 사용하는 동안에도 백판표면의 늘어짐 노화 현상이 크게 촉진되므로 백판의 상업적 가치를 상당히 손상시킨다. 더구나 백색 필름에 함유된 다량의 무기 입자는 나이프의 수명을 크게 단축시키거나 또는 필름의 슬릿팅(slitting)또는 카드를 절단하는 동안 필름 모서리에 손을 다치게 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무기 입자를 함유하는 백색 필름은 생산성 취급 특성면에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겉보기 비중을 감소시켜 상술한 여러가지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자들은 일본국 특개소 제 63-168441(1988)호에 제안된 바와 같이 필름에 기포를 형성시켜 그것을 미세 기포질 필름으로 전환시키는 것에 의해 필름의 자체 중량에 의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늘어짐 노화 현상이 크게 감소된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필름중에 미세하게 분산된 독립 기포는 필름에 은폐성을 부여하기 때문에 필름에 부가될 무기 입자의 양을 감소시키고 또 나이프의 수명을 크게 연장시키며 슬릿팅 과정중에 날카로운 필름 모서리에 손을 다칠 가능성을 눈에 띄게 감소시킨다. 그러므로 생산성이 향상되었고 취급 특성의 선도 달성되었다.
미세 기포질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이러한 탁월한 효과를 갖지만 필름의 표면 특성면에서 충분히 만족스럽지 못하다. 이 필름은 종래의 백색 필름과 비교하여 표면 평활성 및 접착성이 불량해서 그의 개선이 강하게 요청됨이 밝혀졌다. 또한 미세 기포질 필름은 미세 기포질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시에 텐터를 사용하는 연신 공정중 기포로부터의 내부 압력 때문에 필름이 쉽게 파단되기 때문에 생산성 면에서의 문제를 완전히 해결하지 못하였다.
상술한 설명의 관점에서 미세 기포질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표면 특성, 특히 표면 평활성 및 접착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이 예의 연구한 결과, 필름 표면상에서 기포의 양을 감소시키므로써 표면 평활성 및 접착성이 크게 개선된다는 것을 밝혀냈다. 본 발명은 이 발견을 기초로하여 달성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미세 독립 기포를 함유하고 밀도가 0.40 내지 1.30g/㎤인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미세 독립 기포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1면 또는 양면에 적층된 밀도가 1.3g/㎤ 이상인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포함하는 적층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된 "폴리에스테르"란 용어는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및 나프탈렌 디카르복시산과 같은 방향족 디카르복시산 또는 그의 에스테르를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1,4-부탄디올 및 내오펜틸 글리콜과같은 성분과 증축합함으로써 제조되는 폴리에스테르를 의미한다.
이들 폴리에스테르는 방향족 디카르복시산과 글리콜 성분의 직접 반응에 의해 제조된다. 다르게는 이들 폴리에스테르는 방향족 디카르복시산의 알킬 에스테르 및 글리콜 성분을 에스테르 교환 반응시킨다음 에스테르 교환 반응의 생성물을 증축합시키거나, 또는 방향족 디카르복시산의 디글리콜 에스테르를 중측합시키는 것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전형적인 폴리에스테르의 에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엔틸렌-2, 6-나프탈레이트를 들 수 있다. 이 폴리에스테르는 동종 중합체이거나 또는 제 3의 공동단량체를 사용하여 공중합시켜 제조한 코폴리에스테르일 수 있다. 어떤 경우에서든 본 발명에 사용된 폴리에스테르 성 반복 단위로서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단위, 에틸렌-2, 6-나프탈레이트 단위 또는 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단위를 70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몰%이상, 또 가장 바람직하게는 90몰% 이상 함유한다.
폴리에스테르의 중합도가 과도하게 낮으면 생성된 필름은 기계적 강도가 불충분하다. 그러므로 폴리에스테르는 0.4이상,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2, 보다 바람직하게는 0.55 내지 0.85의 고유 점도를 갖는것이 바람직하다.
