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3009Y1 - 회로기판 체결장치 - Google Patents

회로기판 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3009Y1
KR960003009Y1 KR2019930020106U KR930020106U KR960003009Y1 KR 960003009 Y1 KR960003009 Y1 KR 960003009Y1 KR 2019930020106 U KR2019930020106 U KR 2019930020106U KR 930020106 U KR930020106 U KR 930020106U KR 960003009 Y1 KR960003009 Y1 KR 9600030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pattern
connector
fastening device
l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01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0229U (ko
Inventor
김영규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filed Critical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201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3009Y1/ko
Publication of KR9500102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02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30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0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회로기판 체결장치
제1도는 종래 회로기판 체결장치를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회로기판 체결장치의 개략적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요부 발췌 확대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20 : 제1, 2회로기판 11, 21 : 패턴
12 : 관통공 30 : 콘넥터
31 : 삽입공 32, 32' : 리드핀
40 : 외이어일체형콘넥터
본 고안은 회로기판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복수의 회로기판을 상호 연결시키기 위한 콘넥터의 구조를 개선한 회로기판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전자기기에 있어서는 그 내부에 다수의 부품이 고정 설치되는 회로기판이 복수개 마련된다. 그리고, 각각의 회로기판은 소정의 콘넥터에 의해 상호 회로적으로 연결된 구조를 취하고 있다.
제1도에는 일반적인 회로기판 체결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이는 2개의 회로기판(1)(2)을 상호 체결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먼저 제1회로기판(1)의 상면에는 소정의 패턴(1a)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패턴(1a)의 끝단부에는 후술하는 콘넥터(3)의 리드핀(3a)이 삽입되어 지는 관통공(1b)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제1회로기판(1)과 회로적으로 연결되는 제2회로기판(2)의 상면에는 역시 제1회로기판(1a)과 대응되는 패턴(2a) 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제2회로기판(2)의 패턴(2a)의 각각에는 이에 납땜등에 의해 와이어일체형 콘넥터(4)가 고정 설치된다. 한편, 전술한 제1, 2회로기판(1,2)사이에는 이들을 상호 회로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콘넥터(34)가 개재되는 바, 이 콘넥터(3)는 사출 수지물에 의해 그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삽입공(3a)이 형성된 몸체(3')를 가지며, 이 몸체(3')의 삽입공(3a)에는 제1회로기판(1)의 관통공(1b)에 삽입되어 지는 다수의 리드핀(3b)이 상하로 관통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이몸체(3')의 상부로 관통된 리드핀(3b)의 상단부에는 전술한 제2회로기판(2)의 패턴(2a)에는 와어어일체형 콘넥터(4)가 납땜 등에 의해 고정 설치되게 된다. 따라서 와이어일체형 콘넥터(4)가 삽입되는 리드핀(3b)을 갖는 콘넥터(3)을 제1회로기판(1)의 관통공(1b)에 끼워 삽입하게 되면, 제1, 2회로기판(1,2)은 상호회로적으로 연결되게 되어 소정의 신호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회로기판 체결장치에 있어서는, 제1, 2회로기판(1,2)의 패턴(1a,2a)이 상호 일치된 패턴끼리 접속되어야 하는 것이나 조립과정에서 즉, 콘넥터(3)의 삽입과정에서 일치된 패턴끼리의 접속이 이루어지지 못할 우려가 있었다.
이는 회로기판(1)의 관통공(1b)의 직경이 일정하고 또한 이에 삽입되는 콘넥터(3)의 리드핀(3b)의 직경이 일정한 것이어서, 조립과정에서 작업자의 실수에 의해 역삽입 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문제는 특히 조립과정에서 발전되지 않고 제품을 완성한 상태에서 제품의 테스트 과정에서 발전되게 됨으로써 타 부품의 파손을 유발하는 문제점 및 작업공정을 복잡하게 만드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콘넥터를 정확하게 회로기판의 관통공에 삽입하여야만 그 삽입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역삽입에 의한 제품의 불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회로기판 체결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그 상면에 소정의 패턴이 형성되며 이 패턴의 끝단부에는 각각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제1회로기판과, 상기 제1회로기핀의 패턴과 대응되는 패턴이 마련되며 이 패턴과 연결되는 와이어일체형 콘넥터(4)가 고정설치된 제2회로기판과, 상기 제2회로기판의 패턴과 연결된 와이어일체형 콘넥터(4)가 삽입되며 제1회로기판의 관통공에 삽입되는 리드핀이 다수 마련된 콘넥터를 구비하는 회로기판 체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콘넥터들의 다수의 리드핀중 첫번째 리드핀 또는 최종의 리드핀의 직경을 나머지 리드핀의 직경에 비해 선택적으로 크게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제1회로기판의 관통공의 직경을 크게 형성하여 된것에 그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역삽입에 의해서는 리드핀의 직경과 관통공의 직경이 일치되지 않아 그 삽입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어서, 콘넥터에의 역삽입에 의한 제품의 불량 및 작업공정이 복잡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 회로기판 체결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회로기판 체결장치의 개략적 사시도이고, 제3도는 제2도의 요부 발췌 확대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 회로기판 체결장치는, 제1회로기판(10)의 상면에는 소정의 패턴(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패턴(11)의 끝단부에는 후술하는 콘넥터(30)의 리드핀(32)이 삽입되어지는 관통공(12)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제1회로기판(10)과 회로적으로 연결되는 제2회로기판(20)의 상면에는 역시 제1회로기판(10)과 대응되는 패턴(21)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제2회로기판(20)의 패턴(21)의 각각에는 이에 납땜등에 의해 와이어일체형 콘넥터(40)가 고정 설치된다. 한편, 전술한 제1, 2회로기판(10,20) 사이에는 이들을 상호 회로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콘넥터(30,40)가 개재되는 바, 이 콘넥터(30)는 사출 수지물에 의해 그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삽입공(31)이 형성된 몸체(30')를 가지며, 이 몸체(30')의 삽입공(31)에는 제1회로기판(10)의 관통공(12)에 삽입되어 지는 다수의 리드핀(32)이 상하로 관통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리드핀(32)은 본 고안의 특징적인 요소를 가지는 것으로서, 그 첫번째 리드핀(32') 또는 최종의 리드핀(32')중 어느 하나의 리드핀은 그 직경이 다른 리드핀(32)에 비해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이 리드핀(32')과 대응되는 제1회로 기판(1)의 관통공(12')의 직경은 상기 리드핀(32')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한편, 이 몸체(30')의 상부로 관통된 리드핀(32)의 상단부에는 전술한 제2회로기판(20)의 패턴(21)에는 와이어일체형 콘넥터(40)가 납땜 등에 의해 고정설치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회로기판 체결장치를 통해 회로기판(10,20) 상호간을 회로적으로 연결시킴에 있어서는, 그 몸체(30')의 상부에 제2회로기판(20)으로 부터의 와이어일체형 콘넥터(40)가 삽입되는 콘넥터(30)의 그 하부로 관통되게 설치된 리드핀(32)을 제1회로기판(10)의 관통공(12)에 삽입함으로서 제1, 2회로기판(10,20)은 상호 회로적으로 연결되게 되어 소정의 신호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콘넥터(30,40)를 회로기판(10,20)의 관통공(12,22)에 끼워 삽입함에 있어서는, 상기 콘넥터(30,40)의 리드핀(32,42)중 첫번째 또는 최정의 리드핀(32',22')의 직경이 다른 리드핀(32,42)에 비해 크게 형성되어 있고 또한 이와 대응되는 회로기판(10,20)의 관통공(12,22)의 직경이 다른 관통공(12,22)의 직경에 비해 크게 형성되어 있음으로서, 만약 콘넥터(30,40)를 역삽입하게 되면, 다른 리드핀(32,42)과 직경이 다른 리드핀(32,42)이 회로기판(10,20)의 관통공(12,22)이 삽입되지 못함으로써 역삽입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고안에 따른 회로기판 체결장치에 의하면, 복수의 회로기판을 상호 회로적으로 연결함에 있어서, 상호대응되는 패턴간을 정확하게 일치시켜 연결시킬 수 있는 것이어서 종래 패턴간의 불일치에 의한 제품의 파손 작업공정이 까다로워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

