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4195B1 - 모래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모래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4195B1
KR960004195B1 KR1019930003975A KR930003975A KR960004195B1 KR 960004195 B1 KR960004195 B1 KR 960004195B1 KR 1019930003975 A KR1019930003975 A KR 1019930003975A KR 930003975 A KR930003975 A KR 930003975A KR 960004195 B1 KR960004195 B1 KR 960004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nd
crusher
fine powder
stone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3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1126A (ko
Inventor
박동철
손연규
Original Assignee
강원산업주식회사
정도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산업주식회사, 정도원 filed Critical 강원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03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4195B1/ko
Publication of KR940021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1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4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41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모래의 제조방법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모래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계통도.
제 2 도는 파쇄기의 파쇄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구성도.
제 3 도는 에어 세퍼레이터(AIR SEPERATOR)의 개략정단면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피드호퍼(FEED HOPPER) 2 : 진동 피더(VIBRATING FEEDER)
3 : 진동스크린(VIBRATING SCREEN)
5 : 벨트 컨베이어 6 : 파쇄기(CRUSHER)
7 : 회전축 8 : 로터
9 : 앤빌링(ANVIL RING) 10 : 에어 세퍼레이터(AIR SEPERATOR)
11 : 피드 슈트(PEED CHUTE) 12 : 팬 블레이드
13 : 셀렉트 블레이드 14 : 분배 블레이드
15, 16 : 미분 및 모래 배출통로 17 : 로터리 밸브
본 발명은 모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석산의 산암석 및 하천석을 원료로 하여 건축 및 토목공사용 자갈을 생산하는 쇄석 플랜트(CRUSHING PLANT)에 부산물로 생성되는 석분을 이용하여 건식으로 모래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연모래의 부족으로 인하여 건축 및 토목공사용 자갈을 파쇄기(CRUSHER)를 이용하여 일정크기를 갖는 자갈로 제조토록 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일부의 쇄선은 그 입경이 대체로 커다란 관계로, 일부 쇄석을 대상으로 석분을 가공하지 않고 미세한 입도를 보유하는 쇄석을 진동스크린에 의해 걸러서 인공모래를 제조토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인공모래는 편석이 많이 존재하게 되어 일반 혼합재로 사용되는 모래의 가치를 떨어트리게 되고, 이에 더하여 인공모래를 제외한 비교적 큰 입경의 석분을 폐기처분을 하여야 하는 관계로 석분의 처리에 대한 주변환경오염과, 인원 및 장비의 투입에 따른 경제적으로 비효율적인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한편,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단점을 개선하기 위한 모래의 제조방법이 제안된바 있다.
