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4111Y1 - 수조용 칸막이판의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수조용 칸막이판의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4111Y1
KR960004111Y1 KR2019930017153U KR930017153U KR960004111Y1 KR 960004111 Y1 KR960004111 Y1 KR 960004111Y1 KR 2019930017153 U KR2019930017153 U KR 2019930017153U KR 930017153 U KR930017153 U KR 930017153U KR 960004111 Y1 KR960004111 Y1 KR 9600041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plate
plate
tank
water
tank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71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9049U (ko
Inventor
토시히로 츠치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닛소
이치카와 미노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닛소, 이치카와 미노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닛소
Publication of KR9400090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90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41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41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 A01K63/006Accessories for aquaria or terr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수조용 칸막이판의 조절장치
제1도는 관상어용 수조의 사시도.
제2도는 기능체 유닛의 개략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관한 수조용 칸막이판의 조절장치의 일부 절제 정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조 2 : 수조본체
3 : 뚜껑체 유닛 4 : 기능체 유닛
5 : 칸막이판 21 : 조절판
22 : 가이드수단 25 : 작동수단
이 고안은 열대어등을 주로 관상용으로 사육하기 위해 이용하는 관상어용 수조에 관해, 특히 수조내에 설치하는 칸막이 판의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상어용 조명장치나 여과장치, 혹은 히터장치 등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각종 장치를 합리적으로 정돈해서 의장적으로 우수한 관상어용 수조가, 예를들면 일본국 특개평 3-195434호 공보등에서 제안되고 있다.
이 관상어용 수조는, 정면 및 좌우 측면의 일부와 상면이 개방된 합성수지등으로 성형되는 기본틀 내부에, 유리나 합성수지등으로 된 단면이 대략 ㄷ자형의 투명틀체를 장착해서 수밀상으로 형성한 수조본체와, 이 수조본체의 상면에 장착된 조명장치를 내장한 뚜껑유닛과, 상기 수조본체내에 설치되어 여과장치 및 히터장치를 내장하는 기구유닛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기구유닛은 칸막이판에 의해 어류가 헤엄치는 생체 에리어로 구분되고, 이 칸막이판을 기구유닛의 기판을 겸하고 있다.
상기 칸막이판은 뚜껑유닛을 때어놓은 수조본체의 개구단으로부터 삽입되는 것이므로, 수조본체의 대향하는 측벽의 간격보다 폭이 약간 좁다.
또 수조본체의 개구단에서의 간격은 저부의 간격보다 약간 넓다.
또, 수조본체는 제조상, 측벽의 간격에 약간의 차가 생기고 있다.
따라서 칸막이판을 삽입했을때, 칸막이판의 측면과 수조본체의 측벽사이에 극간이 생겨 있다.
그래서, 종래의 수조는 상기 극간에 의해, 치어나 작은 물고기가 생체에리어로부터 기구유닛내에 빠져나가거나, 생체에리어의 물이 기능에리어에 유입해서 여과장치내의 수류를 교란시켜 버린다는 불편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 제안된 것으로 칸막이판과, 수조본체의 측벽사이에 생기는 극간을 막을 수 있는 수조용 칸막이판의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수조가 대향하는 측벽간에 장착하는 칸막이판의 양측면에 조절판을 가이드수단에 의해 가로방향으로 맞대여 움직이게 설치하고, 이 조절판을 작동수단에 의해 측멱에 밀접하도록 외부쪽으로 작동시켰다.
수조본체내에 장착하는 칸막이판의 양측단에, 가로방향으로 맞대여 움직이게 설치한 조절판이 작동수단에 의해 외부쪽으로 작동되고, 당해 조절판의 측단이 수조본체의 측벽면에 밀접해서 측벽과 칸막이판 사이를 막는다.
이하 본 고안을 도시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 제1도는 관상어용 수조의 사시도이고, 이 수조(1)는 수조본체(2)와, 이 수조본체(2)의 상부에 착탈이 자재롭게 장착된 뚜껑체유닛(3)과, 수조본체(2)내에 설치한 기능체 유닛(4)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수조본체(2)는, 정면 및 좌우측면의 일부와 상면이 개방된 합성수지등으로 성형된 기본틀체(2a)의 내부에 , 유리나 합성수지로 된 단면이 거의 ㄷ자상의 투명틀체(2b)를 장착해서 접착제로 수밀상태로 폐쇄해서 구성한 상면이 개방된 상자체이다.
상기 수조본체(2)내에는, 기능체유닛(4)을 설치한다.
