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3072B1 - 폰트 데이타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폰트 데이타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3072B1
KR960003072B1 KR1019880005566A KR880005566A KR960003072B1 KR 960003072 B1 KR960003072 B1 KR 960003072B1 KR 1019880005566 A KR1019880005566 A KR 1019880005566A KR 880005566 A KR880005566 A KR 880005566A KR 960003072 B1 KR960003072 B1 KR 9600030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nt
pattern
data
width
def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5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4456A (ko
Inventor
다까시 소네
쥰 사또우
고우요우 가쯔라
시게루 마쯔오
Original Assignee
1996년03월04일
미다 가쓰시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1996년03월04일, 미다 가쓰시게 filed Critical 1996년03월04일
Publication of KR880014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44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3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0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characters or indicia using display control signals derived from coded signals representing the characters or indicia, e.g. with a character-code memory
    • G09G5/24Generation of individual character patter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 Dot-Matrix Printers And Oth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폰트 데이타 처리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그래픽 데이타 프로세서의 1실시예의 기능 블럭도.
제2도는 제1도에 있어서의 그래픽 데이타 프로세서의 부분 상세 블럭도.
제3도는 폰트 패턴 테이블의 포맷의 1예.
제4도는 폰트 폭 테이블의 포맷의 1예.
제5도는 폰트 패턴 액세스 파라미터의 1예.
제6도는 패턴 묘화 속성 정의용 파라미터의 1예.
제7도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공급되는 커맨드 포맷의 1예.
제8도는 클리핑 속성의 설명도.
제9도는 클리핑 영역의 설명도.
제10도는 클리핑 영역 검출 수단의 1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제11도는 클리핑 속성에 포함되는 스프링 지정에 있어서의 클리핑 영역 검출의 원리 설명도.
제12도는 가변폭 및 고정폭에 의한 묘화 속성의 설명도.
제13도는 폰트 패턴의 확대, 축소, 기울기에 관한 묘화 속성의 설명도.
제14도는 고정폭 패턴의 패턴 간격에 관한 묘화 속성의 설명도.
제15도는 가변폭 패턴의 패턴 간격에 관한 묘화 속성의 설명도.
제16도는 패턴의 회전에 관한 묘화 속성의 설명도.
본 발명은 패턴 코드에 따른 폰트(font) 데이타의 처리 기술 더 자세하게는 폰트 데이타를 사용한 묘화 기술에 관하여, 예를들면 문자 폰트를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콘트롤러나 묘화 프로세서에 적용해서 유효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콘트롤러나 묘화 프로세서에 있어서, 문자나 기호등의 폰트 패턴을 취급하는 기술로서는 예를들면, 일본국 소화 59년 11월 30일 오옴사 발행의 “LSI 핸드북”p555∼556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같이 문자 신호 발생기 방식이나 비트 블럭(bit block) 트랜스퍼 방식이 채택되고 있다.
상기 문자 신호 발생기 방식은 문자나 기호등의 패턴을 각각 개별적인 코드로 나타내고, 이 코드를 주기억장치나 영상 메모리의 일부 영역에 저장해 두어 그것을 단말장치에서의 지시에 따라 차례로 리드하면서 패턴 발생용 ROM(Read Only Memory)로 되는 문자 신호 발생기를 사용하여 문자등의 패턴으로 변환해서 표시하는 방식이다.
또 상기 비트 블럭 트랜스퍼 방식은 문자나 기호등의 패턴을 소정의 장방형 영역으로 그려진 도형으로 간주하여 화소 단위로 표현하여 그대로의 이미지로 프레임 버퍼 메모리와 같은 비트 맵(bit map) 메모리에 일단 저장해서 취급하는 그래픽 표시의 방식으로 소정 패턴에 대응하는 장방형 영역의 화상 데이타를 주기억 장치나 프레임 버퍼 메모리의 비표시 영역에서 프레임 버퍼 메모리의 표시 영역으로 블럭 전송하는 것에 의해 실현된다.
본 발명자들은 문자나 기호등의 패턴을 표시하기 위한 기술로서 상기 2개의 방식에 대해서 검토한 바, 상기 문자 신호 발생기 방식으로는 표시해야 할 문자등의 패턴의 폭이나 형상 더 자세하게는 그 방향이 패턴 발생용 문자 신호 발생기의 하드 웨어에 의해 고정적으로 결정되는 결과 표시나 묘화 제어가 조잡한 패턴 단위의 것으로 되고 마는 문제점이 있음을 발견했다.
그것에 대해서 상기 비트 블럭 트랜스퍼 방식은 각각의 패턴을 화소 단위로 제어할 수 있다는 점에서 패턴의 제어 기능에 대해서 유연성을 갖지만, 예를들면 디스플레이 콘트롤러의 외부에서 소정의 패턴 데이타를 프레임 버퍼 메모리로 전송하는 경우에는 필요한 패턴이 정의되어 있는 장방형 영역의 각 비트에 대응하는 데이타를 시스템 전체의 제어를 담당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거쳐서 데이타 전송을 하지 않으면 안되며, 그것에 따라서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부담을 경감할 수 없고 나아가서는 데이타 전송에 필요한 시간이 증가되어 묘화 또는 표시 동작의 고속화를 도모할 수 없다. 또, 필요한 패턴 제이타가 프레임 버퍼 메모리의 비표시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서 패턴 데이타를 전송 제어할 필요는 없지만 외부 단말장치에서 지정되는 패턴 코드를 프레임 버퍼 메모리상의 논리 어드레스로 변환하는 동작을 여전히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실행시키지 않으면 안되고, 그와같은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한 변환 동작은 해당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부담으로 되며 이 점에 있어서도 문자등의 패턴 묘화 또는 표시 동작의 고속화를 저해하는 것이 명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패턴 코드에 따라서 내부에서 고속으로 소정의 폰트 데이타를 처리할 수 있음과 동시에 폰트 패턴의 다양성을 간단하게 실현할 수 있는 폰트 데이타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 상기 목적에 부가해서 기본 패턴을 기준으로 한 패턴 묘화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폰트 데이타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이외의 목적과 신규한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으로 명백해 질 것이다.
본 출원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중 대표적인 것의 개요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폰트 패턴 저장 수단으로 정의되어 있는 폰트 패턴의 데이타를 액세스하기 위한 파라미터가 저장되는 폰트 패턴 액세스 파라미터 저장 수단을 마련하여 외부에서 공급되는 패턴 코드와 상기 폰트 패턴 액세스 파라미터에 따라서 해당 패턴 코드에 대응하는 폰트 패턴의 데이타를 상기 폰트 패턴 저장 수단에서 리드하기 위한 어드레스 연산을 내부에서 행하는 것이다. 상기 폰트 패턴 저장 수단은 예를들면, 각각에 동일한 메모리 폭의 정의영역에 폰트 패턴의 형상을 정의하는 폰트 형상 정의영역과 해당 정의영역에 있어서 각각의 폰트 패턴의 실질적인 문자폭을 정의하는 폰트폭 정의영역을 갖는 리라이트 가능한 내부 메모리 더 자세하게는 국부버스를 거쳐서 상기 내부 메모리에 데이타 전송 가능한 외부 메모리 등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또 상기 폰트 패턴 액세스 파라미터 저장 수단은 국부버스에 결합되는 외부 메모리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데이타 설정 가능하게 되는 내부 메모리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외부에서 공급되는 패턴 코드에 대응하는 폰트 패턴 데이타가 폰트 패턴 액세스 파라미터에 따른 내부 연산 처리만으로 폰트 패턴 저장 수단의 소정 영역에서 리드 가능하게 된다. 또 폰트 패턴 액세스 파라미터를 변경해 주면 폰트 패턴 저장 수단으로 정의되어 있는 폰트 패턴 데이타 자체를 수정하지 않아도 각각의 폰트 정의영역에서 리드되는 데이타 폭 등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패턴 코드에 의거하여 내부에서 고속으로 소정의 폰트 데이타를 처리할 수 있음과 동시에 폰트 패턴의 다양성을 간단하게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폰트 패턴 저장 수단에서 리드되는 폰트 패턴 데이타에 따른 패턴 묘화의 속성을 지정하는 패턴 묘화 속성 지정 수단을 포함시킨다, 이 패턴 묘화 속성 지정 수단은 예를들면, 패턴 상호간의 묘화 간격이나 패턴의 확대 축소 및 패턴의 기울기에 관한 수치 데이타와 같은 패턴 묘화 속성 정의용 파라미터를 리라이트 가능하게 저장하는 내부 메모리 마이크로 프로그램 제어수단에 패턴 묘화 동작의 전환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제어 데이타를 리라이트 가능하게 유지하는 콘트롤 레지스터 더 나아가서는 패턴 묘화 동작의 전환 지시를 부여하기 위해 커맨드 코드의 일부에 포함시킨 제어 코드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폰트 패턴 액세스 파라미터에 따른 내부 연산 처리에 의해 폰트 패턴 저장 수단에서 리드되는 폰트 패턴 데이타를 패턴 묘화 속성 지정 수단으로 지정되는 묘화 속성에 따라서 내부 처리에 의거하여 그 패턴 구성이나 패턴 상호의 배열을 변화시켜서 묘화할 수 있는 것에 의해 소정의 오리지날 폰트 데이타를 기준으로 한 패턴 묘화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1도에는 본 발명의 폰트 데이타 처리장치가 적용되는 그래픽 데이타 프로세서의 일부가 기능 블럭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동일 도면에 표시되는 그래픽 데이타 프로세서 GDP는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공지의 반도체 집적회로 제조 기술에 의해 1개의 반도체 기판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그래픽 데이타 프로세서 GDP는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CRT(Cathode Ray Tube) 디스플레이 장치가 포함되는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 그 표시 제어 기능이나 묘화 제어 기능을 지지하는 디스플레이 콘트롤러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제1도에 도시되는 그래픽 데이타 프로세서 GDP는 소정의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 주변 콘트롤러로서 역할이 주어지는 것으로 마이크로 프로세서 MPU나 도시하지 않은 시스템 메모리가 결합되어 있는 시스템 버스로서의 외부 버스 EBUS1에 대한 인터페이스부와 비트 맵 메모리로서의 프레임 버퍼 메모리 FBM 등이 결합되어 있는 국부버스로서의 외부 버스 EBUS2에 대한 인터페이스부를 갖는다. 상기 외부 버스 EBUS2에 결합되어 있는 프레임 버퍼 메모리 FBM은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이중 포트를 갖고, 그 한쪽의 액세스 포트는 상기 외부 버스 EBUS2에 결합되고, 다른쪽의 액세스 포트는 도시하지 않은 도프 시프터를 거쳐서 CRT 디스플레이 장치에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그래픽 데이타 프로세서 GDP는 상기 도시하지 않은 마이크로 프로세서 MPU에서 외부 버스 EBUS1을 거쳐서 공급되는 커맨드를 해석하여 프레임 버퍼 메모리 FBM 위에 소정의 문자나 기호등의 패턴 묘화 또는 임의 도형의 묘화 도형 채우기 및 문자나 도형등의 확대, 축소, 회전등을 실행하게 하는 묘화 제어 기능이나 프레임 버퍼 메모리 FBM에 저장된 화상 데이타를 상기 도시하지 않은 CRT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기능을 유지한다.
