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2530Y1 -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버클 회전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버클 회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2530Y1
KR960002530Y1 KR2019940014065U KR19940014065U KR960002530Y1 KR 960002530 Y1 KR960002530 Y1 KR 960002530Y1 KR 2019940014065 U KR2019940014065 U KR 2019940014065U KR 19940014065 U KR19940014065 U KR 19940014065U KR 960002530 Y1 KR960002530 Y1 KR 9600025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le
bracket
rotation device
guide rail
seat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40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1383U (ko
Inventor
박기호
Original Assignee
현대정공 주식회사
류기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정공 주식회사, 류기철 filed Critical 현대정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400140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2530Y1/ko
Publication of KR9600013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3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25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25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0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 B60R22/201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with the belt anchor connected to a slider movable in a vehicle-mounted t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6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0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 B60R2022/207Horizontally or transversally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버클 회전장치
제1도 (a)(b)는 종래의 자동차 안전벨트 체결용 버클부가 표현된 버클장치의 사시도 및 사용 상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버클회전장치의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분해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버클회전장치의 사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상부트랙 21 : 하부트랙
30 : 브라켓트 40 : 버클부
50 : 볼트 60 : 안내핀
70 : 스프링 80 : 스톱퍼핀
90 : 안내레일
본 고안은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버클회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차시트를 전, 후로 진퇴시키는 경우에 안전벨트의 버클부도 시트와 함께 이동하면서 회동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버클회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동차 안전벨트 체결용 버클은 시트의 측면에 고착되어 있어 체위가 작은 승원이 시트를 전방으로 이동한 후 안전벨트를 체결하는 경우에 안전벨트가 승원의 복부에 위치하게 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제1도(a)(b)에 표현된 바와 같이 버클(11)이 장착된 버클연결구(12)가 회동하거나 버클연결구(15)는 고정되고 버클(14)만이 회동되는 것도 있었으나. 이는 시트를 전방으로 이동하여 안전벨트를 체결하는 경우에 버클을 소정의 각도에서 한정시키는 장치가 없어 버클이 쉽게 초기 상태로 복귀되기 때문에 안전벨트가 승원의 복부를 구속하게 되어 승차감이 불쾌하게 될 뿐만 아니라 돌발사고시 승원의 안전에도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시트를 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안전벨트의 버클부가 하방으로 회전되어 소정의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안전벨트를 체결하는 경우에 안전벨트가 작은 인체의 승원의 골반부를 견고하게 구속하여 승원의 승차감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안전벨트의 버클 회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버클회전장치는 차체에 고정된 시트의 하브트랙 상에 전후 이동가능토록 설치된 상부트랙과 상기의 상부트랙 측방에 설치되고 상부에 경사면이 형성된 안내레일과, 상기 상부트랙에 설치되어 시트가 이동하는 경우에 안내레일의 경사면을 따라 회동되는 버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버클회전장치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차체(미도시)에 고착된 하부트랙(21)과, 상기 하부트랙(21)에 안내되어 전후로 이동하게 설치되고 시트가 장착된 상부트랙(20)과, 상기 상부트랙(20)에 고착된 브라켓트(30)와, 브라켓트(30)에 힌지 연결된 버클부(40)와, 상기 상부트랙(20) 측방에 설치되어 시트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버클부(40)를 회동시키는 안내레일(90)로 형성된다.
상기의 안내레일(90)은 상부에 전방으로 높아지는 경사면(92)이 형성되고 일단이 시트의 하부트랙(21)에 결착되며 다단이 굴절되어 공간부(91)가 형성되어 있다.
버클부(40)가 힌지연결되어 있는 브라켓트(30)는 일측면이 시트의 상부트랙(20)에 고착되고 그 하단(31)이 절곡되어 안내레일(90)의 공간부(91)에 삽입되어 있어 상부트랙(20)이 진퇴됨에 따라 브라켓트(30)가 안내레일(90)의 내부에서 안내되면서 전후 이동가능토록 되어 있다. 또한, 브라켓트(30)의 중앙부에 나선홈(32)이 형성되고 상부면은 호형상(34)으로 절개되어 양측에 걸림턱(33)이 형성되어 있다.
