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4279Y1 - 슬라이더 파스너용 스트링거 체인에 간격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더 파스너용 스트링거 체인에 간격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4279Y1
KR960004279Y1 KR2019940013697U KR19940013697U KR960004279Y1 KR 960004279 Y1 KR960004279 Y1 KR 960004279Y1 KR 2019940013697 U KR2019940013697 U KR 2019940013697U KR 19940013697 U KR19940013697 U KR 19940013697U KR 960004279 Y1 KR960004279 Y1 KR 9600042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
cam
punch
upper die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36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0212U (ko
Inventor
표순재
김종희
Original Assignee
표순재
김종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표순재, 김종희 filed Critical 표순재
Priority to KR20199400136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4279Y1/ko
Publication of KR9600002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2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42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42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42Making by processes not fully provided for in one other class, e.g. B21D53/50, B21F45/18, B22D17/16, B29D5/00
    • A44B19/58Removing interlocking members to produce gaps

Landscapes

  • Slide Fasten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슬라이더 파스너용 스트링거 체인에 간격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 간격성형장치 일부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으로 형성되는 일예의 슬라이더 파스너용 스트링거 체인 평면도.
제3도는 제2도 스트링거 체인의 일부 확대도.
제4도는 일예의 간격성형장치 다이세트 상형의 가로방향 중앙 종단면도.
제5도는 일예의 간격성형장치 다이세트 하형의 가로방향 중앙 종단면도.
제6도는 다이세트 상형의 구성중 훑음대의 구성을 보인 가로방향 중앙 종단면도.
제7도는 제6도중 A-A선 평단면도.
제8도는 제7도중 C-C선 종단면도.
제9도는 제7도중 D-D선 종단면도.
제10도는 제7도중 E-E선 종단면도.
제11도는 제6도중 B-B선 평단면도.
제12도는 간격성형장치의 작동초기상태의 폭방향 중앙 종단면도.
제13도는 제12도에 의한 전단작업 초기상태의 요부발췌 단면도.
제14도는 제12도에 의한 전단작업 완료상태의 요부발췌 단면도.
제15도는 간격성형장치의 작동초기상태를 보인 가로방향 종단면도.
제16도는 간격성형장치의 훑음대 작동완료상태를 보인 요부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형 11 : 펀치
111 : 펀치날 13, 14 : 펀치고정대
131 : 펀치고정대의 경사캠 15, 16 : 압력패드
151 : 스프링 152 : 압박면
153 : 제지판 154 : 제어홈
17, 18 : 캠기둥 171 : 캠기둥의 경사캠
20 : 하형 21 : 다이
211 : 전단핀 22, 22a : 안내대
23 : 래치핀 231 : 돌기
24 : 압박부 25 : 테이프통과홈
26 : 엘레멘트통과홈 27 : 스프링
12 : 가이드핀 30 : 중형
31 : 훑음대 312 : 작동판
313 : 작동대 314 : 작동판의 경사단
315 : 작동대의 경사단 316 : 작동대의 사각단부
317 : 엘레멘트 고정부재 끼움홈 32 : 안내홈
33 : 작동홈 C : 스트링거 체인
E : 엘레멘트 Ea : 엘레멘트 헤드
Eb : 엘레멘트 고정부재 Ec : 엘레멘트사이의 홈
La : 펀치(11)의 좌우폭 la : 테이프상의 간격
Lc : 작동판(312)들 사이의 작동간격 T : 테이프
t : 펀치의 두께
본 고안은 슬라이더 파스너용 스트링거 체인에 파스너 구성부품들이 조립되어 질간격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라이더 파스너용 스트링거 체인은 한 쌍의 지지 테이프들과 각 테이프들에 고정된 엘레멘트들의 열들을 포함하는 길다란 소재로 제조된다.
이러한 슬라이더 파스너용 스트링거 체인은 사용처에 따라서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슬라이더 파스너를 구성하기 위하여 절단되어야 하고, 절단된 각각의 것에는 파스너 구성부품인 상지구와 하지구 및 슬라이더들을 부착하여야 된다.