즉, 한국특허 공보 90-885호에 의한 모래 제조방법에 의하면, 원심분쇄기를 통하여 모래의 재료인 돌을 분쇄하는 단계와, 분쇄된 돌을 스크린하고, 스크린 위에 남은 거친 돌을 진동분쇄기에 의해 다시 분쇄하는 단계와, 진동분쇄기에 의해 또한 스크린을 통과하여 얻어진 분쇄된 돌의 혼합물로부터 미세한 입자를 제거토록 하여 모래를 제조하는 것으로 그 방법은, 진동분쇄기에 투입되는 진동 스크린 상분의 원료중량, 고립의 비율 및 분급기를 통과한 원료의 과립비율, 진동 스크린에 투입되는 원료중량, 체적비율, 요구되는 과립비율을 진동스크린의 특성치 및 진동분쇄기 및 특성치를 컴퓨터에 사전에 입력하고, 상기 입력과 운전중의 각 기기의 입력을 비교하고 이 비교후의 출력신호에 의하여 진동분쇄기의 회전수와 진동스크린에 대한 원료투입양을 제어토록 하여 인공모래를 제조토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을 통해 생성되는 모래는, 제어반의 컴퓨터에 의해 모래를 연속적으로 안정하게 제조할 수 있는 반면에, 상기 인공모래의 제조시 사용되는 원심분리기내에는 모래의 재료인 돌 이외에 미세한 입도를 갖는 입자가 함께 투입되어 돌의 분쇄작용을 저하시키게 될 뿐만 아니라, 진동스크린에 의해 모래를 걸러서 분급기에 낙하시, 미세한 입자(미분)가 비산되어 주변환경을 오염시키게 되며, 상기 원심 분쇄기 및 진동스크린 등은 기기 자체내에 돌의 충격에 의한 충격력 및 진동이 항상 발생하게 되는 관계로 이를 제어하는 제어반 등의 단선 및 오동작이 빈번하게 발생되어 입도를 갖는 인공모래를 제조할 수가 없게 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건축, 토목공사용 자갈을 생산하는 쇄석의 부산물로 생성되는 불필요한 석분을 이용하여 일정한 입도를 갖는 인공모래를 연속적으로 제조할 수 있음은 물론, 모래의 제조시 발생되는 미세한 분말가루를 에어 세퍼레이터의 셀렉트 블레이드와 분해 블레이드에 의해 용이하게 제거하여 환경오염을 예방하고, 파쇄기의 파쇄효율을 가일층 향상시키며, 자동차 작업에 의해 양질의 인공모래를 저렴한 경비로 제조할 수 있는 모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건식 모래 제조방법은, 피드 호퍼(FEED HOPPER)에 저장된 직경 8-15mm 이하의 석분이 진동피더(VIBRATING FEEDER)의 속도조절을 통하여 진동스크린(VIBRATING SCREEN)으로 일정량 공급되는 석분 이송단계와, 진동피더에 의해 이송된 석분은 진동스크린으로 일정한 입도와 입형을 갖는 모래 및 미분과 파쇄기로 이송되는 석분으로 분리되는 석분 선별단계와, 미분 및 모래가 분류된 순수석분이 벨트 컨베이어에 의해 파쇄기에 투입후 파쇄기내에서 석분이 파쇄되고, 파쇄기의 로터 주속변환에 의해 모래의 입도와 입형을 적절하게 가공하는 모래 가공단계와, 파쇄기를 가공된 모래가 진동스크린을 거쳐 분류되고, 모래의 규정치보다 큰 석분은 파쇄기에 의해 2차 파쇄되며, 진동스크린에서 분류된 모래 및 미분은 에어 세퍼레이터(Air Separator)의 피드슈트(Feed Chute)에 투입되어 100-250ro.p.m의 속도로 회전하는 셀렉트 블레이드(Select Blade) 및 분배 블레이드(Distributor Blade)에 의해 원심력으로 입경 0.15mm 이하의 미분과 그 이상의 입경을 갖는 모래로 분리하는 모래 및 미분 분리단계 및 에어 세퍼레이터의 하측에 위치된 미분 및 모래 배출구를 통해 미분과 일정한 입도와 입형을 갖는 모래를 분리하여 배출토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모래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계통도이고, 제 2 도는 파쇄기의 파쇄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구성도로서, 석산의 발파 산암석 및 하천석을 원료로 하여 건축, 토목공사용 자갈을 생산하는 쇄석의 부산물로 생성되는 직경이 약 8-15mm 이하의 석분이 피드 호퍼(1) 내에 일정량이 적층되어진 후 진동피더(2)에 의해 진동스크린(3)으로 이송된다.
이때, 진동 스크린(3)으로 이송되는 석분은 비교적 큰 입경의 석분과 모래 및 미분 등의 혼합되어 있는 관계로 상기 진동스크린(3)에 의해 원하는 모래의 입경을 갖는 미분과 모래의 혼합물이 1차로 분류되고, 규정치 이상의 석분벨트 컨베이어(5)에 의해 파쇄기(6) 내로 공급된다.
한편, 파쇄기(6) 내로 공급된 석부는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회전축(7)과 연설된 로터(8) 및 내측주연으로 설치된 앤빌링(ANVIL RING)(9) 혹은 스토크 링(STOCK RING)에 의해 원심력으로 석분이 서로 충돌하면서 분쇄되고, 이때 공급된 석분의 크기와 석분의 질에 따라 파쇄기로부터의 주속을 변한시켜 모래의 입도와 입형을 적절하게 조절토록 한다.
계속해서, 상기와 같이 파쇄기(6)에 의해 석분이 가공된 모래는 재차 진동스크린(3)에 의해 모래로 분류되고, 그 사이즈가 원하는 모래의 규정치 보다 큰 것은 파쇄기로 재차 공급되어 2차 파쇄토록 된다.