필름이 폴리에스테르로 형성되면, 폴리에스테르는 필름간 또는 필름과 금속 로울간의 미끄럼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물질로서 폴리에스테르에 불활성인 미립자를 적당량 함유하도록 제조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사용될 폴리에스테르는 이러한 불활성 미립자를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이러한 불활성 미립자가 필름에 함유되면 수득된 필름의 색조 및 은폐성의 바람직한 제어에 지장을 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수득된 필름에 요구되는 색조 및 은폐성에 악영향이 없는한 불활성 미립자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여도 아무 문제가 없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여 필름을 제조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3 내지 300㎛ 직경을 갖는 미세 독립 기포를 함유하는 필름층(이하 A층이라 한다)의 1면 또는 양면에 미세 독립 기포를 거의 함유하지 않는 필름층(이하 B층이라 한다)을 적층하는데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A층은 0.40 내지 1.30g/㎤, 바람직하게는 0.50 내지 1.20g/㎤의 밀도를 가져야하고, B층은 1.30g/㎤ 이상, 바람직하게는 1.35 내지 1.50g/㎤의 밀도를 가져야 한다. A층의 밀도가 1.30g/㎤을 초과하면 독립 기포의 함유량이 적어 필름의 자체 중량에 의한 늘어짐 노화를 방지하는 효과가 더이상 기대되지 않는다. 한편 0.40g/㎤ 미만이면 형성된 필름의 기계적 강도가 현저히 낮아 바람직하지 않다. B층의 밀도가 1.30g/㎤ 미만이면, 적층 필름의 표면 평활성이 악화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은 상술한 요건을 만족할 필요가 있다. 또한 A층의 두께는 10 내지 500㎛ 범위가 바람직하고 또 B층의 두께는 0.5 내지 100㎛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한 A층의 두께는 B층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또는 그 이상이다. B층의 두께가 A층보다 두꺼우면, 적층 필름의 밀도가 전체적으로 증가하여 필름 자체 중량에 의한 늘어짐 노화를 방지하는 효과가 더 이상 발휘되지 않는다. 한편 B층의 두께가 0.5㎛ 미만이면, 적층 필름의 표면 평활성의 개량이 불충분해서 바람직하지 않다.
A층 및 B층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적어도 1축 연신된 것이 필요하다. 연신 배율은 면적 배율로 4 내지 25배, 바람직하게는 9 내지 20배이다(1축 연신의 경우, 미연신 방향으로의 연신 배율은 1배로 가정됨). 미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공지된 바와 같이 기계적 강도가 불충분하기 때문에 연신이 필요하다.
A층 및 B층에 대한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은 필름이 이들 요건을 만족하는한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미세 기포를 함유하는 A층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예를들어 일본국 특개소 제 50-38765(1975)호, 일본국 특공소 제 57-46456(1982)호에 재된 바와 같은 가스 또는 기화 가능한 물질을 첨가하는 방법; 일본국 특개소 제 52-43871(1977)호 및 일본국 특공소 제 58-50625(1983)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화학적 분해에 의해 가스를 발생할 수 있는 물질을 첨가하는 방법; 및 일본국 특개소 제 51-34963(1976)호 및 일본국 특공소 제 52-27666(1977)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필름 형성 물질을 용매에 용해 가능한 물질화 혼합하고 생성한 혼합물을 필름 형태로 성형하고 또 용매에 필름을 함침시켜 필름으로부터 물질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들 방법중 어떤 방법을 임의로 채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방법중 어떤 방법을 임의로 