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1859Y1 - 롤 걸 이 - Google Patents

롤 걸 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1859Y1
KR960001859Y1 KR2019930000118U KR930000118U KR960001859Y1 KR 960001859 Y1 KR960001859 Y1 KR 960001859Y1 KR 2019930000118 U KR2019930000118 U KR 2019930000118U KR 930000118 U KR930000118 U KR 930000118U KR 960001859 Y1 KR960001859 Y1 KR 9600018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fixing member
hanger
hook member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01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9342U (ko
Inventor
임양묵
Original Assignee
임양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양묵 filed Critical 임양묵
Priority to KR20199300001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1859Y1/ko
Priority to JP070672U priority patent/JPH0682999U/ja
Publication of KR9400093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934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18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85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6Paper towel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8Holders; Receptacles
    • A47K10/22Holders; Receptacles for rolled-up web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롤걸이
제1도는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한 걸이구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걸이구에 대한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설치상태도
제4도 (a)(b)(c)는 본 고안의 걸이구에 대한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제5도는 본 고안의 걸이구에 대한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제6도는 제5도의 조립상태사시도
제7도 (a)(b)(c)(d)는 본 고안의 걸이구에 대한 제5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측판 3 : 힌지
25 : 걸이구 35 : 판스프링
40, 60, 140, 240 : 고정부재 45, 70, 145, 245 : 걸이부재
50, 150 : 탄성밴드 55 : 핀
81 : 축핀 72 : 삽입공동
250, 445 : 핀스프링 345 : "L"자형 탄성스프링
본 고안은 화장지, 부엌용타올, 테이프, 랩등과 같이 롤형상을 하고 있는 각종제품을 걸 수 있는 각종 롤걸이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한가지 예로써 종래의 화장실등에서 사용되는 화장지걸이구조는 단순한 착탈구조 또는 걸이구조로 되어 있었지만 화장지를 갈아끼울때 번거롭고 또한 사용시 걸이구조가 분리되거나 이탈되는 등의 여러가지 단점들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화장지같은 롤제품을 한손만을 이용하여 간단하고도 용이하게 장착 및 이탈시킬 수 있는 롤걸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는 바, 이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해 보겠다.
먼저, 제1도는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한 걸이구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정면도로써, 도면에 나타낸 바와같이 본 고안은 측판과, 측판에 설치되는 걸이구와, 걸이구를 상하로 탄성적으로 선회시키기 위한 탄성부재와로 구성된 롤걸이에 있어서, 힌지(3)가 형성된 지지부(3A)를 측판(1)에 직접 부착고정하고 힌지(3)에는 도시한 바와 같은 역삼각모양의 걸이구(25)를 형성시켰으며, 그리고, 상기 측판(1)의 상측일부에는 판스프링(35)을 걸이구(25)상면에 항상 접하여 힘을 가하도록 취부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걸이구의 형상을 역삼각모양으로 한 것은 상기 걸이구가 아래쪽으로 쳐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하여, 예로써 롤제품(10)이 없을 경우에 판스프링(35)의 탄성에 의해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이구(25)는 제위치에 고정되어 있게 된다. 여기에 롤제품(10)을 한손으로 아래위치에서 밀어오리면 상기 걸이구(25)가 화살표 위방향으로 밀려올라가게 된다. 그러면 걸이구(25)는 힌지(3)를 지점으로 선회되어 상기 걸이구(25)의 돌출부(25A)가 상방으로 밀리면서 벌어지게 된다. 그리고 롤제품(10)의 통공(10A)부위가 나타나면 힌지(3)를 지점으로 선회되면서 벌어졌던 상기 걸이구(25)의 돌출부(25A)는 판스프링(35)의 탄성에 의해 상기 화살표의 아래방향으로 원위치되면서 상기 롤제품(10)의 통공(10A)내로 삽입되므로써, 롤제품(10)이 상기걸이구(25A)에 걸리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상기 롤제품(10)을 이탈시키고자 할 경우에, 상기 롤제품(10)을 한손으로 상측으로 밀어을리면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걸이구(25)는 힌지(3)를 지점으로 선회되어 상방으로 밀리면서 벌어지게 되면서 상기 롤제품(10)이 완전히 이탈되게 되는 것이다. 이후 상기 걸이구(25)는 판스프링(35)의 탄성에 의해 원위치로 되돌아오게 되는 것이다.
