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3674B1 - 직기의 종광틀 위치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직기의 종광틀 위치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3674B1
KR960003674B1 KR1019920008641A KR920008641A KR960003674B1 KR 960003674 B1 KR960003674 B1 KR 960003674B1 KR 1019920008641 A KR1019920008641 A KR 1019920008641A KR 920008641 A KR920008641 A KR 920008641A KR 960003674 B1 KR960003674 B1 KR 9600036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frame
slider
opening
hea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8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3509A (ko
Inventor
쥰이치 요코이
Original Assignee
요코이 상교오 가부시끼가이샤
요코이 히데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코이 상교오 가부시끼가이샤, 요코이 히데오 filed Critical 요코이 상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30023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35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3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6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11/00Selvedge shedding mechanisms not forming part of main shedding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전체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요부의 죄측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요부의 우측면도.
제4도는 제1도의 요부의 센서 유니트로부터 커버를 제거하고 동시에 일부 단면으로한 우측면도.
제5도는 제1도의 요부의 센서 유니트로부터 커버, 슬라이더 등을 제거하고 동시에 일부 단면으로한 우측면도.
제6도는 제1도의 요부의 정면도.
제6도는 제1도의 요부의 정단면도.
제8도는 제1도의 허용량을 조정하는 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정면 단면도.
제9도는 제7도의 A-A 선의 화살표로 본 단면도.
제10도는 제7도의 B-B 선의 화살표로 본 단면도.
제11도는 제7도의 C-C 선의 화살표로 본 단면도.
제12도는 제7도의 D-D 선의 화살표로 본 단면도.
제13도는 제7도의 E-E 선의 화살표로 본 단면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블럭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요부의 좌측면도.
제16도는 제15도의 정면도.
제17도는 제15도의 정면 단면도.
제18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요부의 좌측면도.
제19도는 제18도의 정면도.
제20도는 제18도의 정면 단면도.
제21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요부의 정면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레임 2 : 지지기둥
6 : 종광틀 7 : 종광
8 : 눈 10 : 개구장치
11 : 캠레버 12,15 : 와이어
13 : 연결장치 14 : 인장장치
17 : 풀리 19 : 턴버클
20 : 센서장치 21 : 부착판
22 : 센서 유니트 23 : 유니트 조정부재
24 : 슬라이더 조정부재 25 : 가이드
26,42,58,63,73,110 : 보울트 27 : 부착흠
28 : 기초대 29 : 슬라이더
30 : 장착대 31 : 센서
32 : 커버 33 : 기판(碁坂)부
34 : 가이드부 35 : 걸어맞춤부
36 : 평판 돌설부 37 : L형상 돌설부
38,64,72,108 : 너트 39 : 스토퍼
40,55,56 : 배선끼움구멍 44 : 바깥끼움부재
45 : 삽입부재 47 : 대향판부
48,84,90 : 측벽부 49,82 : 돌설부
51 : 가이드구멍 53,77 : 오목부
59 : 보울트 삽입구멍 65 : 너트구멍
66 : 센서의 배선 67 : 검출부
68 : 알림부 70 : 검출용 보울트
74,86,92 : 보울트구멍 76 : 슬라이더 조작용 손잡이부
79,107 : 창부 80 : 다이어 커트면
83,89 : 수직부 85 : 케이블 커넥터
87 : 걸어맞춤홈 91 : 손잡이부
93 : 걸어맞춤구멍 95 : 제어반
96 : 검출램프 97 : 경보기
98 : 회전 타이트 99 : 리세트 스위치
100 : 카운터 유니트 101 : 컴퓨터
105 : 와이어 세들 109 : 지지대
[발명의 명칭]
본 발명은 직기의 종광틀 위치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직기에서는 종광틀이 전후방향으로 병설되어, 이들 각 종광틀을 상하방향 한쪽으로 이동시키는 개구장치와, 각 종광틀을 인장 장치쪽 와이어를 통하여 상하방향 다른쪽으로 잡아당기는 인장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개구장치에는 하치형과 상치형이 있는 동시에, 이들 양 타입 모두, 각각 소극식과 적극식이 있다.
그런데, 소극식에서는 개구장치와 각 종광틀이 개구장치쪽 와이어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직기를 장기간에 걸쳐서 사용하면, 개구장치쪽 외이어가 차차로 늘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하치형의 개구장치에서는 교차 개구 아래쪽 경사의 위치가 기준위치보다 상승하고, 또 상치형의 개구장치에서는 상기와는 반대로, 교차 개구 위쪽 경사의 위치가 기준위치보다 하강한다.
이것에 의하여 실질적 유효 개구량이 감소됨과 동시에 각 와이어의 장력이 감소된다.
그리고, 개구량이 상기와 같이 감소되면, 경사간에 위사를 쳐넣을때에, 위사가 도중에서 걸리기 쉬어지고, 불량품이 나오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또, 각 와이어의 장력이 상기와 같이 감소되면, 종광틀이 요동되기 쉬어지나, 종광틀에서는, 종광의 상하의 로드아이에 종광틀의 상하변부가 로드를 통하여 끼워서 통해져 있으므로, 상기와 같이 종광틀이 요동하면, 로드아이가 손상되기 쉬어진다는 문제가 생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종광틀이 요동하면, 와이어나 종광의 메일(mail)(눈) 등도 손상되기 쉬어져서, 그 손상이 원인으로 경사도 끊어지기 쉬어진다는 문제도 생긴다.