이 기능체유닛(4)은, 제2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칸막이판(5)을 겸한 기판부에, 복수의 직립부(6a)(6b)(6c)(6d)를 기립시키는 동시에 살창상의 저판부(7)를 두고, 상기 직립부 (6a)(6b)(6c)(6d)및 저판부(7)에 의해 구획되는 각 기능 공간에 수중펌프(8), 제1여과조(9), 제2여과조(10), 및 히터(11)을 각각 장착해서 구성한다.
또, 상기 제1여과층(9)는 약간 거치른 염화비닐과 나일론의 부직포(9a)와 결이가는 폴리염화비닐디덴의 부직모(9b)로 구성되고, 물리적인 여과를 한다.
또 이 제1여과층(9)에 대응하는 기판부(칸막이판5)의 상부 및 하부 부분에는 슬릿 상으로 통수공(12a), (12b)가 설치되어 있고, 생체 에리어의 물이 상기 통수공(12a),(12b)를 통해서 유입된다.
한편, 제2여과조(10)는 활성탄(10a)및 폴리 염화 비닐디덴의 부직포(10b)로 구성되고, 생물적인 여과와 냄새를 흡착한다.
수중펌프(8)는, 저판부(7)의 밑으로부터 흡수하고, 직립파임(13)을 거쳐서 분기파이프(14)에 의해 제1샤워 파이프(15) 및 제2샤워파이프(16)에 분수하고, 생체에리어의 상방에 위치하는 제1샤워파이프(15)및 제2여과층(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샤워파이프(16)의 각 살수구(15a), (16a)로부터 살수한다.
즉 생체에리어의 물은, 통수공(12a), (12b)로부터 기능에리어에 유입하고, 제1여과층(9)을 통과해서 저판부(7)의 살창살 상태의 저부통수공(17)으로부터 수중펌프(8)로 흡인된다.
또 제2여과층(10)의 상부에 살수된 물은, 제2여과층(10)을 하방으로 통과해서 저판부(7)의 살창살 상태의 저부 통수공(18)으로부터 수중펌프(8)에 흡인된다.
한편, 생체에리어의 저판부근에는 저면 필터(19)를 설치한다.
이 저면 필터(19)는 , 살창살상태의 판(19a)의 상면에 뿌리는 모래로 자갈(도시않음)을 뿌려서 구성한다.
그리고, 자갈의 극간을 통과한 생체에리어의 물은, 기판부(칸막이판 5)의 저판부(7)보다도 아래쪽에 개설한 통과구(20)를 통과해서 수중펌프(8)에 흡인된다.
따라서, 여과를 효율 좋게 하기 위해서도, 생체에리어와 기능에리어를 확실하게 분리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본 고안은, 생체에리어와 기능에리어를 확실하게 분리하기 위해, 칸막이판(5)의 측단에, 칸막이판(5)과 수조(1)의 측벽(1a)의 간격에 따른 길이 만큼 상기 측단으로부터 측벽(1a)을 향해 돌출해서 칸막이판(5)의 실질적인 폭을 가변하는 조절판(21)을 설치한다.
상기 조절판(21)은, 합성수지제의 판상의 부재로서, 칸막이판(5)의 측단에 가이드 수단(22)에 의해 수평방향, 즉 당해 칸막이판(5)의 폭방향으로 맞대여 움직이게 설치되어 있다.
또, 이 조절판(21)은 칸막이판(5)의 측단의 길이보다 약간 짧다.
또, 조절판(21)의 삽입측단부 즉 하단부에 면을 다듬어서 각이 죽여져 있다.
이와 같이 면을 다듬어 두면, 칸막이판(5)에 삽입할 때, 일단 조절판(21)을 안쪽으로 축복시켜서 수조본체(2)의 개구측에 삽입하지 않아도, 조절판(21)의 선단을 개구측에 가게해, 그대로 삽입하면 면다듬기 부분이 안내가 되어 순조롭게 장착할 수 있다.
또, 도시한 실시예와 같이, 상단측의 각진 부분에도 면을 다듬어서 각을 죽여주면, 특히 수조본체(2)의 개구단에 위틀이 형성되어 있는 수조(1)에서, 칸막이판(5)을 인출할때 원활하다.
상기 가이드수단(22)은, 기판의 측단부분에 기립시킨 핀(23)을 조절판(21)에 개설한 수평방향의 장공(長孔)(24)에 끼워져 구성한다.
또, 상기 조절판(21)에는 작동수단(25)을 설치해 조절판(21)을 외측으로 작동한다.
이 작동수단(25)은, 도시한 실시예에 의하면, 조절판(21)의 내측단으로부터 탄성편(26)을 일체로 늘려 설치하고, 이 탄성편(26)을 기판측에 설치한 받는부분(27)에 눌러 접속시켜서 구성하였다.