파스너 구성부품인 상지구와 하지구 및 슬라이더들을 부착하기 위해서는 스트링거 체인을 일정길이로 절단하기전에 간격을 띄우는 작업을 실시하며, 이 작업은 미리 계산된 길이에 대응하는 간격내의 소정 갯수의 엘레멘트들을 제거하는 절단장치로 수행하고 있으나, 종래의 절단장치들은 소정갯수의 엘레멘트들을 테이프로부터 정확하게 제거하는데 많은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후공정인 상지구와 하지구들의 부품부착공정을 방해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 선고안으로, 국내 특허공고 제93-8623호에 개시된 스트링거 체인상에서 소정 갯수의 엘레멘트들을 제거하여 일정 간격을 형성하는 장치가 있으나, 이 고안은 절단장치를 구성하는 기구적 요소가 많고 작동공정이 복잡할 뿐 아니라, 양측 테이프상에 결합된 엘레멘트들을 테이프상에서 제거함에 있어서 절단용 펀치와 녹아웃판에 의하여 절단되는 부재는 엘레멘트들의 상부다리에 국한되고 엘레멘트의 힐부분은 용이하게 제거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한 최근에 제공된 장치로서, 일차로 펀치에 의하여 결합된 양측 엘레멘트들의 헤드부분을 절단한 후, 이차로 테이프상에 부착된 잔여부분인 거의 반쪽의 엘레멘트 힐부분을 톱니형 블록으로 눌러 파지한후, 어느 일측으로 강제로 훑어서 제거하는 장치가 제공되어 있으나, 이 장치에 의하면 톱니형 블록의 훑음 작동간격이 약 2mm 정도이내의 미세한 간격이므로서, 작동간격 제어가 어렵고 에러가 발생하여 훑어지는 방향측의 제가하지 않을 온전한 엘레멘트들이 상하게 되거나, 엘레멘트들의 헤드가 제거된 테이프상의 거의 반쪽의 힐이 완벽하게 제거되지 못하는 하자가 수시로 발생하여 검사나 재처리등의 후가공 공정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제공되는 것으로서, 슬라이더 파스너용 스트링거 체인에 파스너 구성부품들이 조립되어 질 간격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장치의 기구적 간소화와, 제거하여야 할 엘레멘트를 테이프상에서 정확하고 깔끔하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제거장치를 제공함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일실시예의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장치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프레스용 한조의 복동식 다이세트로 형성된다. 이 장치에서 한조의 복동식 다이세트는 펀치(11), 가이드핀(12), 펀치고정대(13)(14), 압력패드(15)(16), 캠기둥(17)(18)등이 설치된 상형(10)과, 스트링거 체인(C)을 안내하는 안내대(22)와 래치핀(23)과 다이(21)등이 설치된 하형(20)과, 상형(10)의 하부에서 가이드핀(12)에 스프링(35)으로 탄력있게 일체로 설치되어 펀치(11), 압력패드(15)(16)들을 가이드하면서 제거하여야 할 엘레멘트(E)의 고정부재(Eb)들을 중앙측으로 훑어서 제거하는 4쪽의 훑음대(31)을 구비하는 중형(30)을 포함한다.
상형(10)의 네귀에 설치된 가이드핀(12)에는 각각 스프링(35)이 축설되어 중형(30)을 탄력있게 축설하고 있으며, 중앙부 저면에는 장방형홈이 파여져 좌우로 펀치고정대(13)(14)가 입설되고 그 사이에는 얇은 판형의 펀치(11)가 고정설치되어 있다.
펀치(11)의 하단부에는 길이방향으로 V형 날(111)이 세워져 있고, 펀치(11)의 높이는 상형(10)의 비작동상태에서 날(111)의 선단부가 훑음대(31)의 하단면보다 다소 안쪽으로 올라간 높이로 되고, 상형(10)이 하강되어 하형(20)위에 완착한 상태에서는, 날(111)의 선단이 하형(20)에 형성된 다이(21)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다소 내려가는 전단(剪斷)형으로 형성되며, 펀치(11)의 좌우폭(La)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트링거 체인(C)상에서 확보하여야 할 간격(la)내의 제거하여야 할 소정갯수의 엘레멘트 헤드(Ea)에 대응하는 임의의 규격으로 형성되며, 펀치(11)의 두께(t)는 양측 테이프(T)에서 결합되어 있는 엘레멘트(E)의 구성중 양측 테이프(T)의 내측단 사이에 결합되는 소정 갯수의 헤드(Ea)들을 가로질러 절단할 수 있는 임의의 규격으로 형성된다.