채용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는 할 수 없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세 기포질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자들이 먼저 제안한 일본국 특개소 제 63-168441(1988)호 및 동 제 63-193938(1988)호에 기재된 방법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방법은 폴리에스테르를 특정 폴리프로필렌과 혼합하고, 생성한 혼합물을 쉬트 형태로 압출하며 쉬트를 적어도 1축 방향으로 연신하여 필름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이들 방법을 채용하면 미세 독립 기포를 다수 함유한 밀도 0.40 내지 1.30g/㎤의 폴리에스테르 필름(A층)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들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방법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와 혼합되는 폴리프로필렌은 적어도 95몰%, 바람직하게는 98몰%의 프로필렌 단위를 갖는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동종중합체이다. 사용된 폴리프로필렌이 부정형이면, 그로부터 형성된 무정형 쉬트는 프로필렌이 쉬트 표면에 블리딩 아웃(bleeding out)되고, 냉각 드럼과 연신 로울등의 표면을 오염시키게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폴리프로필렌이 에틸렌 단위와 같은 단위를 공중합에 의해 5몰% 이상 함유하면, 최종적으로 수득된 연신 필름이 충분한 양의 미세 독립 기포를 함유하지 못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폴리프로필렌의 응용 유동 지수(melt flow index, 이하 "M.F.I"라 칭함)는 0.2 내지 120g/10분,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0g/10분 범위에 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M.P.I가 0.2g/10분 미만이면, 형성된 기포가 너무 크게 되어 연신시 쉬트의 파단이 빈발하다. 한편 M.F.I가 120g/10분을 초과하면 텐터(tenter)에 의한 연신시 쉬트가 클립을 벗기게 된다. 따라서 M.F.I가 정의된 범위에서 조금이라도 벗어나면 필름형성 특성을 악화시키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폴리프로플렌의 혼합량은 폴리에스테르를 기준해서 4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 중량% 범위내에 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혼랍량이 4중량% 미만이면, 미세 기포의 함량이 충분하지 않고, 한편 이 혼합량이 30 줄양%를 초과하면 성형된 쉬트가 연신시에 파단을 일으키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이와 같이, 이 방법에서는 특정 폴리프로필렌을 폴리에스테르와 혼합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 방법에서는 성형 쉬트를 적어도 1축으로 연신시킬 필요가 있다. 이 연신 공정은 상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필름에 기계적 강도를 충분하게 부여하기 위해서 뿐아니라 폴리에스테르를 폴리프로필렌과 혼합하는 것에 의해서가 아니라 혼합 공정을 연신 공과 결합할 때에만 폴리에스테르 미세 독립 기포를 쉬트에 부여하기 위해서이다. 이 연신 공정은 특수한 조작을 필요로하지 않는 통상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는 조건과 동일한 조건에서 실행될 수 있다.
즉 M.F.I가 0.2 내지 120g/10분인 폴리프로필렌 3 내지 40 중량%를 폴리에스테르와 혼합시켜 제조한 원료를 압출기에 의해 250℃ 내지 300℃에서 응용시키고 다이로부터 쉬트로 압출시킨다음 약 70℃ 이하로 냉각시켜 실질적으로 무정형 쉬트를 수득한다. 이 쉬트를 종방향 및/또는 횡방향으로 면적 배율로 4 내지 25배, 바람직하게는 9 내지 20배(1축 연신의 경우, 미연신 방향으로의 연신 배율은 1배로 가정함) 연신시키고 120℃ 내지 250°에서 열처리한다. 이렇게하여 밀도가 0.40 내지 1.30g/㎤인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필름(A층)을 수득한다.