이 그래픽 데이타 프로세서 GDP는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 MPU에서 공급되는 커맨드를 마이크로 프로그램 제어 방식으로 실행하는 제어 형태를 갖고, 커맨드 입력 레지스터, 커맨드의 연산 코드를 해독하는 명령 디코더, 명령 디코더의 출력등에 따라서 마이크로 어드레스를 제어하는 마이크로 어드레스 콘트롤러, 마이크로 어드레스 콘트롤러의 출력을 디코더하는 마이크로 어드레스 디코더, 마이크로 어드레스의 출력에 따라 소정의 마이크로 명령의 계열이 리드되는 마이크로 프로그램 메모리 및 마이크로 프로그램 메모리에서 리드되는 마이크로 명령을 해독해서 각 부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명령 디코더등으로 구성되는 마이크로 프로그램 제어수단 CMM과 마이크로 프로그램에 따라서 명령을 실행하는 실행부 EU가 마련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그래픽 데이타 프로세서 GDP는 도시하지 않은 키보드와 같은 단말 장치에서 직접 또는,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 MPU를 경유해서 외부에서 공급되는 패턴 코드에 따라 문자등의 폰트 데이타를 내부에서 처리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 기능을 이루기 위해 먼저 문자등의 폰트 패턴을 리라이트 가능하게 정의하는 폰트 패턴 저장 수단으로서의 폰트 패턴 테이블 FPT1 및 폰트 폭 테이블 FWT1과 상기 폰트 패턴 테이블 FPT1이나 폰트 폭 테이블 FWT1에 정의되어 있는 폰트 패턴의 데이타를 액세스 하기 위한 파라미터가 저장되는 폰트 패턴 액세스 파라미터 저장 수단 FDR이 마련되어 있다. 외부에서 공급되는 패턴 코드와 상기 폰트 패턴 액세스 파라미터에 따라서 해당 패턴 코드에 대응하는 폰트 패턴의 데이타를 상기 폰트 패턴 테이블 FPT1이나 폰트 폭 테이블 FWT1에서 리드하기 위한 어드레스 연산은 상기 실행부 EU가 행하도록 되어 있다.
제1도에 따르면 상기 폰트 패턴 테이블 FPT1이나 폰트 폭 테이블 FWT1은 내부 버스 IBUS2를 거쳐서 실행부 EU에 접속되고, 또 상기 폰트 패턴 액세스 파라미터 저장 수단 FDR은 내부 버스 IBUS1을 거쳐서 실행부 EU에 접속되어 있다. 내부 버스 IBUS1은 시스템측과의 인터페이스부로서의 선입 선출 형식의 리드/라이트 FIFO를 거쳐서 상기 외부 버스 EBUS1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내부 버스 EBUS2는 국부 버스 또는 프레임 버퍼 버스로서의 외부 버스 EBUS2에 접속되어 있다. 제1도에 있어서, 외부 버스 EBUS2에는 상기 외부 메모리 EDM이 결합되고, 이 외부 메모리 EDM에는 상기 프레임 버퍼 메모리 FBM 이외에 ROM(Read Only Memory)에 의해 구성되는 것 같은 비교적 기억 용량이 큰 다른 형태의 폰트 패턴 테이블 FPT2나 폰트 폭 테이블 FWT2가 대표적으로 포함되어 있다. 이들 프레임 버퍼 메모리 FBM, 폰트 패턴 테이블 FPT2 및 폰트 폭 테이블 FWT2는 그래픽 데이타 프로세서 GDP가 직접 액세스 가능한 외부 메모리 EDM을 구성한다. 외부 메모리 EDM의 폰트 패턴 테이블 EPT2 및 폰트 폭 테이블 FWT2는 내부의 폰트 패턴 테이블 EPT1 및 폰트 폭 테이블 FWT1과 마찬가지 수법으로 액세스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폰트 패턴 저장 수단으로서의 상기 폰트 패턴 테이블 FPT1 또는 FPT2나 폰트 폭 테이블 FWT1 또는 FWT2에서 리드되는 폰트 패턴 데이타에 따라 패턴 묘화의 속성을 지정하는 패턴 묘화 속성 지정 수단으로서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수치 데이타와 같은 패턴 묘화 속성 정의용 파라미터를 리라이트 가능하게 저장하는 패턴 묘화 속성 정의용 파라미터 저장 수단 FAR 과 마이크로 프로그램 제어 수단 CMM에 패턴 묘화 동작의 전환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제어 데이타를 리라이트 가능하게 유지하는 콘트롤 레지스터로서의 캐릭터 에리어 모드 레지스터 CAM이 마련되고, 또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도에는 도시되지 있지 않지만 패턴 묘화 동작의 전환 지시를 입력하기 위해 커맨드 코드의 일부에 포함되어 있는 제어 코드도 해당 패턴 묘화 속성 지정 수단의 1개가 된다.
제2도에는 제1도에 도시되는 기능 블럭도가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제2도에 있어서 상기 내부 버스 IBUS1은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내부 버스 IBUS1U, IBUS1V, IBUS1W로 되는 3버스로 구성되고, 또 상기 내부 버스 IBUS2는 내부 어드레스 버스 IBUS2A 및 내부 데이타 버스 IBUS2D로 구성된다. 내부 버스 IBUS1과 내부 버스 IBUS2의 인터페이스는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리드 데이타 버퍼 레지스터 RDBR, 라이트 데이타 버퍼 레지스터 WDBR 및 메모리 어드레스 버퍼 레지스터 MABR에 의해 행해진다.
제2도에서는 상기 실행부 EU를 구성하는 중요한 기능 블럭으로서 연산기 ALU 및 레지스터군 TDR이 대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레지스터 TDR은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각종 워킹(working) 레지스터, 콘트롤 레지스터, 일시 레지스터 또는 XY 좌표계와 같은 논리 어드레스 공간에 있어서, 현재의 묘화 위치를 지시하는 커렌트 포인터 및 메모리 어드레스 공간과 같은 물리 어드레스 공간에 있어서 현재의 묘화 어드레스를 지시하기 위해 상기 커렌트 포인터의 값에 호응하는 메모리 어드레스가 설정되는 드로잉 포인터(drawing pointer)등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 폰트 패턴 액세스 파라미터 저장 수단 FDR 및 패턴 묘화 속성 정의용 파라미터 저장 수단 FAR은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제2도에 있어서, RAM(Random Access Memory)로 구성되는 내부 메모리 IDM1의 소정 영역에 형상되어 있다. 또, 이러한 파라미터 저장 수단은 상기 레지스터군 TDR에 형성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캐릭터 에리어 모드 레지스터 CAM은 해당 레지스터군 TDR의 일부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내부 메모리 IDM1은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내부 메모리 어드레스 버퍼 레지스터 IMABR을 거쳐서 어드레스 신호가 공급되고 또, 내부 메모리 데이타 버퍼 레지스터 IMDBR을 거쳐서 데이타의 교환이 행해지고, 그 액세스 제어는 마이크로 프로그램에 따라 실행된다. 내부 메모리 어드레스 버퍼 레지스터 IMABR에 대한 어드레스 데이타의 설정은 연산기 ALU를 거쳐서 또는, 상기 마이크로 프로그램 제어 수단 CMM을 구성하는 도시하지 않은 마이크로 프로그램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소정의 마이크로 명령 코드의 어드레스부에 따라서 직접 가능하게 된다.
상기 폰트 패턴 테이블 FPT1 및 폰트 폭 테이블 FWT1은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제2도에 있어서, RAM으로 구성되는 고속의 내부 메모리 IDM2에 형성되어 있다. 이 내부 메모리 IDM2는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상기 내부 어드레스 버스 IBUS2A를 거쳐서 메모리 어드레스 버퍼 레지스터 MABR에서 어드레스 신호가 공급되고, 또, 상기 내부 데이타 버스 IBUS2D를 거쳐서 리드 데이타 버퍼 레지스터 RDBR 및 라이트 데이타 버퍼 레지스터 WDBR 사이에서 데이타의 교환이 행해지고, 그 액세스 제어는 마이크로 프로그램에 따라 실행된다. 메모리 어드레스 버퍼 레지스터 MABR에 대한 어드레스 데이타의 설정은 연산기 ALU를 거쳐서 행해진다.