버클부(40)는 안전벨트 체결용 버클(41)과 버클연결구(42)로 형성되고 버클연결구(42)는 하측부위에 3개의구멍(43)(44)(45)이 형성되어 있다. 버클연결구(42)에 형성된 상부구멍(43)에는 로울러(81)가 외삽된 스톱퍼핀(80)의 일단이 삽입되어 고착되고 하부구멍(45)에도 로울러(61)가 외삽된 안내핀(60)의 일단이 삽입되어 고착되며, 상기 스톱퍼핀(80)에 외삽된 로울러(81)는 브라켓트(30)의 상부면에 형성된 호형절개부(34)에 위치되고 안내핀에 외삽된 로울러(61)는 안내레일(90)의 경사면(92)에 위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버클연결구(42)의 중앙 구멍(44)에는 중앙부가 원형축으로 형성되고 일단에 나선이 형성된 볼트(50)가 끼워져 브라켓트(30)의 나선홈(32)에 결착되어 버클연결구(42)가 힌지축(100)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상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버클연결구(42)와 브라켓트(30) 사이에는 스프링(70)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스프링(70)은 코일형으로 형성되고 그 일단(71)은 절곡되어 브라켓트(30)의 측면에 끼워지고 다단(72)은 스톱퍼핀(80)에 외삽된 로울러(81)의 하측에 접촉되도록 돌출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70)의 일단(72)은 로울러(81)를 상방으로 밀게되므로 스톱퍼핀(80)과 결착된 버클연결구(42)는 탄발력에 의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려는 힘을 받고 있어 버클연결구(42)에 연결된 안내핀(60)의 로울러(61)는 안내레일(90)의 상부면에 항상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시트를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부트랙(20)에 고착된 브라켓트(30)에 힌지연결된 버클연결구(42)가 점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버클연결구(42)가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버클부(40)에 연결된 롤러(61)가 안내레일(90)의 상면에 접촉되어 회전되면서 안내된다.
상기 로울러(61)가 경사면(92)을 따라 회전되면서 경사면이 전방으로 높아지기 때문에 로울러(61)의 위치가 상승하게 되어 안내핀(60)에 결착된 버클부(40)는 스프링(70)의 탄발력을 극복하면서 힌지축(100)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때 버클연결구(42)에 연결된 스톱퍼핀(80)과 로울러(81)도 브라켓트(30)의 호형절개부(34)를 따라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시트를 전방으로 계속 이동하면 상기한 작동이 계속되면서 버클연결구(42)에 연결된 스톱퍼핀(80)에 외삽된 로울러(81)가 브라켓트(30)의 호형절개부(34)의 전방에 형성된 걸림턱(33)에 걸리게 되고 상기 버클연결구(42)는 더 이상의 회동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버클연결구(42)에 연결된 버클(41)은 하향회전되어 고정되게 된다.