제2도는 본 고안의 걸이구에 대한 제2실시예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제3도는 제2도의 구성을 화장지걸이의 측판(1)에 고정시킨 참고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걸이구는 세개의 부품으로 나누어진다 즉 고정부재(40)와 탄성밴드(50)와 걸이부재(45)로 구분된다.
상기 고정부재(40)는 절개형성한 개구(40A)와 상판(40C), 그리고 좌우측을 꺽어접은 지지부(40B)로 구성되고 지지부(40B)의 하측에는 통공(40D)을 형성하여 측판(1)내측에 용접등으로 고정되며, 상기 걸이부재(45)는 꺾어접은 측면(45B)과 꺾어접은 상면(45C)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측면(45B)하측에는 통공(45D)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40)와 걸이부재(45)사이에는 "U"자 또는 "V"자 형상의 탄성밴드(50)가 놓이고, 상기고정부재(40)와 걸이부재(45)를 탄성적으로 체결시키기 위해 상기 고정부재(40)와 걸이부재(45)의 통공(40D, 45D)을 관통함과 동시에 상기 고정부재(40)와 걸이부재(45)사이에 설지된 탄성밴드(50)의 중간부를 통과하는핀(55)을 형성시키고 있다.
그리하여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롤제품(10)을 한손으로 측판(1)사이에 끼워 밀어 올리면 상기 롤제품(10)의 측면 상기 걸이부재(45)를 누르면서 걸이부재(45)는 탄성적으로 고정부재(40)쪽으로 밀려들어가게 된다 이때 상기 롤제품(10)의 중심부에 형성된 통공이 상기 걸이부재(45)의 위치에 오게 되면 상기 걸이부재(45)가 상기 탄성밴드(50)의 탄성에 의해 원위치되면서 상기롤 제품(10)의 통공속으로 삽입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시한 바와 같이 를제품이 걸이구에 완전히 걸리게 된다.
반대로 상기 롤제품(10)을 이탈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롤제품(10)을 한손으로 상측으로 밀어올리면, 상기 롤제품(l0)의 측면이 상기 걸이부재(45)를 누르면서 걸이부재(45)는 탄성적으로 고정부재(40)쪽으로 밀려들어가게 되는 동시에 상기 롤제품(10)은 쉽게 이탈되는 것이다. 이후 상기 걸이부재(45)는 탄성밴드(50)의 성에 의해 원위치로 되돌아 오게 된다.
제4도의 (a)(b)(c)는 제3도의 실시예에 대한 또다른 구성예로써 (a)는 사시도 (b)는 측단면도 (c)는 (b)의 또다른 구성예이다.
제4도 역시 고정부재(140)와 핀스프링(250)과 걸이부재(145)로 구성된 것으르 상기 고정부재(140)와 걸이부재(145)사이에는 핀스프링(250)이 설치되며, 고정부재 (140)의 상면은 자체절곡하여 형성한 레일부(140B)로 구성되는 한편 그의 하단은 상기 걸이부재(145)와 힌지핀으로 결합하는 힌지부(140C)를 형성하고있다.
걸이부재(l45)는 중앙에 꺾여 접혀지는 접철부(l45A)를 형성하고 그 상단은 고정부재(140)의 레일부(140B)를 따라 상하이동하는 가로로 긴 안내봉(145B)을 형성시키고, 그 하단은 암선 설명에서와 같이 고정부재(140)와 힌지결합하는 힌지부(140C)로 이루어진다.