펀치고정대(13)(14)는 상기 펀치(11)를 양측에서 파지하면서, 하단 내측부에서 외측으로 벌려진 형태의 경사캠(131)을 형성하며, 상형(10)이 하강되면 이 경사캠(131)이 중형(30)에 설치된 4개의 훑음대(31)의 경사작동면(314)을 눌러서 각각의 훑음대(31)들이 중앙측으로 오므려지도록 구성된다.
압력패드(15)(16)는 전후 두쪽의 U자형 부재로서, 각각의 상단은 상형(10)의 저면에 수개의 스프링(151)으로 탄설되고, 중간부 외측면은 중형(30)의 안내홈(32)에 수직방향으로 안내되며, 하단부 좌우측면에는 각각 제어홈(152)이 요설되어 상형(10)의 하단부 중앙에 고정설치되는 나사조립형 제지판(153)으로 탄발이 제어된다.
하단면은 거친 너어링으로 처리된 압박면(154)으로 형성되며, 도시되지 않은 적절한 구동수단에 의하여 상형(10)이 하강되면, 하형(20)의 다이(21)외측에 너어링으로 처리된 압박부(24)의 상면에 압박되어, 스트링거 체인(C)의 양측 테이프(T)들을 압박하는 구성이고, 그 높이는 상형(10)이 하강되지 않은 비작동상태에서 중형(30)의 하단면을 하형(20)의 안내대(22)에 착지시켰을때, 압력패드의 하단 압박면(154)과 하형(20)의 압박부(24) 사이에, 스트링거 체인(C)의 테이프(T)가 간섭없이 이동할 수 있는 정도의 간격을 갖는 규격으로 형성된다.
캠기둥(17)(18)은 펀치(11)의 전후방 중앙에 고정설치되어, 상형(10)이 상승될때 훑음대(31)들을 좌우로 벌려줄 수 있으면서 작동공간을 확보해줄 수 있도록, 하단부에 좌우로 벌려진 하향 경사캠(171)을 가진 삼각형상의 부재가 펀치(11)의 전후면과 훑음대(31)의 두께만큼의 간격을 갖고 형성되어 있다.
중형(30)은 상형(10)에 설치된 펀치(11), 압력패드(15)(16)들을 안내하면서, 간격(1a)의 형성을 위하여 펀치(11)로 엘레멘트(E)의 헤드(Ea)를 절단한 후 남아 있는 양측 테이프(T)상의 고정부재(Eb)들의 상단부재를 중앙측으로 훑어서 제거하는 4쪽의 훑음대(31)들을 구비하고 있다.
이 4쪽의 훑음대(31)들은 제8-11도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펀치(11)의 전후면에 밀착되어 캠기둥(17)(18)의 내측으로 설치되는 판형의 작동판(312)과, 이 작동판(312)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사각봉형의 작동대(313)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각각의 작동판(312)의 상단 외측으로는 상기 펀치고정대(13)(14)의 경사캠(131)과 접동되는 경사단(314)이 형성되어 있고, 하단면에는 수개의 횡방향 끼움홈(317)들이 형성되어 각각의 끼움홈(317)들은 테이프(T)상의 엘레멘트(E)의 고정부재(Eb)들의 상단부재들을 일정하게 끼울 수 있는 규격과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펀치(11)의 전후로 대칭되는 양측 두쪽씩의 것들에는 상기 끼움홈(317)들이 엘레멘트 고정부재(Eb)의 반피치 만큼 변위되어 형성되어 있다. 각 작동판(312)의 좌우 설치간격은 제거하여야할 엘레멘트(E)의 갯수에 대응하는 간격(1a)내에 설치되어, 좌우 작동판(312)들 사이에 적정의 작동간격(Lc)을 갖는 규격으로 형성된다.
각각의 작동대(313)의 중간부는 상기 캠기둥(17)(18)의 경사캠(171)과 접동되는 경사단(3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작동대(313)의 사각단부(316)는 중형(30)의 안내홈(32) 전후내벽에 횡방향으로 요설된 사각의 작동홈(33)에 좌우로 이동자유롭게 내삽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훑음대(31)들은 끼움홈(317)들이 형성된 하단면은, 상형(10)의 비작동상태에서 압력패드(15)(16)의 하단면과 동일한 높이에서 작동간격(Lc)만큼 좌우로 벌어져 위치되고, 작동대(313)들의 경사단(315)들은 캠기둥(17)(18)의 경사캠(171) 하방에 위치되며, 작동판(312)의 상단 외측 경사단(314)은 펀치고정대(13)(14)의 경사캠(131)의 하방에서 다소의 간격을 두고 위치되는 규격으로 형성된다.
