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3516B1 - 신속 해지 칼라 - Google Patents

신속 해지 칼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3516B1
KR960003516B1 KR1019870007760A KR870007760A KR960003516B1 KR 960003516 B1 KR960003516 B1 KR 960003516B1 KR 1019870007760 A KR1019870007760 A KR 1019870007760A KR 870007760 A KR870007760 A KR 870007760A KR 960003516 B1 KR960003516 B1 KR 9600035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ar
bar
sleeve
tension ring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7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1314A (ko
Inventor
에이취. 리 스코트
Original Assignee
스페셜라이즈드 메카니즘스 인코포레이티드
에이취. 리 스코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페셜라이즈드 메카니즘스 인코포레이티드, 에이취. 리 스코트 filed Critical 스페셜라이즈드 메카니즘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880001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13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3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5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2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 A63B21/0728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with means for fixing weights on bars, i.e. fixing olympic discs or bumper plates on bar-bells or dumb-b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1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0Telescoping systems
    • F16B7/14Telescoping systems locking in intermediate non-discrete positions
    • F16B7/1409Telescoping systems locking in intermediate non-discrete positions with balls or rollers urged by an axial displacement of a wedge or a conical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4Exercising devices moving as a whole during exerci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Standing Axle, Rod, Or Tube Structures Coupled By Welding, Adhesion, Or Deposition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Adornments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신속 해지 칼라
제1도는 본 발명의 해지 칼라가 설치된 바벨의 정면도.
제2도는 고정 위치에 있는 본 발명에 의한 신속 해지 칼라의 종단면도.
제3도는 고정 위치에 있는 본 발명에 의한 해지 칼라의 내단부측에서 본 측면도.
제4도는 해지위치에 있는 본 발명에 의한 해지 칼라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바 12 :슬리이브
14 : 스토퍼 16, 18 : 웨이트 플레이트
20 : 해지 칼라 30 : 칼라 본체
32 : 중앙공 34 : 손잡이
36 : 원륜상 제2플렌지 38 : 구멍
40 : 칼라 본체내단부 44 : 칼라 슬리이브
46 : 공간부 48 : 제2플렌지
50 : 강구 52 : 텐숀링
54 : 경사면 60 : 스프링
본 발명은 바벨용 신속 해지 칼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역도용 바벨의 웨이트 플레이트를 바에 고정시키는 신속 해지 칼라에 관계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신속해지 칼라는 역도 바벨의 바(bar)에 웨이트 플레이트를 고정시키는데 국한된 것은 아니다.
보디 빌딩을 하는 사람이나 역도인들이 사용하는 바벨은 바 또는 샤프트와 바의 중간부위에 회전 가능하게 씌워지는 표면이 거칠 거칠한 슬리이브 및 슬리이브의 양단에 착설되는 고정링을 포함하고 있다.
중앙공이 형성된 디스크형 웨이트 플레이트는 바의 양단부에서 바에 끼운 다음 칼라에 의하여 고정 링 사이에 고정되게 되었다. 요구하는 총 중량을 얻기 위하여는 여러개의 웨이트 플레이트가 사용되는 바, 이러한 웨이트 플레이트들은 연습과정이나 또는 사용자들의 능력에 따라서 수시로 변경시키거나 가감시켜야 한다.
이와 같이 웨이트 플레이트들은 사용중에도 수시로 변경되어야 하므로 이들 웨이트 플레이트를 바에 지지시키는 칼라는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안전하고 쉽게 착탈할 수 있어야 한다. 반면에 사용중에 웨이트 플레이트가 바에서 미끄러져 빠지면 사고의 위험이 있으므로 칼라는 웨이트 플레이트들을 견고하게 제 위치에 고정되어야 한다.
역도용 바벨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칼라는 나사공에 나삽되면서 바에 밀착되는 보울트 또는 스크류를 갖고 있는 부싱을 포함하고 있다. 칼라는 바측으로 보울트를 조임으로서 제위치에 고정된다. 보울트는 공구로 조이거나 또는 수동 조작용 L-자형 공구를 사용하여 조일 수 있게 되었다. 더구나 보울트를 조일때는 이등 보울트가 바의 표면을 긁어 내게 되어 그 표면을 손상시키게 된다. 또 다른 종래의 칼라로는 파이프 협지구와 같이 바의 양측에서 보울트로 조이게 된 두 조각으로 된 부싱으로 구성된 것도 있다. 이러한 칼라들은 바에 손상을 입히지 않지만 보울트를 조이는데 따른 불편함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이 보울트를 사용하는 칼라들은 협지력이 보울트가 조여지는 정도에 의존하므로 완전한 협지작용을 달성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종래의 칼라는 보울트를 조이는데 시간이 소요되므로 해지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마시 짐나시움 이퀴프먼트 캄파니에 의한 영국 특허출원 제2,151,493 A(1995. 7. 24 공개)에는 고정용 강구가 바에 형성된 요홈에 결합되어 있는 바벨용 웨이트 플레이트 고정장치가 기술되어 있고, 타나무라의 미국 특허 제4,395,051호 및 홀만의 미국특허 제4,453,449호에는 신속 해지 장치가 기술되어 있다.
