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4575Y1 - 착즙기 - Google Patents

착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4575Y1
KR960004575Y1 KR92010135U KR920010135U KR960004575Y1 KR 960004575 Y1 KR960004575 Y1 KR 960004575Y1 KR 92010135 U KR92010135 U KR 92010135U KR 920010135 U KR920010135 U KR 920010135U KR 960004575 Y1 KR960004575 Y1 KR 9600045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ral
screw roller
juice
casing
spira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01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0296U (ko
Inventor
김종길
Original Assignee
김종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길 filed Critical 김종길
Priority to KR920101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4575Y1/ko
Publication of KR9400002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02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45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457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00Machines or apparatus for extracting juice
    • A23N1/02Machines or apparatus for extracting juice combined with disintegrating or cut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착즙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정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II-II선 부분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착즙스크류를 보인 정면도.
제4a도, 제4b도 및 제4c도는 제3도의 A-A선, B-B선 및 C-C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원통형 케이싱 12 : 스크류로울러
14 : 즙재료공급호퍼 16 : 즙배출구
32 : 스플라인 34 : 걸름망
36 : 나선부 38 : 파쇄부
40 : 제1압착부 40A, 40C : 캠
42 : 제2압착부 44 : 나선부
46a-46g : 돌봉
본 고안은 착즙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동축상으로 파쇄부, 제1압착부와 제2압착부를 갖는 단일 스크류로울러와, 이 단일 스크류로울러가 장설되는 원통형 케이싱으로 구성되는 착즙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원통형 케이싱과 단일 스크류로울러로 구성된 형태의 있어서는 이 스크류로울러와 케이싱의 원통형 내벽과의 협동으로 과일 또는 야채와 같은 즙재료가 파쇄 압착되어 착츱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착즙율을 높이기 위하여 단일 스크류로울러는 나선부가 변형구조된다.
그러나 종래의 이와 같은 형태로된 착즙기에 있어서는 스크류로울러의 나선부를 변형구성하나 파쇄와 압착효과를 위하여 대부분 스크류로울러의 선단은 파쇄돌기가 부설되고 압착부가 구성되는 후단부는 나선피치를 변형하여 시켜 즙재료의 전진과정을 억제하여 스크류로울러의 축방향으로 압착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착즙속도가 느리고 그 효율이 떨어지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에 있어서는 종래의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즙재료의 압착작용이 스크류로울러의 주연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인바,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와 제2도는 본 고안의 착즙기를 보인 것으로, 이 착즙기는 크게 나누어 원통형 케이싱(10)과 이 케이싱(10)내에 장설되는 스크류로울러(12)로 구성된다. 원통형 케이싱(10)에는 상부의 선단측에 즙재료공급호퍼(14)를 가지고 하부의 후단측에 즙배출구(16)를 갖는다. 이 원통형 케이싱(10)의 선단부는 모우터(도시하지 않았음)가 장설된 착즙기동체(18)에 착설하고 후단부에는 스프링(20)으로 탄지된 배출밸브(22)가 착설된 찌꺼기배출공(24)이 형성된 배출판(26)이 착설된다. 한편 스크류로울러(12)는 그 선단이 모우터의 구동축(28)에 연결되고 후단이 배출판(26)의 축봉(30)에 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원통형 케이싱(10)의 내주면에는 그 선단측, 즉 공급호퍼(14)의 하측위치에 스롤라인(32)이 형성되어 있고, 즙배출구(16)가 형성된 후단측 내주면에는 걸름망(34)이 착설된다.
스크류로울러(12)는 그 선단측으로부터 삼각단면형태의 나선부(36)로 구성되고 원통형 케이싱(10)의 스플라인(32)과 협동하는 파쇄부(38), 원통형 케이싱(10)의 내벽과 협동하는 제1압착부(40) 및 걸름망(34)과 협동하는 제2압착부(42)로 구성된다. 제1압착부(40)는 파쇄부(38)의 나선부(36)와 연속되는 1회선 나선형태의 나선부(40a)(40b)(40c)와 이에 중첩된 위치에서 스크류로울러(12)의 축선에 대하여 서로 120°의 각도로 편심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최대높이의 캠면이 각 나선부(40a)(40b)(40c)의 정점부에 일치하는 캠(40A)(40B)(40C)이 형성되어 있다.
제2압착부(42)는 파쇄부(38)의 나선부(36)와 제1압착부(40)의 각 나선부(40a-40c)와 연속하는 나선부(44)를 갖는다.
한편, 이러한 스크류로울러(12)에는 제2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케이싱(10)의 외부로부터 연장된 수개의 돌봉(46a-46g)이 결합된다. 즉 스크류로울러(12)의 파쇄부(38)에서 나선부(36)의 최종 나선(36a)의 양측에 돌봉(46a)(46b)이 결합된다. 따라서 나선부(36)이 최종나선(36a)는 돌봉(46a)(46b)과의 접촉이 없도록 단절된 형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돌봉(46b)(46c)(46d)(46e)이 제1압착부(40)의 캠(40A)(40B)(40C)의 양측에 배치되고 돌봉(46f)(46g)은 제2압착부(42)의 선단나선(44a)의 양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이 선단나선(44a) 역시 돌봉(46f)(46g)과의 접촉이 없도록 단절된 형태로 되어 있다.
이들 돌봉(46a-46g)은 고정대(48)에 입설되어 케이싱(10)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삽입되며 고정대(48)가 고정스크류(50)로 케이싱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돌봉(46a-46g)이 케이시(10)의 외부로부터 스크류로울러(12)측으로 연장되어 있다하여도 나선부(36)의 최종나선(46a)이 단절되어 있고 제1압착부(40)의 각 캠(40A-40C)과 이들의 나선부(40a-40c)가 분리되어 있으며 제2압착부(44)의 나선부(44)에서 선단나선(44a)이 단절되어 있으므로 스크류로울러(12)의 회전이 방해받지 아니한다.
즙재료공급호퍼(14)로부터 야채 또는 과실등의 즙재료가 스크류로울러(12)의 선단측으로 공급되면 그 파쇄부(38)이 나선부(36)와 케이싱(10)의 스플라인(32)이 협동하여 즙재료를 파쇄하고 파쇄된 즙재료는 나선부(36) 사이의 통로를 따라 전진한다.
이때에 즙재료나 나선부(36)의 최종나선(36)측에 이르르면 돌봉(46)(46)에 의하여 그 전진이 방해받으면서 파쇄된 즙재료가 압착되기 시작하고 제1파쇄부(40)에 이르러서는 즙재료가 나선부(40-40)에 의하여 전지하나 돌봉(46)(46), (46)(46), (46)(46)에 의하여 스크류로울러(12)의 축선방향으로 즙재료에 압착력이 가하여짐과 동시에 편심된 캠(40A-40C)에 의하여 케이싱(10)의 내벽과 사이에서 방사상방향도는 원주방향으로 압착력이 가하여져 집중압착되고 계속 전지하여 제2압착부(42)에 이르러서는 나선부(44)에 의하여 스크류로울러(12)의 축방향으로 압착력이 가하여져 착즙된 즙이 즙배출구(16)이 배출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즙재료가 스크류로울러의 축방향과 원주방향으로 압착되는 것이 반복되므로서 착즙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즙재료공급호퍼(14)와 즙배출구(16)를 가지고 선단측 내주면에 스플라인(32)이 형성되어 있으며 배출측에 걸름망(34)이 착설된 원통형 케이싱(10)내에 스크류로울러(12)를 장설한 것에 있어서, 스크류로울러(12)가 나선부(36)를 갖는 파쇄부(38), 수개의 편심된 캠(40A)(40B)(40C)을 갖는 제1압착부(40)와, 나선부(44)를 갖는 제2압착부(42)로 구성되고 케이싱(10)의 외부로부터 스크류로울러(12)의 제1압착부(40)측에 수개의 돌봉(46-46)이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KR92010135U 1992-06-08 1992-06-08 착즙기 KR9600045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0135U KR960004575Y1 (ko) 1992-06-08 1992-06-08 착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0135U KR960004575Y1 (ko) 1992-06-08 1992-06-08 착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0296U KR940000296U (ko) 1994-01-03
KR960004575Y1 true KR960004575Y1 (ko) 1996-06-03