상기 각 문제는, 좌우의 개구장치쪽 와이어의 신장이 균일하지 않는 경우에 현저하게 되는 동시에, 직기가 고속화 되면 될수록 현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개구장치쪽 와이어가 신장하면, 여러가지 문제가 생기지만, 종래에 있어서는, 개구장치쪽 와이어가 신장한 것을 검출하는 검출장치는 구비되지 않았었다.
이 때문에, 종래에 있어서는 개구쪽 와이어가 신장한 것이 알기가 어려웠고 그 때문에, 상기와 같은 문제가 발생되기 쉬웠던 것이 설정이었다.
또, 적극식 개구장치에서는 개구장치와 각 종광틀이 링크 기구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으나, 이 장치에서도 직기를 장기간에 걸쳐서 사용하면, 링크 기구의 연결부분에 마모가 생겨서 상기와 같은 문제가 발생되기 쉬웠던 것이 실정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종광틀의 위치 검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으로 하는 것을 프레임과 전후방향으로 다수 병설된 종광틀과 이들 각 종광틀을 상하방향 한쪽으로 이동시키는 개구장치와, 각 종광틀을 상하방향 다른쪽으로 잡아당기는 인장장치를 가지는 것에 있어서, 프레임에 종광틀의 측방에 위치하고 동시에 상하방향에 관해서 어느 한쪽으로 최대 이동 위치에 있는 여러개의 종광틀을 검출하는 센서장치가 구비되고, 센서장치가 프레임에 비치된 부착판과, 부착판상에서 전후방향으로 병설되고 동시에 대응하는 각 종광틀을 검출하는 센서를 가지는 여러개의 센서 유니트와, 전 센서 유니트를 일체로 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조정하는 유니트 조정부재를 가진 점에 있다.
또한, 각 센서 유니트가, 부착판에 상하방향으로 이동조정이 자유롭게 구비된 기초대와, 기초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조정이 자유롭게 구비되고 동시에 센서를 갖춘 슬라이더를 가지며, 유니트 조정부재가 전 센서 유니트의 기초대와 걸어맞춤되는 일도 있다.
또, 각 센서 유니트의 슬라이더에, 전 슬라이더를 일체로 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조정하는 슬라이더 조정부재가 걸어맞춤되는 일도 있다.
또한, 센서장치가 좌우한쌍으로 되는 일도 있다.
직기의 개구량 설정을 할 때에는, 각 종광틀의 최대 상승위치, 최대 하강위치를 설정하고, 소망하는 개구량을 설정한다.
다음에, 센서장치를 세트하기전에, 센서장치에 설정하는 개구량에 다른 유니트 조정부재를 갖춘다. 이 상태에서, 센서장치를 직기에 세트한 후, 각 종광틀을 상하방향에 관해서 어느 한쪽으로의 최대 이동위치까지 이동시킨다.
다음에, 먼저 유니트 조정부재의 조작에 의해, 센서장치의 전 센서 유니트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조정하는등 하여서, 개구량의 허용할 수 있는 감소량을 설정한 후, 부착판에, 각 센서 유니트 및 유니트 조정부재를 고정한다.
직기의 작동시에는, 각 종광틀의 상기 한쪽으로의 최대 이동위치에 도달한 때에, 센서장치의 각 센서가 종광틀을 검출한다.
직기를 장시간에 걸쳐서 사용하면, 각 종광틀의 최대 하강위치 및 최대 상승위치가 차차 벗어나서, 직기의 개구량이 감소된다.
그리고, 개구량의 감소량이 설정한 허용량을 넘으면, 종광틀이 상기쪽으로의 최대 이동위치에 도달하여도 센서장치의 센서가 종광틀을 검출하지 않게 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제1도 내지 제14도를 사용하여 설명하면, 제1도에서, (1)은 프레임이며, 좌우 한쌍의 지지기둥(2)를 가진다.
(6)은, 알루미늄제의 종광틀이며, 전후방향으로 다수 병설되어 있고, 그 내부에, 종설된 종광(7)이 좌우방향으로 다수 병설되어 있다. 각 종광(7)의 상하방향 중앙부에는, 경사가 지나가는 눈(아이 또는 메일)(8)이 구비되어 있다.
(10)은, 캠기에서 예시하는 소극식 개구장치로서, 프레임(1) 하부에 갖추어져 있고, 좌우에 요동하는 캠레버(11)가 근접하여 다수 병설형상으로 구비되어 있다. 각 캠레버(11)는, 종광틀(6)의 하단부의 좌우각측에 와이어체(강철)로서 예시되는 개구장치쪽 와이어(12) 및 연결장치(13)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개구장치쪽 와이어(12)의 도중에는, 조정용 턴 버클(19)이 구비되어 있다. (14)는 좌우 한쌍의 인장장치로서, 각 지지기둥(2) 상부에 구비되어 있고, 각 종광틀(6)을 인장장치쪽 와이어(150를 통하여 윗쪽으로 잡아당기고 있다. (17)은 폴리이며, 각 와이어(12),(15)를 안내한다.
(20)은 좌우 한쌍에 해당하는 센서장치로서, 프레임(1)의 각 지지기둥(2)에 비치되어서, 최대 하강위치에 도달한 전 종광틀(6)의 좌우 각 끝단부에서는 상단부를 검출한다.
제2도 내지 제1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각 센서장치(20)는, 부착판(21)과, 다수의 센서 유니트(22)와, 유니트 조정부재(23)와, 슬라이더 조정부재(24)를 각각 가진다.
부착판(21)은, 프레임(1)의 각 지지기둥(2)에, 부래킷(24)을 통하여 제6도와 같이 종광틀(6)의 가이드(25)와 함께, 보울트(26)에 의해 붙이고 떼기가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각 부착판(21)에는, 각 종광틀(6)의 측방에 위치하는 부착홈(27)이 전후방향으로 다수 병설되어 있다. 부착홈(27)은 상하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형성되어, 좌우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다.