이 내부 메모리 IDM2는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상기 프레임 버퍼 메모리 FBM, 폰트 패턴 테이블 FPT2 및 폰트 폭 테이블 FWT2 등으로 구성되는 외부 메모리 EDM에 할당되어 있는 외부 어드레스 공간에 임의로 연속해서 맵핑 가능한 메모리 영역으로 된다.
즉, 상기 외부 버스 EBUS2는 어드레스 멀티플렉스 게이트 AMPXG와 데이타 멀티플렉스 게이트 DMPXG를 거쳐서 내부 버스 IBUS2에서 분기되고, 그 외부 버스 EBUS2에 결합되어 있는 외부 메모리 EDM과 내부 메모리 IDM2는 메모리 어드레스 버퍼 레지스터 MABR, 리드 데이타 버퍼 레지스터 RDBR 및 라이트 데이타 버퍼 레지스터 WDBR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어느 것인가 한쪽이 액세스된다. 내부 메모리 IDM2를 액세스 하든가 외부 메모리 EDM을 액세스 하든가는 어드레스 멀티플렉스 게이트 AMPXG 및 데이타 멀피플렉스 게이트 DMPXG의 선택 동작에 따라 결정된다. 이 선택 제어는 외부 어드레스 공간에 대한 내부 메모리 IDM2의 맵핑 어드레스를 정의하는 맵핑 어드레스 정의 레지스터군 MADR의 출력 어드레스 데이타와 메모리 어드레스 버퍼 레지스터 MABR에서 출력되는 어드레스 데이타를 비교하는 액세스 판정회로 ACCMP의 출력 제어 신호 Φaccmp에 따라 행해진다. 이 액세스 판정회로 ACCMP는 메모리 어드레스 버퍼 레지스터 MABR에서 출력되는 어드레스 데이타가 내부 메모리 IDM2의 맵핑 어드레스에 포함되는 경우 또는 일치하는 경우에 어드레스 멀티플렉스 게이트 AMPXG 및 데이타 멀티플렉스 게이트 DMPXG를 내부 메모리 IDM2측에 선택 접속한다. 메모리 어드레스 버퍼 레지스터 MABR에서 출력되는 어드레스 데이타가 내부 메모리 IDM2의 맵핑 어드레스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또는 불일치한 경우에는 어드레스 멀티플렉스 게이트 AMPXG 및 데이타 멀티플렉스 게이트 DMPXG는 외부 메모리 EDM측에 선택 접속된다.
상기 맵핑 어드레스 정의 레지스터군 MADR에 대한 데이타 설정은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마이크로 프로그램 제어에 따라 상기 연산기 ALU 및 내부 버스 IBUS1W를 거쳐서 행해진다.
이와같이 외부 메모리 EDM에 할당되어 있는 외부 어드레스 공간에 임의로 연속해서 맵핑 가능한 내부 메모리 IDM2를 갖추어 해당 내부 메모리 IDM2에 대한 액세스가 검출된 경우에는 액세스 대상이 외부 메모리 EDM에서 내부 메모리 IDM2로 전환 제어되는 것에 의해 고속 액세스 가능한 LSI에 내장된 내부 메모리 IDM2와 큰 기억 용량을 가질 수 있는 외부 메모리 EMD 을 외부 어드레스 공간상에 있어서 동등하게 취급할 수 있다. 따라서 폰트 패턴 테이블 FPT1과 FPT2, 폰트 폭 테이블 FWT1과 FWT2를 각각 동등하게 취급할 수 있고, 또 액세스 빈도가 높은 데이타 예를들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여러 종류의 폰트 패턴의 형상이나 폭을 개벽적으로 정의하는 데이타중 비교적 사용 빈도가 높은 것을 내부 메모리 IDM2에 저장해 두면 묘화 효율이 현저하게 향상한다.
제3도는 상기 폰트 패턴 테이블 FPT1의 1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폰트 패턴 테이블 FPT1은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일정한 장방형 영역에 있어서, 알파벳등의 문자를 1문자씩 화소 단위의 2진(“1”, “0”) 패턴으로 나타낸 폰트 형상 정의영역이며, 상기 내부 메모리 IDM2의 소정 기억 영역에 있어서의 연속 어드레스 공간상에 일정한 메모리 폭으로 순차 패턴 코드 CN0내지 CNn의 순서로 저장되어 있다. 제 3도에 있어서 FSA는 폰트 패턴 테이블 FPT1의 스타트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폰트 패턴 테이블 스타트 어드레스, FBN은 1문자의 정의영역을 구성하는 비트의 총수를 의미하는 폰트 비트수(각 문자의 정의영역에 있어서 공통), FAMW는 폰트 패턴 테이블의 메모리 폭을 비트 단위로 나타내는 폰트 패턴 테이블 메모리 폭, FSX, FSY는 1문자의 정의영역내에 있어서 전개해야 할 폰트 크기 즉, 오리지날 폰트 크기의 세로 및 가로를 비트 단위로 나타내는 폰트 크기이다. 폰트 크기 FSX, FSY는 폰트 패턴 테이블 FPT1에 저장되는 알파벳과 같은 일군의 문자 패턴에 공통으로 된다. 또 이상의 설명은 내부 메모리 IDM2를 외부 메모리 EDM 폰트 패턴 테이블 FPT1을 폰트 패턴 테이블 FPT2로 바꾸어 읽는 것에 의해 폰트 패턴 테이블 FPT2의 1예를 나타내는 설명으로 할 수 있다.
제4도는 상기 폰트 폭 테이블 FWT1의 1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폰트 폭 테이블 FWT1은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각각의 폰트 패턴의 실질적인 폭을 패턴마다 개별적으로 정의하는 폰트 폭 정의영역으로 상기 내부 메모리 IDM2의 소정 기억 영역에 있어서의 연속 어드레스 공간상에 일정한 메모리 폭으로 순차 패턴 코드 CN0내지 CNn의 순서로 각각 폰트 패턴의 실질적인 폭을 정의하는 폰트 폭 데이타 FWDA0, FWDB0내지 FWDAn, FWDBn이 저장되어 있다. 각각의 폰트 폭 데이타 FWDA0, FWDB0내지 FWDAn, FWDBn은 제 3도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폰트 패텐 테이블 FWT1 또는 FPT2의 오른쪽 끝에서 부터의 거리를 비트 단위로 정의하는 데이타이다. 제4도에 있어서 FSTBL은 폰트 폭 테이블 FWT1의 스타트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폰트 폭 테이블 스타트 어드레스, FWBN은 폰트 폭 테이블의 메모리 폭, 바꾸어 말하면 1개의 문자에 대응하는 폰트 폭 데이타의 비트수를 나타내는 폰트 폭 테이블 메모리 폭이다. 또, 이상의 설명은 내부 메모리 IDM2를 외부 메모리 EDM, 폰트 폭 테이블 FWT1을 폰트 폭 테이블 FWT2로 바꾸어 읽는 것에 의해 폰트 폭 테이블 FWT2의 1예를 나타내는 설명으로 할 수 있다.
제 5도는 상기 폰트 패턴 액세스 파라미터 저장수단 FDR에 저장되는 폰트 패턴 액세스 파라미터의 1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폰트 패턴 액세스 파라미터 저장수단 FDR은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상기 내부 메모리 IDM1의 소정 영역에 16비트 폭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액세스 파라미터는 제 3도에 도시되는 바와같은 포맷을 갖는 폰트 패턴 테이블 FPT1 및 제4도에 도시되는 바와같은 포맷을 갖는 폰트 폭 테이블 FWT1에 대해서 상위 및 하위 각각 16비트씩 상기 폰트 패턴 테이블의 스타트 어드레스 FSA(상위 어드레스는 FSAH로 도시되고, 하위 어드레스는 FSAL로 도시된다). 상기 폰트 비트의 수 FBN, 폰트 패턴 테이블의 메모리 폭 FAMW, 상위 및 하위 각 16비트씩의 상기 폰트 폭 테이블의 스타트 어드레스 FSTBL(상위 어드레스는 FSTBLH로 도시되고, 하위 어드레스는 FSTBLL로 도시된다). 상기 폰트의 크기 FSX, FSY에 의해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폰트 폭 테이블의 메모리 폭 FWBN은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폰트 패턴의 내용에 관계없이 고정적으로 설정되는 액세스 파라미터이므로 리라이트 가능한 폰트 패턴 액세스 파라미터 저장 수단 FDR에는 설정되지 않고 마이크로 프로그램에 그 값이 라이트되어 있다. 또 해당 폰트 폭 테이블의 메모리 폭 FWBN을 리라이트 가능한 폰트 패턴 액세스 파라미터 저장 수단 FDR에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다음에 상기 액세스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폰트 패턴 테이블 FPT1이나 폰트 폭 테이블 FWT1을 액세스 하는 경우의 어드레스 연산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 이하의 어드레스 연산에 대한 설명에서 폰트 패턴 테이블 FPT1을 폰트 패턴 테이블 FPT2로 폰트 폭 테이블 FWT1을 폰트 폭 테이블 FWT2로 바꾸어 읽는 것에 의해 폰트 패턴 테이블 FPT2나 폰트 폭 테이블 FWT2를 액세스하는 경우의 어드레스 연산에 대한 설명으로 할 수 있다.
