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2609Y1 - 비디오/오디오신호의 패이드 인/아웃장치 - Google Patents

비디오/오디오신호의 패이드 인/아웃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2609Y1
KR960002609Y1 KR2019890019861U KR890019861U KR960002609Y1 KR 960002609 Y1 KR960002609 Y1 KR 960002609Y1 KR 2019890019861 U KR2019890019861 U KR 2019890019861U KR 890019861 U KR890019861 U KR 890019861U KR 960002609 Y1 KR960002609 Y1 KR 9600026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de
video
signal
output
audio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98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3405U (ko
Inventor
윤정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구자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구자홍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900198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2609Y1/ko
Publication of KR9100134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340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26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26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3/00Devices for changing pictures in viewing apparatus or projectors
    • G03B23/18Devices for changing pictures in viewing apparatus or projectors with fade-in and fade-out effec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1/00Associated working of cameras or projectors with sound-recording or sound-reproducing means
    • G03B31/08Associated working of cameras or projectors with sound-recording or sound-reproducing means with fade-in and fade-out effec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2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characterised by logic function, e.g. AND, OR, NOR, NOT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46Camera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03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amplifier being designed for audio applica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tudio Circuits (AREA)
  • Control Of Amplification And Gain Contro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비디오/오디오신호의 패이드 인/아웃장치
제1도는 종래의 비디오신호 패이드 인/아웃장치 블록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비디오/오디오 신호 패이드 인/아웃장치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CCD 2 : 영상신호 처리회로
3,11 : 패이드 인/아웃 전자볼륨 4 : 동기신호믹서
5 : 반전버퍼 6 : 적분기
7 : 토글 플립플롭 8 : 패이드 인/아웃 스위치부
9 : 마이크 10 : 마이크 앰프
111 : 인버터
본 고안은 비디오/오디오 신호의 패이드 인/아웃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정용 비디오 카메라의 특수촬영기법인 페이드 인/아웃 기능을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의 패이드 인/아웃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여 가정용비디오 카메라의 특수촬영에 적당하도록 한 비디오/오디오 신호의 패이드 인/아웃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영상신호 패이드 인/아웃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종래의 비디오 신호 패이드 인/아웃 장치블록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하결합디바이스(Chaege Coupled devlce 이하 CCD 칭함)(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신호 처리부(2)와, 비디오 츨력신호를 출력하는 동기신호 믹서(4)와,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2)와 동기신호 믹서(4) 사이에서 영상신호의 패이드 인/아웃을 조절하기 위한 전자볼륨인 패이드 인/아웃 전자볼륨(3)과, 그 패이드 인/아웃 전자볼륨(3)의 패이드 인/아웃을 조절하기 위한 패이드 인/아웃 스위치(SW1)로 구성되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패이드 인/아웃장치의 작용 및 문제점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영상신호 처리과정중 패이드 인/아웃 조절을 위한 전자볼륨(3)을 사용하여 패이드 인/아웃 스위치(SW1)의 온/오프동작에 의하여 전자 볼륨의 이득을 조절하므로 패이드 인/아웃 기능을 수행한다.
즉, 패이드 인/아웃 스위치(SW1)가 오프상태일때는 전자볼륨(3)에 +V가 인가되어 그 전자볼륨(3)의 이득이 최고상태를 유지하며, 패이드 인/아웃 스위치(SVU)가 온상태일 때는 상기 전압(+V)이 그 스위치(SW1)를 통해 접지축으로 흐르므로 전자볼륨(3)의 이득은 최저상태가 되어 패이드 인/아웃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종래의 패이드 인/아웃 장치는 영상신호만 패이드 인/아웃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여 기정용 카메라의 특수 촬영기법을 채용하였으며, 패이드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패이드 인/아웃 제어스위치(SW1)를 계속적으로 온시키지 않으면 패이드 인에서 패이드 아웃으로 바로 전환되기 때문에 패이드 인 기능을 오래 유지할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영상신호 뿐만 아니라 오디오 신호에도 패이드 인/아웃 기능이 첨가되어 더욱 흥미로운 특수촬영기법을 행할 수 있으며, 또한 한번의 스위치 온에 의해 패이드 인/아웃 기능을 수행 할 수 있도록한 패이드 인/아웃 장치를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같다.
