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2193Y1 - 유전체 필터의 유전체 유니트 - Google Patents

유전체 필터의 유전체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2193Y1
KR960002193Y1 KR2019930021589U KR930021589U KR960002193Y1 KR 960002193 Y1 KR960002193 Y1 KR 960002193Y1 KR 2019930021589 U KR2019930021589 U KR 2019930021589U KR 930021589 U KR930021589 U KR 930021589U KR 960002193 Y1 KR960002193 Y1 KR 9600021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lectric
filter
unit
holes
uni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15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2720U (ko
Inventor
안창돈
Original Assignee
세광세라믹 주식회사
고순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광세라믹 주식회사, 고순청 filed Critical 세광세라믹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215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2193Y1/ko
Publication of KR9500127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272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21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21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13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combining or separating two or more different frequencies
    • H01P1/2136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combining or separating two or more different frequencies using comb or interdigital filters; using cascaded coaxial cavi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5Comb or interdigital filters; Cascaded coaxial cavities
    • H01P1/2056Comb filters or interdigital filters with metallised resonator holes in a dielectric bloc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전체 필터의 유전체 유니트
제1도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유전체 필터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에서의 관통구멍(11,12)내로 압입되는 유전체 유니트(40)를 나타낸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에 나타낸 유전체 필터의 상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1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필터의 상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1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유니트의 외관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유전체 블록 11,12 : 관통구멍
31∼33 : 도전막 34,34' : 절연체
35,35' : 스토퍼 36,36' : 단자핀
40,40' : 유전체 유니트 50 : 결합용 바
본 고안은 유전체 필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전체 필터에 압입되는 유전체 유니트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전기, 전자 기기에 있어서는 일정 대역의 주파수를 필터링하는 필터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바, 이러한 필터는 인덕터와 콘덴서를 이용한 LC 공진회로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필터는 구조적으로 복잡하고 또 불안정하기 때문에 최근에는 신소재로서 각광받고 있는 세락믹을 이용한 유전체 필터가 실용화되어 채용되고 있다.
제1도는 본 출원인이 발명하여 출원한 바 있는 유전체 필터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이는 LC 공진필터를 유전체를 이용하여 표면 실장형(SMD Type)으로 구성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제1도에서, 참조번호 10은 예컨대 세라믹 유전체로 이루어진 유전체 블록이고, 11 및 12는 이 유전체 블록(10)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관통구멍이다.
또한, 이 유전체 블록(10)의 4각 측면에는 도전막(31)으로서 은(Ag)이 도포되고, 상기 관통구멍(11,12)의 내면에도 예컨대 은(Ag)으로 이루어진 도전막(32)(3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유전체 블록(10)의 저면에는 상기 도전막(31)의 일단측과 상기 관통구멍(11,12)내의 도전막(32,32')을 단락시키면서 예컨대 은(Ag)으로 이루어진 도전막(33)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유전체 블록(10)의 사이에는 공동(27)이 형성되어 있는바, 이 공동의 크기에 의해 양 도전막(32, 32')사이의 유도결합의 정도가 정해지게 된다.
한편, 제1도에서는 상기 관통구멍(32)으로 원통 형상의 유전체 유니트(40,40')가 압입(壓入)되어 있다.
제2도는 상기 유전체 유니트(40,40')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이는 예컨대 황동으로 이루어진 단자핀(36, 36')과, 이 단자핀(36,36')을 에워싸고 있는 절연체(34,34')를 갖추고 있고, 이 절연체(34,34')는 상기 관통구멍(11,12)으로의 압입시에 삽입성을 좋게 하기 위해 그 상단부의 모서리 부분이 둥글게 형성됨과 더불어, 그 하단부에는 유전체 유니트(40,40')가 상기 관통구멍(11,12)으로 일정 이상 삽입되지 않도록 스토퍼(35, 3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황동으로 이루어진 단자핀(36,36')은 유전체 필터를 기판상에 실장할 때 표면실장이 가능하도록 그 중간 부위가 절곡됨과 더불어, 끝부위에는 납땜성을 좋게 하기 위해 단면적이 넓은 접착편(37,37')이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한 구성에서는 상기 유전체 유니트(40,40')를 상기 관통구멍(11,12)에 압입했을 때 단자핀(36,36')과 도전막(32,32') 및 절연체(34,34')가 커플링 콘덴서를 형성하고, 상기 유전체(10)와 도전막(31,32)으로서 공진회로를 구성하면서 양 도전막(32,32')에 의한 유도 결합으로 소정의 필터 효과를 제공하도록 된 것이다.
그런데, 상기한 유전체 필터에 있어서는, 유전체 유니트(40,40')를 유전체 블록(10)의 관통구멍(11)(12)에 압입하거나, 또는 유전체 필터를 기판상에 실장하는 경우등에 있어서 유전체 유니트(40,40')가 관통구멍(11)(12)내에서 회전하게 되는 일이 발생하게 되는 바, 이와 같이 유전체 유니트(40,40')가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하게 되면 단자핀(36')을 기판상에 실장할 때 유전체 유니트(40,40')의 위치를 일일히 수작업으로 조정해야 하므로 작업성이 나빠지게 되고, 또한 유전체 유니트(40,40')가 올바른 위치에 있지 않은 상태에서 그대로 납땜을 실행하게 되면 납땜성이 불량하게 된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유전체 유니트가 유전체 블록에 갖추어진 관통구멍내에서 회전하지 않도록 된 유전체 유니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유전체 필터의 유전체 유니트는 단자핀과 이를 에워싸도록 몰딩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절연체로 이루어진 유전체 유니트를, 소정의 관통구멍을 갖춤과 더불어 그 관통구멍의 내면에 도전체가 피복된 유전체 블록에 압입하여 콘덴서를 형성하도록 된 유전체 필터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유니트는 상기 관통구멍에 일정이상 삽입되지 않도록 그 일단부에 스토퍼를 갖추고, 이 스토퍼는 이웃하는 유전체 유니트의 스토퍼와 결합용 바를 통해 일체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고안에 의하면, 유전체 유니트에 갖추어진 스토퍼가 이웃하는 유전체 유니트의 스토퍼와 일체적으로 형성됨에 의해 유전체 유니트가 회전하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유전체 필터의 상면도를 나타낸 도면으로, 제4도에서 제1도 내지 제3도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양측의 유전체 유니트는 종래의 구성과 마찬가지로 스토퍼(35,35')와 단자핀(36,36') 및 접착편(37,37')을 갖추는 한편, 양 유전체 유니트의 스토퍼(35,35')가 결합용 바(50)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일체화되어 있다.
즉, 제5도는 상기와 같은 유전체 유니트(40,40')를 유전체 블록(10)에 삽입하기 전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 유전체 유니트(40,40')의 스트퍼(35.35')가 결합용바(50)을 통해 일체화됨으로써, 유전체 유니트(40, 40')를 유전체 블록(10)에 삽입하거나 또는 유전체 필터를 기판상에 실장할때, 상기 결합용 바(50)에 의해 유전체 유니트(40,40')가 회전하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따라서, 유전체 필터를 기판상에 실장할 때의 작업성과 납땜성이 향상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유전체 유니트를 유전체 블록에 갖추어진 관통구멍 내로 삽입하거나 또는 유전체 블록에 유전체 유니트를 삽입한 후 유전체 필터를 기판상에 실장할 때 유전체 유니트가 회전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된 유전체 유니트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할 수 있다.