또한 일본국 실용신안공보 공번 소49-38031호에는 고정볼을 이용한 바벨용 칼라가 기재되어 있다. 이 칼라는 볼 삽입용 소공이 형성된 주관의 일측에는 웨이트 플레이트를 고정시키는 체부링이 나사식으로 결합되고 불외측에는 해지면과 압압면이 경사면에 의하여 연결된 작동 표면을 갖는 작동링이 전후진 될 수 있게 결합되고 주관의 후단부에는 스프링을 감싸는 덮개관내에 스프링이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작동링의 전후진 조작으로 칼라를 바로부터 삽탈할 수 있어서 종래의 칼라보다 고정, 해지 조작이 비교적 간단한 이점이 있다. 그러나 전술한 칼라는 스프링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서 외관이 미려하지 않을 뿐 아니라 해지 작동시 작동링과 스프링 덮개관 사이에 손이 끼일 위험성이 나타난다. 특히 전술한 칼라는 작동링을 후진시킬 때 작동링의 표면이 매끄러워 스프링이 압축되면서 후진하도록 작동링을 뒤로 끌어내기 어려운 문제점도 나타난다.
본 발명에 의한 신속 해지 장치는 역도 바벨과 관련하여 기술되어 있으나 보통의 힘으로 해지 및 고정하는 것을 필요로 하는 각종 용도에 이용된다. 예를 들면 서어비스 공장에서의 타이어 교환, 자동차용 스페어 타이어의 지지, 장난감이나 웨이건 등의 바퀴 지지 등의 용도에도 이용되고 영사 스크린, 제도용 책상 및 비치 파라솔 등의 신축 조절 장치에도 이용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바나 샤프트로부터 안전하게 빼낼 수 있으면서 외관이 미려한 신속 해지 칼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바에 설치되는 본 발명이 신속 해지 칼라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칼라는 바가 삽입되는 축방향 중앙공과 방사상 볼 삽입 공을 갖는 원통형 관상체, 관상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손잡이, 손잡이로부터 축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관상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플렌지 및 관상체에 형성된 다수의 방사상 구멍들을 갖고 있는 구성된 칼라 본체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신속 해지 칼라는 그 외에도 칼라 본체와의 사이에 일정한 간격이 형성되도록 칼라 본체 외측에 칼라와 동축으로 설치되는 칼라 슬리이브를 포함한다. 이 슬리이브는 손잡이와 제1플렌지 사이에 위치하도록 방사상으로 내향 연설된 제2플렌지를 갖고 있다. 칼라 슬리이브에는 캠 작용을 하는 텐숀링이 칼라 본체와 슬리이브 사이의 공간부에 위치하도록 견고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제1플렌지와 제2플렌지 사이에는 스프링이 탄설되어 있다. 슬리이브와 텐숀링은 고정 위치와 해지 위치 사이에서 칼라 동체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상대적인 이동을 할 수 있게 되었다. 텐숀링의 내주면은 강구와의 접촉 부분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서 고정 위치에서는 강구가 소구경 내주면에 접촉하고 해지 위치에서는 강구가 대구경 내주면에 접촉하게 되었다. 따라서 텐숀링의 축 방향 위치에 따라서 강구의 방사상 위치가 달라지게 된다. 스프링은 텐숀링이 강구를 바에 밀착시키도록 슬리이브와 텐숀링을 고정 위치쪽으로 민다. 손잡이와 칼라 슬리이브의 사이를 벌리면 스프링이 탄축되면서 텐숀링이 해지 위치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 결과 강구가 외측으로 나오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 본 발명에 의한 신속 해지 칼라가 구비된 역도 바벨이 도시되어 있다. 원형 단면의 금속제 솔리드 바(bar)(10)는 바(10)의 주위를 자유롭게 회전하는 거친 표면의 슬리이브(12)내에 삽설된다. 슬리이브(12)는 적당한 방법으로 바(10)에 고정된 스토퍼(14)에 의하여 좌우로 이동할 수 없도록 바(10)에 고정된다. 이 스토퍼(14)는 바(10)에 영구적으로 고착된 부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디스크형 웨이트 플레이트(16)(18)는 각각 바(10)가 삽입되는 중앙공을 갖고 있다. 바(10)의 양단에는 동일한 무게의 웨이트 플레이트(16)(18)가 고정된 스토퍼(14)에 접촉하도록 끼워진다. 그 다음 본 발명에 의한 해지 칼라(20)가 웨이트 플레이트(16)에 밀착되게 바(10)의 양단에서 끼워진다. 웨이트 플레이트(16)(18)는 칼라(20)에 의하여 사용중에도 제위치에 단단하게 유지된다. 웨이트 플레이트(16)(18)를 교환하기 위하여 빼내고자 할 때는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해지 칼라(20)를 끌어내어 바(10)에서 빼낸다.
