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3806Y1 - 차량정비용 리프트의 회전암 로킹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정비용 리프트의 회전암 로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3806Y1
KR960003806Y1 KR2019930023969U KR930023969U KR960003806Y1 KR 960003806 Y1 KR960003806 Y1 KR 960003806Y1 KR 2019930023969 U KR2019930023969 U KR 2019930023969U KR 930023969 U KR930023969 U KR 930023969U KR 960003806 Y1 KR960003806 Y1 KR 9600038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ry arm
cap
bracket
rotary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39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4031U (ko
Inventor
이종웅
Original Assignee
헤스본 기게 주식회사
이종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헤스본 기게 주식회사, 이종웅 filed Critical 헤스본 기게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239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3806Y1/ko
Publication of KR9500140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40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38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8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9/0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 B60S9/02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 B60S9/04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mechan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차량정비용 리프트의 회전암 로킹장치
제1도 및 제2도는 본 고안의 회전암 로킹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로서,
제1도는 캐리지가 상승된 상태를 보인 도면.
제2도는 캐리지가 하강된 상태를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직 지지대 2 : 수평 지지대
3 : 캐리지 4 : 브래키트
5 : 회전암 6 : 회전축
6A : 통공 6B : 외측치차
7 : 축핀 8 : 로킹 해제핀
9, 12 : 스프링 10 : 캡
10A : 수동해제 손잡이 10B : 내측치차
11 : 볼트
본 고안은 회전암(arm)이 설치된 브래키트가 고정되는 캐리지를 수직 지지대에 현수체로 지지하면서 승강시키는 차랑정비용 리프트에 있어서, 차량을 승강시키는 회전암이 상승된 상태에서 임의로 회전되지 못하도록 로킹(locking)시키는 차량정비용 리프트의 회전암 로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정비용 리프트는 차량의 정비 등을 실시할 경우에 회전암을 회전시켜 회전암의 단부에 부착되어 있는 발판이 차량 저면의 적당한 부위에 접촉되게 위치시키고, 구동장치를 구동시켜 캐리지를 승강 및 회전암이 차량과 함께 승강되도록 하고 있다.
이때, 차량을 상승시킨 상태에서 회전암이 회전하게 되면, 회전암의 발판에 얹혀진 차랑이 함께 회전하게 되므로 회전암이 상승된 상태에서는 회전암이 임의로 회전되지 않도록 해야 된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정비용 리프트는 회전암의 상승 및 하강에 관계없이 회전되게 구성하였으므로 회전암이 차량을 상승시킨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강한 충격 등이 인가되면, 회전암이 회전하여 회전암의 발판에 얹혀진 차량이 흔들리게 되고, 심할 경우에는 상승되어 있는 차량이 균형을 잃어 낙하하게 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회전암과 함께 회전되는 회전측에 외측 치차를 형성하고, 회전측의 상부에는 외측 치차와 치합되는 내측치차를 구비한 캡을 설치하여 캐리지가 상승될 경우에는 자동으로 외측치차에 내측치차가 치합되어 회전암이 회전되지 않도록 로킹시키고, 캐리지를 하강시킬 경우에는 외측치차와 내측치차가 치합되지 않도록 하여 회전암이 회전되게 함과 아울러 외측치차에 내측치차가 치합되어 회전암이 회전되지 않도록 로킹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임의로 외측치차에 내측치차가 치합되지 않도록 하여 회전암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회전암 로킹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는 본 고안의 회전암 로킹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여기서, 부호1은 수직으로 입설되는 수직 지지대이고, 부호2는 수직 지지대(1)의 하부에 설치되어 수직 지지대(1)의 수직상태를 지지하는 수평지지대이다.
수직 지지대(1)에는, 캐리지(3)가 설치되어 와이어로프 또는 체인 등의 현수체(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음)로 지지되고, 구동장치(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음)의 구동에 의해 현수체가 이송됨에 따라 캐리지(3)가 승강되도록 되어 있다.