또, 상기 탄성편(26)을 상기한 직립부(6d)에 직접 맞닿도록 해도 된다.
따라서 칸막이판(5)을 수조(1)에서 장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조절판(21)의 측단이, 칸막이판(5)의 측단보다도, 약간 돌출해서, 칸막이판(5)의 실질적인 폭이 넓게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탄성편(26)을 합성수지제의 조절판(21)과 일체로 성형하면, 부품점수를 감소시킬수가 있다.
또, 금속제품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높이나 부식의 염려가 없고, 장기간의 사용에 견딘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의 칸막이판(5), 즉 기능체유닛(4)을 수조본체(2)내에 장착할때는 , 면을 다듬은 선단부분으로부터 측벽(1a)의 간격에 따라 조정판(21)이 안쪽으로 눌려서 작동수단(25)에 반해서 안쪽으로 맞닿여 움직인다.
그리고, 칸막이판(5)의 삽입이 완료되어도, 작동수단(25)의 작동이 계속되므로 조절판(21)의 선단이 측벽(1a)의 내면에 밀접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조절판(21)을 설치한 칸막이판(5)에 의하면, 수조본체(2)와 칸막이판(5)사이에 극간이 생기지 않는다.
이때문에, 생체에리어내의 치어나 작은 물고기가 기능에리어에 침입하지 않는다.
또 수중펌프(8)에 의한 흡인에 의해 소정의 경로를 통하는 수류만이 기능에리어에 유입되므로 여과작용을 효율좋게 할 수가 있다.
또 하단의 면을 다듬은 부분은 저면 필터(19)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단의 면을 다듬은 부분은 수면상에 위치하므로, 치어나 작은 고기가 기능에리어에 침입하는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또, 도시한 실시예에 의하면 조절판(21)은 좌우 공통으로, 상하의 각진 부분을 다듬어 놓았다.
또 기판부에 설치하는 코드눌르기(28)나 히터(11)의 브래킷부의 슬롯(29a), (29b)등이 적당히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수조본체(2)의 개구상단에 장착하는 뚜껑유닛(3)은, 하면이 개방된 합성수지제의 얕은 접시모양의 틀체이고, 앞쪽에 먹이를 주는데 이용하도록 개폐자재로 설치한 앞뚜껑(30)을 갖는 동시에, 후부에 도시하지 않고 있으나 조명장치로서의 형광관이나 안정기등을 설치하는 수납부를 갖고 있다.
또, 뚜껑체유닛(3)은 도시하지 않은 힌지 부재를 통해서 개폐자재로 장착되고, 뚜껑체유닛(3)을 상방으로 떼어낼수가 있다, 또 도시한 실시예에 관한 관상어용 수조(1)에서는, 상기 뚜껑체유닛(3)의 측벽부에는 통기부(31)를 개설하고, 이 통기부(31)에 개폐자재로운 개폐부재(32)를 장착하고 수조(1) 상부의 공간과 외기를 연통가능하게 해 두었다.
이것은, 상기 통기부(31)를 통해서, 수면에 접하는 수조(1)내의 공기와 외기를 유통시켜서, 과도한 온도상승을 억제하기 때문이다.
제4도는,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고, 이 실시예에서는 단순히 수조(1)를 칸막이 하기 위한 칸막이판(5)에 조절판(21)을 설치하고 있다.
즉, 칸막이판(5)의 양측단에 조절판(21)을 가이드수단(22)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맞대여 움직임 가능하게 설치하고, 이 조절판(21)을 작동수단(25)에 의해 측벽(1a)에 밀접하도록 외측으로 작동하고 있다.
상기 가이드수단(22)은, 상기한 실시예와 같이, 칸막이판(5)의 측단부분에 설치한 핀(23)을 조절판(21)에 개설한 장공(24)에 끼워서 구성하고 있다.
또, 작동수단(25)은 조절판(21)의 내측측단에 설치한 탄성편(26)을 받는 부분(27)에 압접시켜서 구성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도, 수조본체(2)와 칸막이판(5) 사이에 극간이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치어나, 작은고기가 구획한 소정의 에리어로부터 도망가지 않는다.
이와 같은 칸막이판(5)에 의하면, 치어등의 사육이 가능할 뿐아니라, 성질이 다른 것들을 하나의 수조(1)에서 사육하거나, 한쌍이된 커플을 군에서 격리하는 경우등에 적합하다.
또, 제4도에 표시하는 실시예에서는, 한장의 칸막이판(5)를 장착하고 있으나, 복수의 칸막이판(5)을 장착해서 다수의 에리어를 구획할 수가 있다.