각각의 문자 패턴에 1 대 1 대응하는 패턴 코드 CN0내지 CNn은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0”에서 “n”까지의 번호에 상당하는 것으로 된다. 폰트 패턴 테이블 FPT1에 있어서, 소정의 패턴 코드 CN₁에 대응하는 문자 패턴 영역의 선두 비트 어드레스 CNPSA 및 최종 비트 어드레스 CNPEA는 예를들면 (1)식 및 (2)식으로 주어진다.
CNPSA=FSA+FBN×CN₁....................................................(1)
CNPEA=FSA+FBN×CN₁+FBN-1 ......................................(2)
또 폰트 폭 테이블 FWT1에 있어서, 해당 패널 코드 CN₁에 대응하는 폰트 폭 데이타의 선두 비트 어드레스 CNWSA 및 최종 비트 어드레스 CNWEA는 예를들면 (3)식 및 (4)식으로 주어진다.
CNWSA=FSTBL+FWBN×CN₁..............................................(3)
CNWEA=FSTBL+FWBN×CN₁+FWBN-1..............................(4)
본 실시예에 있어서 폰트 패턴 테이블 FPT1에서 리드되는 폰트 패턴은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제12도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액세스 파라미터로서의 폰트의 크기 FSX, FSY로 결정되는 고정 크기의 오리지날 폰트 폭 데이타 FWDA0, FWDB0내지 FWDAn, FWDBn에 의해 패턴마다 결정되는 가변 크기의 가변 폰트 VF의 어느 것인가를 선택 가능하게 된다.
소정의 폰트 패턴 데이타가 오리지날 폰트 OF로서 리드될 때는 어드레스 연산할때 폰트 폭 테이블은 실질적으로 참조되지 않는다. 패턴 코드 CN₁에 대응하는 오리지날 폰트 OF의 리드에 필요한 비트 어드레스 BA0f는 (5)식에 의해 주어진다.
BA0f=CNPSA+(x-1)+(y-1)×FAMW.............................(5)
단 (5)식에 있어서, x는 해당 패턴 코드 CN₁에 대응하는 오리지날 폰트 OF의 왼쪽 끝에서 x번째의 열수이며 y는 최상의 행에서 y번째의 행수이며 (6)식 및 (7)식의 관계를 만족시킨다.
1≤x≤FSX ...................................................................(6)
1≤y≤FSY ....................................................................(7)
소정의 폰트 패턴 데이타가 가변 폰트 VF로서 리드될 때에는 어드레스 연산시 폰트 폭 테이블 FWT가 참조된다. 패턴 코드 CN₁에 대응하는 가변 폰트 VF의 리드에 필요한 비트 어드레스 BAvf는 (8)식에 의해 부여된다.
BAvf=CNPSA+(x+FWDA₁-2)+(y-1)×FAMW ...................(8)
단 (8)식에 있어서, x는 해당 패턴 코드 CN₁에 대응하는 가변폰트 VF의 왼쪽 끝에서 x번째의 열수이며 y는 최상의 행에서 y번째의 행수이며 (9)식 및 (10)식의 관계를 만족시킨다.
1≤x≤FWDB₁-FWDA₁+1 ....................................................(9)
1≤y≤FSY ...............................................................................(10)
앞의 식에서 설명한 바와같은 어드레스 연산은 실행부 EU에서 행해지지만, 그연산 제어는 패턴 묘화 커맨드에 대응하는 마이크로 프로그램에 의해 행해진다. 패턴 묘화 커맨드는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제 7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커맨드 기능 코드부 COPC, 제어 코드부 CONTC 등을 포함하는 단일 또는 여러개의 워드로 구성된다. 제어 코드부 CONTC에는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묘화 대상이 되는 문자등의 패턴 코드가 포함되어 필요에 따라서 묘화 문자수나 논리 어드레스 공간에 있어서의 묘화 개시점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 오리지날 폰트 OF 또는 가변 폰트의 VF의 선택, 바꾸어 말하면 문자 패턴의 묘화 폭의 선택은 제어 코드부 CONTC에 포함되는 1비트의 제어 비트 PS에 의해 지시된다. 이 제어 비트 PS가 “0”일 때는 오리지날 폰트 OF에 의한 묘화를 지시하고, 또 제어 비트 PS가 “1”일 때는 가변 폰트 VF 에 의한 묘화를 지시한다. 소정의 패턴 묘화 커맨드가 상기 마이크로 프로그램 제어수단 CMM에 공급되면 해당 커맨드에 대응하는 마이크로 프로그램이 기동되어서 패턴 코드 및 폰트 액세스 파라미터에 따른 상기 어드레스 연산 제어가 실행되어 소정의 폰트 패턴 데이타가 폰트 패턴 테이블 FPT1에서 리드된다. 리드된 폰트 패턴 데이타는 컬러 전개나 소정의 묘화 모드에 따른 연산 처리등을 거친 다음 커맨드에 의해 지시되는 묘화 개시점에 대응하는 커렌트 포인터 및 그 내용에 따라 메모리 어드레스를 지시하는 드로잉 포인터에 의해 프레임 버퍼 메모리 FBM의 표시 영역에 묘화된다.
다음에 상기 폰트 패턴 테이블 FPT1 또는 FPT2에서 리드되는 폰트 패턴 데이타에 따른 패턴 묘화의 속성을 지정하는 패턴 묘화 속성 지정 수단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패턴 묘화 속성 지정 수단은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패턴 묘화 속성 정의용 파라미터 저장수단 FAR과 마이크로 프로그램 제어 수단 CMM에 패턴 묘화 동작의 전환 지시를 부여하기 위한 제어 데이타를 리라이트 가능하게 유지하는 콘트롤 레지스터로서의 캐릭터 에리어 모드 레지스터 CAM과 커맨드 코드의 일부에 포함되는 패턴 묘화 동작의 전환 지시용 제어 코드로 된다.
제6도에는 패턴 묘화 속성 정의용 파라미터 저장수단 FAR에 저장되는 패턴 묘화 속성 정의용 파라미터의 1예가 도시된다.
패턴 묘화 속성 정의용 파라미터 저장수단 FAR은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상기 내부 메모리 IDM1의 소정 영역에 16비트 폭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패턴 묘화 속성 정의용 파라미터는 실행부 EU에 있어서의 연산 대상이 되는 수치 데이타이고, 제13도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확대 또는 축소 문자의 묘화를 행할 때 묘화해야 할 문자의 세로, 가로의 크기를 각각 화소 단위로 정의하는 문자 크기 CSY, CSX, 제14도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오리지날 폰트 OF 에 따라 문자 묘화시의 패턴 간격을 화소 단위로 정의하는 문자 간격 DY, DX, 제13도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문자의 기울기를 폭 방향의 화소의 수로 정의하는 이탤릭 오프셋 IOFS, 제1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기변 폰트 VF에 따라 문자 묘화시의 패턴 간격을 정의하는 문자 공간 CHS로 구성된다.
상기 각종 패턴 묘화 속성 정의용 파라미터는 각종 패턴 묘화 커맨드에 대응하는 마이크로 프로그램에 따라 지정되는 참조 어드레스에 따라 차례로 리드되어 도시하지 않은 커렌트 포인트에 있어서의 묘화 지시점의 연산에 이용되게 한다.
패턴 묘화 속성 지정 수단으로서의 제어 코드에는 제 7도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제어 비트 PS(문자 패턴의 묘화 폭의 선택 즉, 오리지날 폰트 OF 또는 가변 폰트 VF의 선택을 지시한다)이외에 폰트 패턴에 대한 묘화 회전 각도 즉, 묘화 방향을 지정하기 위한 2비트의 제어 비트 SD가 포함된다. 이 제어 비트 SD에 따라 묘화 방향의 지시는 제16도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4종류가 된다. 제어 비트 SD가 “00”일 때는 문자 폰트 패턴을 그대로의 방향으로 묘화할 것을 지시한다. 이 경우에는 폰트 패턴 데이타의 리드 방향이 +X 방향이면 XY 좌표계에 있어서의 묘화점의 이동 방향도 그것과 같은 +X 방향으로 되도록 제어된다. 제어 비트 SD가 “01”일 때는 문자 폰트 패턴을 90°회전해서 묘화할 것을 지시한다. 이 경우에는 폰트 패턴 데이타의 리드 방향이 +X 방향이면 XY 좌표계에 있어서의 묘화점의 이동 방향은 +Y 방향이 되도록 제어된다. 제어 비트 SD가 “10”일 때는 문자 폰트 패턴을 180°회전해서 묘화할 것을 지시한다. 이 경우에는 폰트 패턴 데이타의 리드 방향이 +X 방향이면 XY 좌표계에 있어서의 묘화점의 이동 방향은 -X 방향이 되도록 제어된다. 제어 비트 SD가 “11”일 때는 문자 폰트 패턴을 270°회전해서 묘화할 것을 지시한다. 이 경우에는 폰트 패턴 데이타의 리드 방향이 +X 방향이면 XY 좌표계에 있어서의 묘화점의 이동 방향은 -Y 방향이 되도록 제어된다.
상기 제어 비트 SD나 PS는 마이크로 프로그램 제어 수단 CMM에 있어서, 커맨드를 해석할 때 그 설정값이 검출되고, 그 검출 결과에 따라 기동해야 할 마이크로 프로그램의 전환이 행해진다. 예를들면 마이크로 프로그램의 기동 엔트리 어드레스로서의 명령 코드가 부여되는 것에 따라서 기동되야 할 마이크로 프로그램이 전환 제어된다.