제4도의 (b)에서는 고정부재(140)와 걸이부재(145)사이에 설치되는 핀스프링(250)의 일단이 상기 고정부재(140)의 상측일부에 형성된 관통공에 구부린 형상으로 끼워넣어져 고정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으며, (C)에서는 고정부재(140)의 하측에 개구(140D)를 형성시켜 이 개구를 통과하여 고정부재(140)의 뒷쪽에서 핀스프링(250)의 일단이 고정부재(140)의 상축에 형성한 관통공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구성시킨 것이다. 여기서 핀스프링(250)의 타단은 걸이부재(145)에 용접등으로 부착고정시켜도 좋고 고정시키지 않아도 좋다 이와 같이 조립구성되는 걸이구를 측판(1) 내측으로 즉, 롤제품이 놓이는 중간위치에 용접등으로 부착하여 취부한다. 그리하여 롤제품을 한손으로 측판(1)의 하부에서부터 밀어 위로 상승시키면 걸이부재(145)의 상단에 형성된 안내봉(l45B)이 상기 고정부재(140)의 상단부에 형성된 레일부(140B)를 따라 위로 밀리면서 상기 걸이부재(145)는 내측으로 밀러들어가게 된다 그후 롤제품의 중앙에 뚫어진 통공(10A)의 위치가 상기 걸이부재(l45)가 밀려들어간 위치와 일치하게 되면, 상기 걸이부재(145)가 상기 핀스프링(250)의 탄성에 의해 원위치하면서 상기통공(10A)속으로 끼워지게 되어 롤제품이 제의치에 걸릴수 있는 것이다. 반대로 상기 롤제품을 이탈시키고자할 경우에는, 상기 롤제품을 한손으로 상측으로 밀어 을리면 상기 걸이부재(145)의 상단에 형성된 안내봉(145B)이 상기 고정부재(140)의 상단부에 형성된 레일부(140B)를 따라 위로 밀리면서 상기 걸이부재(145)는 내측으로 밀려들어가게 되는 동시에 롤제품이 손쉽게 이탈되게 되는 것이다.
제5도는 본 고안의 걸이구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고 제6도는 제5도의 조립상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도 제2도의 실시예와 비슷하게 고정부재(240)와 탄성밴드(150)와, 걸이부재(245)와 체결판(300)을 각각 조립하여 걸이구를 형성한 것이다.
탄성밴드(150)는 걸이부재(245)의 오목한 공간속에 삽입가능하며 이와같이 삽입된 걸이부재(245)는 체결판(300)의 개구(300A)를 통해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밖으로 돌출된다. 이때 걸이부재(245)의 상, 하측에 형성시킨 걸림부(245A)는 체결판(300)의 개구(300A)내로 삽입되는 상기 걸이부재(245)가 체결판(300)의 개구(300A)밖으로 완전히 튀어나오지 못하게끔 그 일부분이 개구(300A)의 안쪽에 지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고정부재(240)에는 탄성밴드 고정부(240A)가 다수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는 탄성밴드(150)가 상하좌우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고정부재(240)의 좌우하측엔 홈(240B)을 형성시켜 체결판(300)의 돌기 (300B)가 상기 홈(240B)속으로 삽입되어 상호 체결되도록 한다. 그리고 고정부재(240)와 체결판(300)의 상면은 서로 일치하는 평면으로 형성시켜 나사등과같은 체결수단으로 그곳에 형성시킨 통공을 관통하여 체결할 수 있게 한다. 체결판(300)의 개구(300A)상측에 들출시킨 돌기(300C)는 특히 탄성밴드(150)의 접혀진 상단을 지지하는 목적으로 형성시킨 것이다. 여기서 탄성탄(300)을 생략하여 고정부재(240)와 탄성밴드 150), 그리고 걸이부재(245)의 구성만으로 구성되도록 변형시킬 수도 있으며, 또한 탄성밴드(150)를 걸이부재(245)와 일체로 조립되도록 변형구성시킬 경우엔 탄성밴드(150)와 걸이부재(245)와 그리고 체결판(300)만으로 구성시킬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롤제품의 장착 및 이탈과정은 본 고안의 제2실시에와 거의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제7도는 본 고안의 걸이구에 대한 또다른 실시에 구성도로써 (a)도는 사시도이고, (b)도는 (a)도의 단면도이다.
이 구성은 고정부재(60)와 걸이부재(70) 및 단성을 갖는 "L"자형 탄성스프링(345)으로 이루어진다. 즉 고정부재(60)의 중앙에 돌출형성된 지지구(61)의 통공과 걸이부재(70)의 중앙부에 길게 형성된 통공내로 삽입되는축핀(81)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60)와 걸이부재(70)는 상호체결된다. 또한 "L"자형 탄성스프링(345)의 일단은 걸이부재(70)에 형성도니삽입구(71)로 삽입시켜주고, 타단은 고정부재(60)에 밀착하여 고정시켜준다.