미세 독립 기포를 거의 함유하지 않는 폴리에스테르(B층)을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일본국 특공소 제 30-5639(1955)호에 기재된 방법과 같은 공지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즉 통상의 폴리에스테르 원료를 사용하여 250℃ 내지 320℃에서 쉬트 형태로 응용압출하고, 이 쉬트를 40 내지 80℃로 냉각 고화시켜 실질적으로 무정형 쉬트로 한 후 종방향 및 또는 횡방향으로 면적 배율로 4 내지 25배, 바람직하게는 9 내지 20배로 연신시킨다음 120 내지 250℃에서 열처리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A층 B층을 적층하지만 적응하는 방법은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의 하나인 필름 표면의 접착성을 개량하기 위해서는 각각 별도로 제조된 A층 및 B층을 접착층을 통하여 적층시킬 수 있다. 이와달리 A층을 재조하는 공정 공정 내에서 B층을 A층상에 적층하기위해 용융 압출시킬 수 있다. 생산성 측면에서 공압출에 의한 적층 방법이 보다 바람지가다. 즉 이 방법은 A층을 형성하는 원료와 B층을 형성하는 원료를 각각 개별의 압출기로 용융시키고, 이어서 이 두 물질을 하나의 다이로 도입하며 용융상태의 A층 및 B층을 슬릿 형태로 공압출시켜 적층 쉬트를 수득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을 채용하면 A층 및 B층간의 열수축을 차를 재거할 수 있어서 각종 가공 공종중에서의 열 이력에 의한 커얼링(curling)과 같은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A층만의 연신 공정에서 필름이 파단되는 문제가 있으나 A층을 B층과 함께 연신하는 것에 의하여 필름 파단을 억재할 수 있게되어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특히 바람직하게 이용되는 공압출을 이용하는 제조방법을 보다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A층, 즉 미세 독립 기포를 함유하고 밀도가 0.40 내지 1.30g/㎤인 필름층을 형성하는 원료로서는 폴리에스테르 및 특정 폴리프로필렌 3 내지 40중량%의 혼합물을 사용하고 또 B층, 즉 독립 기포를 전혀 함유하지 않고 밀도가 1.30g/㎤이상인 필름층을 형성하는 원료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통상의 폴리에스테르가 사용된다. 이들 원료는 각각의 압출기에 장입되어 250 내지 320℃에서 용융된다. 이 용융물질을 파이프를 통하여 1개의 다이에 공급하고, B층을 형성하는 용융 원료를 A층의 1면 또는 양면에 적층하고, 용융 상태의 슬릿 형태로 압출한 다음 약 70℃이하로 냉각시켜 실질적으로 무정형인 A층 및 B층을 구성된 적층쉬트를 수득한다. 이렇게 수득한 적층 쉬트를 종방향 및/또는 횡방향으로 면적 배율로 4 내지 25배, 바람직하게는 9 내지 20배 연신시킨 후 120 내지 250℃에서 열처리시킨다. 이 방법에서는 각각의 압출기의 압출양을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A층과 B층의 두께의 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으로 제조된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 있어서 적층 필름의 밀도는 0.50 내지 1.37g/㎤, 바람직하게는 0.70 내지 1.35g/㎤이고 B층의 표면상에서 중심선 평균 표면 조도(Ra)는 0.05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6㎛이며, 또 공기 누출 지수는 1000 내지 10000초, 바람직하게는 2000 내지 8000초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만족시키는 한 각종 첨가제가 사용 목적에 따라서 부가될 수 있다. 첨가재의 에로는 항산화제, 대전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염료, 안료, 윤활제, 맷트화제, 형광증백제 및 개멸활설제등을 들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적절한 방법으로 필요량의 첨가제를 부가할 수 있다.
용도에 따라서 각종 특성, 예를들어 박리성, 대전 방지 특성 및 미끄럼 특성과 같은 표면 특성을 개량하기 위해 필름을 각종 표면 처리시킬 수 있다.
이러한 표면 처리로서는 예를들어 프라이머(primer) 도포 처리, 화염처리, 용매처리, 코로나 방전처리, 플라즈마 처리, 이온 플레이팅 처리, 자외선 처리, X-선 처리 및 샌드 블라스트(sand blast) 처리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처리는 필요에 따라서 적당한 정도로 적당시기에 본 발명의 필름 1면 또는 양면에 제공될 수 있다. 이들 표면 처리를 복수 선택할 수도 있다. 필름의 양면에 표면 처리시키는 경우 처리형태는 동일하거나 상여할 수 있다.
이하 비제한적인 실시예로써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언급된 여러가지 물리적 특성은 하기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1) 필름 밀도(g/㎤)
적층 필름의 임의의 부분으로부터 5점을 샘플링하였다. 각 샘플에 대하여 단위 채적당 중량을 구하고, 그 평균치를 적층 필름의 밀도로 하였다. 적층 필름의 단면에서 A층 및 B층의 두께를 현미경으로 측정하였다. 이후 적층 필름 표면상의 B층을 마이크로톰(microtome)으로 절단하고 A층 및 B층의 단위체적당 중량을 구하여 각층의 밀도를 산출하였다.