패턴 묘화 속성 지정수단으로서의 상기 캐릭터 에리어 모드 레지스터 CAM은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클리핑 영역에 대한 패턴의 묘화를 픽셀 단위, 패턴 단위, 패턴 열 단위로 지정하는 3비트의 제어 데이타가 설정된다. 이 제어 데이타는 제 8도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100”에서 스토로크 지정, “101”에서 문자 지정, “110” 또는 “111”에서 스트링 지정, 그 밖의 비트 조합에서는 클리핑의 비실행 지정을 행한다. 상기 스토로크 지정은 클리핑 영역 이외의 화소에 대해서는 묘화하지 않는 동작 모드이고, 상기 문자 지정은 클리핑 영역 이외에 이러한 문자는 묘화하지 않도록 하는 동작 모드이고, 또 상기 스트링 지정은 클리핑 영역에 이러한 문자열을 묘화하지 않는 동작 모드이다.
캐릭터 에리어 모드 레지스터 CAM으로 설정되어 있는 3비트의 제어 데이타에 따른 클리핑 영역에 대한 패턴 묘화 제어는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제1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어 신호 Φ₁에 따른 마이크로 프로그램 제어 수단 CMM의 동작 전환과 제어 신호 Φ₂에 따른 클리핑 에리어 검출 수단 ARD의 동작 전환에 따라 실현된다.
상기 클리핑 에리어 검출 수단 ARD는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제 9도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묘화 좌표계로서의 논리 좌표계인 XY 좌표계에 있어서, 묘화하고자 하는 점의 좌표 즉, 상기 도시하지 않는 커렌트 포인터가 지시하는 좌표(CPX,CPY)와 클리핑 영역 CLPE를 정의하는 좌표(XMIN,YMIN), (XMAX,YMAX)의 비교를 행하여 묘화 좌표점(CPX,CPY)가 클리핑 영역 CLPE의 외부인 경우에 에리어 플래그 Φ₃을 고레벨로 제어하는 것이다. 이 클리핑 에리어 검출 수단 ARD는 실제로는 상기 연산기 ALU를 거쳐서 구성되고 예를들면 제10도에 도시되는 논리 구성을 갖는다. 즉, XMIN과 CPX를 비교하는 비교기 CMPXMN, YMIN 과 CPY를 비교하는 비교기 CMPYMN, CPX와 XMAX를 비교하는 비교기 CMPXMX, CPY와 YMAX를 비교하는 비교기 CMPYMX 및 각 비교기의 출력 신호의 반전 레벨에 대해서 논리합을 취하는 OR 게이트 회로 OR에 의해 구성된다. 상기 각 비교기 CMPXMN, CMPYMN, CMPXMX, CMPYMX는 1쌍의 입력단자 Ain과 Bin으로 공급되는 신호 레벨에 대해서 Ain>Bin의 관계가 성립할 때 그 출력 단자에는 저레벨 신호를 얻을 수 있고, 또 Ain≤Bin의 관계가 성립할 때 고레벨 신호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묘화 좌표점(CPX,CPY)가 클리핑 영역 CLPE의 외부에 있을 경우에는 OR 게이트 회로 OR 에서 출력되는 에리어 플래그 Φ₃이 고레벨로 제어된다.
상기 제어 신호 Φ₂는 캐릭터 에리어 모드 레지스터 CAM의 설정 데이타에 따라서 클리핑의 비실행이 지정되는 경우에 상기 클리핑 에리어 검출 수단 ARD에 의한 비교 동작을 실질적으로 억제하는 제어 신호이다. 예를들면, 이 제어 신호 Φ₂는 캐릭터 에리어 모드 레지스터 CAM의 3비트의 설정 데이타중 제 8도에 있어서의 왼쪽의 1비트에 대응하는 레벨의 신호이며 그 저레벨을 따라서 클리핑 에리어 검출 수단 ARD의 동작을 억제한다.
상기 제어 신호 Φ₁은 캐릭터 에리어 모드 레지스터 CAM의 설정 데이타에 따라서 마이크로 프로그램 제어 수단 CMM에 클리핑 제어 동작의 전환을 지시하는 신호이며 예를들면, 캐릭터 에리어 모드 레지스터 CAM의 3비트의 설정 데이타 중 제 8도에 있어서의 오른쪽 2비트에 대응하는 신호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스토로크 지정인 경우에는 각 화소를 묘화할 때 상기 클리핑 에리어 검출 수단 ARD에 의한 에리어 검출을 행하고, 그 묘화해야 할 점이 클리핑 영역내에 있는것을 에리어 플래그 Φ₃으로 검출한 후에 해당 화소의 묘화를 행하는 제어 동작 순서가 선택된다. 상기 캐릭터 지정의 경우에는 각 문자 패턴을 묘화하기 전에 해당 문자 패턴의 장방형 영역에 있어서의 4개의 정점에 대해서 상기 클리핑 에리어 검출 수단 ARD에 의한 에리어 검출을 행하여 해당 문자 패턴의 모든 픽셀이 클리핑 영역 내에 있는 것을 에리어 플래그 Φ₃으로 검출한 다음 해당 문자 패턴의 묘화를 행하는 제어 동작 순서가 선택된다. 상기 스트링 지정인 경우에는 각 문자열을 묘화하기 전에 해당 문자열이 포함되는 연속 영역에 있어서, 예를들면 제11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6개의 정점에 대해서 상기 클리핑 에리어 검출 수단 ARD에 의한 에리어 검출을 행해서 해당 문자열의 모든 화소가 클리핑 영역내에 있는 것을 에리어 클리핑 Φ3으로 검출한 다음에 해당 문자열의 묘화를 행하는 제어 동작 순서가 선택된다.
상기 패턴 묘화 속성 지정 수단에 의해 설정 가능한 문자 패턴 묘화 기능의 조합은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다음의 3종류로 대별할 수 있다. 즉, 그 제1은 상기 오리지날 폰트 OF를 사용해서 90°단위의 회전 이동 묘화나 상기 문자 간격 DX,DY에 의해 결정되는 문자 간격을 갖고 묘화하는 기능이고, 제2는 상기 가변 폰트 VF를 사용해서 90°단위의 회전 이동 묘화나 상기 문자 공간 CHS에 의해 결정되는 문자 간격을 갖고 묘화하는 기능이고, 제 3은 오리지날 폰트 OF 또는 가변 폰트 VF를 문자 크기 CSX, CSY에 의해 결정되는 크기까지 확대 또는 축소하거나 이탤릭 오프셋 IOFS로 결정되는 양만큼 기울이고, 또는 그것을 90°단위의 회전 이동 묘화하거나 상기 문자 공간 CHS에 의해 결정되는 문자 간격을 갖고 묘화하는 기능이다. 특히 표제등을 묘화할 때 문자마다 간격을 다르게 해야할 경우가 많다고 예상될 때는 제 3의 묘화 기능을 1문자씩 묘화하는 커맨드에 의해 실행시킬 수 있다. 제12도 내지 제16도에 각각 도시되는 바와 같은 속성을 갖고 묘화를 행할 때 묘화 어드레스의 산출은 마이크로 프로그램 제어 수단 CMM에 의해 제어되는 연산부 EU에서 행해진다.
다음에 내부 메모리 IDM2에 포함되는 상기 폰트 패턴 테이블 FPT1 및 폰트 폭 테이블 FWT1에 대한 데이타 설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러한 영역에 대한 데이타 설정은 마이크로 프로세서 MPU의 제어에 따라서 시스템 쪽에서 필요에 따라서 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국부 버스로서의 외부 버스 EBUS2에 마련된 외부 메모리 EDM에 ROM으로 되는 그 이외의 폰트 패턴 테이블 FPT2 및 폰트 폭 테이블 FWT2가 포함되어 있다. 이들 폰트 패턴 테이블 FPT2 및 폰트 폭 테이블 FWT2는 상기 리라이트 가능한 폰트 패턴 테이블 FPT1 및 폰트 폭 테이블 FWT1에 비해 훨씬 큰 기억 용량을 갖고 있고, 문자체, 크기, 알파벳이나 그리이스 문자와 같은 종류에 대해서 다양한 폰트 패턴이 저장되어 있다. 그리고, 그래픽 데이타 프로세서 GDP는 직접 그것들로부터 데이타를 리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그래픽 데이타 프로세서 GDP 내부의 폰트 패턴 테이블 FPT1 및 폰트 폭 테이블 FWT1에 대한 데이타 설정을 외부 메모리 EDM으로서의 폰트 패턴 테이블 FPT2 및 폰트 폭 테이블 FWT2에서의 필요한 데이타의 전송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타 전송은 시스템 쪽에서의 데이타 전송과는 달리 마이크로 프로세서 MPU에 부담을 주지 않는다. 또, 묘화시 액세스 빈도가 높은 폰트 패턴 데이타는 내부 메모리 IDM2에서의 리드 가능하게 되는 것에 의해 묘화 동작의 고속화가 달성된다. 또 폰트 패턴 테이블과 폰트 폭 테이블은 각각 분리해서 내부 메모리 IDM2상의 다른 영역에 독립적으로 저장되어 있으므로 폰트 패턴 테이블 FPT1의 저장 데이타를 그대로 하고 폰트 폭 테이블 FWT1의 내용만을 리라이트 하는 것이 용이하고 또, 그와 같은 리라이트 처리를 거치는 것에 의해 폭이 다른 것과 같은 실질적으로 다른 폰트 패턴을 폰트 폭 데이타를 리라이트하는 것 만으로 간단하게 얻을 수 있다.