다수의 센서 유니트(22)는, 각 부착판(21)에 전후방향으로 병설됨과 동시에, 각 부착홈(27)에 상하방향으로 이동조정이 자유롭고 동시에 붙이고 떼기가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각 센서 유니트(22)는, 윗 아래로 가늘고 긴 형상으로 되어, 기초대(28)와, 슬라이더(29)와, 장착대(30)와, 센서(31)와 커버(32) 등을 가진다.
기초대(28)는, 부착판(21)의 부착홈(27)에 상하방향으로 이동조정이 자유롭게 구비되는 것으로서, 부착판(21) 내면과 맞닿는 기판부(33)와, 기판부(33)의 전후 양끝단부로부터 안쪽으로 돌출설치되는 한쌍의 가이드부(34)와, 기판부(33)의 상하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설치되고 동시에 부착판(21)의 부착홈(27)에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걸어맞춤되어 가이드 기능을 하는 한쌍의 걸어맞춤부(35)와, 기판부(33)의 하단부로부터 안쪽으로 돌출설치된 평판형상의 평판형상 돌설부(36)와, 기판부(33)의 상단부로부터그 형상으로 돌출설치된 그 형상 돌설부(37)과 기판부(33) 안쪽면의 하부에 고정설치된 너트(38)와 기판부(33)의 하부로부터 안쪽으로 돌출설치된 스토퍼(39) 등을 가진다(제8도 참조).
또한, 기판부(28)의 상하방향 중앙부 및 상부에는 상방향의 긴구멍으로된 배선끼움구멍(40)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또, 기초대(28)의 너트(38)를 제외한 부분은 한장의 판을 프레스 성형하여 형성된다. (42)는 보울트로서, 유니트 조정부재(23)의 상부, 부착판(21)의 부착홈(27) 및 기판(33)에 끼워져 너트(38)에 붙이고 떼기가 자유롭게 나사결합되고, 유니트 조정부재(23) 및 기초대(28)의 하단부가 부착판(21)에 붙이고 떼기가 자유롭게 고정되어 있다. 보울트(42)는 부착홈(27)내를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슬라이더(29)는 기초대(28)의 양가이드부(34)간에 삽입되어서, 기판부(33)상을 상하방향으로 미끄럼 이동이 자유롭게 되는 것으로서, 바깥끼움부재(44)와 삽입부재(45)로 이루어진다.
바깥끼움부재(44)는, 기초대(28)의 기판부(33)와 대항하는 대향판부(47)와, 대향판부(47)의 전후 양끝단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설치되어 기초대(28)의 가이드부(34)와 맞닿는 측벽부(48)와, 대향판부(47)의 상하 양끝단부로부터 안쪽으로 돌출설치된 한쌍의 돌설부(49)로 이루어진다. 각 돌설부(49)에는, L형상 돌설부(37)의 선단부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자유로 삽입되는 가이드구멍(51)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부재(45)의 안쪽부는, 바깥끼움부재(44)의 측벽부(48)간에 삽입되어, 코오킹고정 또는 스폿용접에 의해 바깥끼움부재(44)에 일체화됨과 동시에 삽입부재(45)의 바깥쪽부는 기초대(28)의 양가이드부(34)간에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삽입, 걸어맞춤되어 있다. 삽입부재(45)의 하단부에는, 오목부(53)가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부(53)에 기초대(28)의 스토퍼(39)가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삽입 걸어맞춤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바깥끼움부재(44)와 삽입부재(45)에서의 상부쪽에는, 상하방향의 긴구멍으로 된 배선끼움구멍(55), (56)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더(29)의 하부는 기초대(28)에 보울트(58)에 의해 붙이고 떼기가 자유롭게 고정되고 보울트(58)의 두부는 부착홈(27)내에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삽입되어 있다. 또, 기판부(33)의 보울트 삽입구멍(59)은 상하방향의 긴구멍으로 되어, 보울트(58)가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삽입되어 있다.
장착대(30)는 홈형상으로 되어 바깥끼움부재(44)의 상하방향의 거의 중앙부 안쪽면상에 배열설치됨과 동시에, 그 오목부(53)쪽의 끝단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설치된 돌편부(61)가 바깥끼움부재(44)와 삽입부재(45)에 삽입 걸어맞춤되어 있다.
센서(31)는 장착대(30)내에 끼워맞춤되어, 보울트(63), 너트(64)에 의해 장착대(30), 슬라이더(29) 및 기초대(28)의 기판부(33)에 붙이고 떼기가 자유롭게 고정되어 있다. 기판부(33)의 너트구멍(65)은 상하방향의 긴구멍으로 되어, 이 너트구멍(65)에 너트(64)가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센서(31)의 배선(66)은 슬라이더(29)의 배선끼움구멍(55),(56), 기초대(28)의 윗쪽의 배선끼움구멍(40) 및 부착홈(27)을 지나서 외부로 이끌어지고 있다. 센서(31)의 하부안쪽면은 검출부(67)로 됨과 동시에, 센서(31)의 하단부에는, 검출시에 점등되는 발광 다이오드 등의 알림부(68)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종광틀(6)이 알루미늄제이며 강자성(强磁性)체는 아니므로, 센서(31)에 의하여, 종광틀(6)을 검출하기 어렵다. 그래서 종광틀(6)의 좌우 각끝단부의 상단부에, 강자성체인 검출용 보울트(70)가 붙이고 떼기가 자유롭게 부착되어, 종광틀(6)의 센서(31)에 의해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종광틀(6)이, 철 등의 강자성체로 이루어진 것이라면, 상기와 같은 검출용 보울트(70)를 갖출 필요가 있다.