제2도는 고정 상태에 있는 본 발명에 의한 칼라(20)가 도시되어 있다. 칼라본체(30)는 바(16)가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의 중앙공(32)을 갖는 원통형 광상체로 구성되었다. 칼라 본체(30)의 일단부인 외단부(35)에는 칼라(20)의 수동 해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원륜상 손잡이(34)가 부착되었다. 칼라 본체(30)의 외주면에는 손잡이(34)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둔 지점에 외향 돌출된 원륜상 제1흘렌지(36)가 돌출 형성되었다. 그리고 칼라본체(30)의 타단부 즉 내단부(40)와 제1플렌지(36) 사이에는 3개의 방사상 구멍(38)이 본체의 중앙공(32)에 관통되게 형성되었다. 이 구멍(38)은 3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수를 달리할 수도 있다. 사용중에는 칼라 본체(30)의 내단부(40)가 웨이트 플레이트(16)에 밀착되게 된다.
칼라 본체(30)의 외측에는 원통형 칼라 슬리이브(44)가 씌워지는 바 칼라 본체(30)와 칼라 슬리이브(44)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부(46)가 형성되도록 되었다. 칼라 슬리이브(44)는 외단부에 칼라 본체(30) 측으로 내향 연설된 원륜상 제2플렌지(48)를 갖고 있는바, 이 제2플렌지(48)는 칼라 본체(30)의 제1플렌지(36)와 손잡이(34)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칼라 본체(30)에 형성된 구멍(38)에는 강구(50)가 삽설되는 바, 구멍(38)은 본체 내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좁게 형성되어 있어서 그 속에 삽입된 강구(50)의 일부가 중앙공(32) 내측으로 돌출은 되지만 강구(50)가 완전히 내측으로 빠지지 않도록 되었다. 칼라 슬리이브(44)의 내단부측 내주면에는 텐숀링(52)이 움직이지 못하게 고정되어 있는 바, 이 텐숀링(52)은 원통형으로 되었으며 슬리이브(44)와 본체(30) 사이에 단단하게 유지되도록 그 속으로 삽입된다. 이 텐숀링(52)은 제2도의 고정상태에서 제4도의 해지 상태로 이동할 때 칼라 슬리이브(44)와 함께 이동하면서 칼라 본체(30)의 외주면에서 미끄러지게 되었다. 텐숀링(52)은 내단부 내주면에 경사면(54)이 형성되어 있어서 구멍(38) 내에 삽설된 강구(50)의 출몰을 제어할 수 있도록 되었다. 이 텐숀링(52)은 고정상태에서는 직경이 작은 부분에서 강구(50)와 접촉하고 해지 상태에서는 직경이 큰 부분 즉 경사 단부측에서 강구(50)와 접촉하게 된다. 특히 경사면(54)은 절두 원추형 모양으로 되어 있어서 제2도에서와 같이 사용중의 고정상태에서는 내경이 좁은 부분이 강구(50)를 구멍(38)의 내측으로 밀어 강구(50)가 바(10)와 접촉하도록 하고 칼라(20)가 제4도와 같은 해지 상태로 되도록 조작하였을 때는 강구(50)가 구멍(38)의 외측으로 이동하여 바(10)로부터 떨어지게 한다. 이 경사면(54)은 강구(50)가 바(10)에 접촉하거나 완전히 잠긴 상태가 도달할 때까지 강구(50)를 내측으로 미는 압압 작용을 하므로 바(10)의 직경이 약간 변경되어도 무관하다.