(2) 표면 조도, Ra(㎛)
고사까 겐뀨쇼 리미터드가 "SE-3F"형으로 시판하고 있는 표면 조도시험기를 사용하여 일보 공업규준(JIS)B-0601-1976의 방법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측정 조건으로는 촉침 직경 2㎛, 촉침 접촉 압력 30mg, 컷 오프(cut off)치 0.8mm 및 측정 길이는 2.5mm이었다. 필름의 12지점에서 측정하여 최대값 및 최소값을 제외한 10개값의 평균치를 구하였다. 이 평균값을 중심선 평균 표면 조도 Ra로 하였다.
(3) 공기 누출 지수(초)
도요 세이끼 세이사꾸쇼 리미티드가 "No. 165"형으로 시판하고 있는 백(Back) 표면 활성도 시험기를 사용하고, JIS P-8119-1976의 방법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이 수치가 클수록 필름 표면이 더 평활하다. 필름의 3점에서 측정하여 그 평균치를 공기누출 지수로 하였다.
(4) 잉크 접착성의 평가
필름의 표면에 소정의 잉크를 #8바아 코터로써 고체 도포하고 80℃에서 2분간 잉크층을 건조시켜 잉크 인쇄층을 형성시킨다. 이렇게 제조된 샘플을 23℃ 및 50%RH에서 하루밤동안 방치시킨다. 그후 잉크인쇄면 상에 나치반 컴페니 리미티드의 접착 테이프를 붙이고 한쪽 끝에서부터 순간저그로 박리시키는 소위 접착 박리 시험을 실행하였다. 동시에 잉크 인쇄층과 필름간의 접착 강도를 이하의 5개 등급으로 목측 평가하였다.
5 : 필름으로부터의 잉크 인쇄층이 전혀 박리되지 않음
4 : 필름으로부터의 잉크 인쇄층의 극히 일부가 박리됨
3 : 필름으로부터의 잉크 인쇄층의 일부가 박리됨.
2 : 필름으로부터의 잉크 인쇄층이 거의 박리되고, 극히 일부만 남음.
1 : 필름으로부터의 잉크 인쇄층이 전면 박리되어 전혀 남지않는다.
(5) 필름 형성 특성의 평가
무정형 쉬트를 종방향으로 연신한 후 텐터로써 횡연신을 행할때의 필름의 파단 상황을 관찰한다. 연신 단계 또는 열처리시 필름 파단이 빈발하면 X로하고 또 파단이 거의 발생하지 않으면 양호한 생산성을 가지므로 0으로 평가하였다.
[실시예 1]
M.F.I가 4.5인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칩 20 중향%를 고유점도(이하 (n)이라 칭함)가 0.64인 폴리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 칩과 균일하게 혼합하여 제조한 원료 A'와 평균 입경 0.3㎛의 이산화티탄 입자를 5중량% 함유하는 (n)0.66의 폴리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 칩 원료 B'를 각각 개별의 압출기로써 290℃에서 용융시켰다. 이 용융 물질을 1개의 다이에 도입하고 원료 B'가 외층을 형성하고 원료 A'가 그 사이의 중간층이 되도록 40℃의 냉각 드럼상에서 적층 슬릿 형태로 공압출시켜 약 0.6mm두께의 미연신 3층 적층 쉬트를 수득하였다. 이 쉬트를 95℃에서 종방향으로 3배 연신하고 또 110℃에서 횡방향으로 3.2배 연신한 다음 220℃에서 5초간 열처리시켜 두께가 100㎛이고 밀도가 0.82g/㎤인 백색의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수득된 필름은 두께가 900㎛이고 밀도가 0.75g/㎤이며 미세 독립 기포를 다수 함유하는 중간층(A층) 및 두께가 5㎛이고 밀도가 1.42g/㎤인 양회층(B층)을 갖는다.
적층 필름의 Ra는 0.37㎛였고, 공기 누출 지수는 4100초이었다. 이것은 이하에 설명될 비교예 1에서 수득된 필름의 표면 평활성보다 더 우수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 필름의 잉크 접착 특성은 계량되었고 그 평가는 폴리에스테르용 잉크에 대해 5, 셸로칼러잉크에 대해 3 및 UV스크린 잉크에 대해 2이었다.
