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4582Y1 - 칠판틀체 - Google Patents

칠판틀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4582Y1
KR960004582Y1 KR2019940022841U KR19940022841U KR960004582Y1 KR 960004582 Y1 KR960004582 Y1 KR 960004582Y1 KR 2019940022841 U KR2019940022841 U KR 2019940022841U KR 19940022841 U KR19940022841 U KR 19940022841U KR 960004582 Y1 KR960004582 Y1 KR 9600045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s
blackboard
side walls
wall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28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0292U (ko
Inventor
장창호
Original Assignee
한국흑판교재 주식회사
장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흑판교재 주식회사, 장창호 filed Critical 한국흑판교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400228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4582Y1/ko
Publication of KR9600102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029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45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45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0Repeatedly-usable boards or table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4Blackboards

Landscapes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칠판틀체
제1도는 본 고안이 설치된 다기능 칠판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 측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 요부를 발췌한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칠판틀체 20 : 고정칠판
30 : 미닫이칠판 40 : 회전식칠판
110, 120 : 양측벽 130, 140 : 상, 하부벽
111, 121, 131, 141 : 격벽 112, 122, 132, 142 : 조립홈
133 : 가이드홈 143 : 가이드레일
150 : 연결부 151 : 모서리
152, 153 : 조립부 156 : 차단띠
154 : 연결편 155 : 단턱
본 고안은 일반적인 고정측판을 포함하여 미닫이칠판 및 회동식 칠판 등 여러가지 형태로 제작된 학습자료용 수개의 칠판을 하나의 틀체에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원하는 칠판을 개폐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다기능 칠판틀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칠판틀체를 구성하는 양측벽과 상, 하부벽을 알루미늄으로 압출성형하여 경량화하는 동시에 설정된 길이로 자유로이 절단하여 이음새없이 제작하고. 이들을 연결하는 각 모서리부에 합성수지재 연결부로 간단하게 연결하여 제작의 편리함을 제공하고자 안출한 칠판틀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정흑판을 포함하여 미닫이칠판 및 회동식칠판 등 여러가지 형태로 제작된 학습자료용 수개의 칠판을 하나의 틀체에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원하는 칠판을 개폐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다기능 칠판틀체는 목재로 제작하고 있다.
이러한 칠판틀체는 양측벽과 상, 하부벽을 목재로 제작한 뒤 사각틀을 형성하도록 각 모서리를 상호 연결되게 못으로 고정하거나, 모서리부를 조립구조로 가공하여 일체화되게 조립하여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칠판틀체는 다음과 같은 결점이 있다.
첫째, 그 재질이 목재이므로 중량이 무거워서 다루기가 어려워 제작이 불편하며, 둘째, 길이가 긴 상, 하부벽은 1개의 목재로 제작할 수 없이 2개 이상을 연결하여 제작하도록 되어 있어 외관상 보기 좋지 않았으며, 셋째, 미닫이칠판의 설치를 위하여 상부벽에는 가이드홈을 길이 방향으로 형성하여야 되며, 하부벽에는 가이드레일을 길이방향으로 고정설치되게 못등으로 박아야 되므로 이들 가이드홈과 가이드레일의 설치를 위한 작업의 필요로 제작공정이 복잡하게 되는 등의 결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칠판틀체를 구성하는 양측벽과 상, 하부벽을 일정한 두께를 가지도록 알루미늄으로 압출성형하여 칠판틀체의 규격에 따라 자유로이 절단하여 조립하도록 하고, 압출성형시 상부벽에는 미닫이칠판의 설치를 위한 가이드홈을, 하부벽에는 미닫이칠판의 설치를 위한 가이드레일이 형성되게 압출성형하여 주므로써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그 재질이 알루미늄재이므로 중량을 현저하게 경량화시킬 수 있어 다루기가 매우 편리하며, 양측벽과, 상, 하부벽의 연결부위인 모서리부를 별도의 합성수지재 연결부로 간단하게 끼워서 조립함으로써 제작공정의 현저한 단축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 제1도 내지 제4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써, 중앙부에 고정칠판(20), 양측에 각각 미닫이칠판(30)과 회전식칠판(40)이 설치되어 개폐되도록 사각형의 양측벽(110)(120)과 상, 하부벽(130)(140)으로 구성한 칠판틀체(10)에 있어서, 상기 양측벽(110)(120)과, 상, 하부벽(130)(140)은 설정된 두께를 가지면서 내부에 설정된 간격으로 격벽(111)(121)(131)(141)을 각각 형성하여 대략 단면상 직사각형의 조립홈(112)(122)(132)(142)이 각각 형성되게 알루미늄으로 압출성형한 뒤 설정된 길이로 절단하고, 양측벽(110)(120)과 상, 하부벽(130)(140)의 각 모서리부의 연결조립을 위하여 설정된 두께를 가지면서 ㄴ자형으로 형성되게 합성수지재로 연결부(150)를 형성한 뒤 상기 조립홈(112)(122)(132)(142)에 각각 끼워서 사각형의 칠판틀체(10)를 구성한 것이 본 고안의 특징이다.