커버(32), 슬라이더(29)의 바깥끼움부재(44)의 안쪽면에 정착되어, 센서(31) 및 슬라이더(29)의 바깥끼움부재(44)의 안쪽면 등을 덮는 것으로서, 그 상하방향 양끝단부에는, 상하 한쌍의 너트(72)가 매장되어 있다. (73)은, 상하 한쌍의 보울트로서, 아래쪽 보울트(73)가, 부착판(21)의 부착홈(27), 기초대(28)의 기판부(33) 및 슬라이더(29)에 삽입되고, 또, 윗쪽 보울트(73)가, 상기 부채 이외에도, 슬라이더 조정부재(24)에도 삽입되어, 각각 너트(72)에 나사결합되어 있으며, 이 나사결합 보울트(42)의 나사결합에 의해, 각 센서 유니트(22)가 부착판(21)에 붙이고 떼기가 자유롭게 고정됨과 동시에, 윗쪽 보울트(73)의 나사결합에 의해, 슬라이더 조정부재(24)가 부착판(21)에 붙이고 떼기가 자유롭게 고정되어 있다.
기판부(33)의 보울트구멍(74)은 상하방향의 긴구멍으로 되어 있고, 이 보울트구멍(74) 및 부착홈(27)내에, 각 보울트(73)가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삽입되어 있다. 커버(32)의 상하단부는 슬라이더(29)의 바깥끼움부재(44)의 양돌설부(49)간에 끼워져 있고, 커버(32)의 하단부에는, 안쪽으로 돌출형상으로 된 슬라이더 조작용 손잡이부(76)가 형성되어 있다. 또, 커버(32)의 상하단부에는, 안쪽면에는, 기초대(28)의 L형상 돌설부(37)가 걸거나 벗김이 자유롭게 걸어맞춤되는 오목부(77)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32)에서의 상하방향 중앙부에는, 센서(31)의 알림부(68)를 노출시키기 위한 창부(79)가 형성됨과 동시에, 커버(32)에서의 센서(31)의 알림부(68)와 대응하는 부분의 전후 양쪽부 및 안쪽부의 내면에 4각추(角錐)형상의 블록부가 다수 형성된 오목 블록형상의 다이어 커트면(80)이 형성되어, 알림부(68)가 발광할때에 잘 알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유니트 조정부재(23)는, 각 센서 유니트(22)를 일체로 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조정을 자유롭게 하는 것으로서, 부착판(21)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수평 돌출하는 돌설부(82)와, 돌설부(82)의 안쪽 가장자리로부터 세워 설치된 수직부(83)와, 수직부(83)의 전후 양끝단으로부터 안쪽으로 돌출하여 부착판(21)의 전후 양쪽면과 작은 틈을 통하여 대향하는 전후 한쌍의 측벽부(84)로 된다. 돌설부(82)에는, 각 센서(31)로부터의 배선(66)이 결합되는 케이블 커넥터(85)가 구비된다. 수직부983) 및 측벽부(84)는 부착판(21)의 하부에 밖에서 끼워져서, 수직부(83)가 부착판(21)에 맞닿게 되고, 상기 보울트(42)에 의해 붙이고 떼기가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수직부(83)에는, 보울트(42)가 끼워 넣어지는 보울트구멍(86) 및 걸어맞춤부(35)가 걸거나 벗김이 자유롭게 걸어맞춤되는 각(角) 구멍형상의 걸어맞춤구멍(87)이 형성되어, 걸어맞춤구멍(87)내부의 하단면에 걸어맞춤부(35)가 맞닿고 있다. 유니트 조정부재(23)에서는, 보울트구멍(86) 및 걸어맞춤구멍(87)은 전후방향으로 나란히 열형상으로 되어 있으나, 이들 보울트구멍(86) 및 걸어맞춤구멍(87)의 열은, 앞쪽이 높은 경사형상으로 되어 있고, 이 경사각도는, 직기의 아래쪽 개구각도에 합치되게 한다.
슬라이더 조정부재(24)는, 각 센서(31)를 일체로 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조정을 자유롭게 하는 것으로, 부착판(21)상부의 바깥쪽면에 맞닿는 수직부(89)와, 수직부(89)의 전후 양끝단부로부터 안쪽으로 돌출하여 부착판(21)의 전후 양쪽면과 작은 틈을 통하여 대항하는 전후 한쌍의 측벽부(90)와, 수직부(89)의 상단부로부터 바깥쪽으로 수평으로 돌출하는 손잡이부(91)로 된다. 수직부(89)에는, 보울트가 끼워 넣어지는 보울트 구멍(92) 및 각(角) 구멍형상의 걸어맞춤구멍(93)이 형성되어 있으며, 걸어맞춤구멍(93)에, 윗쪽걸어맞춤부(35)가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고 동시에 걸거나 벗김이 자유롭게 걸어맞춤되어 있다. 슬라이더 조정부재(24)에서는, 보울트구멍(92) 및 걸어맞춤구멍(93)은 전후방향으로 나란히하며 열형상으로 되어 있으나, 이들 보울트구멍(92) 및 걸어맞춤구멍(93)의 열은, 앞쪽이 높은, 경사형상으로 되어 있고, 이 경사각도는, 유니트 조정부재(23)의 보울트구멍(86) 및 걸어맞춤구멍(87)의 열과 대응하는 경사각도, 즉 종광틀(6)의 하단부의 개구각도에 합치되게 된다.