제2도는 본 고안 비디오/오디오 신호의 패이드 인/아웃 장치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CCD (1)로 부터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영상신호 처리를 하는 영상신호처리부(2)와, 비디오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동기신호 믹서(4)와, 패이드 인/아웃 전자볼륨(3)으로 구성원 패이드 인/아웃장치에 있어서, 전원(+V)단자가 저항(Rl)을 통해 일측이 접지된 패이드 인/아웃 스위치(SWU)의 타측 및 콘덴서(C1)에 접속되어 그 접속점을 통해 패이드 인/아웃을 위한 전원(+V)을 출력하는 패이드 인/아웃 스위치부(8)와, 그 패이드 인/아웃 스위치부(8)의 출력신호를 인버터(111)를 통제 인가받아 토글시키는 토글 플립플롭(7)과, 이 토글 플립풀롭(7)의 출력신호를 인가받아 적분하는 적분기(6)와, 오디오 마이크(9)를 통해 입력받는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는 마이크 엠프(10)의 출력신호를 패이드 인/아웃 조정하여 오디오 츨력신호를 출력하는 패이드 인/아웃 전자볼륨(11)과, 상기 적분기(6)에서 적분된 신호를 반전 전압으로 버퍼링하여 영상신호의 패이드 인/아웃을 위한 전자볼륨(3)과 오디오 신호의 패이드 인/아웃을 의한 전자볼륨(11)에 공통 출력하는 반전버퍼(5)로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한 비디오/오디오 신호 패이드 인/아웃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패이드 인/아웃 스위치부(8)의 스위치(SW1)가 오프상태일때는 전원전압(+V)이 저항(Rl)을 통해 인버터(111)에 공급되므로 인버터(111)의 출력은 반전된 저전위(OV)로서 토글 플립플롭(7)에 인가되므로 그 토글 플립플롭(7)의 출력도 저전위가 되어 적분기(6)의 출력이 저전위가 된다.
이 적분기(6)의 출력이 저전위이므로 반전전압으로 버퍼링하는 반전버퍼(5)의 출력은 고전위 상태가 되어 영상신호 및 오디오 신호 패이드 인/아웃 전자볼륨(3),(11)에 고전위로 인가되므로 전자볼륨(3),(11)의 이득이 최고이득률이 되어 비디오신호(영상신호) 및 오디오 신호는 패이드 아웃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패이드 인/아웃 스위치부(8)의 스위치(SW1)가 온되면 인버터(111)에 저전위(OV)가 인가되므로 그 인버터(111)의 출력이 고전위가 되어 토글 플립플롭(7)에 인가되므로 그의 출력도 고전위(7)가 되어 접분기(6)에서 적분이 행해진뒤 반전버퍼(5)에 인가된다. 이 반전버퍼(5)에서 반전된 저전위 신호가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 패이드 인/아웃 전자볼륨(3),(11)에 인가되므로 이 전자볼륨(3),(11)의 이득은 최저 이득률이 되어 비디오및 오디오 신호는 패이드 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토글 플립플롭(7)은 한번의 고전위 입력에 의해 출력이 고전위신호가 되었다면 다음번 고전위 입력이 있을 때까지 고전위출력을 유지한 후 반전되어 저전위 출력이 되고 다시한번 고전위 입력이 있으면 그때 다시반전되어 고전의 출력이 된다. 즉 고전위 입력이 한번 있은 후 저전위가 되었다가 다음번 고전위 입력이 있으면 그때 출력이 반전된다.