(c)도는 (a)도의 다른 실시예 구성사시도이고 (d)도는 (c)도의 측면도로써, 상기 (a)도의 실시예세서 "L"자형 탄성스프링(345)대신에 탄성을 갖는 핀스프링(445)으로 형성한 것이다. 즉 고겅부재(60)의 중앙에 돌출형성한 지지구(61)에 삽입되는 측핀(81)에 결합되어 상,하 이동되는 걸이부재(70)가 탄발되도록 핀스프링(445)의 중심을 축핀(81)의 한축끝단에 삽입시켜서 일단은 고정부재(60)에 지지시키고 타단은 걸이부재(70)의 바깥쪽으로 천공된 삽입공동(72)에 삽입시켜서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조립구성되는 걸이구를 측판(1)의 내측중앙으로 고정되게 붙여준 후 롤제품을 한손으로 측판(1)의 하부에서 밀어 상부로 상승시키면 걸이부재(70)는 상부로 회전이 되어지다가 롤제품의 중앙에 형성된 통공(10A)이 나타나면 "L"자형 탄성스프링(345) 및 핀스프링(445)의 탄성에 의해 제위치로 돌아옴과 동시에 롤제품의 통공속으로 삽입되므로 롤제품은 걸이부재(70)에 걸리게 된다. 반대로, 상기 롤제품을 이탈시키고자 할겅우에는 상기 롤제품을 한손으로 상기 측판(1)에서 밀어올리면 걸이부재(70)가 상부로 회전이 되면서 롤제품이 쉽게 이탈되게 되는 것이다 이후 상기 걸이부재(70)는 상기 "L"자ud탄성스프링(345) 또는 핀스프링(445)의 탄성에 의해 원위치로 되돌아 가게 된다.
이상으로 본 고안에 대한 각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였는 바, 상기 본 고안의 제2도 내지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 내지 제5실시예에서의 고정부재(40, 60, 140, 240) 및 걸이부재(45, 70, 145, 245)는 그자체형상이 다소 각이져 있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이는 단지 설명을 위한 도면에 불과한것이다. 예로써, 롤제품이 설치되었을 경우, 롤제품의 한끝을 잡아당기면 롤제품의 두루마리가 회전하면서 잘풀려나오지 않을 것처럼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제작상 상기한 형상의 각 모서리부분 즉, 롤제품의 통공에서 매끄럽게 미끄럼회전이 가능하도록 매끄러운 면가공을 하면 이와 같은 문제는 쉽게 해결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각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걸이구(25)를 체결고정하는 힌지(3)가 형성된 지지부(3A)를 측판(1)에 직접 부착고정하거나 또는 상기 고정부재와 걸이부재와 일체로 조립된 걸이구(25)를 상기측판(1)에 직접 부착고정하는 것이므로, 상기 측판(1)에 홈 또는 통공을 별도로 형성시킬 필요가 없어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할 뿐만아니라 롤제품을 한손만 사용해서 아래에서 위로 올리면 손쉽게 장착 및 이탈시킬 수있는 동시에 항상 롤제품을 견고히 받칠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한 유용하고 실용적인 것이다.