제14도는, 제어장치를나타내며, 센서장치(20)의 각 센서(31)가 제어반(95)에 접속되고, 제어반(95)은, 센서(31)의 검출시에 점등되는 최대 하강위치 검출램프(96)를 가진다. 제어반(95)에는, 타이머 부착 경보기(97), 회전라이트(98)가 각각 접속됨과 동시에, 제어반(95)에는, 리세트 스위치(99), 릴레이, 카운터 유니트(100)를 통하여, 컴퓨터(101)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경보기(97), 회전라이트(98)는, 어느 센서(31)가 검출했을 때에 작동한다.
또, 카운터 유니트(100)는, 리세트 스위치(99)가 온상태에만 작동하는 동시에, 카운터 유니트(100)는, 센서장치(20)의 센서(31)의 개수에 대응한 개수의 카운터를 가진다. 각 카운터는, 어느 센서가 검출했을 때에 카운터 하지만, 이 검출시에, 릴레이가 작동하여, 리세트 스위치(99)가 오프상태로 되므로, 센서(31)가 종광틀(6)을 몇번 검출하더라도, 카운터는 이것을 한번으로 카운트한다.
또, 컴퓨터(101)는, 카운터 유니트(100)의 각 카운터의 카운트 회수 등을 기억하여 이를 모니터에 표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실시예에 의하면, 개구량의 설정을 할때에는, 각 종광틀(6)에 연결된 각 연결장치(13)를 조정하여, 종광틀(6)의 최대 상승위치, 최대 하강위치를 설정하여, 소망하는 개구량을 설정한다.
다음에, 각 센서장치(20)를 프레임(1)에 세트하기 전에 각 센서장치(20)에, 설정하는 개구량 즉, 종광틀(6)의 종광(8)으로 끼워지게 된 아래쪽 경사의 개구각도에 따른 유니트 조정부재(23) 및 슬라이더 조정부재(24)를 구비하지만, 각 보울트(42),(73)는 느슨한 상태로 하여 둔다.
이 상태에서, 슬라이더 조정부재(24)에 의해, 각 센서 유니트(22)의 각 슬라이더(29)를, 제8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최대 하강위치까지 하강시켜서, 슬라이더(29)의 오목부(53)윗쪽 내면에 기초대(28)의 스토퍼(39)를 맞닿게 하여, 보울트(58)를 가볍게 죄인다.
다음에, 각 센서장치(20)를 프레임(1)에 세트하는 것인데, 그때에는, 리세트 스위치(99)를 오프상태로 해두고, 이 상태에서, 각 센서장치(20)의 부착판(21)을, 프레임(1)의 각 지지기둥(2)에 부착한다.
그후에, 각 종광틀(6)을 최대 하강위치로 하고, 센서장치(20)의 각 센서(31)의 알림부(68) 및 제어반(95)의 최대 하강위치 검출램프(96)의 점등상태를 보면서, 유니트 조정부재(23)의 조작에 의해, 센서장치(20)의 각 센서 유니트(22)를 상하방향으로 이동 조정하여, 각 센서 유니트(22)를, 그 센서(31)가 각 종광틀(6)의 검출용 보울트(70)를 검출할 수 있는 하한 위치, 즉, 위쪽 경사의 기준위치로서, 보울트(42)를 죄이고, 부착판(21)에, 각 센서 유니트(22)의 기초대(28) 및 유니트 조정부재(23)를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유니트 조정부재(23)의 조작에 의해, 센서장치(20)의 전 센서 유니트(22)를 동시에 상하방향으로 동일량 이동조정할 수 있어서, 기준위치에 세트할 수 있고, 센서장치(20)의 전 센서 유니트(22)의 기준위치로의 세트를 쉽게 할 수 있다.
다음에, 각 센서 유니트(22)의 보울트(58)를 느슨하게 해서, 각 슬라이더(29)를 기초대(28)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슬라이더 조정부재(24)에 의해, 각 슬라이더(29)를 소망량, 예를들면, 제6도 및 제7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슬라이더(29)의 윗쪽 돌설부(49)가 기초대(28)의 L형상 돌설부(37)와 맞닿을 때까지 상승시켜서, 각 센서 유니트(22)의 보울트(58) 및 각 보울트(73)를 죄이고, 각 센서 유니트(22)의 슬라이더(29)를 기초대(28)에 고정하여, 각 센서 유니트(22) 전체를 부착판(21)에 완전히 고정하는 동시에, 슬라이더 조정부재(24)를 부착판(21)에 고정한다.
상기 슬라이더(29)의 이동량이, 개구장치쪽 와이어(21)의 신장허용량, 즉, 개구량의 허용할 수 있는 감소량으로 되는 것이며, 또, 상기 개구량의 허용할 수 있는 감소량은, 각 센서 유니트(22)의 걸어맞춤부(35)가 슬라이더 조정부재(24)의 각 걸어맞춤구멍(93)내에서, 상하방향에 관해서 어느 위치에 있는가로, 쉽게 판단할 수 있어, 상기 개구량이 허용할 수 있는 감소량 설정을 시각에 의해 쉽게 할 수 있다.
직기를 작동시킬 때에는, 리세트 스위치(99)를 온상태로 하여, 개구장치(10)를 작동시키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인장장치(15)로 작동하여, 종광틀(6)이 상하 운동한다.
그런데, 상기 작동시에는, 종광틀(6)이 최대 하강위치에 도달했을 때에, 센서장치(20)의 센서(31)가 종광틀(6)의 상단인 검출용 보울트(70)를 검출하여, 센서(31)의 알림부(68) 및 제어반(95)의 최대 하강위치 검출램프(96)가 점등된다.