그리고, 진동스크린(3)으로부터 모래로 분류된 석분은 에어 세퍼레이터(10)의 피드 슈트(11) 내로 투입되며, 에어 세퍼레이터(10)의 내부에서 자중에 의해 낙하되는 모래는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회전축과 연설되어 약 100-250r.p.m의 속도로 회전을 하는 팬 블레이드(FAN BLADE)(12) 및 그 하측의 셀렉트 블레이드(13), 분배 블레이드(14)에 의해 원심력 및 에어의 송풍 압력으로 크기가 0.15mm 이하의 미분은 에어 세퍼레이터(10)의 주연부로 향하게 되어, 미분 배출통로(15)를 통해 낙하되고, 이보다 큰 입경을 갖는 모래는 자연 낙하하여 모래 배출통로(16)를 통해 각각 따로따로 분리되어진 후 각 통로의 저부에 마련된 로터리 밸브(17)의 회전작용에 의해 모래 및 미분이 자동적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에어 세퍼레이터(10)이 모래 배출통로(16)를 통해 배출되는 인공모래는, 편석이 존재하는 일 없이 일정한 입도 및 입경을 갖는 모래를 연속적으로 제조할 수가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래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건축 토목공사용 자갈을 생산하는 쇄석의 부산물로 생성되는 불필요한 석분을 이용하여 일정한 입도를 갖는 인공모래를 연속적으로 제조할 수 있음은 물론, 파쇄기의 파쇄효율을 가일층 향상시키며, 자동화 작업에 의해 양질의 인공모래를 저렴한 경비로 제조할 수 있는 우수한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피드 호퍼에 저장된 석분이 진동피더의 속도조절을 통해 진동스크린으로 이송되고, 이송된 석분을 원심분쇄기 통해 모래의 재료인 돌을 분쇄하고, 진동스크린을 거쳐 분쇄된 돌의 혼합물로부터 모래의 미분을 분리구분토록 하여 모래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진동피더에 의해 이송된 석분은 진동스크린으로 일정한 입도와 입형을 갖는 모래 및 미분과 파쇄기로 이송되는 일정입도 이상의 석분으로 분리되는 석분 선별단계와, 미분 및 모래가 분류된 일정입도 이상의 순수석분이 벨트 컨베이어에 의해 파쇄기에 투입후 파쇄기내에서 석분이 파쇄되고, 파쇄기의 로터주속 변환에 의해 모래의 입도와 입형을 적절하게 가공하는 모래 가공단계와, 파쇄기로부터 가공된 모래가 진동스크린에서 분류되며, 분류된 모래 및 미분은 에어 세퍼레이터의 피드 슈트에 투입되어 100-250r.p.m으로 회전하는 셀렉트 블레이드 및 분배 블레이드에 의해 원심력으로 입경 0.15mm 이하의 미분과 그 이상의 입경을 갖는 모래로 분리하는 모래 및 미분 분리단계 및, 에어 세퍼레이터의 하측에 위치된 미분 및 모래 배출구를 통하여 미분과 모래를 각각 따로 분리 구분하여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의 제조방법.
KR1019930003975A 1993-03-16 1993-03-16 모래의 제조방법 KR960004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3975A KR960004195B1 (ko) 1993-03-16 1993-03-16 모래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3975A KR960004195B1 (ko) 1993-03-16 1993-03-16 모래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1126A KR940021126A (ko) 1994-10-17
KR960004195B1 true KR960004195B1 (ko) 1996-03-28

Family

ID=19352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3975A KR960004195B1 (ko) 1993-03-16 1993-03-16 모래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41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3439A (ko) * 2001-06-30 2003-01-10 박종순 석분의 편각 및 분진을 건식으로 연마하여 가공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1126A (ko) 1994-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34198B2 (ja) 砕砂、砕石生産システム
KR900000885B1 (ko) 모래를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
JP4288651B2 (ja) 骨材製造用粉砕システム
JP2004188368A (ja) 粉砕方法
AU72695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taneously and continuously producing a plurality of size fractions of a mineral material
JP2004041859A (ja) コンクリート廃材再生装置、コンクリート廃材再生方法、コンクリート廃材再生骨材
JP2005211777A (ja) 植物原料の微粉砕方法及びその装置
KR20100106172A (ko) 순환골재용 마모 분쇄 장치
KR100801412B1 (ko) 파쇄 분급 장치
JP3357051B2 (ja) 空気分離タイプの分離機
KR960004195B1 (ko) 모래의 제조방법
KR100242414B1 (ko) 모래의 제조방법
JP2004351286A (ja) 粉砕方法
JP3216677B2 (ja) 粉砕設備
US5058813A (en) Method for comminuting brittle material to be ground
JP3422932B2 (ja) 骨材生産方法及びその装置
JP2755338B2 (ja) 粉砕設備
JPH057792A (ja) 粉砕設備
JP3036669B2 (ja) 粉砕設備
JP3216678B2 (ja) 粉砕設備
JP2001334168A (ja) 繊維材の回収方法
JPH04281858A (ja) 粉砕装置
JP2904371B2 (ja) 粉砕設備
JP2001334167A (ja) 粉砕装置
JP2858684B2 (ja) 粉砕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