Claims (7)

  1. 롤걸이의 측판과, 상기 측판에 설치되는 걸이구와, 상기 걸이구를 상하로 탄성적으로 선회시키기 위한 탄성부재와로 구성된 롤걸이에 있어서,
    상기 걸이구(25)는 측판(1)에 직접 부착고정된 지지부(3A)에 형성된 힌지(3)에 의해서 체결되고,
    상기 탄성부재로는 판스프링(35)으로 형성하여 그 일단은 측판(1)의 상측일부에 고정부착하고 그 타단은 걸이구(25)의 상면에 위치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걸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구(25)는 그 상단부에 개구(40A)와 상판(40C)을 절개형성하고 그 좌우측을 절곡하여 지지부(40B)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부(40B)의 하측에는 통공(40D)을 형성하여 측판(1)에 직접 고정부착되는 고정부재(40)와,
    꺾어접은 측면(45D)과 꺾어접은 상면(45C)으로 구성되어 상기 고정부재(40)에 핀 (55)으로 체결되는 걸이부재(45)와,
    상기 걸이부재(45)가 상기 고정부재(40)쪽으로 탄성적으로 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재(40)와 걸이부재(45)사이에 장착된 탄성밴드(50)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걸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구(25)는 레일부(140B)와 힌지부(140C)가 형성되어 측판(1)에 직접 부착고정되는 고정부재(140)와,
    상기 레일부(140B)에서 상하이동하는 안내봉(145B)과 중앙이 접혀지는 접철부(145A)를 형성하고, 상기힌지부(140C)에 연결되어 접철가능하게 형성한 걸이부재(145)와,
    상기 걸이부재(145)의 안내봉(145B)가 탄성을 갖고 상기 고정부재(140)의 레일부(140B)에서 상하이동하도록 상기 고정부재(140)와 상기 걸이부재(145) 사이에 형성한 핀스프링(250)과,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걸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구(25)는 탄성밴드(150)를 고정하는 고정부(240A)와 체결판(300)과의 체결을 위한 홈(240B)을 형성하여 측판(1)에 직접 부착고정되는 고정부재(240)와,
    걸림부(245A)를 가지며 탄성밴드(150)를 수용하는 걸이부재(245)와
    상기 고정부재(240)와 상기 걸이부재(245)사이에 위치되는 탄성밴드(150)와
    상기 걸이부재(245)를 수용지지하는 개구(300A)와 돌기 (300C)를 형성하는 체결판(300)과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걸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구(25)는 지지구(61)가 형성되어 측판(1)에 직접부착고정되는 고정부재(60)와 상기 고정부재(60)에 축핀(81)으로 연결된 걸이부재(70)와,
    상기 걸이부재(70)의 탄성적인 선회이동을 위해 장착된 "L"자형 탄성스프링(345)과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걸이,
  6. 5항에 있어서
    상기 "L"자형 탄성스프링(345)은 90。각도록 꺽여져 있으며, 그 일단은 상기 걸이부재(70)의 내부에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부재(60)에 부착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걸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재(70)의 탄성적인 선회이동을 위해 그 일단은 상기 고정부재(60)에 지지되고 그 타단은 걸이부재(70)의 삽입공동(72)에 삽입되는 핀스프링(445)을 장착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걸이.
KR2019930000118U 1992-10-06 1993-01-07 롤 걸 이 KR9600018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0118U KR960001859Y1 (ko) 1992-10-06 1993-01-07 롤 걸 이
JP070672U JPH0682999U (ja) 1993-01-07 1993-12-28 ロール掛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19103 1992-10-06
KR92-19103 1992-10-06
KR2019930000118U KR960001859Y1 (ko) 1992-10-06 1993-01-07 롤 걸 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9342U KR940009342U (ko) 1994-05-17
KR960001859Y1 true KR960001859Y1 (ko) 1996-02-29

Family

ID=70846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0118U KR960001859Y1 (ko) 1992-10-06 1993-01-07 롤 걸 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185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9342U (ko) 1994-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1859Y1 (ko) 롤 걸 이
GB2184483A (en) Turnable window arrangements
KR200222386Y1 (ko) 롤러스케이트의 롤러 지지구조
JPH04210095A (ja) 物干装置
JPH0682999U (ja) ロール掛け
US2340274A (en) Fixture
KR200286615Y1 (ko) 전개식 개폐구조를 갖는 칫솔걸이
KR200159433Y1 (ko) 탁상금고의 서랍 개폐장치
JPH0355376Y2 (ko)
JPS5835049Y2 (ja) 時計バンド用バツクルの係止装置
KR200198730Y1 (ko) 행거
JP2990429B1 (ja) 開き扉構造及び開き扉用の枢支金具
KR200325056Y1 (ko) 수납가구용 도어 개폐장치
KR200228857Y1 (ko) 바인더
JPH0619006Y2 (ja) 開き窓のアームストッパー
JPS6031592Y2 (ja) ワンタツチトイレツトペ−パ−掛
JP3937406B2 (ja) グラビティヒンジ
KR940005945Y1 (ko) 걸이구
JPH0230604Y2 (ko)
KR940005204Y1 (ko) 옷걸이
JPH0145315Y2 (ko)
KR200347146Y1 (ko) 프레임 개폐식 액자
USD250001S (en) Latch
JPS606263Y2 (ja) 吊下げ棚
JPH053783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