그러므로 실시예 1에서 수득된 필름은 비교예 1에서 수득된 필름에 비하여 필름의 표면 특성 및 접착성이 우수할뿐 아니라 필름 형성시의 파단이 거의 없어 생산성이 극히 향상된 것이었다.
[실시예 2]
원료 A'에 혼합된 폴리프로필렌의 양을 10 중향%로 변경하고 또 원료 B'로서 이스프탈산 5몰%와 공중합된 (n) 0.67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하는 외에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3층 적층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 3층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있어서, A층의 두께는 44㎛이고 밀도는 0.95g/㎤이며, B층의 두께는 3㎛이고 밀도는 1.39g/㎤이며 또 전체 필름의 두께는 50㎛이었다. 적층 필름의 Ra는 0.30㎛이고, 공기 누출 지수는 5900초이며 이 필름의 잉크 접착 특성은 폴리에스테르용 잉크에 대해 5, 셜로칼러잉크에 대해 5, UV 스크린 잉크에 대해 3이었다. 그러므로 이 필름은 표면 평활성 및 접착성이 탁월하였다.
[실시예 3]
원료 A'에 혼합된 폴리프로필렌의 양을 25 중량%로 변경하고 평균입경 0.6㎛의 황산바륨을 5 중량% 함유하는 (n)0.62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원료 B'로서 사용하는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바업으로 3층 적층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 3층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있어서 A층의 두께는 230㎛이고 밀도는 0.68g/㎤이며, B층의 두께는 35㎛이고 밀도는 1.39g/㎤이며, 또 전체 필름의 두께는 300㎛이었다. 이 적층 필름의 Ra는 0.25㎛이고, 공기 누출 지수는 5200초이며 이 필름 잉크 접착성은 실시예 1과 동일하였다. 그러므로 이 필름은 실시예 1에서의 필름의 표면 평활성 및 접착성이 동일하게 우수하였다.
[실시예 4]
동일한 원료 A' 및 B'를 공압출시켜 미연신 2층 적층 쉬트를 수득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2층 적층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 2층 적층 필름에서, A층은 두께 6㎛, 밀도가 0.73g/㎤이며, B층은 두께 6㎛, 밀도 1.42g/㎤이고 또 전체 필름의 두께는 12㎛이었다. 이 적층 필름의 B층의 Ra는 0.42㎛이고, 공기누출지수는 4500초이며 또 이 필름의 잉크 접착 특성은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하게 양호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행한 원료 A' 및 원료 B'의 공압출 대신 원료 A'의 단층 필름을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최종적으로 미세 독립 기포를 다수 함유하고 두께가 100㎛이며 밀도가 0.75g/㎤인 A층으로된 백색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수득하였다. 이 적층 필름의 Ra는 0.78㎛이고, 공기누출지수는 950초이며 필름의 잉크 접착 특성은 폴리에스테르용 잉크에 대해 2, 셜로칼러잉크 및 UV스크린 잉크 모두에 대해 1이었다.
그러므로 이 필름은 표면 평활성 및 접착성이 모두 열등하였다.
[비교예 2]
원료 A'에 혼합된 폴리프로필렌의 양을 3 중량%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을 제조하였다. 최종적으로 3층의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에서 A층은 두께 8㎛, 밀도 1.32g/㎤이고, B층은 두께 21㎛, 밀도 1.43g/㎤이며 또 전체 필름 두께는 50㎛이었다. 이 적층 필름의 Ra는 0.17㎛이고, 공기누출지수는 7200초이었다. 그러므로 이 필름은 탁월한 표면 조도를 갖지만 A층의 밀도가 1.32g/㎤만큼 크기 때문에 필름의 전체 밀도가 1.41g/㎤으로 되어 필름의 경량화가 달성되지 않았다.