하형(20)의 구성중 스트링거 체인(C)을 안내하는 안내대(22)는 다이(21) 표면의 좌우측에 일정높이를 갖는 돌출대로 형성되며, 스트링거 체인(C)의 양측 테이프(T)들이 통과하는 다소 넓고 얇은 폭의 테이프통과홈(25)이 좌우로 형성되고, 스트링거 체인(C)의 엘레멘트(E)들이 통과하는 다소 좁고 높은 폭의 엘레멘트통과홈(26)이 다이(21)의 표면과의 사이 좌우측단에 형성된다.
일측 안내대(22a)에는 엘레멘트통과홈(26)의 상방에, 엘레멘트(E)의 고정부재(Eb)들 사이의 홈(Ec)에 간섭되는 돌기(231)를 내측 선단에 구비하는 래치핀(23)을 스프링(27)으로 외측단을 탄발하도록 축설하여, 안내대(22a)측에서 테이프통과홈(25)과 엘레멘트통과홈(26)으로 다이(21) 상면으로 공급되는 스트링거 체인(C)이, 엘레멘트 고정부재(Eb)의 하단부재가 다이(21)의 전단핀(211)에 정확히 끼워져 안착되도록 형성된다.
다이(21)는 펀치(11)가 통과하는 가로로 긴 관통홈을 중앙으로 하여 전후방으로 수개의 전단핀(211)이 다이(21)의 표면보다 다소 낮은 위치로 형성되고, 이 전단핀(211)들은 제거하고자 하는 엘레멘트 고정부재(Eb)들의 간격과 동일한 규격이면서, 전후측이 좌우로 반피치가 변위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간격성형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상형(10)과 중형(30)이 하형(20)에서 상방으로 올라간 비작동상태에서, 도시되지 않은 공급릴에서 공급되는 스트링거 체인(C)은 하형(20)의 일측(도면상에서는 좌측) 안내대(22a)의 테이프통과홈(25)과 엘레멘트통과홈(26)을 통하여 다이(21)를 거쳐 타측 안내대(22)로 이동 유입되면, 안내대(22a)의 상단에 설치된 래치핀(23)의 돌기(231)가 엘레멘트 고정부재(Eb)들 사이의 홈(Ec)을 간섭하여, 제1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엘레멘트 고정부재(Eb)들의 하단부재들을 다이(21)의 전단핀(211)들 사이에 정확하게 끼워져 물리게 하므로, 스트링거 체인(C)상에서 간격(la)을 형성하고자 미리 설정된 부분을 다이(21)의 전단핀(211)에 맞추어 정지시킨다.
이어서 상형(10)을 도시되지 않은 왕복행정형 구동수단(또는 압력수단)에 의하여 하강시키면, 제12, 1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차적으로 상형(10)에 부착된 압력패드(15)(16)와 중형(30)에 부착된 훑음대(31)가 다이(21) 상방으로 착지되어, 압력패드(15)(16)들은 스트링거 체인(C)의 양측 테이프(T)들을 압박하여 파지하게 되고, 좌우로 벌려져 있는 4쪽의 훑음대(31)들은 중형(30)의 하강에 의하여 압력패드(15)(16)들과 함께 하강하여서, 다이(21)의 전단핀(211)에 끼워져 있는 간격(la)내의 각각의 엘레멘트 고정부재(Eb)들중에 중앙의 몇개를 제외한 좌우측단의 맞물리는 것들을 끼움홈(317)으로 상단부재들을 끼워 하방으로 압박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형(10)이 계속 하강되면, 제13, 14도와 같이 펀치(11)가 하강하여 압박되어 있는 양측 엘레멘트 고정부재(Eb)로부터 결합되어 있는 양측 헤드(Ea)들을 하방으로 절단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이 장치의 작동중에 계속하여, 다이(21)의 측면과 하방에 흡입구가 설치된 도시되지 않은 공기 흡입장치에 의하여 절단된 헤드칩들을 흡입처리된다.