Claims (1)

  1. 단자핀(36,36')과 이를 에워싸도록 몰딩 성형된 원기둥 형상의 절연체(34, 34')로 이루어진 유전체 유니트(40,40')를 소정의 관통구멍(11,12)의 내면에 도전체(32,32')가 피복된 유전체 블록(10)에 압입하여 콘덴서를 형성하도록 된 유전체 필터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유니트(40,40')는 상기 관통구멍(11,12)이 일정이상 삽입되지 않도록 그 절연체(34,34')의 일단부에 스토퍼를 갖추고, 이 스토퍼는 이웃하는 유전체 유니트의 스토퍼와 결합용 바(50)를 통해 일체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필터
KR2019930021589U 1993-10-20 1993-10-20 유전체 필터의 유전체 유니트 KR9600021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1589U KR960002193Y1 (ko) 1993-10-20 1993-10-20 유전체 필터의 유전체 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1589U KR960002193Y1 (ko) 1993-10-20 1993-10-20 유전체 필터의 유전체 유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2720U KR950012720U (ko) 1995-05-17
KR960002193Y1 true KR960002193Y1 (ko) 1996-03-15

Family

ID=19366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1589U KR960002193Y1 (ko) 1993-10-20 1993-10-20 유전체 필터의 유전체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219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2720U (ko) 1995-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53114A (en) Encapsulated printed circuit board filter
KR950003510B1 (ko) 칩형 마이크로휴즈
JPH0479507A (ja) フィルタ及びフィルタ付電気コネクタ
US20080122556A1 (en) Noise filter
US5580280A (en) Filtered electrical connector
KR960002193Y1 (ko) 유전체 필터의 유전체 유니트
JP2001196260A (ja) 端子付き電子部品
JPS62120703A (ja) 誘電体フイルタの実装構造
JPH0451602A (ja) 誘電体フィルタ
KR960002197Y1 (ko) 유전체 필터의 단자핀
JP4103466B2 (ja) 高周波コネクタの表面実装方法及び高周波コネクタ実装プリント基板並びにプリント基板
KR100656563B1 (ko) 쉴드 및 이것이 장착된 유전체필터
KR960003568B1 (ko) 표면 실장형 유전체 필터
KR960007201Y1 (ko) 표면실장형 유전체 필터의 터미널 유니트
JPH0353703A (ja) 電子部品の端子構造
JP3687769B2 (ja) ケース外装型電子部品の製造方法
KR200153873Y1 (ko) 일체형 유전체 공진기로 형성된 유전체 필터
KR0177672B1 (ko) 유전체 필터의 공진기
JPH03228415A (ja) 水晶発振器
KR200153872Y1 (ko) 일체형 유전체 필터
JPH0729658Y2 (ja) 回路基板
JPH04281608A (ja) ノイズフィルタ
JPH06252683A (ja) 電子部品
JP2910685B2 (ja) 誘電体共振器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S611416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0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