이상, 본 고안을 도시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하는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구성을 변경하지 않는한 적당히 실시된다.
이상 요컨대, 본 고안은, 수조의 대향하는 측벽간에 장착하는 칸막이판의 양측단에, 조절판을 가이드수단에 의해 가로방향으로 맞대여 움직이게 설치하고, 이 조절판을 동작 수단에 의해 측벽에 밀접하도록 외측으로 작동하므로, 수조본체와 칸막이판과의 사이에 극간이 생기지 않으므로, 소정의 에리어내의 치어나 작은 물고기류가 다른 에리어에 침입할 수 없고, 극간으로부터 소정의 경로이외를 통하는 수류가 여과장치에 유입해서 여과의 효율이 저하하는 일이 없고, 실용적 가치가 극히 높다.

Claims (2)

  1. 수조의 대항하는 측벽간에 장착하는 칸막이판의 양측단에 조절판을 가이드수단에 의해 가로방향으로 맞대여 움직이게 설치하고, 이 조절판을 작동수단에 의해 측벽에 밀접하도록 외측으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용 칸막이판의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조절판의 상하의 선단부를 다듬은 수조용 칸막이판의 조절장치.
KR2019930017153U 1992-10-15 1993-08-31 수조용 칸막이판의 조절장치 KR96000411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77768(U) 1992-10-15
JP1992077768U JP2563033Y2 (ja) 1992-10-15 1992-10-15 水槽用仕切板のアジャスト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9049U KR940009049U (ko) 1994-05-17
KR960004111Y1 true KR960004111Y1 (ko) 1996-05-22

Family

ID=13643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7153U KR960004111Y1 (ko) 1992-10-15 1993-08-31 수조용 칸막이판의 조절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563033Y2 (ko)
KR (1) KR960004111Y1 (ko)
GB (1) GB2271703B (ko)
SG (1) SG4387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285Y1 (ko) * 2007-07-09 2009-07-14 경일중공업 주식회사 사료 잔량 배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PD20130026U1 (it) * 2013-05-03 2014-11-04 Newa Tecno Ind S R L Acquario perfezionato
KR102664573B1 (ko) * 2021-07-27 2024-05-08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멀티 수조 칸막이
KR102438266B1 (ko) * 2021-12-08 2022-08-30 정재우 기능성 수족관 상면여과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769932A (en) * 1955-02-02 1957-03-13 Frankau & Company Ltd J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movable partitions for boxes and the like
GB826073A (en) * 1957-07-09 1959-12-23 Harry Herman Ross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xtensible partitions or dividers for shelf or like compartments
US4081100A (en) * 1976-06-18 1978-03-28 Knoll International, Inc. Spring-loaded drawer partition
US4531477A (en) * 1984-04-02 1985-07-30 Crossman Richard B Fish concentrating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285Y1 (ko) * 2007-07-09 2009-07-14 경일중공업 주식회사 사료 잔량 배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634451U (ja) 1994-05-10
GB2271703B (en) 1996-09-11
KR940009049U (ko) 1994-05-17
GB2271703A (en) 1994-04-27
JP2563033Y2 (ja) 1998-02-18
SG43878A1 (en) 1997-11-14
GB9315508D0 (en) 1993-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29604A (en) Vivarium with raised lateral access panel
US4117805A (en) Vivarium
US4006711A (en) Unitary liner for an aquarium
US3211378A (en) Wall fountain
US3490416A (en) Aquarium
US6447137B1 (en) Illuminated waterfall lamp
JPH03195434A (ja) 観賞魚用水槽
KR960004111Y1 (ko) 수조용 칸막이판의 조절장치
JPH02186928A (ja) 観賞魚用水槽
KR960000616Y1 (ko) 관상어용 수조
US6915762B2 (en) Wall-mountable aquarium
KR102296750B1 (ko) 습식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어항파티션
US5427060A (en) Screen for aquarium tank
KR100828629B1 (ko) 수족관용 여과장치
KR0129728Y1 (ko) 관상어용 수조
US6834617B1 (en) Aquarium background setting
JPH11215933A (ja) 卓上型水槽
KR20160002476U (ko) 폭포 화병을 구비한 조명 파티션
KR200417660Y1 (ko) 어항이 구비된 식탁
JPH0240781Y2 (ko)
KR200165908Y1 (ko) 실내장식 겸용 가습기
KR960003385Y1 (ko) 개량 수족관
KR100805213B1 (ko) 벽걸이용 수족관
JPH0750960A (ja) 水槽のヒータ取付装置
KR200333535Y1 (ko) 벽걸이용 수족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4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