직기를 장기간에 걸쳐서 사용하면, 개구장치쪽 와이어(12)가 차차로 신장하여, 종광틀(6)의 최대 하강위치 및 최대 상승위치가 차차로 상승하여, 경사의 실질적인 유효 개구량이 감소된다.
그리고, 개구장치쪽 외이어(12)의 신장, 즉, 개구량의 감소량이, 설정한 허용량을 초과하면, 종광틀(6)이 최대 하강위치에 도달하더라도, 센서장치(20)의 센서(31)가 종광틀(6)을 검출하지 않게 되고, 센서(31)의 알림부(68) 및 제어반(95)의 최대 하강위치 검출램프(96)가 점등하지 않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경보기(97)가 소정시간 울리고, 그위에 회전라이트(98)도 점등되면서 회전하여, 개구장치쪽 와이어(12)의 신장, 즉, 개구량의 감소량이, 설정한 허용량을 초과한 것을 알린다. 또, 카운터 유니트(100)의 대응하는 카운터가 상기 검출을 1회로 카운터한다. 또한, 이 때에는, 릴레이도 작동하고, 리세트 스위치(99)가 오프상태로 된다.
상기의 상태가 되면, 먼저, 직기를 정지시켜, 센서장치(20)의 전 센서 유니트(22)의 원래의 기준위치에 세트한 후, 직기를 조금 움직이면서, 개구장치(10)를 조작함으로써, 각 종광틀(6)을 최대 하강위치 하고, 각 개구장치쪽 와이어(12)의 도중에 있는 조정용 턴버클(19)을 조정하여, 각 센서유니트(22)의 센서(31)가 종광틀(6)의검출용 보울트(70)를 검출하고, 그 알림부(68)가 점등하게 될때까지, 종광틀(6)을 하강시켜, 개구량을 원래의 적정한 개구량으로 되돌리는 작업을 하는 것이며,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다.
이렇게 한후, 상기와 같이 하여서, 개구장치쪽 와이어(12)의 신장의 허용량, 즉 개구량의 허용할 수 있는 감소량을 설정하는 것이다.
또, 상기와 같이, 연결용 와이어(13)가 신장한 경우에 있어서, 좌우의 연결용 와이어(13)의신장이 다르며, 종광틀(6)의 자세가 정규자세와 다르게 되었을 때라도, 센서장치(20)가 좌우 1쌍 있으므로, 각 센서장치(20)의 각 센서(31)의 알림부(68), 제어반(95)의 각 최대 하강위치 검출램프(96)의 점등상태를 보는 것으로써, 이것을 검출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점등상태를 보면서, 개구장치쪽 와이어(12)의 도중의 조정용 턴버클(19)을 조정함으로써, 종광틀(6)을 용이하게 정규자세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조정용 턴버클(19)을 상기와 같이 조정한 후, 리세트 스위치(99)를 온상태로 하고, 작업을 재개한다.
그런데, 직기를 장기에 걸쳐서 사용하면, 카운터 유니트(100)의 각 카운터의 카운트수는 점점 증가하여 오는데, 이 카운트수를 봄으로써, 개구장치쪽 와이어(12)의 사용개시로부터의 신장을 알 수 있고, 이에 의하여, 개구장치쪽 와이어(12)의 교환시기도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 개구장치쪽 와이어(12)의 교환시에는, 개구장치쪽 와이어(12)를 교환한후, 리세트 스위치(99)를 오프 상태로 하여 놓고, 센서장치(20)의 전 센서 유니트(22)를 원래의 기준위치에 세트한다.
다음에, 종광틀(6)을 최대 하강위치로 하고, 센서장치(20)의 각 센서(31)의 알림부(68) 및 제어반(95)의 최대 하강위치 검출램프(96)의 점등상태를 보면서, 개구장치쪽 와이어(12)의 도중에 있는 조정용 턴버클(19)을 조정하여, 종광틀(6)의 최대 상승위치, 최대 하강위치를, 교환전의 원래의 적정위치로 돌려보내고, 개구량을 교환전의 원래의 개구량으로 되돌리는 것이다. 이렇게 한 후, 상기와 같이 하여서, 개구장치쪽 와이어(12)의 신장의 허용량, 즉, 개구량의 허용할 수 있는 감소량을 설정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연결와이어(12)를 교환한 때에도, 개구량을 원래의 적정한 개구량으로 되돌리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있다.
또한, 개구장치(10)의 내부기구를 조정할때, 즉, 개구량을 변경할 때에는, 먼저, 변경전에, 리세트 스위치(99)를 오프상태로 하여 놓고, 상기와 같이 하여서, 센서장치(20)의 전 센서 유니트(22)를 원래의 기준위치에 세트한다.
다음에, 종광틀(6)을 최대 하강위치로 하고, 센서장치(20)의 각 센서(31)의 알림부(68) 및 제어반(95)의 최대 하강위치 검출램프(96)의 점등상태를 보면서, 개구장치쪽 와이어(12)의 도중에 있는 조정용 턴버클(19)을 조정하고, 종광틀(6)을 변경전의 적정한 최대 하강위치로 하여, 개구량을 변경정의 적정한 개구량으로 한다.
다음에, 개구장치(10)의 내부기구 또는 연결장치(13), 예컨대, 개구장치(10)의 캠레버(1)의 연결위치를 변경조정하여, 개구량을 변경하고, 개구량의 변경에 따른 최대 하강위치의 변경에 대응시켜서, 상기와 같이 하여, 센서장치(20)의 전 센서 유니트(22)를 기준위치에 세트함과 동시에, 개구장치쪽 와이어(12)의 신장의 허용량, 즉, 개구량의 허용할 수 있는 감소량을 설정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개구량을 변경하였을 때에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제15도 내지 제17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종광틀(6)이 철제하고, 강자성체이며, 종광틀(6)을 센서(31)에 의하여 직접 검출할 수 있으므로, 종광틀(6)에는 검출용 보울트는 갖추어져 있지 않다.