그러므로 패이드 아웃 상태에서 스위치 (SW1)가 온되어 패이드인 상태가 되었다면 스위치(SW1)의 다음번 온이 있을 때까지 계속 패이드 인 상태를 유지한 후 스위치(SW1)가 온되면 그때부터 패이드 아웃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패이드 인/아웃 스위치부(8)의 스위치(SW1)를 한번 온시켰다가 오프시키면 패이드 인 상태 또는 패이드 아웃 상태를 유지하고, 다시한면 스위치(SW1)를 온시키면 그때 다시 반전되어 패이드 아웃 상태 또는 패이드 인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스위치(SW1)이 한번의 온동작에 의해 패이드 인/아웃을 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패이드 인/아웃 스위치의 한번 온 동작에 의해 패이드 인 또는 패이드아웃 상태를 유지하므로 그 스위치를 계속 온시키거나 하는 불편이 해소되고 비디오 신호와 함께 오디오 신호도 패이드 인/아웃을 동시에 행할 수 있게 되어 더욱 흥미로운 특수 촬영기법을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CCD(1)로부터 영상신호를 받아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신호 처리회로(2)와, 그 영상신호 처리회로(2)의 출력신호의 패이드 인/아웃을 위한 패이드 인/아웃 전자볼륨(3)과, 그 전자볼륨(3)의 이득을 조정하기 위한 패이드 인/아웃 스위치부(8)와, 상기 패이드 인/아웃 전자볼륨(3)을 통한 영상신호를 인가받아 비디오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동기신호 믹서(4)와, 상기 패이드 인/아웃 스위치부(8)의 출력신호를 인가받아 토글링하는 토글 플립플롭(7)과, 그 토글 플립플롭(7)의 출력신호를 적분하는 적분기(6)와, 마이크(9)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는 마이크 증폭기(10)출력신호의 패이드 인/아웃을 위한 패이드 인/아웃 전자볼륨(11)과, 상기 적분기(6)의 출력신호를 반전 버퍼링하여 상기 비디오 및 오디오 패이드 인/아웃 전자볼륨(3),(11)에 출력하는 반전버퍼(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오디오의 신호 패이드 인/아웃장치.
KR2019890019861U 1989-12-26 1989-12-26 비디오/오디오신호의 패이드 인/아웃장치 KR9600026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9861U KR960002609Y1 (ko) 1989-12-26 1989-12-26 비디오/오디오신호의 패이드 인/아웃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9861U KR960002609Y1 (ko) 1989-12-26 1989-12-26 비디오/오디오신호의 패이드 인/아웃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3405U KR910013405U (ko) 1991-07-30
KR960002609Y1 true KR960002609Y1 (ko) 1996-03-27

Family

ID=19293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9861U KR960002609Y1 (ko) 1989-12-26 1989-12-26 비디오/오디오신호의 패이드 인/아웃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260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3405U (ko) 1991-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9326698A (ja) オフセットを補正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960002609Y1 (ko) 비디오/오디오신호의 패이드 인/아웃장치
US3931636A (en) Battery conservation system for color television camera
JP2002158585A (ja) アナログフロントエンド回路
US4884140A (en) Vignetting compensating circuit for a video camera
US5210777A (en) Charge coupled device having switched inverting and non-inverting input signal paths, input biassing circuit and temperature compensation
JP3055266B2 (ja) 音声切換制御装置
JPS54107213A (en) Video signal gain control system
JPS5494827A (en) Adjusting circuit for video quality
CA2125939A1 (en) Apparatus for selecting the operating point of an amplifier stage
JP2001136411A (ja) 映像信号処理回路
JP2657118B2 (ja) 映像/音声切換装置
JP2536150B2 (ja) フェ―ダ―電圧発生装置
JPH01212973A (ja) アパーチャ回路
JPS63260282A (ja) 固体撮像装置
KR920003404Y1 (ko) 멀티 방식의 칼라 트랩 스위칭회로
JPH0654226A (ja) サンプルホールド回路
JPH07336588A (ja) テレビジョンカメラ
JPH0257072A (ja) 映像信号処理回路
JPS5837141Y2 (ja) 自動利得制御回路
JPH04288716A (ja) 自動レベル制御回路の出力レベル可変装置
JPS56149181A (en) Solid image pickup device
JPH06224672A (ja) 電力増幅器
JPH0712130B2 (ja) 音声フェード回路
JPH0348971U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2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