Family

ID=19334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0135U KR960004575Y1 (ko) 1992-06-08 1992-06-08 착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457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9763B1 (ko) * 2011-11-09 2013-10-17 염무연 곡물 착유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9763B1 (ko) * 2011-11-09 2013-10-17 염무연 곡물 착유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0296U (ko) 1994-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6607B1 (ko) 주서 스크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 모듈
KR20110138108A (ko) 브러쉬를 포함하는 주서기
KR20120012040A (ko) 망드럼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EP0511174B1 (en) A procedure for the preparation of vegetable pulp destined for juice and puree extraction, and a device for the enacting of the said procedure
KR101074420B1 (ko) 원액기
WO2015070709A1 (en) Juice extraction devices with mesh filter of variable distances from helical screw
KR960004575Y1 (ko) 착즙기
US2775191A (en) Press
CN115153039B (zh) 一种果蔬菜汁饮料制造切碎装置
KR20080003745U (ko) 착즙기용 스크류
KR100480373B1 (ko) 착즙 분쇄기
KR960000063Y1 (ko) 착즙기
KR101528218B1 (ko) 양파즙 추출장치
EP1423037B1 (de) Fruchtpresse
KR930008572Y1 (ko) 착즙기
KR960001898Y1 (ko) 착즙기
KR200259820Y1 (ko) 착즙 분쇄기
KR20100006452U (ko) 착즙기의 압송스크루
KR200205627Y1 (ko) 다단착즙기
KR910003499Y1 (ko) 착즙기의 압착력조절장치
KR960001893Y1 (ko) 착즙기
KR950009568Y1 (ko) 섬유질 찌꺼기 배출 수단을 지니는 착즙기
KR200212707Y1 (ko) 전기녹즙기
KR950005182B1 (ko) 착즙기
KR200189808Y1 (ko) 녹즙기의 착즙부재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6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