  1. 그 상면에 소정의 패턴이 형성되며 이 패턴의 끝단부에는 각각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제1회로기판과, 상기 제1회로기판의 패턴과 대응되는 패턴이 마련되며 이 패턴과 연결되는 와이어일체형 콘넥터가 고정 설치된 제2회로기판과, 상기 제2회로기판의 패턴과 연결된 와이어일체형 콘넥터가 삽입되며 재2회로기판의 관통에 삽입되는 리드핀의 다수 마련된 콘넥터를 구비하는 회로기판 체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콘넥터들의 다수의 리드핀중 첫번째 리드핀 또는 최종의 리드핀이 직경을 나머지 리드핀의 직경에 비해 선택적으로 크게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회로기판들의 관통공의 직경을 크게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 체결장치.
KR2019930020106U 1993-09-28 1993-09-28 회로기판 체결장치 KR9600030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0106U KR960003009Y1 (ko) 1993-09-28 1993-09-28 회로기판 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0106U KR960003009Y1 (ko) 1993-09-28 1993-09-28 회로기판 체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0229U KR950010229U (ko) 1995-04-24
KR960003009Y1 true KR960003009Y1 (ko) 1996-04-12

Family

ID=19364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0106U KR960003009Y1 (ko) 1993-09-28 1993-09-28 회로기판 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300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5101B1 (ko) * 2002-02-08 2005-04-22 주식회사 엘에스글로벌 내의 살균 건조 장치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0229U (ko) 1995-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10452A (en) Printed circuit board electrical adaptor pin
US4691971A (en) Connector with compliant retainer
KR960003009Y1 (ko) 회로기판 체결장치
US5779488A (en) Socket for mounting an electrical component to a board
JPH08146092A (ja) エミュレータプローブ
GB2092839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lectrical connection arrangements
JPS5915431Y2 (ja) フラツトケ−ブルコネクタのクランプ構造
KR200368743Y1 (ko) 탄성 변형부를 갖는 커넥터 핀 및 커넥터
JPH10126069A (ja) プリント配線基板の固定構造及び固定方法
JPS633194Y2 (ko)
JPH0525272Y2 (ko)
JPH088000A (ja) コネクタ
JPH0310629Y2 (ko)
JPS60147188U (ja) フレキシブル基板の電気的接続器具
KR200183789Y1 (ko) 인쇄회로기판의 전자부품 결합구조
JPS63172450A (ja) 配線用モジユ−ル
JPH04115478A (ja) コネクタ
JPH0585099U (ja) 部品のマウント装置
JPH0736384U (ja) 印刷配線板接続装置
JPS63225483A (ja) ソケツト
KR900017327A (ko) 교환기의 mdf를 이용한 전화선의 다중 접속장치
KR950013340A (ko) 회로기판 체결장치
JPH02139989A (ja) プリント配線板
KR20000004995U (ko) 인쇄 회로 기판 컨넥팅 구조
JPH04154150A (ja) Ic装置及びicパッケージの実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3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