시트를 후진시켜 원위치로 복귀하는 경우에는 상기 로울러(61)의 위치가 하강하게 되어 탄발되었던 스프링(70)이 스톱퍼핀(80)에 외삽된 로울러(81)를 상향으로 밀게되고 로울러(81)가 상승함과 동시에 스톱퍼핀(80)에 연결된 버클연결구(42)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시트를 계속 후진시키면 버클연결구(42)의 로울러(81)는 브라켓트(30)의 호형절개부(34)의 후방에 형성된 걸림턱(33)에 걸리게 되고 버클연결구(42)에 연결된 버클(41)은 상승하여 초기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시트가 진퇴됨에 따라 안전벨트의 체결용 버클이 하강 또는 상승되기 때문에 승원의 체위에 적당하게 시트를 전후진시키면 자동적으로 안전벨트가 승원의 골반부를 견고하게 구속하게 되므로 승원의 승차감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7)

  1. 차체에 고정된 시트의 하부트랙(21)상에 전후 이동가능토록 설치된 상부트랙(20)과, 상기의 상부트랙(20) 측방에 설치되고 상부에 경사면이 형성된 안내레일(90)과, 상기 상부트랙(20)에 회전가능토록 설치되어 안내레일(90)의 경사면을 따라 회동되는 버클부(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버클회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부(40)는 버클연결구(42)와 버클(41)로 구성되어 버클연결구(42)의 하단이 상부트랙(20)에 고착된 브라켓트(30)에 볼트(50)로 힌지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버클회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안내레일(90)은 일단이 하부트랙(21)에 결착되고 타단이 굴절되어 공간부(91)를 형성하며 전방으로 높아지는 경사면(92)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버클회전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브라켓트(30)는 하단(31)이 절곡되어 안내레일(90)의 공간부(91)에 삽입되어 안내레일(90)의 공간부(91)내에서 안내되면서 전, 후 이동가능토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버클회전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버클연결구(42)는 브라켓트(30)와 힌지연결된 상측부위에 일단이 브라켓트(30)의 상부면에 위치되는 스톱퍼핀(80)이 고착되고 버클연결구(42)가 힌지연결된 하측부위에는 일단이 안내레일(90)의 상부면에 위치되는 안내핀(60)이 고착되며 버클연결구(42)와 브라켓트(30) 사이에는 일단(71)이 절곡되어 브라켓트(30)의 측면에 끼워지고 타단(72)이 돌출되어 상기의 스톱퍼핀(80)을 상측으로 밀어주는 스프링(7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버클회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트(30)는 상부면이 호형상의 절개부(34)가 형성되어 스톱퍼핀(80)의 일단(81)이 호형절개부(34) 상에서 회동될 수 있도륵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버클회전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스톱퍼핀(80)과 안내핀(60)에는 각각 로울러(81, 61)가 외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버클회전장치.
KR2019940014065U 1994-06-16 1994-06-16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버클 회전장치 KR9600025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4065U KR960002530Y1 (ko) 1994-06-16 1994-06-16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버클 회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4065U KR960002530Y1 (ko) 1994-06-16 1994-06-16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버클 회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1383U KR960001383U (ko) 1996-01-19
KR960002530Y1 true KR960002530Y1 (ko) 1996-03-27

Family

ID=19385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4065U KR960002530Y1 (ko) 1994-06-16 1994-06-16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버클 회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253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1383U (ko) 1996-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22677A (en) Motor vehicle seat featuring two seat belts
US5681081A (en) Vehicle seat
US4343489A (en) Seatbelt system
EP0751035B1 (en) Child safety seat with an anti-rebound support
US4334701A (en) Coupling for a vehicle seat belt
JP3869857B2 (ja) セーフティベルト用構造
US5286058A (en) Fastening device for securing a pivotable anchoring fitting of a safety belt system to a load-bearing part of a vehicle
KR960002530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버클 회전장치
KR100769829B1 (ko) 자동차용 시트백 폴딩장치
KR20010106597A (ko) 차량용 헤드 레스트
EP0976606B1 (en) Seat reclining system
KR0128699Y1 (ko) 자동차의 아암 레스트구조
KR970003878Y1 (ko) 차량용 시트의 헤드레스트 각도 조절장치
GB2060511A (en) Vehicle Safety Apparatus
KR200225492Y1 (ko) 승객보호용회전식시트
CN212861382U (zh) 安全带导向装置及具有该装置的汽车座椅
JPS6126131Y2 (ko)
KR0139483Y1 (ko) 앞좌석 고정상태 표시 장치
JPH0535745Y2 (ko)
GB2242608A (en) Safety belt arrangement for a motor vehicle.
JPS5839951Y2 (ja) 首振可能なアンカ−部材を備えた受動式シ−トベルトシステム
US20050248201A1 (en) Bearing for a folding backrest
JPH068939Y2 (ja) 自動車のシートベルト装置
KR19980047273U (ko) 전방 길이가 조절되는 자동차의 시트 쿠션
JPS634004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