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3461B1 - 휴대용 수동렌치(Wrench) - Google Patents

휴대용 수동렌치(Wrenc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3461B1
KR960003461B1 KR1019930003288A KR930003288A KR960003461B1 KR 960003461 B1 KR960003461 B1 KR 960003461B1 KR 1019930003288 A KR1019930003288 A KR 1019930003288A KR 930003288 A KR930003288 A KR 930003288A KR 960003461 B1 KR960003461 B1 KR 960003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m gear
shaft
spline
gear body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3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1196A (ko
Inventor
안성식
Original Assignee
안성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성식 filed Critical 안성식
Priority to KR1019930003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3461B1/ko
Publication of KR940021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11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3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4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휴대용 수동렌치(Wrench)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인 전체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내부구성을 보인 단면도.
제3a, b, c도는 본 발명의 작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렌치(wrench) 2 : 케이스
3 : 샤프트 3' : 소경부
3'' : 대경부 4 : 조절레버
5 : 원동축 6 : 서포터
7 : 스프링 8a,8b,8c : 스플라인
9 : 제1워엄기어체 10 : 워엄기어
11 : 연결부 12 : 제2워엄기어체
13 : 슬라이더편 14 : 연결링
15a,15b,15c : 보스 16 : 원통중공부
17,18 : 워엄 19 : 종동축
A : 입력측 B : 출력측
a : 어댑터 b : 래칫렌치
본 발명은 볼트, 너트등을 체결 및 분리할 수 있는 휴대용 수동 렌치에 관한 것이다.
렌치에는 다종이 있다. 유공압식으로 구동하는 렌치, 전동모터로서 구동하는 렌치등… 본 발명에서 개시코져 하는 기술사상은 수동식 렌치에 관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종래의 문제점을 살펴보기로 한다.
수동식 렌치라 함은 말그대로 인력에 의존하여 볼트 및 너트등을 체결 및 분리토록 하는 것으로서, 치수가 적고 견고한 체결이 아닌 경우에는 하자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견고한 체결을 요하는 경우에는 인력의 한계에 이를 수 밖에 없으며, 기존의 수동렌치는 체결 및 분리속도가 작업자의 손동작에 의존하므로 작업의 속도를 필요한 만큼 제공받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는 신규한 구성의 휴대용 수동렌치를 제공코져 한다. 즉, 선단부에 어댑터 등이 결합되는 샤프트상에 비교적 기어의 비가 큰 워엄 및 워엄기어를 사용하여 적은힘으로서 큰 파워를 출력할 수 있도록함과 동시에 속도 역시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하의 부수되는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로서, 여하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지만, 도시된 도면상에서는 개략 건(gun)스타일로 구성된 렌치(1)를 개시하고 있다.
케이스(2)상을 관통하여 샤프트(3)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선단은 어댑터(a)등과 결합되는 출력측(B)이다.
케이스(2)의 후측부상에는 기어의 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조절레버(4) 및 입력을 위한 래칫렌치(b)등이 결합될 수 있는 원동축(5)이 설치된다. 상기 원동축(5)은 왼손잡이나 오른손잡이나 구애받지 않고 용이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케이스(2)를 관통하여 좌우로 입력부가 나오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스(2)의 선측상에는 체결 및 분리작업시에 케이스(2)의 동시회동을 방지하도록 지지하는 서포터(6)가 스프링(7)등에 의해 전후일정폭 탄력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제2도의 결합상태 단면도와 함께 본 발명의 세부구성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샤프트(3)의 중간에는 적정폭 스플라인(8a)이 형성되고, 스플라인(8a)을 기점으로 입력측(A)은 소경부(3')로 구성되고, 출력측(B)은 대경부(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샤프트(3)의 소경부(3')에는 스플라인(8a)과 연접하는 제1워엄기어체(9)가 축끼움이 된다. 이는 후단에 워엄기어(10)가 형성되고 연결부(11)를 통하여 선단에는 샤프트(3)의 스플라인(8a)과 동일한 외경치수를 가진 스플라인(8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워엄기어체(9)의 연결부(11)외연에는 제2워엄기어체(12)가 축끼움되는데, 제2워엄기어체(12)의 일축에는 또하나 소폭의 스플라인(8c)이 형성된다.
상술한 각각의 스플라인(8a,8b,8c)은 회전비를 사용용도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도록 슬라이더편(13)과 선택결합토록 하기위해서 이다.
슬라이더편(13)의 구성을 상세히 살펴보면 ; 개략 원통체로서 구성되고, 외연중간부위에는 조절레버(4)와 연결키 위한 연결링(14)이 결합된다.
슬라이더편(13)의 내연은 내경이 각기 상이한 3개의 보스(15a,15b,15c)부와 하나의 원통중공부(16)로 구성되어 있다.