상기 칠판틀체(10)의 상부벽(130)에는 미닫이칠판(30)의 슬라이딩을 위하여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133)을, 하부벽(140)에는 미닫이칠판(30)의 슬라이딩을 위하여 길이방향으로 가이드레일(143)을 각각 형성한다.
상기 연결부(150)는 ㄴ자형으로 형성된 양단에 합성수지원료의 절감과 경량화를 위하여 모서리(151)의 양측에만 조립부(152)(153)를 대략 직사각형으로 각각 형성하여 조립홈(112)(122)(132)(142)에 끼워 조립하고, 그 양측 조립부(152)(153)의 외측에는 연결편(154)으로 일체로 연결되게 하는 동시에 조립부(152)(153)와 모서리(151)의 경계부에 단턱(155)이 형성되게 하여 양측벽(110)(120)과 상, 하부벽(130)(140)의 연결조립시 외측면이 상호 일치하도록 한다.
또, 상기 연결부(150)의 모서리(151)의 내측 양단 양측에 각각 형성된 조립부(152)와 (153)를 차단띠(156)에 연결하여 양측벽(110)(120)과 상, 하부벽(130)(140)의 연결시 상호 맞닿는 부위의 틈새를 막아서 외관상 보기좋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칠판틀체(10)를 구성하는 양측벽(110)(120)과 상, 하부벽(130)(140)를 일정한 두께를 가지도록 알루미늄으로 압출성형하여 칠판틀체(10)의 규격에 따라 그 길이를 자유로이 절단하여 조립하도록 함으로써, 제작이 편리하고 외관이 미려하여 칠판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가 있는 것이며, 더욱이 재질을 중량이 현저하게 가벼운 알루미늄재로 제작하여 주므로써 조립시 다루기가 매우 편리하게 되는 것이다.
또, 압출성형시 상부벽(130)에는 미닫이칠판(30)의 설치를 위한 가이드홈(133)을, 하부벽(140)에는 미닫이 칠판(30)의 설치를 위한 가이드레일(143)이 형성되게 압출성형하여 주므로써, 종래와 같이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 가공공정을 감소시킬 수가 있는 것이며, 이로 인해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생산능률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또, 상, 하부벽(130)(140)의 가이드홈(133)과 가이드레일(143)을 일체형으로 압출성형하도록 함으로써 종래와 같은 별도의 홈의 가공 및 레일의 설치작업이 필요없이 작업공정을 단축시켜 생산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또, 양측벽(110)(120)과 상, 하부벽(130)(140)의 연결부위인 모서리부를 별도의 합성주지재 연결부(150)로 간단하게 끼워서 사각형의 칠판틀체(10)를 조립함으로써 조립공정의 단순화 및 단축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이때, 양측벽(110)(120), 상, 하부벽(130)(140) 및 연결부(150)를 조립할때, 양측벽(110)(120)과 상, 하부벽(130)(140)의 양단 조립홈(112)(122)(132)(142)에 모서리부를 구성하는 연결부(150)의 조립부(152)(153)를 각각 끼워주므로써 간단하게 사각틀체를 형성할 수가 있는 것이다.
양측벽(110)(120), 상, 하부벽(130)(140) 및 연결부(150)의 연결조립 후 각 외측면은 연결부(150)의 단턱(155)에 의하여 상호 동일한 면으로 일치되므로 칠판틀체(10)의 외관이 미려하게 보이게 되는 것이다.