각 센서 유니트(22)의 기초대(28)는 상하 반전하여 사용되고 있으며, 유니트 조정부재(23)와 슬라이더 조정부재(24)도 제1실시예와는 상하 반대로 사용되고 있다.
유니트 조정부재(23)의 돌설부(82)는, 수직부(83)의 상단으로부터 돌출설치되어 있고, 돌설부(82)에는, 각 센서(31)로부터의 배선(66)을 유지하기 위한 와이어새들(105)이 갖추어져 있다.
슬라이더 조정부재(24)에는, 돌설부가 없고, 수직부(89)가 부착판(21)에, 각 센서 유니트(22)를 고정하기 위한 상하 1쌍씩의 보울트(73)에 의하여 고정되어서, 수직부(89)에는, 경사형상으로 된 상하 2열의 보울트구멍(92)의 열이 전후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수직부(89)에는, 걸어맞춤부(35)가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구멍이 형셩되어 있지 않으나, 수직부(89)의 하단은, 경사형상으로 된 2열의 보울트구멍(92)의 열에 대응하도록, 계단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하단과, 각 센서 유니트(22)의 걸어맞춤부(35)의 틈새에 의하여, 개구장치쪽 와이어(12)의 신장의 허용량, 즉, 개구량의 허용할 수 있는 감소량을 눈으로 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수직부(89)의 상부에는, 각 센서(31)로부터의 배선(66)이 통과하는 창부(107)가 형성됨과 동시에, 수직부(89)의 하부에는, 전후 1쌍의 너트(108)가 형성되고, 이들 너트(108)에 L형 형상지지대(109)가 보울트(110)에 의하여 붙이고 떼기가 자유롭게 고정되어서, 지지대(109)에, 케이블 커넥터(85)가 부착되어 있다.
제18도 내지 제20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1실시예와 잘 닮은 구성으로 되어 있으나, 제1실시예의 기초대가 생략되고, 제1실시예의 슬라이더가 기초대(28)로 되어있다.
그리고, 기초대(28)의 바깥끼움부재(44)에, 상하 1쌍의 걸어맞춤부가 형성되고, 아래쪽 걸어맞춤부(35)가, 유니트 조정부재(23)의 걸어맞춤구멍(87)에 걸고 벗기기가 자유롭게 걸어맞춤되어 있다.
상기 제3실시예에서는, 보울트(73)를 풀고, 각 센서 유니트(22)의 검출부(67)와 최대기준위치에 있는 각 종광틀(6)의 검출용 보울트(70)와의 상하방향에 관한 거리를 스케일 등으로 계측하면서, 유니트 조정부재(23)에 의하여, 전 센서 유니트(22)를 , 각 종광틀(6)의 최대 하강 기준위치보다 위쪽으로, 즉, 개구량의 감소 방향으로 이동조정하여, 개구량의 허용할 수 있는 감소량을 설정한후, 보울트(73)를 죈다.
제21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것으로서, 제3실시예와 유사하지만, 센서장치(20)가, 상하방향에 관하여, 제3실시예와는 반대로 되어 있고, 각 센서(31)에 의하여, 최대 상승위치에 도달한 각 종광틀(6)의 좌우 각 끝단부에 있어서의 검출용 보울트(70)가 검출된다.
또, 기초대(28)의 바깥끼움부재(44)와 삽입부재(45)가 좌우방향에 관하여, 제3실시예와는 반대로 되어 있고, 바깥끼움부재(44)가 부착판(21)과 맞닿고, 삽입부재(45)가 커버(32)와 맞닿아 있다.
그리고, 바깥끼움부재(44)의 측벽부(도시 생략)가, 상기 각 실시예와는 반대로, 대향판부(47)로부터 안쪽편으로 돌출설치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센서 유니트의 커버에 너트를 형성하였으나, 형성하지 않아도 좋다.
또, 실시예에서는, 종광틀을 개구장치에 의하여, 아래편으로 잡아당기도록 하였으나, 개구장치를 도비기계로서, 종광틀을 위편으로 잡아당기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개구장치로서, 소극식을 사용하였으나, 적극식을 사용하여도 좋다.
이상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개구량의 감소량이, 설정한 허용량 이하로 된 것을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음과 동시에, 유니트 조정부재의 조작에 의하여, 센서장치의 전 센서유니트를 동시에 상하방향으로 동일량 이동조정 할 수 있어서, 전 센서 유니트의 기준위치로의 세트나 개구량의 허용할 수있는 감소량의 설정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개구량이 감소한 때에, 개구량을 원래의 적정한 개구량으로 되돌리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연결용 와이어 등을 교환한 때에도, 개구량을 원래의 적정한 개구량으로 되돌리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청구의 범위 제2항에 의하면, 유니트 조정부재에 의하여, 센서장치의 전 센서 유니트의 기준위치로의 세트를 한 후에, 개구량의 허용할 수 있는 감소량의 설정을 할 수 있고, 개구량의 허용할 수 있는 감소량의 설정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청구의 범위 제3항에 의하면, 슬라이더 조정부재의 조작에 의하여, 센서장치의 전 센서를 동시에 조정할 수 있고, 개구량의 허용할 수 있는 감소량의 설정을 보다 더 한 층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청구의 범위 제4항에 의하면, 센서장치사 각각 좌우 1쌍 있으므로, 좌우의 연결용 와이어의 신장등이 다르고, 종광틀의 자세가 정규자세와는 다르게 되었을 경우에도, 이것을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어서, 종광틀의 자세를 용이하게 정규자세로 수정할 수 있다.