즉, 제1보스(15a)는 제2워엄기어체(12)와 선택적으로 맞물림 결합되고, 제2보스(15b)는 제1워엄기어체(9)의 스플라인(8b) 및 샤프트(3)의 스플라인(8a)과 선택적으로 맞물림결합되며, 제3보스(15c)는 샤프트(3)의 스플라인(8a)상을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하며 선택적인 맞물림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 2워엄기어체(9,12)는 각기 수직방향으로 맞물림되는 워엄(17,18)과 결합되는데, 제1워엄기어체(9)와 맞물림되는 워엄(17)은 종동축(19)상에 축삽되고, 제2워엄기어체(12)와 맞물림되는 워엄(18)은 원동축(5)상에 축삽된다. 물론, 상기의 양 워엄(17,18)역시 기어비가 다르게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또한 상호 맞물림회동토록 결합되어 있다.
도면중의 미설명부호 20은 조절레버(4)를 조절시 케이스(2)내로 이물등이 진입치 못하도록 차단할 수 있는 커버이며, 21은 서포터(6)를 고정키 위한 스냅링, 22는 케이스(2)의 파지부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질시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기술키로 한다.
본 발명은 조절레버(4)를 조절하여 저속(1단), 중속(2단), 고속(3단)으로 출력회전비를 얻을 수 있는데, 개략 기어비로 인한 회전비는 입력측(A) : 출력측(B)이 40 : 1 또는 20 : 1 또는 1 : 1로 주어진다. 이는 당연히 각각의 기어치수를 임의 변경함으로서 가감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제3a도를 통하여 저속으로 출력을 행할 수 있는 경우를 살펴보자. 이때는 당연히 적은 힘으로 큰출력비를 낼 수 있을 것이다.
작업자가 케이스(2)의 좌우로 돌출되어 있는 원동축(5)좌우중 일측단부상에 래칫렌치(b)를 결합시켜 원동축(5)을 회동시키면 원동축(5)상의 워엄(18)과 맞물림되어 있는 제2워엄기어체(12)가 회동케되고, 제2워엄기어체(12)의 스플라인(8c)이 슬라이더편(13)의 제1보스(15a)와 맞물림 회동하고, 슬라이더편(13)타단의 제3보스(15c)는 샤프트(3)의 스플라인(8a)과 맞물림회동함으로서 샤프트(3)가 회전운동을 하여 샤프트(3)선단에 끼움결합된 어댑터(a)와 연결된 볼트 및 너트등의 체결 및 분리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는 강하게 체결된 볼트 및 너트를 분리할시, 또는 강하게 볼트 및 너트를 체결코져 할시에 적용된다.
제3b도의 경우는 저속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중속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때는 조절레버(4)를 중간위치로 슬라이드 이동시킨 후, 래칫렌치(b)를 이용하여 원동축(5)을 회동시키면 원동축(5)의 워엄(18)과 맞물림된 제2워엄기어체(12)가 회동을 하지만, 이때 제2워엄기어체(12)는 공회전상태가 되고, 원동축(5)의 워엄(18)과 상호 맞물림된 종동축(19)의 워엄(17)에 의해 제1워엄기어체(9)가 회동을 하게된다. 상기 제1워엄기어체(9)일단의 스플라인(8b)은 이때 슬라이더편(13)의 제2보스(15b)와 맞물림되어 있고, 슬라이더편(13)의 제3보스(15c)는 샤프트(3)의 스플라인(8a)과 맞물림되어 있으므로 샤프트(3)가 회동하여 사프트(3)선단에 결합된 어댑터(a)에 의해 볼트 및 너트의 체결 및 분리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 경우에는 제3a도의 저속출력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힘은 많이 소요되나 종속으로 출력을 행할 수 있으므로 볼트, 너트의 경우 느슨한 상태에서 체결 및 분리작업을 행할 경우에 적용하면 유리하다.
제3c도의 경우는 상기 제3a, b도의 경우에 비하여는 상대적인 고속출력인 경우로서, 이때는 래칫렌치(b)등을 샤프트(3)의 좌측단상부에 결합하여 회동시키면 된다. 이때 슬라이더편(13)은 일끝단(도면상에서는 우측)으로 조절한 상태인데, 슬라이더편(13)의 제1보스(15a)는 제2워엄기어체(12)의 스플라인(8c)과 분리되어 있고, 제2보스(15b)와 제3보스(15c)는 샤프트(3)의 스플라인(8a)과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1, 2워엄기어체(9,12)는 슬라이더편(13)과는 완전히 이격된 상태, 즉 공회전상태가 된다. 고로 샤프트(3)의 좌측끝단에서 래치렌치(b)를 회동시키면 샤프트(3)는 1 : 1의 고속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볼트 및 너트의 체결 및 분리작업시에 렌치(1)전측의 서포터(6)는 케이스(1)의 동시회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회동 방지수단으로서의 역할을 수행케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같이 본 발명은 적은힘으로 필요에 따라 회전비(저속,중속,고속)를 조절하면서 볼트 및 너트등의 체결분리작업을 행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래칫렌치등을 결합할 수 있는 원동축을 케이스(2)의 좌우로 관통형성하여 왼손잡이나 오른손잡이에 관계없이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발명이다.