또, 모서리부인 연결부(150)의 내측에 각각 형성된 차단띠(156)에 의하여 양측벽(110)(120)과 상, 하부벽(130)(140)의 연결시 상호 맞닿는 부위의 틈새를 막아서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칠판틀체를 구성하는 양측벽과 상하부벽을 일정한 두께를 가지도록 경량의 알루미늄으로 압출성형하여 칠판틀체의 규격에 따라 자유로이 절단하여 조립하도록 하고, 압출성형시 상부벽에는 미닫이칠판의 설치를 위한 가이드홈을, 하부벽에는 미닫이칠판의 설치를 위한 가이드레일이 형성되게 압출성형하여 주므로써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양측벽과 상, 하부벽의 연결부위인 모서리부를 별도의 합성수지재 연결부로 간단하게 끼워서 조립함으로써 제작공정의 현저한 단축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킬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중앙부에 고정칠판(20), 양측에 각각 미닫이칠판(30)과 회전식칠판(40)이 설치되어 개폐되도록 사각형의 양측벽(110)(120)과 상, 하부벽(130)(140)으로 구성한 칠판틀체(10)에 있어서, 상기 양측벽(110)(120)과 상,하부벽(130)(140)은 설정된 두께를 가지면서 내부에 설정된 간격으로 격벽(111)(121)(131)(141)을 각각 형성하여 대략 단면상 직사각형의 조립홈(112)(122)(132)(142)이 각각 형성되게 알루미늄으로 압출성형한 뒤 설정된 길이로 절단하고, 양측벽(110)(120)과 상, 하부벽(130)(140)의 각 모서리부의 연결조립을 위하여 설정된 두께를 가지면서 ㄴ자형으로 형성되게 합성수지재로 연결부(150)를 형성한 뒤 상기 조립홈(112)(122)(132)(142)에 각각 끼워서 사각틀체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칠판틀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벽(130)에는 미닫이칠판(30)의 슬라이딩을 위하여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133)을, 하부벽(140)에는 미닫이칠판(30)의 슬라이딩을 위하여 길이방향으로 가이드레일(143)이 각각 형성되게 압출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칠판틀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50)는 ㄴ자형으로 형성된 양단에 합성수지원료의 절감과 경량화를 위하여 모서리(151)의 양측에만 조립부(152)(153)를 대략 직사각형으로 각각 형성하여 조립홈(112)(122)(132)(142)에 끼워 조립하고, 그 양측 조립부(152)(153)의 외측에는 연결편(154)으로 일체로 연결되게 하는 동시에 조립부(152)(153)와 모서리(151)의 경계부에 단턱(155)이 형성되게 하여 양측벽(110)(120)과 상, 하부벽(130)(140)의 연결조립시 외측면이 상호 일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칠판틀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50)의 모서리(151)의 내측 양단 양측에 각각 형성된 조립부(152)와 (153)를 차단띠(156)로 연결하여 양측벽(110)(120)과 상, 하부벽(130)(140)의 연결시 상호 맞닿는 부위의 틈새를 차단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칠판틀체.
KR2019940022841U 1994-09-05 1994-09-05 칠판틀체 KR9600045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2841U KR960004582Y1 (ko) 1994-09-05 1994-09-05 칠판틀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2841U KR960004582Y1 (ko) 1994-09-05 1994-09-05 칠판틀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0292U KR960010292U (ko) 1996-04-12
KR960004582Y1 true KR960004582Y1 (ko) 1996-06-03

Family

ID=19392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2841U KR960004582Y1 (ko) 1994-09-05 1994-09-05 칠판틀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458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0857B1 (ko) * 2012-09-24 2014-03-10 이성연 친환경 다기능 전자칠판
KR20190058163A (ko) 2017-11-21 2019-05-29 김선남 척추 보호방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0857B1 (ko) * 2012-09-24 2014-03-10 이성연 친환경 다기능 전자칠판
KR20190058163A (ko) 2017-11-21 2019-05-29 김선남 척추 보호방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0292U (ko) 1996-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315157C (en) Frame assembly for doors, windows and the like
US5095675A (en) Recessed, raised building panel
US20020184849A1 (en) Press molded door with improved reinforcement material and stile structure
KR960004582Y1 (ko) 칠판틀체
GB2288622A (en) Corner joint for window and door frames
JPS6349481Y2 (ko)
JPS5834917Y2 (ja) 組立手摺等の角結合部
JPH026213Y2 (ko)
JP3581211B2 (ja) ルーバー付き建具とその製造方法
JPS6114550Y2 (ko)
JPS641437Y2 (ko)
CN215889036U (zh) 一种装配式挤出墙板及墙面系统
JPH0135913Y2 (ko)
KR100198758B1 (ko) 창호재 및 그 제조방법
GB2277346A (en) An extruded member and an assembly of an extruded member and a bar
JPH0235999Y2 (ko)
JP3272590B2 (ja) 断熱パネル
JPH08199919A (ja) ド ア
JPH0523750Y2 (ko)
KR20040074303A (ko) 가변형 문틀커버
KR890007060Y1 (ko) 압출시멘트제 문틀의 연귀 맞춤구조
JPH0328690Y2 (ko)
JP3085031U (ja) アコーディオン式ドアのブレード構造
JPS6113610Y2 (ko)
JP2001082041A (ja) 襖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