본 발명에 의한 해지 칼라(20)는 칼라 본체의 제1플렌지(36)와 슬리이브의 제2플렌지(48) 사이의 공간부(40)에 칼라 본체(30)와 동축으로 된 코일 스프링(60)을 갖고 있다. 이 스프링(60)은 칼라 슬리이브(44)와 텐숀링(52)를 칼라 본체(30)에 대하여 상대적인 축 방향 이동을 하도록 탄지하고 있다. 이 스프링(60)은 텐숀링(52)이 강구(50)를 구멍(38) 속으로 압압하여 바(10)와 밀착되게 함으로써 칼라(20)가 바(10)를 협지 고정하는 고정 위치로 칼라(20)를 밀어낸다. 완전히 고정된 위치에서는 텐숀링(52)이 외단부가 본체 플렌지(36)에 접촉하여 텐숀링(52)이 더이상 축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한다. 그러나 바(10)의 직경이 큰 경우에는 칼라(20)가 완전히 고정 위치에 도달하지 않아도 바(10)에 대한 협지작용은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신속 협지 칼라(20)를 바(10)에 끼울 때는 칼라 슬리이브(44)를 한 손으로 잡고 칼라(20)의 내 단부(40)를 바(10)의 단부에 끼워 넣는다. 칼라(20)는 스프링(60)의 탄발력에 의하여 제2도의 고정위치에 놓여있음으로 이 칼라(20)를 바(10)에 끼우면 본체(30) 내측으로 돌출된 강구(50)가 바(10)의 단부에 걸리게 된다. 그러나 슬리이브(40)를 더 밀어 넣으면 강구(50)가 경사면(54)으로 이동하여 구멍(38) 속으로 들어가면서 본체(30)도 쉽게 안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동한 칼라(20)가 웨이트 플레이트(16)에 접촉하였을 때 본체(30)를 속으로 밀어 넣으면 강구(50)가 텐숀링(52)에 압압되면서 칼라(20)가 바(10)가 고정되게 된다. 이와같은 고정상태에서 칼라 슬리이브(44)와 텐숀링(52)의 내단부에 가하여지는 웨이트 플레이트(16)에 의한 외부힘이나 인위적인 힘은 텐숀링(52)이 강구(50)를 내측으로 밀게함으로 바(10)에 대한 밀착력은 더 향상되게 된다. 경사면(54)은 축 방향 성분과 방사상 성분을 갖는 강구(50)에 대한 힘을 제공한다. 힘의 방사상 성분은 바(10)에 대한 강구(50)의 협지력을 증가시키고 힘의 축 방향 성분은 칼라(20)가 바(10)에서 외부로 미끄러져 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의한 칼라를 풀거나 해지하고자 할 때는 칼라(20)를 잡고 다른 손으로 손잡이(34)를 칼라 슬리이브(44)로 부터 떨어지도록 당긴다. 약간의 힘만 가하여도 바(10)를 협지하고 있는 강구(50)가 바(10)로 부터 떨어지게 된다. 계속 손잡이(34)를 당겨서 칼라(20)가 바(10)의 외단부에서 분리되게 한 다음 웨이트 플레이트를 교체한다. 바(10)가 아주 큰 직경을 갖고 있지 않은 한 바(10)와 강구(50) 간의 결합을 풀기 위하여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완전 해지 상태까지 스프링(60)이 압축되도록 후진시킬 필요는 없다. 일반적으로는 칼라 본체(30)와 칼라 슬리이브(44)가 약간만 상대적인 이동을 하여도 충분하다. 더 안전하게 칼라를 수동 조작하기 위하여는 손잡이(34)와 칼라 슬리이브(44)의 모서리 부분을 깎아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는 손잡이(34)가 칼라 본체(30)의 단부에 원륜상 링의 형태로 끼워져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이 손잡이(34)는 꽉 조여지게 끼우는 것이 보통이지만 칼라 본체(30)를 잡기 편하도록 기타의 방법으로 형성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예를들면 손잡이(34)는 본체(30)의 단부를 외측으로 벌려서 형성할 수도 있고 손잡이(34)를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칼라(20)의 재질은 철과 같은 금속으로 제조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기타 플라스틱과 같은 다른 재질로 만들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신속 해지 칼라는 공구를 사용하거나 또는 바 주위를 회전시키지 않아도 쉽게 수동으로 뺄 수도 있다. 더구나 본 발명의 칼라는 원형 단면을 갖는 어떠한 종류의 바나 샤프트에도 적용될 뿐 아니라 바나 샤프트에 홈을 형성하는 동안 개량을 할 필요가 없는 특징이 있다.