[비교예 3]
원료 A'에 혼합된 폴리프로필렌의 양을 35 중량%로 변경하고, 이산화티탄 10 중량%를 함유하는 (n) 0.63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원료 B'로서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을 반복하여 A층이 90㎛두께, 밀도 0.37g/㎤이며, B층이 두께 5㎛, 밀도 1.44g/㎤이고 전체 필름 두께가 100㎛이지만 연신시판단이 제거되지 않아 생산성이 극히 열등한 3층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4]
원료 B'로서 M.F.I 10g/10분의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5 중량%를 함유하는 (n) 0.62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하는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을 제조하였다. 최종적으로 A층이 80㎛두께, 072g/㎤밀도이고 B층이 110㎛두께, 1.23g/㎤밀도이며 필름 전체 두께가 300㎛인 3층 적층 필름을 수득하였다. 이 적층 필름의 Ra는 0.53㎛이고, 공기 누축 지수는 1300초이었다. 따라서 표면 특성이 개선되지 않았을 뿐 아니라 접착성은 비교예 1과 같이 열등하였다.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의 특성 평가 결과를 하기 표 1에 집합해서 나타낸다.
[표 1]
Figure kpo00001

Claims (6)

  1. 미세 독립 기포를 함유하고 밀도가 0.40 내지 1.30g/㎤인 1축 또는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필름의 1면 또는 양면에 적층된 1.30g/㎤이상이 밀도를 갖는 1축 또는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포함하는 적층 필름.
  2. 제1하에 있어서, 밀도가 0.40 내지 1.30g/㎤인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폴리에스테르 및 이 폴리에스테르를 기본하여 3 내지 40 중량%의 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적층 필름.
  3. 제2항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이 0.2 내지 120g/10분의 용융 유동지수를 갖는 적층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적층 필름의 밀도가 0.50 내지 1.37g/㎤인 적층 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적층 필름의 공기 누출 지수가 1000 내지 10000초인 적층 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1.30g/㎤이상의 밀도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표면에서 중심선 평균 표면 조도가 0.05 내지 1.0㎛인 적층 필름.
KR1019890013446A 1988-09-19 1989-09-18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KR9600052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233892 1988-09-19
JP63233892A JPH0622962B2 (ja) 1988-09-19 1988-09-19 積層フィルム
JP88-233892 1988-09-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4505A KR900004505A (ko) 1990-04-12
KR960005297B1 true KR960005297B1 (ko) 1996-04-23

Family

ID=16962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3446A KR960005297B1 (ko) 1988-09-19 1989-09-18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0360201A3 (ko)
JP (1) JPH0622962B2 (ko)
KR (1) KR9600052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7098B2 (ja) * 1989-08-17 1995-04-26 東レ株式会社 積層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EP0582750A1 (en) * 1992-08-11 1994-02-16 Agfa-Gevaert N.V. Photographic material with opaque polyester film support
WO1994004961A1 (en) * 1992-08-11 1994-03-03 Agfa-Gevaert Naamloze Vennootschap Opaque polyester film support for photographic material
GB9227031D0 (en) * 1992-12-29 1993-02-24 Ici Plc Polymeric sheet
US5626942A (en) * 1993-05-05 1997-05-06 Toray Industries, Inc. Polyester film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TW258692B (ko) * 1993-09-14 1995-10-01 Toyo Boseki
DE19549683B4 (de) * 1994-11-02 2010-02-11 Toyo Boseki K.K. Polyesterfolie mit feinen Hohlräumen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S6004664A (en) * 1994-11-02 1999-12-21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Film having fine voids and manufacture thereof
EP0795399A1 (en) * 1996-03-12 1997-09-17 Mitsubishi Polyester Film Corporation Laminated polyester film
US6136420A (en) * 1996-03-12 2000-10-24 Mitsubishi Polyster Film Corporation Laminated polyester film
DE69804392T3 (de) * 1997-08-12 2006-08-31 Mitsubishi Polyester Film Corp. Polyesterfilm, enthaltend feine Zellen
EP0933199A1 (en) * 1998-01-20 1999-08-04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Low pigment content polyester film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DE10009295A1 (de) 2000-02-28 2001-08-30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Weisse, biaxial orientierte, schwer entflammbare Polyesterfolie mit Cycloolefincopolymer,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10009286A1 (de) 2000-02-28 2001-08-30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Weisse, biaxial orientierte, schwer entflammbare und UV-stabilisierte Polyesterfolie mit Cycloolefincopolymer,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10009246A1 (de) 2000-02-28 2001-08-30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Weiße, biaxial