직기의 종광틀 위치 검출장치

Claims (2)

  1. 프레임(1)돠 전후방향으로 다수 병설된 종광틀(6)과, 이들 각 종광틀(6)을 상하방향 한쪽으로 이동시키는 개구장치(10)와, 각 종광틀(6)의 상하방향 다른쪽으로 잡아당기는 인장장치(14)를 가지는 직기에 있어서, 프레임(1)에 종광틀(6)의 측방에 위치하고 동시에 상하방향에 관해서 어느 한쪽으로의 최대 이동위치에 있는 여러개의 종광틀(6)을 검출하는 센서장치(20)가 구비되고, 그 센서장치(20)가, 프레임(1)에 구비된 부착판(21)과, 그 부착판(21)에 상하방향으로 이동조정이 자유롭게 구비된 기대(8)와, 그 기대(28)에 상하방향으로 이동조정이 자유롭게 구비된 슬라이더(29)와, 상기 부착판(21)상에서 전후방향으로 병설되고 동시에 대응하는 각 종광틀(6)을 검출하는 센서(31)를 가지는 여러개의 센서 유니트(22)와, 모든 센서 유니트(22)를 일체로 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조정하는 유니트 조정부재(23) 및 각 센서 유니트의 슬라이더(29)에 걸어 맞춤되고, 모든 슬라이더(29)를 일체로 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조정하는 슬라이더 조정부재(24)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의 종광틀 위치 검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센서장치(20)가 좌우 한쌍으로 된 직기의 종광틀 위치 검출장치.
KR1019920008641A 1992-05-12 1992-05-21 직기의 종광틀 위치 검출장치 KR9600036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146260 1992-05-12
JP4146260A JPH05321069A (ja) 1992-05-12 1992-05-12 織機における綜絖枠の位置検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3509A KR930023509A (ko) 1993-12-18
KR960003674B1 true KR960003674B1 (ko) 1996-03-21

Family

ID=15403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8641A KR960003674B1 (ko) 1992-05-12 1992-05-21 직기의 종광틀 위치 검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05321069A (ko)
KR (1) KR960003674B1 (ko)
CN (1) CN108033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11255B (zh) * 2010-12-27 2012-10-24 江苏万工科技集团有限公司 打纬机构间隙的测量装置及其方法
CN103233314B (zh) * 2013-04-28 2014-06-25 浙江理工大学 一种多臂机的控制与检测装置
CN105239186B (zh) * 2015-10-28 2017-06-06 东华大学 一种水溶性聚乙烯醇纤维及其制备方法
CN109690244B (zh) * 2016-09-15 2021-09-17 株式会社小糸制作所 传感器系统、传感器模块及灯装置
US11427940B2 (en) * 2017-11-29 2022-08-30 Uster Technologies Ltd. Methods and systems for triggered on-loom fabric inspection
CN109183237A (zh) * 2018-10-30 2019-01-11 浙江理工大学 一种可控行程经纱开口装置及其控制方法
CN113463255A (zh) * 2021-07-01 2021-10-01 际华三五四二纺织有限公司 一种多臂织机跳纱自停装置
CN115325936A (zh) * 2022-10-10 2022-11-11 南通欧惠纺织科技有限公司 一种纺织机综框异常检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5321069A (ja) 1993-12-07
CN1080336A (zh) 1994-01-05
KR930023509A (ko) 1993-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3674B1 (ko) 직기의 종광틀 위치 검출장치
CN209508508U (zh) 基于视觉识别的整经过程断纱检测装置
NL8602192A (nl) Werkwijze voor het herstellen van een kettingbreuk bij weefmachines en herbedradingsinrichtingen hierbij aangewend.
US5139053A (en) Position detecting system for a harness frame in a weaving machine
FR2864555B1 (fr) Procede de controle de la tension d'alimentation d'au moins un fil de trame, dispositif d'alimentation en fil de trame et metier a tisser equipe d'un tel dispositif
JPH04174736A (ja) 織機における綜絖枠の位置検出装置
CA2456061C (en) Device for monitoring cables of a lift
CN111268512A (zh) 一种具有断纱检测功能的输纱器
US4361171A (en) Weaving defect detector
US2668559A (en) Loom harness heddle frame
JPH07305247A (ja) 織機の運転制御方法及び織機
EP0333262B1 (en) Airjet weaving machine with an improved weft thread supply
US6282765B1 (en) Method and device for aligning eyelets of harness elements
JP2002173855A (ja) 織機のテンプル装置
US2465615A (en) Harness stop motion attachment for looms
CN212655281U (zh) 一种具有断纱检测功能的输纱器
KR840001244Y1 (ko) 직기의 개구장치
US4523614A (en) Apparatus for detection of end breakage in heddle frame
CN219772523U (zh) 一种喷水织机的断经视觉检布装置
JPH01174649A (ja) 織機のたて糸切れ位置検出装置
CN217180301U (zh) 一种纱线断开检测装置
JPH0351341Y2 (ko)
CN220450412U (zh) 一种经断或经完自动停机装置及圆织机
JP7482156B2 (ja) おさ監視組立体、そのようなおさ監視組立体を組み込んだ引通し機、及びそのようなおさ監視組立体でおさを監視する処理方法
JP2603591Y2 (ja) 耳崩れ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