이어서 상형(10)이 계속 하강되면, 펀치고정대(13)(14)의 경사캠(171)이 훑음대(31)의 각각의 작동판(312) 외측 상단에 형성된 경사단(315)에 밀착되면서 압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훑음대(31)들은 중형(30)의 작동홈(33)에 접동되어 수평방향으로만 이동되는 작동대(313)에 의하여 각각 내측으로의 수평이동 모우멘트를 받게 된다. 따라서 훑음대(31)들은 각각 중앙측으로 수평이동하면서 끼움홈(317)으로 끼워 압박하고 있던 좌우측단의 몇개의 엘레멘트 고정부재(Eb)들의 상단부재들을, 제16도와 같이 테이프(T)상에서 중앙측으로 훑게되어 다이(21)의 전단핀(211)에 끼워져 있는 하단부재에서 강제적으로 훑어 테이프(T)상에서 분리시키고, 압박되어 있지 않은 중앙측의 나머지 엘레멘트 고정부재(Eb)들의 상단부재들은 각각의 작동판(312)의 내측단으로 밀어서 하단부재로부터 분리하여 테이프(T)상에서 분리시킨다.
상기한 작동이 완료된 시점에서는 도시되지 않은 구동장치의 행정을 반대로 제어하여 상형(10)을 바로 상승시키므로, 다이(21)에 하강에 펀치(11)가 상승되고, 펀치고정대(13)(14)들은 훑음대(31)의 압박작용을 해제하면서 상승하게 되며, 동시에 캠기둥(17)(18)들도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작동과 동시에 상술한 펀치(11)의 절단작업과 동일하게 다이(21)의 측면과 하방에 흡입구가 설치된 도시되지 않은 공기흡입장치가 흡입작동을 지속하고 있으므로 끼움홈(317)이나 다이(21)의 전단핀(211) 사이에 끼워져 있는 상하로 분리된 엘레멘트 고정부재(Eb)의 상하단 칩들은 공기흡입장치로 자동적으로 흡입처리된다.
캠기둥(17)(18)들이 상승하면 삼각형 캠부재의 양측 경사캠(171)이, 그 상방에서 다소 떨어져 있으면서 중앙측으로 오므려져 있던 훑음대(31)들의 상단부 작동대(313)의 경사단(315)에 접동하게 되므로, 상승되는 캠기둥(17)(18)의 경사캠(171)에 의하여 경사단(315)에 벌림방향으로 모우멘트를 작용시켜서, 중형(30)의 내측작동홈(33)에 접동되어 있는 작동대(313)를 외측으로 벌려주게 되고, 이에 따라 훑음대(31) 전체가 점차적으로 좌우측으로 벌어져 상형(10)이 완전히 복귀상승되면서 초기상태로 환원되는 것이다.
이러한 일련의 일행정 작동에 의하면 스트링거 체인(C)에는, 소정길이의 슬라이더 파스너를 구성하기 위하여 절단되는 부위에 파스너 구성부품인 상지구와 하지구 및 슬라이더들을 부착하기 위한 간격(la)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간격(la) 형성작업을, 스트링거 체인(C)을 하형(20)에서 도면상 우측으로 소정간격으로 간헐적으로 이동시키면서 반복적으로 실시하므로서, 릴상으로 제공되는 스트링거 체인(C)에 파스너 구성부품인 상지구와 하지구 및 슬라이더들을 부착하기 위한 간격(la)을 연속적이고 정확하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간격형성장치는, 다이세트로 구성되어 스트링거 체인(C)상에서 소정 갯수의 엘레멘트(E)들을 제거하여 일정 간격(la)을 형성하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어서, 수직으로 하강되는 펀치(11)로 일차적으로 엘레멘트(E)의 헤드(Ea)를 절단한 후 잔여분인 테이프(T)상의 고정부재(Eb)들을 훑어 제거하는 구성으로, 훑음대(31)를 펀치(11)를 기준으로 전후 각각 2쪽씩의 4쪽의 훑음대(31)로 구성하고, 각각의 2쪽씩의 것들은 서로 대향하여 상단 간격 중앙측으로의 행정거리를 갖는 구성으로 형성하므로서, 간격(la)을 형성하기 위한 제거하여야 할 엘레멘트 고정부재(Eb)들만을 확실하고 정확하게 테이프(T)상에서 제거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 것이다.