이하의 부수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본 발명에서 보호받고져 하는 기술의 범위가 기재될 것이지만, 일부 구성부품의 단순한 치환이나 재질의 변경, 단순위치변경등 당해업계에 숙달된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경실시할 수 있는 유사한 실시예 역시 본 발명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Claims (1)

  1. 렌치(1)의 케이스(2)전측에는 스프링(7)에 탄력설치되는 서포터(6)가 결합되며, 케이스(2)내에는 전측이 출력측(B)인 샤프트(3)가 회동가능하게 관삽설치되며 ; 상기 샤프트(3)의 후측에는 입력측(A)인 원동축(5)이 케이스(2)의 좌우로 관통하여 회동가능케 설치되고, 기어비를 선택조절할 수 있는 조절레버(4)가 설치되며 ; 상기 샤프트(3)는 중간에는 적정폭 스플라인(8a)이 형성되고, 스플라인(8a)을 기점으로 입력측(A)은 소경부(3')로 구성되고, 출력측(B)은 대경부(3″)로 구성되며 : 상기 샤프트(3)의 소경부(3')에는 스플라인(8a)과 연접하는 제1워엄기어체(9)가 축끼움되고, 제1워엄기어체(9)후단에는 워엄기어(10)가 형성되고 연결부(11)를 통하여 선단에는 샤프트(3)의 스플라인(8a)과 동일한 외경치수를 가진 스플라인(8b)이 형성되며 : 상기 제1워엄기어체(9)의 연결부(11)외연에는 제2워엄기어체(12)를 축끼움하되, 제2워엄기어체(12)의 일측에는 또하나 소폭의 스플라인(8c)이 형성되며 : 상기 각각의 스플라인(8a,8b,8c)과 선택적으로 맞물림회동하며, 회전출력비를 조절하는 슬라이더편(13)을 구성하되, 개략 원통체로서 구성되고, 외연중간부위에는 조절레버(4)와 연결키 위한 연결링(14)이 결합되며, 내연부는 내경이 각기 상이한 3개의 보스(15a,15b,15c)부와 하나의 원통중공부(16)로 구성되며 : 상기 제1, 2워엄기어체(9,12)는 각기 수직방향으로 맞물림되는 워엄(17,18)과 결합하되, 제1워엄기어체(9)와 맞물림되는 워엄(17)은 종동축(19)상에 축삽되고, 제2워엄기어체(12)와 맞물림되는 워엄(18)은 원동축(5)상에 축삽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수동렌치(wrench).
KR1019930003288A 1993-03-03 1993-03-03 휴대용 수동렌치(Wrench) KR9600034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3288A KR960003461B1 (ko) 1993-03-03 1993-03-03 휴대용 수동렌치(Wrenc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3288A KR960003461B1 (ko) 1993-03-03 1993-03-03 휴대용 수동렌치(Wrenc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1196A KR940021196A (ko) 1994-10-17
KR960003461B1 true KR960003461B1 (ko) 1996-03-14

Family

ID=19351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3288A KR960003461B1 (ko) 1993-03-03 1993-03-03 휴대용 수동렌치(Wrenc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346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1196A (ko) 1994-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71651A (en) Power driven wrench assembly
US4474089A (en) Screw handle ratchet
US7836797B2 (en) Tool ratchet
SE534183C2 (sv) Motordriven vridmomentsförstärkare
US2721591A (en) Geared screw driver
US6681660B2 (en) Variable speed ratchet wrench and method of use
US6899653B2 (en) Fastener with gear assembly
WO1985003250A1 (en) Ratchet wrench
KR960003461B1 (ko) 휴대용 수동렌치(Wrench)
US3016775A (en) Power socket wrench
US2477528A (en) Variable-speed hand tool
JPH08187629A (ja) 多軸仮締め工具
GB2246090A (en) Nut turner
US3214992A (en) Tool driver attachment
EP0069123A1 (en) Rotary hand tools
JPH10156739A (ja) 倍力回転高速回転交換式ドライバー
JPH0819968A (ja) 動力付レンチ
KR100389611B1 (ko) 고속 소켓렌치
EP0904899A2 (en) Tool for screwing/unscrewing nuts provided with toothing on their external surface
US20230321797A1 (en) Powered ratchet tool
GB2034619A (en) Gear-drive hand tool
JP2778542B2 (ja) 電動回転工具
KR950007478Y1 (ko) 개량 수동 렌치
KR900003553Y1 (ko) 양방향 라쳇트 렌치
WO2002078910A1 (en) High-speed socket wren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