전술한 도면에 의한 설명은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도록 특정한 예를 들어서 설명한 것이므로 발명의 범주내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개량할 수 있다.

Claims (12)

  1. 바를 삽입하는 축 방향의 중앙공(32)과 다수의 방사상 구멍(38)들을 갖고 있는 칼라 본체(30), 칼라 본체의 구멍속에 방사상으로 출몰하게 삽설된 강구(50), 칼라 본체의 외측에 칼라 본체와의 사이에 일정한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칼라 본체를 둘러싸게 설치되는 슬리이브를 포함하는 신속 해지 칼라에 있어서, 칼라본체(30)가 외주면에 외향 돌설된 제1플렌지(36)를 갖고 있고 슬리이브(44)는 칼라 본체 외단부와 제1플렌지(36) 사이에 놓이도록 내향 연설된 제2플렌지(48)를 갖고 있으며, 슬리이브(44)의 내주면에는 경사면(54)를 갖고 있는 텐숀링(52)이 고정되었고 제1 및 제2플렌지(36), (48) 사이에는 슬리이브와 텐숀링을 고정위치 쪽으로 미는 스프링(60)이 설치되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해지칼라.
  2. 청구범위 1항에 있어서, 칼라 본체(30)가 그 위주면에 손잡이(34)를 갖고 있고 손잡이와 제2플렌지 사이를 벌리면 전기한 스프링(60)이 압축되면서 텐숀링(52)이 해지 위치 쪽으로 축 방향 이동하게 되었음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3. 청구범위 1항에서, 스프링(60)이 칼라 본체를 둘러싸는 코일 스프링임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4. 청구범위 2항에서, 손잡이(34)가 칼라 본체의 외단부에 방사상으로 외향 돌출되게 연설된 원륜상 링임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5. 청구범위 1항에서, 텐숀링(52)의 경사면(54)이 절두 원추형으로 되었음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6. 청구범위 1항에서, 강구(50)가 본체 중앙공의 축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 3개의 강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7. 청구범위 1항에서, 텐숀링(52)이 압축 고정 방식에 의하여 슬리이브(44) 내에 고정되었음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8. 청구범위 1항에서, 칼라 본체(30)와 슬리이브(44)가 원통형으로 형성되었음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9. 청구범위 1항에서, 제2플렌지(48)와 텐숀링(52)이 전기한 슬리이브의 양측 단부에 형성되었음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10. 청구범위 1항에서, 텐숀링(52)이 고정위치에서 제1플렌지(36)에 접촉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11. 청구범위 1항에서, 텐숀링(52)의 경사면(54)은 칼라의 내단부측으로 갈수록 구경이 적고 외단부측으로 갈수록 구경이 크게 형성되어 있어서 칼라의 내단부축에 축 방향의 힘이 강구(50)가 중앙공 내의 바와 견고하게 밀착되도록 되었으며 축 방향의 힘이 칼라의 외단부측을 향하여 칼라에 가하여지는 경우에는 칼라가 바를 따라 자유로이 미끄러지게 되었음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12. 청구범위 2항에서, 칼라가 중앙공 내의 바를 따라서 회전시키지 않고도 쉽게 미끄러지도록 하기 위하여 손잡이(34)와 슬리이브(44)가 한 손으로 벌릴 수 있는 크기와 위치에 설치되었음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KR1019870007760A 1986-07-21 1987-07-16 신속 해지 칼라 KR9600035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8851686A 1986-07-21 1986-07-21
US888,516 1986-07-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1314A KR880001314A (ko) 1988-04-22
KR960003516B1 true KR960003516B1 (ko) 1996-03-14

Family

ID=25393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7760A KR960003516B1 (ko) 1986-07-21 1987-07-16 신속 해지 칼라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0254233B1 (ko)
JP (1) JP2575721B2 (ko)
KR (1) KR960003516B1 (ko)
AR (1) AR245004A1 (ko)
AU (1) AU587337B2 (ko)
BR (1) BR8703763A (ko)
CA (1) CA1317609C (ko)
DE (1) DE3778081D1 (ko)
ES (1) ES2031093T3 (ko)
MX (1) MX17115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8046U (ja) * 1983-11-24 1985-06-1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燃焼室構造
KR100661081B1 (ko) * 2000-06-10 2006-12-26 동화약품공업주식회사 항바이러스제로 유용한 6-메틸니코틴아미드 유도체
GB2390817B (en) * 2002-07-06 2005-10-05 Tidymake Ltd A key locking mechanism for the shaft of a golf club