부호 4는 캐리지(3)에 고정되어 캐리지(3)의 승강에 따라 함께 승강되는 브래키트이다. 브래키트(4)에는 회전암(5)을 설치되고, 내부에 통공(6A)이 형성되고 상부의 주연부에 외측치차(6B)가 형성된 회전축(6)이 브래키트(4) 및 회전암(5)을 관통 설치된 후 축핀(7)으로 회전암(5) 및 회전축(6)을 체결하여 회전암(5) 및 회전축(6) 함께 회전되게 하였다.
그리고 회전축(6)의 통공(6A)에는 로킹 해제핀(8) 및 스프링(9)을 내장하여 로킹해제핀(8)의 하단부가 브래키트(4)의 하부로 노출 및 캐리지(3)의 하강 완료시 수평지지대(2)에 의해 상승되게 하고, 브래키트(4)의 상부에는, 수동해제 손잡이(10A)가 부착되고 상기 외측치차(6B)와 치합되게 내측치차(10A)가 구비된 캡(10)을 설치하며, 캡(10)의 상부에는 볼트(11)로 스프링(12)을 설치하여 캡(10)을 브래키트(4)측으로 탄성력을 인가하게 함과 아울러 캡(10)의 회전 및 이탈을 방지하게 구성하였다.
상기에서 스프링(9)의 탄성력보다 스프링(12)의 탄성력이 강하게 하고, 도면의 설명중 미설명 부호13은 커버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회전암 로킹장치는 회전암(5)을 회전시켜 단부에 부착되어 있는 발판이 정비할 차량의 저면의 소정 위치와 접촉되게 한 후 구동장치를 구동시켜 캐리지(3)를 상승시키면, 캐래지(3)의 상승에 따라 브래키트(4)가 상승하여 회전암(5)이 상승하게 되고, 차량이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이 캐리지(3)가 상승하여 회전암(5)이 상승하면,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 해제핀(8)의 단부가 수평 지지대(2)와 접촉되지 않으므로 로킹 해제핀(8)의 단부가 브래키트(8)의 하부로 노출되고, 이로 인하여 스프링(12)의 탄성력에 의해 캡(10)이 회전축(6)의 상부에 복개되어 회전축(6)의 외측치차(6B)에 캡(10)의 내측치차(10)가 치합된다.
여기서, 캡(10)은 브래키트(4)에 볼트(11)로 설치되어 회전되지 않는 것으로 캡(11)이 회전되지 않아 회전축(6)이 회전되지 않고, 회전암(5)이 회전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차량의 정비를 완료하고, 구동장치를 구동시켜 캐리지(3)를 하강시키면, 브래키트(4) 및 회전암(5)이 함께 하강하게 되는 것으로 회전암(5)의 하강이 완료될 경우에 로킹 해제핀(8)이 수평 지지대(2)에 접촉되어 통공(6A)의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그러면, 스프링(9)이 압축되면서 스프링(12)의 탄성력보다 강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스프링(9)의 탄성력에 의해 캡(10)이 상승하여 회전축(6)의 내측치차(6A) 및 캡(10)의 내측치차(10A)가 분리되고, 이로 인하여 회전축(6)이 회전되고, 회전암(5)이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회전암(5)의 하강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회전암(5)을 임의로 회전시킬 경우에 수동해제 손잡이(10A)를 잡고, 상부로 당기면, 수동해제 손잡이(10A)의 상승에 따라 캡(10)이 상승하여 회전축(6)의 내측치차(6A) 및 캡(10)의 내측치차(10A)가 분리되므로 사용자가 회전암(5)을 잡고 회전시키면, 회전축(6)이 회전되고, 회전암(5)이 회전되어 임의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2개의 수직 지지대(1)만을 구비하고 있는 2주식 차량정비용 리프트에는 하나의 수직 지지대(1)에 각기 2개씩 설치하여 실시할 수 있고, 4개의 수직 지지대(1)를 구비하고 있는 4주식 차량정비용 리프트에는 수직 지지대(1)에 각기 하나씩 설치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캐리지가 상승하여 회전암이 차량을 상승시킨 상태에서는 자동으로 회전암이 회전되지 않도록 하고, 차량을 하강시킨 상태에서는 회전암이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회전암의 회전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캐리지를 상승시킨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임의로 조작하여 회전암을 회전시킬 수 있다.

