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3074Y1 - 착즙기의 즙재료공급호퍼 - Google Patents

착즙기의 즙재료공급호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3074Y1
KR960003074Y1 KR93021091U KR930021091U KR960003074Y1 KR 960003074 Y1 KR960003074 Y1 KR 960003074Y1 KR 93021091 U KR93021091 U KR 93021091U KR 930021091 U KR930021091 U KR 930021091U KR 960003074 Y1 KR960003074 Y1 KR 9600030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ice
roller
supply hopper
material supply
juic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30210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2666U (ko
Inventor
김종길
Original Assignee
김종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길 filed Critical 김종길
Priority to KR930210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3074Y1/ko
Publication of KR9500126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266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30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0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4Means for supporting or protecting brushes or brush holders
    • H02K5/143Means for supporting or protecting brushes or brush holders for cooperation with commut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9/00Rotary current collectors, distributors or interrupters
    • H01R39/02Details for dynamo electric machines
    • H01R39/38Brush holders
    • H01R39/41Brush holders cartridge type
    • H01R39/415Brush holders cartridge type with self-recoiling spr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3/00Structural associations of current collectors with motors or generators, e.g. brush mounting plates or connections to windings; Disposition of current collectors in motors or generators; Arrangements for improving commutation
    • H02K13/006Structural associations of commut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착즙기의 즙재료공급호퍼
제1도는 본 고안의 구비된 착즙기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 착즙기의 부분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즙재료공급호퍼를 보인 부분평면도.
제4도는 종래기술의 즙재료공급호퍼를 보인 부분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착즙기동체 12, 12' : 로울러스크류
14 : 케이싱 16 : 즙재료공급호퍼
16' : 저면개방부 16" : 전방측 변부
20 : 파쇄로울러부분 22 : 압착로울부분
26 : 경사돌출부
본 고안은 착즙기의 즙재료공급호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즙을 다량함유하고 있는 과실 또는 야채의 즙재료가 로울러스크류의 파쇄스크류에 공급될 때에 즙재료의 파쇄물보다 앞서 액즙이 전진배출되는 것을 억지하여 측즙성분이 균일한 즙을 얻을 수 있도록한 착즙기의 즙재료공급호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쇄로울러와 압착로울러로 구성되는 한쌍의 로울러스크류로 구성되는 착즙기에 있어서는 로울러스크류의 후단상부에 위치하는 즙재료공급호퍼를 통하여 과실 또는 야채의 즙재료가 공급된다. 이러한 종류의 착즙기에 있어서는 서로 결합된 파쇄로울러부분은 그 피치가 길어서 맞물려 회전하는 경우 이들 맞물린 파쇄로울러부분의 상부에서 공급되는 즙재료가 파쇄로울러에 의하여 파쇄와 함께 부분적으로 압착되면서 신속히 전방으로 전진된다.
이때에 즙재료가 수분함량이 적은 것이라면 파쇄로울러의 부분압착효과에도 불구하고 액즙이 집중적으로 압착되지는 아니하나 예를들어 즙재료가 토마토와 같이 다량의 액즙을 포함하는 것인 경우에는 파쇄로울러의 상측부에 접하여 파쇄가 시작되는 순간부터 다량의 액즙이 선행하여 전진하므로서 과육이 압착로울러부분에서 집중적으로 압착되기전에 즙배출구로 배출되어 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이러한 즙재료의 압착종료후 즙배출구로 배출된 즙성분이 균일하지 않는것으로 예상하는데 무리가 없을 것이다.
본 고안에 있어서는 종래의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즙재료를 한쌍의 로울러스크류의 파쇄로울러부분 상측으로 안내하는 호퍼의 내부를 변형시켜 파쇄로울러부분의 상측부에서 부분적으로 조기압착되어 착즙된 액즙이 다른 과육부분보다 선행하여 파쇄로울러를 따라 전진하는 것을 억지토록 하여 선행착즙된 액즙과 연속하여 파쇄로울러부분과 압착로울러부분에서 착즙되는 액즙이 거의 균일하게 혼합된 상태에서 즙배출구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인바,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설명에 앞서 종래 기술의 즙재료공급호퍼를 제4도에 따라 설명키로 한다. 제4도는 종래기술의 즙재료공급호퍼를 보인 부분평면도로서, 케이싱(1)내에 파쇄로울러부분(2)을 갖는 한쌍의 로울러스크류(3)(3')가 장설되며 이들은 서로 맞물려 회전하면서 즙재료를 파쇄하고 부분압착시키면서 화살표(4)방향으로 전진시킨다. 케이싱(1)에 착설되어 로울러스크류(3)(3')에 즙재료를 공급하는 호퍼(5)는 저면형상이 전형적으로는 사각형으로 되어 있으며 또는 디자인에 따라 원형이나 타원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액즙이 다량함유된 즙재료는 파쇄로울러부분(2)의 상측에 접하는 순간부터 부분적으로 압착되어 액즙이 파쇄로울러부분(2)의 상부로부터 화살표(4)방향으로 선행하여 전진하는 경향을 보인다.
본 고안은 조기압착된 액즙이 선행하여 전진하는 것을 억지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므로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 도면의 제1도-제3도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1도와 제2도는 본 고안이 구성된 착즙기를 보인 것으로, 착즙기 동체(10)내에 모우터(도시하지 않았음)가 장설되고 모우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한쌍의 로울러스크류(12)(12')가 케이싱(1)내에 장설된다.
이 케이싱(14)에는 후단상측에 즙재료공급호퍼(16)가 배설되고 선단측에 즙배출구(18)와 찌꺼기 배출구(20)가 형성되어 있다. 한쌍의 로울러스크류(12)(12')는 제2도에서 그 하나만을 보인 바와 같이 후단측의 파쇄로울러부분(20)과 선단측의 압착로울러부분(22)으로 구성되며, 파쇄로울러(20) 은 피치가 길고 압착로울러부분(22)은 피치가 짧게 되어 있다. 이러한 착즙기에서는 맞물린 로울러스크류(12)(12')가 회전구동하는 중에 즙재료공급호퍼(16)로 공급되는 야채 또는 과실의 즙재료가 파쇄로울러부분(20)에서 파쇄되고 일부 압착되며 파쇄로울러부분의 전진운동으로 파쇄된 즙재료가 압착로울러부분(22)으로 이동되고 이 압착로울러부분(22)에서 집중적으로 압착된 다음 압착로울러부분(22)을 둘러싸고 있는 걸름망(24)을 통하여 즙이 즙배출구(18)로 배출되고 찌꺼기는 찌꺼기배출구(20)로 배출된다.
본 고안에 따라서 즙재료공급호퍼(16)가 변형된다. 즉 즙재료공급호퍼(16)는 그 저면개방부(16')에서 전방측 변부(16")로부터 중앙에서 저면개방부(16')의 중앙내측으로 경사돌출부(26)가 돌출연장되어 있다.
이 경사 돌출부(26)는 즙재료공급호퍼(16)의 저면벽의 중앙부분에서 내측으로 점차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이 즙재료공급호퍼(16)에 즙재료가 공급되면 이 즙재료가 저면개방부(16')측에서 로울러스크류(12)(12')의 파쇄로울러부분(20)의 상부에 공급시 경사돌출부(26)에 의하여 주로 맞물린 파쇄로울러부분(20)의 상부면후측에 집중공급되며, 즙재료가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는 경우 파쇄로울러부분(20)의 상부에서 사전에 부분적으로 압착되어 나오는 액즙이 경사돌출부(26)에 의해 다른 파쇄즙재료보다 선행하여 전진하게 되는 것이 억지된다.
결국 사전 착즙된 액즙은 파쇄즙재료와 함께 파쇄로울러부분(20)과 압착로울러부분(22)을 지나면서 충분히 착즙되고 혼합된 액즙이 즙배출구(18)로 배출되는 것이다.