orientierte und UV-stabilisierte Polyesterfolie mit Cycloolefinocopolymer (COC),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10011652A1 (de) 2000-03-10 2001-09-13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Biaxial orientierte Polyesterfolie mit hohem Weißgra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10022942A1 (de) 2000-05-11 2001-11-15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Weisse, zumindest einseitig matte, biaxial orientierte Polyesterfolie mit Cycloolefincopolymer,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10026177A1 (de) 2000-05-26 2001-11-29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Weiße, hochglänzende Polyesterfolie enthaltend Cycloolefincopolymer (COC),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10035328A1 (de) 2000-07-20 2002-01-31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Opake Polyesterfolie enthaltend Cycloolefincopolymer (COC) mit guter Oberflächenhaftung,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10036400A1 (de) * 2000-07-26 2002-06-06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Weiße, biaxial orientierte Polyesterfolie
US6537656B1 (en) 2000-11-28 2003-03-25 Eastman Kodak Company Foam core imaging member
US6447976B1 (en) 2000-11-28 2002-09-10 Eastman Kodak Company Foam core imaging element with improved optical performance
US6514659B1 (en) 2000-11-28 2003-02-04 Eastman Kodak Company Foam core imaging member with glossy surface
EP1393898B2 (en) 2001-04-19 2012-11-21 Toray Industries, Inc. White laminate polyester film and receiving sheet for thermal transfer recording using i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37458A (en) * 1968-12-27 1972-01-25 Du Pont Microcellular foam sheet
GB1415686A (en) * 1972-10-24 1975-11-26 Ici Ltd Voided films
JPH0717777B2 (ja) * 1987-02-05 1995-03-01 ダイアホイルヘキスト株式会社 微細気泡含有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2744948B2 (ja) * 1987-07-15 1998-04-28 ダイアホイルヘキスト 株式会社 塗布層を有する微細気泡含有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622962B2 (ja) 1994-03-30
KR900004505A (ko) 1990-04-12
JPH0280247A (ja) 1990-03-20
EP0360201A2 (en) 1990-03-28
EP0360201A3 (en) 1991-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5297B1 (ko)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EP0053498B1 (en) Polyester laminated film
EP1529635A1 (de) Peelfähige Polyesterfolie mit verbesserter Sauerstoffbarrier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JPH0220417B2 (ko)
JP2004224051A (ja)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WO2004108408A1 (ja) 積層フィルムおよび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20040091591A (ko) 공압출, 열시일성, 필러블 폴리에스테르 필름, 그 제조방법 및 그 용도
JPH11221894A (ja) 二軸延伸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及びその使用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
JP2004224050A (ja)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320789A (ja) 2軸延伸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その使用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
KR20040091576A (ko) 공압출, 열시일성 및 필러블 폴리에스테르 필름, 그 제조공정 및 그 용도
JPH11309826A (ja) 二軸延伸共押出し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磁気テ―プ
JP2004130812A (ja) 二軸延伸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法ならびにその使用
JP2004130811A (ja) 二軸延伸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法ならびにその使用
JP2002307634A (ja) 透明二軸延伸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0067917A (ko) 산소차단성이 개선된 폴리(m-크실렌아디프아미드) 함유외층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그 제조방법 및 용도
KR20040067918A (ko) 산소차단성이 개선된 폴리(m-크실렌아디프아미드) 함유기저층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그 제조방법 및 용도
JP2004130813A (ja) 二軸延伸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法ならびにその使用
JP3912556B2 (ja) 微細空洞含有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JPH04278345A (ja) 磁気テープ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20060048565A (ko) 폴리(m-크실렌아디파미드)를 포함하는 금속화된 또는세라믹 코팅된 폴리에스테르 필름
JP2000071408A (ja) 二軸延伸共押出し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磁気テ―プ
JPH0481806B2 (ko)
KR101011290B1 (ko)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JP2002029016A (ja) 白色積層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14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