Claims (1)

  1. 한조의 복동식 다이세트로 구성되어 스트링거 체인(C)의 엘레멘트(E)들이 받쳐지는 다이(21)를 갖는 하형(20)과, 이 다이(21)에 대하여 전단형으로 수직으로 왕복작동되어 엘레멘트 헤드(Ea)를 절단하는 펀치(11)를 구비하는 상형(10)과, 상기 상형(10)에 다단식으로 탄설되어 하형(20)상에 테이프(T)를 압박파지하는 압력패드(15)(16)를 안내하며, 상형(10)의 하강에 의하여 펀치(11)의 전단작동후에 테이프(T)상에 남겨진 엘레멘트 고정부재(Eb)를 훑어서 제거하는 훑음장치를 구비하는 중형을 포함하며, 각각 헤드(Ea), 고정부재(Eb)로 구성된 결합 엘레멘트(E)들의 열을 지지하는 한쌍의 지지 테이프(T)들을 포함하는 슬라이더 파스너용 스트링거 체인(C)에 파스너 구성부품들이 조립되어 질 간격(la)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형(10)의 펀치고정대(13)(14)에는 하측내단에 각각 경사캠(131)을 구비하고, 펀치(11)의 전후 중앙에는 상형(10)이 상승될 때 훑음대(31)들을 좌우로 벌려줄 수 있는 삼각형상의 하향 경사캠(171)을 하단에 구비한 캠기둥(17)(18)을 구비하며, 중형(30)에는 상기 펀치고정대(13)(14)의 경사캠(131)과 캠기둥(17)(18)의 경사캠(171)에 연동되어, 상형(10)이 하강할 때는 중앙측으로 오므려지고 상형(10)이 상승할 때는 외측으로 벌려지면서 테이프(T)상에 잔여된 간격(la)내의 엘레멘트 고정부재(Eb)들을 전후 네곳에서 중앙측으로 훑어 제거할 수 있는 캠구동형의 4쪽의 훑음대(31)들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 슬라이더 파스너용 스트링거 체인에 간격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
KR2019940013697U 1994-06-13 1994-06-13 슬라이더 파스너용 스트링거 체인에 간격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 KR9600042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3697U KR960004279Y1 (ko) 1994-06-13 1994-06-13 슬라이더 파스너용 스트링거 체인에 간격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3697U KR960004279Y1 (ko) 1994-06-13 1994-06-13 슬라이더 파스너용 스트링거 체인에 간격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0212U KR960000212U (ko) 1996-01-17
KR960004279Y1 true KR960004279Y1 (ko) 1996-05-23

Family

ID=19385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3697U KR960004279Y1 (ko) 1994-06-13 1994-06-13 슬라이더 파스너용 스트링거 체인에 간격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427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0212U (ko) 1996-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2260510C3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ntfernen von Kuppelgliedern aus einem eine Reißverschlußkette bildenden Tragbandpaar
EP2127838A1 (de) Einrichtung zum Positionieren und Lageerhalten von dünnen Substraten am geschnittenen Substratblock
EP2842654A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Transfer von Werkstücken in und aus einem Werkzeug
US3958319A (en) Apparatus for producing element-free gaps in a continuous fastener chain
US517785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element-free spaces in slide fastener chain
US3831474A (en) Slide fastener gapping machine
GB142150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n element-free gap in a continuous sliding clasp fastener stringer
US4404722A (en) Apparatus for forming a space section in a pair of continuous slide fastener stringers
KR960004279Y1 (ko) 슬라이더 파스너용 스트링거 체인에 간격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
KR860000685B1 (ko) 은폐슬라이드 파스너 스트링어의 간격부 형성방법 및 장치
KR960040504A (ko) 미끄럼 고정구 체인에 요소 자유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4040319A (en) Cutter for cutting vegetables and fruits, the cutter having blades that are movable at the time of cutting
US5103540A (en) Apparatus for gapping a stringer chain
EP0058882B1 (en) An apparatus for forming an element-free gap in a continuous slide fastener chain
US2927548A (en) Die set
US2816648A (en) Zipper trimming tool with means to reset the elements of the tape
DE2831485C3 (de) Vorrichtung zum Verziehen von geschlossenen Ziegelformlingsreihen zum Bilden von Setzlagen
CN107282768B (zh) 一种连续模具
KR100307128B1 (ko) 파스너 체인 마무리 장치
CA2067922C (en) Method for forming element-free spaces in slide fastener chain
KR870002120B1 (ko) 슬라이드 파스너 스트링어 테이프로부터 결합 엘레멘트를 제거시키는 방법 및 그 장치
US3643852A (en) Nail chuck
CN1045716C (zh) 拉链底链开口装置
JPH034644B2 (ko)
SU822954A1 (ru) Штамп дл вырубки деталей изпОлОСОВОгО и лЕНТОчНОгО МАТЕРиАл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5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