다음에 상기 내부 메모리 IDM1에 포함되는 폰트 패턴 액세스 파라미터 저장 수단 FDR 및 패턴 묘화 속성 정의용 파라미터 저장수단 FAR에 대한 데이타 설정에 대해 설명한다. 이들 영역에 대한 데이타 설정은 차례로 마이크로 프로세서 MPU의 제어에 행할 수도 있지만 로컬측의 외부 메모리 EDM으로서의 프레임 버퍼 메모리 FBM에 있어서의 비표시 영역에서의 데이타 전송에 의해 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면 해당 데이타 설정에 대한 마이크로 프로세서 MPU의 부담이 경감된다. 그위에 소정 타이밍으로 폰트 패턴 액세스 파라미터나 패턴 묘화 속성 정의용 파라미터를 다시 설정할 수 있으므로 하드 웨어 구성을 변경하지 않고 묘화 패턴의 종류나 묘화 속성을 풍부하게 달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프레임 버퍼 메모리 FBM의 비표시 영역에 미리 필요한 액세스 파라미터나 패턴 묘화 속성 정의용 파라미터를 저장해 두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그 동작에 대해서는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시스템의 초기 설정시 그래픽 데이타 프로세서 GDP가 마이크로 프로세서 MPU에서 데이타 전송 커맨드를 받아서 실행할 수 있다. 또는 묘화에 방해가 안되는 타이밍을 갖고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프레임 버퍼 메모리 FBM의 소정 영역에 데이타를 전송해도 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폰트 패턴 저장 수단에 정의되어 있는 폰트 패턴 데이타를 액세스하기 위한 파라미터가 폰트 패턴 액세스 파라미터 저장 수단 FDR에 저장되어 있어 해당 폰트 패턴 액세스 파라미터와 외부에서 공급되는 패턴 코드에 따른 외부 어드레스 연산 처리만으로 그 패턴 코드에 대응하는 폰트 패턴 데이타를 리드할 수 있다. 따라서, 비트 맵 방식의 패턴 묘화를 할 때 마이크로 프로세서 MPU는 폰트 패턴의 리드를 위한 어드레스 연산을 행하지 않고 끝남과 동시에 폰트 패턴 데이타를 직접 취급할 필요없이 단지 패턴 코드를 커맨드와 함께 취급하는 것만으로도 좋으므로 문자나 기호등의 묘화에 대해서 마이크로 프로세서 MPU의 부담을 현저하게 경감할 수 있다.
(2) 폰트 패턴 액세스 파라미터의 설정을 변경하면 예를들면, 폰트 패턴 액세스 파라미터의 내에서 폰트 크기 FSX, FSY를 고쳐 설정하면 폰트 패턴 저장 수단에 정의되어 있는 폰트 패턴 데이타를 자체를 변경하지 않아도 해당 폰트 패턴 저장 수단에서 리드되는 폰트 패턴의 세로 및 가로 방향의 리드 비트 폭 등을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문자 신호 발생기 방식과 같이 취급 가능한 폰트 패턴이 하드 웨어에 의해 고정적으로 결정되고 마는 일없이 처리 가능한 폰트 패턴에 대한 다양성의 요구를 융통성을 갖고 실현할 수 있다.
(3) 폰트 패턴 저장 수단을 폰트 패턴 테이블 FPT1 또는 FPT2와 같은 폰트 형상 정의영역과 폰트 폭 테이블 FWT1 또는 FWT2와 같은 폰트 폭 정의영역에 따라 구성하면 폰트 폭 정의영역의 저장 데이타를 바꾸는 것만으로 실질적으로 다른 폰트 패턴을 간단하게 얻을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폰트 형상 정의영역과 폰트 폭 정의영역을 각각 소정의 연속하는 어드레스 공간에 개별적으로 형성하도록 하면 어느 것이든 한쪽 데이타만의 설정 변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4) 폰트 패턴 저장 수단이나 폰트 패턴 액세스 파라미터 저장 수단을 내부 메모리에 따라 구성하는 것에 의해 폰트 패턴 데이타를 고속으로 액세스 할 수 있고 이것에 따라 묘화 효율을 향상 시킬 수 있다.
(5) 폰트 패턴 테이블이나 폰트 폭 테이블과 같은 폰트 패턴 저장 수단을 내부 메모리와 함께 외부 메모리에도 형성하고, 이 내부 메모리의 영역을 외부 메모리로 할당되어 있는 외부 어드레스 공간에 임의로 연속해서 맵핑 가능하게 하는 것에 의해 고속 액세스 가능한 LSI에 내장된 내부 메모리와 큰 기억 용량을 갖는 외부 메모리를 외부 메모리 어드레스 공간상에 있어서, 동등하게 취급할 수 있게 되어 사용이 편리해진다. 이 때, 패턴 묘화시 액세스 빈도가 높은 폰트 패턴 데이타를 미리 외부 메모리에서 내부 메모리에 전송해서 저장해 둔다. 이것에 의해 비교적 작은 기억 용량의 내부 메모리 밖에 보유하고 있지 않아도 외부 메모리가 보유하는 다량의 데이타 범위로 각종 폰트 패턴을 묘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사용 빈도가 높은 폰트 패턴에 대해서는 고속 묘화를 보증할 수 있다.
(6) 폰트 패턴 액세스 파라미터에 따라 내부 어드레스 연산 처리에 의해 폰트 패턴 저장 수단에서 리드되는 폰트 패턴 데이타는 패턴 묘화 속성 지정 수단에 의해 지정되는 묘화 속성에 따라서, 그 패턴 구성이나 배열을 변화시키는 내부 처리를 거쳐서 묘화 가능하게 되는 것에 의해 기본 패턴에 따른 패턴 묘화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7) 묘화 어드레스의 연산을 위한 수치 데이타와 같은 패턴 묘화 속성 정의용 파라미터를 내부에 보유하면 묘화 커맨드 등에 필요한 파라미터의 선택 지시가 외부에 주어지는 것에 의해 기본 패턴에 대한 확대, 축소, 공간, 기울기라는 묘화 속성을 갖는 패턴을 내부 처리에 의해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8) 마이크로 프로그램 제어 수단 CMM 에 패턴 묘화 동작의 전환 지시를 부여 하기 위한 제어 데이타를 리라이트 가능하게 유지하는 제어 레지스터 예를들면, 캐리어 에리어 모드 레지스터 CAM을 마련하는 경우에도 해당 제어 레지스터의 값을 외부에서 설정해 두는 것에 의해 패턴 열에 대한 클리핑 속성등의 묘화 속성을 가진 패턴을 내부 처리에 의해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9) 외부에서 공급되는 패턴 코드가 커맨드에 포함되는 경우에 해당 커맨드에 패턴 묘화 동작의 전환 지시를 부여하는 제어 코드를 포함해 두면 해당 소정의 커맨드를 마이크로 프로세서로부터 받는 것만으로 그 제어 코드에서 지정되는 묘화 속성을 가진 패턴을 내부에서 묘화 처리할 수 있다.
