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5066Y1 - 차량용 엔진오일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엔진오일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5066Y1
KR960005066Y1 KR2019940019341U KR19940019341U KR960005066Y1 KR 960005066 Y1 KR960005066 Y1 KR 960005066Y1 KR 2019940019341 U KR2019940019341 U KR 2019940019341U KR 19940019341 U KR19940019341 U KR 19940019341U KR 960005066 Y1 KR960005066 Y1 KR 9600050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plunger
discharge device
engine oil
oil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93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5408U (ko
Inventor
안운상
Original Assignee
현대정공 주식회사
류기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정공 주식회사, 류기철 filed Critical 현대정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400193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5066Y1/ko
Publication of KR9600054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4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50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0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4Filling or draining lubricant of or from machines or engines
    • F01M11/0408Sump drainage devices, e.g. valves, plu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4Filling or draining lubricant of or from machines or engines
    • F01M11/0408Sump drainage devices, e.g. valves, plugs
    • F01M2011/0416Plu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차량용 엔진오일 배출장치
제1도는 오일팬의 요부가 표현될 사시도.
제2도는 엔진의 요부가 표현된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엔진오일 배출장치의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오일팬 20 : 몸체부
21 : 오일통로 22 : 공간부
23 : 플런저 24 : 코일스프링
25 : 마그네틱코일 30 : 케이스
본 고안은 차량용 엔진오일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오일팬과 연통하는 오일통로를 형성하고 오일통로를 밸브수단으로 개폐하여 엔진오일을 배출하는 차량용 엔진오일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엔진오일을 교체하기 위하여 기존의 오일을 배출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하부(미도시)에 장착된 오일팬(1)의 오일 배출용 볼트(2)를 풀어 오일을 제거하는 방법과, 제2도와 같이 오일 레벌 게이지(Oil Level Gauge)(3)를 분리하고 그 구멍에 흡입호스(미도시)를 삽입하여 오일을 흡입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오일팬(1)의 오일 배출용 볼트(2)를 풀어 오일을 제거하는 방법은 오일팬(1)이 엔진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는 관계로 오일제거시에는 차량을 들어 올려 오일 배출용 볼트(2)를 풀 수 있는 정비장소에서 오일을 제거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오일팬(1)의 오일 배출용 볼트(2)를 주기적으로 착탈하는 분리작업으로 인하여 부품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흡입호스(미도시)를 이용하는 방법은 흡입할 수 있는 전용장비가 따로 있어야 하며, 흡입호스를 삽입시에는 흡입호스가 유동방지 칸막이판에 걸리게 되므로 하단부의 오일제거가 불가능하게 되고 금속 가루성분과 점도가 변한 잔류오일이 남게 되어 오일변질과 엔진고장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오일팬의 하측부에 오일통로가 개폐되도록 배출장치를 결착함으로서 극히 간편하면서도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는 차량용 엔진오일 배출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엔진오일 배출장치는 오일팬의 하측부에 결착되고 오일통로가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어 오일통로를 개폐할 수 있는 밸브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엔진오일 배출장치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미도시)의 하부에 장착되어 있는 오일팬(10)과, 오일팬(10)의 하측부에 결착되고, 오일통로(21)가 형성된 몸체부(20)와,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어 오일통로(21)를 개폐할 수 있는 밸브수단과, 상기 밸브수단을 외부에서 씌우는 케이스(30)로 구성된다.
상기 오일팬(10)은 하측부에 구멍이 형성되고 그 구멍에는 내측에 나선이 형성된 중공슬리이브(12)가 결착되어 있다.
상기 몸체부(20)는 그 전방에 나선돌출부(28)가 형성되어, 그 나선돌출부(28)가 상기 오일팬(10)에 결착된 중공슬리이브(12)에 나사결합되어 있고 상기 오일통로(21)는 끝부위가 하측으로 구부러져 있으며 오일통로(21)의 구부러진 부위의 상측에 공간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간부(22)에는 플런저(23)가 삽입되고 플런저(23)의 전방부는 점차 단면이 축소되어 오일통로(21)의 구부러진 부위에 삽입가능토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플런저(23)의 상측에는 코일스프링(24)이 설치되어 플런저(23)의 상면과 일단이 접촉되게 된다. 또한, 상기 코일스프링(24)은 공간부(22)의 외벽 사이에 설치되는 중공의 원통구(26)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플런저(23)가 삽입되는 공간부(22)의 외측에는 다수의 코일층이 형성된 마그네틱코일(2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원통구(26)와 몸체부(20)의 공간부(22)외벽 사이에는 오일링(27)이 설치되어 상기 공간부(22)의 외벽과 원통구(26)의 외측사이로 새는 오일을 막아주게 된다.
상기 마그네틱코일(25)의 외부에는 케이스(30)가 형성되어 마그네틱코일(25)을 보호하며 중앙 내측에는 일단이 단턱지게 전방으로 돌출되는 지지축(31)이 형성되어 상기 코일스프링(24)을 감싸는 원통구(26)의 상단부를 압박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오일을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에 스위치(미도시)을 작동시키면 마그네틱코일(25)에 전류가 흐르고 자장이 발생되며 이 발생된 자성은 플런저(23)에 전달되어 상기 플런저(23)를 상부로 이동시킴으로서 오일통로(21)를 개방하게 된다.
전류를 차단하게 되면 자장이 없어져 코일스프링(24)의 탄성력에 의해 플런저(23)는 처음위치로 복귀되어 오일통로(21)를 막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엔진오일 배출장치는 마그네틱코일과 플런저를 이용하여 오일통로를 개폐하므로서 흡입호스등의 전용설비 및 인원이 별도로 필요치 않으면 부품파손을 방지하면서 엔진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5)