Claims (1)

  1. 착즙기동체(10)에 파쇄로울러부분(20)과 압착로울러부분(22)을 갖는 한쌍의 로울러스크류(12)(12')가 내장되는 케이싱(14)이 착설되고 이 케이싱(14)의 후단측 상부에 즙재료공급호퍼(16)가 구성되어 있는 것에 있어서, 즙재료공급호퍼(16)의 저면개방부(16')에서 전방측 변부(16")로부터 중앙내측으로 경사돌출부(26)가 돌출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의 즙재료공급호퍼.
KR93021091U 1993-10-14 1993-10-14 착즙기의 즙재료공급호퍼 KR9600030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3021091U KR960003074Y1 (ko) 1993-10-14 1993-10-14 착즙기의 즙재료공급호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3021091U KR960003074Y1 (ko) 1993-10-14 1993-10-14 착즙기의 즙재료공급호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2666U KR950012666U (ko) 1995-05-17
KR960003074Y1 true KR960003074Y1 (ko) 1996-04-16

Family

ID=19365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3021091U KR960003074Y1 (ko) 1993-10-14 1993-10-14 착즙기의 즙재료공급호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307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2666U (ko) 1995-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38108A (ko) 브러쉬를 포함하는 주서기
CN108246454B (zh) 宠物零食加工用粉碎装置
KR960003074Y1 (ko) 착즙기의 즙재료공급호퍼
JP2005161369A (ja) 生ごみ処理装置
JPS5719197A (en) Juicing machine
DE2703326A1 (de) Apparat fuer den hausgebrauch zur zerkleinerung von nahrungsmitteln
KR960001898Y1 (ko) 착즙기
KR960000059Y1 (ko) 착즙기
KR200257533Y1 (ko) 과즙 추출장치
KR960004577Y1 (ko) 착즙기의 압착력증강장치
KR930008573Y1 (ko) 착즙기용 스크류로울러
KR960000063Y1 (ko) 착즙기
KR960003076B1 (ko) 착즙기
KR950009570Y1 (ko) 녹즙기의 압접구조
KR830002655Y1 (ko) 간이 착즙기
KR930008572Y1 (ko) 착즙기
KR100340142B1 (ko) 폐기물파쇄장치
KR950013274B1 (ko) 녹즙기의 찌꺼기 배출량조절장치
KR960000060Y1 (ko) 착즙기
KR100920155B1 (ko) 파쇄기
KR860000007Y1 (ko) 착 즙 기
KR960000058Y1 (ko) 착즙기용 스크류 로울러
JPS6359325B2 (ko)
KR960004575Y1 (ko) 착즙기
KR960004045Y1 (ko) 착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