(10) 폰트 패턴의 실질적인 문자 폭을 패턴마다 정의하는 폰트 폭 테이블 FWT1 또는 FWT2를 갖는 것과 동시에 폰트 패턴 액세스 파라미터 저장 수단 FDR에 일군의 폰트 패턴에 공통인 폰트 크기가 액세스 파라미터로서 저장되어 있는 경우 폰트 패턴 테이블 FPT1 또는 FPT2를 액세스할 때 상기 폰트 폭 테이블 FWT1 또는 FWT2를 참조하는가 안하는가의 제어를 커맨드 코드에 포함되도록 한 제어 비트에 따라 행하는 것에 의해 오리지날 폰트 OF와 같은 고정 패턴 폭 또는 가변폰트 VF와 같은 가변 패턴 폭으로 패턴 묘화를 선택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 이루어진 발명을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폰트 패턴 액세스 파라미터, 패턴 묘화 속성 정의용 파라미터, 패턴 묘화 속성 지정용 그 밖의 제어 데이타는 상기 실시예의 데이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폰트 데이타 처리 장치가 적용되는 그래픽 데이타 프로세서등이 가지는 기능에 따라서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 내부의 각종 버스 구성 또는 외부와의 인터페이스 방식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들면, 마이크로 프로세서와의 결합 방식에 대해서도 선입선출 형식의 리드/라이트 FIFO를 거치지 않고 직접 액세스 가능한 접속으로 해도 좋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대적으로 액세스 빈도가 낮은 데이타를 저장하는 내부 메모리 IDM1과 상대적으로 액세스 빈도가 높은 데이타를 저장하는 내부 메모리 IDM2를 마련해서 각종 파라미터 저장 영역이나 데이타 테이블을 형성하도록 했지만, 1개 내부 메모리로 그들의 영역을 형성하도록 해도 좋고 또, 한쪽의 내부 메모리 IDM2는 외부 어드레스 공간에 맵핑 가능한 구성으로 하지 않아도 된다. 또 상대적으로 액세스 빈도가 높은 데이타를 저장하는 내부 메모리 IDM2중 거의 리라이트를 필요로 하지 않는 데이타는 ROM(Read Only Memory)으로 가져도 좋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고속성을 요구하므로 내부 메모리 IDM2내에 폰트 패턴 테이블 FPT1이나 폰트 폭 테이블 FWT1을 마련했지만 내부에 폰트 패턴 테이블 FPT1이나 폰트 폭 테이블 FWT1을 갖지 않고 외부에 폰트 패턴 테이블 FPT2나 폰트 폭 테이블 FWT2만을 갖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그 경우에 폰트 패턴 테이블 FPT2나 폰트 폭 테이블 FWT2는 리라이트 가능한 메모리에 의해 구성해도 좋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주로 본 발명자에 의해 이루어진 발명을 그 배경이 된 이용 분야인 그래픽 데이타 프로세서에 적용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그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디스플레이 콘트롤러, 묘화 프로세서등 여러가지 데이타 처리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적어도 외부에서 공급되는 문자등의 패턴 코드에 따라서 폰트 데이타를 처리하는 조건의 것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27)

  1. 각각의 폰트 패턴을 표시하기 위한 폰트 데이타 처리 시스템으로서, 각각이 폰트 패턴을 저장하여 폰트 형상을 정의하는 폰트 형상 정의 영역으로서, 각각은 서로 동일 메모리 폭 및 동일 메모리 용량인 여러개의 폰트 형상 정의영역을 갖는 폰트 패턴 저장 수단, 상기 여러개의 폰트 형상을 정의하는 폰트 형상 정의영역내에 저장된 상기 여러개의 폰트 패턴에 대응하고 있는 여러개의 폰트 폭의 각각을 정의하는 폭 데이타를 저장하는 폰트 폭 정의영역을 갖고, 상기 폰트 폭 정의영역은 상기 폰트 형상 정의 영역에서 분리된 액세스 가능한 어드레스 공간에 세트된 패턴 폭 저장 수단, 상기 폰트 패턴 저장 수단의 스타트 어드레스와 상기 폰트 형상 정의영역내의 상기 여러개의 폰트 패턴을 정의하기 위한 상기 여러개의 영역에 공통의 크기 데이타와 상기 패턴 폭 저장 수단의 스타트 어드레스를 저장하기 위한 폰트 패턴 액스 파라미터 수단, 참조가 외부 묘화 커맨드에 포함된 제어 데이타에 따라 상기 폰트 폭 정의영역의 하나로 되는가 안되는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 상기 제어 수단에 결합되고, 참조가 상기 폰트 폭 정의영역으로 되지 않을 때 상기 폰트 패턴 액세스 파라미터 수단에 저장된 상기 공통 크기 데이타의 이용에 의해 어드레스 연산을 실행하고, 참조가 상기 폰트 폭 정의영역으로 될때 상기 폰트 폭 정의영역내의 상기 폭 데이타의 이용에 의해 어드레스 연산을 실행하기 위한 연산 수단, 상기 묘화 커맨드에 의해 표시되는 패턴 데이타가 상기 폰트 패턴 저장 수단에서 리드되도록, 상기 연산 수단으로부터의 상기 연산된 어드레스 데이타에 따라 상기 폰트 패턴 저장 수단을 액세스하기 위한 액세스 수단을 갖는 폰트 데이타 처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폰트 패턴 액세스 파라미터 수단은 상기 액세스 수단과 상기 연산 수단 및 상기 제어 수단을 갖는 폰트 데이타 프로세서의 리라이트 가능 내부 메모리내에 형성되는 폰트 데이타 처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외부 메모리에서 상기 폰트 패턴 액세스 파라미터 수단이 형성되는 상기 내부 메모리에 국부 버스를 거쳐서 폰트 패턴 액세스 파라미터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수단을 또 갖고, 상기 폰트 패턴 액세스 파라미터는 상기 폰트 패턴 저장 수단의 상기 스타트 어드레스와 상기 공통 크기 데이타와 상기 패턴 폭 저장 수단의 상기 스타트 어드레스를 갖는 폰트 데이타 처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폰트 패턴 저장 수단은 상기 액세스 수단과 상기 연산 수단 및 제어 수단을 갖는 폰트 데이타 프로세서의 내부 메모리의 소정 영역과 국부 버스를 거쳐 상기 내부 메모리가 결합되는 상기 폰트 데이타 프로세서의 외부 메모리의 소정 영역에 형성되는 폰트 데이타 처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폰트 패턴 저장 수단으로서 기능하기 위해 상기 내부 메모리의 소정 영역을 맵핑하기 위한 맵핑 수단, 상기 맵핑 수단에 전송된 어드레스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수단, 상기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내부 메모리 및 상기 외부 메모리사이의 액세스를 전환하기 위한 전환 수단을 또 갖고, 상기 폰트 패턴 저장 수단은 상기 외부 메모리에 할당된 상기 내부 어드레스 공간의 임의의 공간에 있는 폰트 데이타 처리 시스템.
  6. 각각이 폰트 패턴 데이타를 저장하고, 동일 메모리 폭 및 동일 메모리 용량인 여러개의 폰트 형상을 정의하는 영역을 갖는 폰트 패턴 저장수단, 상기 여러개의 폰트 형상을 정의하는 영역내에 저장된 여러개의 폰트 패턴에 대응하고 있는 여러개의 가변의 폰트 폭의 각각을 정의하는 폭 데이타를 저장하는 영역을 갖는 패턴 폭 저장 수단, 폰트 프로세서를 갖는 폰트 데이타 처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폰트 프로세서는, 상기 폰트 패턴 저장 수단내에서 소정 폰트 형상 정의영역을 나타내기 위한 어드레스 데이타를 연산하기 위한 연산 수단, 여러개의 액세스 데이타를 저장하고, 가변 폰트 데이타의 사용 또는 오리지날 폰트 데이타의 사용을 지시하는 지시 데이타를 포함하고, 외부로부터의 패턴 코드에 응답하고, 지시 데이타가 가변 폰트 데이타의 사용을 지시할 때, 상기 연산 수단에 대하여 그의 연산에 상기 폰트 패턴 액세스 파라미터 수단으로부터의 액세스 데이타와 상기 패턴 폭 저장 수단으로부터의 폭 데이타를 입력하고, 지시 데이타가 오리지날 폰트 데이타의 사용을 지시할 때,상기 패턴 폭 저장 수단에 대한 참조를 피하기 위해, 상기 연산 수단에 의한 연산에 상기 폰트 패턴 액세스 파라미터 수단으로부터의 액세스 데이타를입력하는 수단을 갖는 폰트 패턴 액세스 파라미터 수단을 갖고, 상기 폰트 데이타 프로세서는 또 패턴 코드에 대응한 폰트 패턴 데이타가 상기 폰트 패턴 저장 수단에서 리드되도록 상기 연산된 어드레스 데이타에 따라 상기 폰트 패턴 저장 수단을 액세스하기 위한 액세스 수단, 상기 외부에서 공급되는 패턴 코드에 따라 상기 폰트 패턴 저장 수단에서 리드된 폰트 패턴 데이타에 의해 묘화되어야 할 상기 폰트 패턴의 소정 속성을 나타내기 위한 패턴 묘화 속성 지시 수단을 갖는 폰트 데이타 처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묘화 속성 지시 수단은 상기 폰트 데이타 프로세서에 포함되는 내부 메모리내에 형성되고, 리라이트 가능한 패턴 묘화 속성 정의 파라미터를 저장하는 폰트 데이타 처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묘한 속성 정의 파라미터는 패턴 상호간의 묘화 간격 패턴의 확대, 축소 및 패턴의 기울기에 관한 수치 데이타인 폰트 데이타 처리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묘화 속성 지시 수단은 상기 폰트 데이타 프로세서에 포함된 마이크로 프로그램 제어 수단에 패턴 묘화 동작의 전환 명령을 부여하기 위한 리라이트 가능 제어 데이타를 유지하기 위한 제어 레지스터인 폰트 데이타 처리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데이타는 클리핑 영역에 대한 패턴의 묘화를 화소 단위, 패턴 단위, 패턴열단위로 지정 가능한 데이타인 폰트 데이타 처리 시스템.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묘화 속성 지시 수단은 패턴 묘화 동작을 선택하기 위해 묘화 커맨드에서 공급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수단을 갖는 폰트 데이타 처리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묘화 속성 지지 수단은 폰트 패턴에 대한 회전 이동 각도를 지정하기 위한 코드 데이타를 포함하는 폰트 데이타 처리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수단과 상기 연산 수단 및 상기 제어 수단은 폰트 프로세서내에 형성되고, 상기 폰트 프로세서는 또 상기 패턴 폭 저장 수단으로서 이용되는 영역을 갖는 내부 메모리를 갖고, 상기 폰트 데이타 프로세서의 외부에 있는 메모리의 영역은 상기 폰트 패턴 저장 수단으로서 이용되는 폰트 데이타 처리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수단과 상기 연산 수단 및 상기 제어 수단은 폰트 프로세서내에 형성되고, 상기 폰트 데이타 프로세서의 외부에 있는 메모리의 영역은 상기 패턴 폭 저장 수단 및 상기 폰트 패턴 저장 수단으로서 이용되는 폰트 데이타 처리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상기 연산 수단이 상기 폭 데이타의 상기 어드레스 데이타를 연산하는 것을 금지하기 위한 금지 수단을 또 갖는 폰트 데이타 처리 시스템.