  1. 오일팬(10)의 하측부에 결착되고 오일팬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오일통로(21)가 형성된 몸체부(20)와, 상기 몸체부(20)에 설치되어 오일통로(21)를 개폐할 수 있는 밸브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엔진오일 배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수단은 몸체부(20)의 오일통로(21)와 연통되게 형성된 공간부(22)에 삽입된 플런저(23)와, 상기 플런저(23)의 상측에 설치되는 스프링(24)과, 플런저(23)가 삽입된 공간부(22) 외측에 설치된 마그네틱코일(2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엔진오일 배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23)는 전방부가 점차 단면적이 축소되도록 형성되어, 오일통로(21)는 플런저(23) 전방부가 위치되는 분위에서 구부러져 상기 플런저(23)의 전방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엔진오일 배출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24)은 플런저(23)가 설치된 공간부(22)의 외벽 사이에 설치되는 중공의 원통구(26)내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엔진오일 배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구(26)와 몸체부(20)의 공간부(22) 외벽 사이에는 오일링(27)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엔진오일 배출장치.
KR2019940019341U 1994-07-30 1994-07-30 차량용 엔진오일 배출장치 KR9600050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9341U KR960005066Y1 (ko) 1994-07-30 1994-07-30 차량용 엔진오일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9341U KR960005066Y1 (ko) 1994-07-30 1994-07-30 차량용 엔진오일 배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5408U KR960005408U (ko) 1996-02-16
KR960005066Y1 true KR960005066Y1 (ko) 1996-06-21

Family

ID=19389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9341U KR960005066Y1 (ko) 1994-07-30 1994-07-30 차량용 엔진오일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506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5408U (ko) 1996-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98098A (en) Oil filter housing including a valved drain opening
US7507339B2 (en) Self-draining oil filter adaptor
KR930003920B1 (ko) 상호결합된 원격 오일필터 및 배출시스템
KR960005066Y1 (ko) 차량용 엔진오일 배출장치
KR101994888B1 (ko) 가공배전선 지지를 위한 고정장치
KR200394154Y1 (ko) 엔진오일 드레인장치
KR101182563B1 (ko) 오일필터 헤드의 드레인밸브
JP4136585B2 (ja) 燃料タンクの部品取付け構造
US20110315273A1 (en) Single point lube service port component
KR100211336B1 (ko) 엔진 오일팬의 드레인콕크
KR101998588B1 (ko) 배전 및 변전용 피뢰기 설치기구
KR100254562B1 (ko) 오일팬 드레인 플러그
KR20090052257A (ko) 자동차용 오일필터의 드레인 밸브
KR200187773Y1 (ko) 기름받이통의불순물제거장치
KR200247304Y1 (ko) 전기압력 보온밥솥의 솔레노이드 구조
KR19990039486A (ko) 엔진 오일 팬의 오일 배출 장치
KR19980077938A (ko) 자동차용 엔진의 오일팬 드레인구조
KR970044212A (ko) 오일팬의 폐 오일 제거장치
RU2172883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лива жидкости
RU2031255C1 (ru) Внутрибаковый насосный узел
KR19980051793A (ko) 리저버 탱크의 드레인장치
KR200154085Y1 (ko) 간이주유펌프
KR100300715B1 (ko) 오일팬내부의오일유동시스템
KR100563233B1 (ko) 밸브디스크의 표면코팅방법
JP2814088B2 (ja) フロー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