Claims (1)

  1. 수직 지지대(1)대에 현수체로 지지 및 승강되는 캐리지(3)에 브래키트(4)가 고정되고 브래키트(4)에는 회전암(5)이 설치되는 차량정비용 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브래키트(4)와 회전암(5)에 끼워져 설치되며 내부에 통공(6A)이 형성되고 상단외주연에는 외측치차(6B)가 구비된 회전축(6), 상기 회전축(6)의 내부 통공(6A)에 설치되며 스프링(9)을 압축하는 로킹 해제핀(8), 상기 회전암(5)의 일측에 체결되어 회전암(5)과 회전축(6)을 함께 회전시키는 축핀(7), 상기 회전축(6)의 상단 외측치차(6B)에 체결되게 적소에 내측치차(10B)가 형성된 캡(10), 상기 스프링(9)에 하단 적소가 끼워짐과 동시에 캡(10)의 상단에 설치된 수동해체 손잡이(10A), 상기 캡(10)의 외부에 커버(13)가 설치되고 이 커버(13)와 캡(10) 및 브래키트(4)를 상호 결합하는 볼트(11), 상기 볼트(11)의 외주연에 설치되며, 캡(10)의 상승시 압축되는 스프링(12)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비용 리프트의 회전암 로킹장치.
KR2019930023969U 1993-11-16 1993-11-16 차량정비용 리프트의 회전암 로킹장치 KR9600038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3969U KR960003806Y1 (ko) 1993-11-16 1993-11-16 차량정비용 리프트의 회전암 로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3969U KR960003806Y1 (ko) 1993-11-16 1993-11-16 차량정비용 리프트의 회전암 로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4031U KR950014031U (ko) 1995-06-16
KR960003806Y1 true KR960003806Y1 (ko) 1996-05-09

Family

ID=19367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3969U KR960003806Y1 (ko) 1993-11-16 1993-11-16 차량정비용 리프트의 회전암 로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380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91195B2 (en) * 2019-10-22 2023-02-28 Automotive Lift Institute Automotive lift and swing arm restraint system for automotive lif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1333B1 (ko) * 2020-07-06 2022-01-14 (주)엠티엠 차량 리프트의 지지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91195B2 (en) * 2019-10-22 2023-02-28 Automotive Lift Institute Automotive lift and swing arm restraint system for automotive lif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4031U (ko) 1995-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5683Y1 (ko) 자동차용 전동잭
KR960003806Y1 (ko) 차량정비용 리프트의 회전암 로킹장치
EP0550575A1 (en) DRIVE MECHANISM FOR PIVOTING ELEMENT IN VERTICAL POSITION.
JPS60197584A (ja) 重力作動グリツパ
KR970003450Y1 (ko) 차량 정비용 리프트기의 안전장치
JPH08337394A (ja) 車両用リフト
KR200384373Y1 (ko) 트레일러의 콘테이너 자동잠금장치
KR200179089Y1 (ko) 맨홀뚜껑 개방장치
JPH0891765A (ja) 吊り荷の自動玉掛け外し装置
JPH092790A (ja) 二柱式車両用リフト
JPH088240Y2 (ja) 洞道内における収納式梯子
JPH0535977Y2 (ko)
KR960002469Y1 (ko) 건축물 외벽 공사용 승강기
CN215558239U (zh) 一种改进型的施工电梯围栏门
CN211257977U (zh) 一种机械防坠落装置
KR960010204Y1 (ko) 지브크레인의 기계식 승강장치
KR950005072Y1 (ko) 곤도라 안전확인장치의 구조
KR100369036B1 (ko) 자동차의 윈도우글래스 비상열림장치
KR940008467Y1 (ko) 곤도라 안전확인장치의 구조
KR940008673Y1 (ko) 카리프트의 승강구 추락방지 장치
KR890003370Y1 (ko) 에스컬레이터 기계실의 안전휀스 설치장치
JPH0735029Y2 (ja) 家庭用駐車機
KR900008325B1 (ko) 2단주차장치
JP3784032B2 (ja) プレスのスライドロック装置
JP2022184676A (ja) スペアタイヤ支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0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