DE502004003271D1 (de) * 2004-02-05 2007-05-03 Trumpf Laser Gmbh & Co Kg Steckverbindung für einen Laserlichtleitkabelstecker
US9095743B2 (en) * 2013-03-08 2015-08-04 Atlas Barbell, Llc Locking mechanism
US9839806B2 (en) 2015-04-23 2017-12-12 Christopher Slaughter Cam and wedge barbell clip
CN106369023B (zh) * 2016-10-11 2018-06-29 褚月法 一种伸缩杆
CN107866032A (zh) * 2017-11-21 2018-04-03 浙江正星健身器有限公司 一种跑步机的立柱折叠机构
NO344776B1 (en) * 2018-09-11 2020-04-27 Gungnir As A weightlifting device
CN112443548A (zh) * 2020-12-18 2021-03-05 东莞市一豹箱包有限公司 改良型脚架、改良型脚架连接结构及采用该结构的化妆箱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379643A (en) * 1971-09-30 1975-01-08 Brooker Pty Ltd N F Chuckds for climbing jacks
JPS5172675U (ko) * 1974-12-03 1976-06-08
US4290617A (en) * 1979-06-11 1981-09-22 The Boeing Company Motor quick-change chuck system for tool having cylindrically shaped adapter portion wherein relative longitudinal movement between chuck and tool being driven is eliminated
US4395051A (en) * 1980-02-20 1983-07-26 Kabushiki Kaisha Fujikoshi Quick-change holder
US4453449A (en) * 1981-09-10 1984-06-12 Westinghouse Electric Corp. Holding apparatus
JPS6038961U (ja) * 1983-08-24 1985-03-18 松田 貞次郎 吊持具
US4579337A (en) * 1983-12-22 1986-04-01 Marcy Gymnasium Equipment Co. Exercise device
DE3401391A1 (de) * 1984-01-17 1985-07-25 Argus Verwaltungsgesellschaft Mbh, 7505 Ettlingen Steckverbindung mit einem muffenteil und einem steckerteil als loesbar miteinander verbindbaren kupplungselementen, insbesondere fuer stroemungsmittelkupplungen
AU571965B2 (en) * 1985-04-23 1988-04-28 Coffey, Brian Kenneth Clamping coll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575721B2 (ja) 1997-01-29
EP0254233A3 (en) 1989-02-01
CA1317609C (en) 1993-05-11
EP0254233A2 (en) 1988-01-27
JPS6334310A (ja) 1988-02-15
ES2031093T3 (es) 1992-12-01
AU7591087A (en) 1988-01-28
EP0254233B1 (en) 1992-04-08
AR245004A1 (es) 1993-12-30
KR880001314A (ko) 1988-04-22
BR8703763A (pt) 1988-03-29
AU587337B2 (en) 1989-08-10
DE3778081D1 (de) 1992-05-14
MX171150B (es) 1993-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93810A (en) Quick release collar
EP3337356B1 (en) Independently roatatable flange with arbor hole adapter
KR960003516B1 (ko) 신속 해지 칼라
US11572248B2 (en) Flange stand and adapter for flanges
US5816583A (en) Integral locking sleeve chuck
US5346449A (en) Barbell system with improved locking feature
US20210308517A1 (en) Barbell weight retaining mechanism and method of use
JPS6248467A (ja) 自動車あるいは類似のものの車輪フランジハブ又はフランジスプライン軸を軸受から押出す装置
WO2000037184A1 (en) Paint roller frame
JPH0550384B2 (ko)
US5372055A (en) Rod rotating tool
US4339893A (en) Quick release hub assembly
US3948306A (en) Tire removing tool
JPH03224806A (ja) タイヤ滑り止め装置
AU2017100947A4 (en) Independently roatable flanges and attachable arbor hole adapters
GB2317372A (en) Auxiliary wheels
JPH0332508A (ja) 工具着脱機構
JPH0460911B2 (ko)
US4721145A (en) Tire mounting and demounting machine
JP3492103B2 (ja) 配線集合体のクランプ装置
CA2981766A1 (en) Flange stand and adapter for flanges
CA2122222A1 (en) T lever adapter for a ratchet wrench
GB2075433A (en) A carriage for a container
JPH0756286B2 (ja) 連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