  16. 대응하는 폰트 패턴의 가변 폰트 폭을 정의하기 위한 폭 데이타를 저장하는 여러개의 폰트 폭 정의영역을 갖는 패턴 폭 저장 수단, 여러개의 액세스 데이타를 저장하기 위한 폰트 패턴 액세스 파라미터 수단, 상기 폰트 데이타 프로세서의 외부에 있는 폰트 패턴 저장수단내의 소정 형상 정의영역을 나타내는 어드레스 데이타를 연산하기 위한 연산 수단, 상기 연산 수단에 결합되고, 중앙 처리 장치에서 공급되고 가변 폰트 데이타의 이용과 오리지날 폰트 데이타의 이용의 적어도 한쪽을 나타내기 위한 지시 데이타를 포함하는 묘화 커맨드에 응답하고, 상기 지시 데이타가 상기 가변 폰트 데이타의 상기 이용을 나타낼 때, 상기 연산 수단에 의한 연산 동작에 상기 폰트 패턴 액세스 파라미터 수단의 액세스 데이타 및 상기 패턴 폭 저장 수단으로부터의 상기 폭 데이타를 입력하고, 상기 지시 데이타가 상기 오리지날 폰트 데이타의 상기 이용을 나타낼때, 상기 패턴 폭 저장 수단의 참조없이, 상기 연산 수단에 의한 연산 동작에 상기 폰트 패턴 액세스 파라미터 수단의 액세스 데이타를 입력하는 제어 수단, 묘화 커맨드에 응답한 폰트 패턴이 외부 폰트 패턴 저장 수단에서 리드되도록, 상기 연산에 의해 얻어진 어드레스 데이타에 따라 상기 외부 폰트 패턴 저장 수단을 액세스하기 위한 액세스 수단을 갖고, 상기 외부 폰트 패턴 저장 수단은 상기 여러개의 폰트 패턴을 저장하는 여러개의 폰트 형상 정의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여러개의 폰트 형상 정의영역은 동일 메모리 폭 및 동일 메모리 용량인 폰트 데이타 프로세서.
  17. 각각이 폰트 패턴을 저장하고, 폰트 형상을 정의하고, 동일 메모리 폭 및 동일 메모리 용량인 여러개의 폰트 형상 정의영역을 갖는 폰트 패턴 저장 수단, 여러개의 폰트 패턴에 대응하고 있는 가변 폰트 폭을 정의하는 폭을 정의하는 각각을 저장하기 위한 여러개의 폰트 폭 저장 영역을 갖는 폰트 폭 저장 수단, 폰트 프로세서를 갖는 폰트 데이타 처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폰트 프로세서는 상기 폰트 패턴 저장 수단내의 소정 폰트 형상 정의영역을 지시하는 어드레스 데이타를 연산하기 위한 연산 수단, 여러개의 액세스 데이타를 저장하기 위한 폰트 패턴 액세스 파라미터 수단, 상기 연산 수단에 결합되고, 가변 폰트 데이타의 이용과 오리지날 폰트 데이타의 이용의 적어도 한쪽을 나타내기 위한 지시 데이타를 포함하는 커맨드에 응답하고, 상기 지시 데이타가 상기 가변 폰트 데이타의 상기 이용을 나타낸다면, 상기 연산 수단에 있어서의 연산에 상기 폰트 패턴 액세스 파라미터 수단의 액세스 데이타와 상기 패턴 폭 저장 수단으로부터의 상기 폭 데이타를 입력하고, 상기 지시 데이타가 상기 오리지날 폰트 데이타의 상기 이용을 나타낼때 상기 패턴 폭 저장 수단의 참조없이, 상기 연산 수단에 있어서의 연산에 상기 폰트 패턴 액세스 파라미터 수단으로부터의 액세스 데이타를 입력하는 제어 수단, 커맨드에 대응한 폰트 패턴이 상기 폰트 패턴 저장 수단에서 리드되도록 상기 연산에 의해 얻어진 어드레스 데이타에 따라 상기 폰트 패턴 저장 수단을 액세스하기 위한 액세스 수단을 갖는 폰트 데이타 처리 시스템.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묘화 커맨드는 중앙 처리 장치에서 공급되는 폰트 데이타 처리 시스템.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묘화 커맨드는 상기 폰트 데이타 처리 장치에 결합되는 중앙 처리 장치에서 공급되는 폰트 데이타 처리 시스템.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묘화 커맨드는 상기 폰트 데이타 처리 장치에 결합되는 중앙 처리 장치에서 공급되는 폰트 데이타 처리 시스템.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폰트 패턴 저장 수단에서 리드된 폰트와 패턴 데이타에 따른 묘화되어야 할 폰트 패턴의 속성을 나타내기 위한 패턴 묘화 속성 지시 수단을 또 갖는 폰트 데이타 처리 시스템.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커맨드가 공급되는 중앙 처리 장치를 또 갖는 폰트 데이타 처리 시스템.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폭 데이타는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폰트 패턴의 한쪽을 정의하기 위한 제1데이타 및 상기 수평 방향에서 표시되어야할 인접하고 있는 여러개의 폰트 패턴사이의 거리를 동일하게 하도록 상기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폰트 패턴의 다른쪽을 정의하기 위한 제2데이타를 갖는 폰트 데이타 처리 시스템.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폭 데이타는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폰트 패턴의 한쪽을 정의하기 위한 제1데이타 및 상기 수평 방향에서 표시되어야 할 인접하고 있는 여러개의 폰트 패턴사이의 거리를 동일하게 하도록 상기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폰트 패턴의 다른쪽을 정의하기 위한 제2데이타를 갖는 폰트 데이타 처리 시스템.
  2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폭 데이타는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폰트 패턴의 한쪽을 정의하기 위한 제1데이타 및 상기 수평 방향에서 표시되어야할 인접하고 있는 여러개의 폰트 패턴사이의 거리를 동일하게 하도록 상기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폰트 패턴의 다른쪽을 정의하기 위한 제2데이타를 갖는 폰트 데이타 처리 시스템.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폭 데이타는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폰트 패턴의 한쪽을 정의하기 위한 제1데이타 및 상기 수평 방향에서 표시되어야 할 인접하고 있는 여러개의 폰트 패턴사이의 거리를 동일하게 하도록 상기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폰트 패턴의 다른쪽을 정의하기 위한 제2데이타를 갖는 폰트 데이타 처리 시스템.
  27.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폭 데이타는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폰트 패턴의 한쪽을 정의하기 위한 제1데이타 및 상기 수평 방향에서 표시되어야할 인접하고 있는 여러개의 폰트 패턴사이의 거리를 동일하게 하도록 상기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폰트 패턴의 다른쪽을 정의하기 위한 제2데이타를 갖는 폰트 데이타 처리 시스템.
KR1019880005566A 1987-05-20 1988-05-13 폰트 데이타 처리장치 KR9600030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123558 1987-05-20
JP62123558A JP2889572B2 (ja) 1987-05-20 1987-05-20 フォントデータ処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4456A KR880014456A (ko) 1988-12-23
KR960003072B1 true KR960003072B1 (ko) 1996-03-04

Family

ID=14863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5566A KR960003072B1 (ko) 1987-05-20 1988-05-13 폰트 데이타 처리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0292896A3 (ko)
JP (1) JP2889572B2 (ko)
KR (1) KR9600030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95090B1 (en) * 1989-04-28 1996-09-04 Seiko Epson Corporation Character pattern data generating device
EP1103949A4 (en) * 1999-04-20 2005-06-22 Mitsubishi Electric Corp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CHARACTERS
JP5065549B2 (ja) * 1999-12-27 2012-11-07 京セラ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JP5560990B2 (ja) * 2010-07-22 2014-07-30 アイコム株式会社 ビットマップデータ処理装置、端末装置、ビットマップデータ取得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67279D1 (en) * 1978-05-31 1984-12-06 Haydn Victor Purdy Method of and apparatus for reproduction of character images, particularly for typesetting apparatus
JPS5936265B2 (ja) * 1980-03-28 1984-09-03 富士通株式会社 コ−ド変換回路
JPS5891493A (ja) * 1981-11-26 1983-05-31 日本電気株式会社 文字パタ−ン発生回路
JPS5897084A (ja) * 1981-12-04 1983-06-09 三菱電機株式会社 フォントメモリアクセス回路
JPS61198274A (ja) * 1985-02-28 1986-09-02 日本電気株式会社 文字パタ−ン記憶方式
JPS62180392A (ja) * 1986-02-04 1987-08-0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889572B2 (ja) 1999-05-10
JPS63287894A (ja) 1988-11-24
EP0292896A3 (en) 1990-02-21
EP0292896A2 (en) 1988-11-30
KR880014456A (ko) 1988-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75811A (en) Font data processor using addresses calculated on the basis of access parameters
US4718024A (en) Graphics data processing apparatus for graphic image operations upon data of independently selectable pitch
EP0279229B1 (en) A graphics display system
US4736309A (en) Data display for concurrent task processing systems
US5696540A (en) Display controller
NO301913B1 (no) Displaygeneratorkretser for personlig datamaskinsystem
US452997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graphic and textual images on a raster scan display
EP0154067A1 (en) Display apparatus with mixed alphanumeric and graphic image
JPS62288984A (ja) ビデオ表示装置
US5371519A (en) Split sort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US5522082A (en) Graphics display processor, a graphics display system and a method of processing graphics data with control signals connected to a central processing unit and graphics circuits
US4616220A (en) Graphics display comparator for multiple bit plane graphics controller
EP0279225B1 (en) Reconfigurable counters for addressing in graphics display systems
EP0279227B1 (en) Raster display vector generator
US4747042A (en) Display control system
EP0658858B1 (en) Graphics computer
EP0215984B1 (en) Graphic display apparatus with combined bit buffer and character graphics store
US5283863A (en) Process for effecting an array move instruction, a graphics computer system, a display system, a graphics processor and graphics display system
KR960003072B1 (ko) 폰트 데이타 처리장치
EP0062669A1 (en) GRAPHICS AND TEXT IMAGE GENERATOR FOR A GRID SCAN DISPLAY.
JPH0562348B2 (ko)
US5157766A (en) Boundary drawing and area filling logic for a display system
JPS6073674A (ja) デ−タ表示装置
JPS597115B2 (ja) アドレス作成方法
KR0145709B1 (ko) 컴퓨터 그래픽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2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