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1521Y1 - 오일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오일 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1521Y1
KR960001521Y1 KR2019940009805U KR19940009805U KR960001521Y1 KR 960001521 Y1 KR960001521 Y1 KR 960001521Y1 KR 2019940009805 U KR2019940009805 U KR 2019940009805U KR 19940009805 U KR19940009805 U KR 19940009805U KR 960001521 Y1 KR960001521 Y1 KR 9600015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outer cylinder
engine
filter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98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3551U (ko
Inventor
김현태
김이빈
Original Assignee
김현태
김이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태, 김이빈 filed Critical 김현태
Priority to KR20199400098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1521Y1/ko
Publication of KR9500335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35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15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5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오일 여과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의 구성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케이싱 11 : 외통
20 : 여과부 30 : 확산부
31 : 뚜껑체 32 : 확산판
40 : 투시부 50 : 압력조절밸브
본 고안은 내면 기관의 내부를 순환하는 것에 의해 각 부분의 동작을 보다 원활히 동작되도록 하여주는 오일에 혼입된 먼지, 카본, 슬러지, 물, 금속입자 등의 이물질을 제거토록 한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여과되는 오일의 양과 속도등을 육안으로 감지하여 정상상태로 조절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연기관(이하 엔진이라 함)에는 엔진 내부의 각 동작부분에 필수적으로 원활한 동작을 위하여 윤활유를 공급하게 된다.
이 윤활유는 엔진 내부의 각 구성부분들이 동작할 때 발생하는 마찰에 의해 이들로부터 금속 부스러기 및 연료의 연소시 발생하는 분진물, 이 연료의 불완전 연소에 따라 발생하는 카본, 슬러지, 또한 엔진의 급격한 가동이나 저온, 저속으로 운행할 때 발생하는 응축된 물이 혼입되어 그 기능이 상실된다.
따라서 엔진의 구동시, 각 구성부분들에 공급된 오일을 별도의 여과장치(오일필터)를 통해 지속적으로 이들질을 제거하는 것에 의해 오일자체의 수명을 연장함과 아울러 엔진을 이루는 각 구성부분들의 수명을 연장시켜오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오일 여과장치는 대부분이 국내의 선출원(실용신안 공고번호 89-3967 및 89-3968)과 같이 원통체로 된 케이스의 내부에 각종 이물질을 여과토록 한 다수의 필터체를 설치하고, 이 필터체에 오일을 강제적으로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오일에 혼입된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여 재차 엔진을 이루는 각 구성부분들에 공급하고 있다.
종래 이러한 오일 여과장치들을, 그 대부분이 엔진내에서 회수된 오인을 펌프에 의해 강제 순환시키는 압력에 의해 필터로 유입된 오일이 여과체에 의해 여과된 후 다시 엔진으로 공급되는데. 이때 그 이송량이나 압력, 이송속도등을 외부에서 파악할 수가 없었다.
따라서, 여과기로 순환되는 오일에 예로서 과압이 작용되어 오버플로우되는 이상 현상등에 의해 오일이 넘치거나 하는 것을 흔히 볼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차량 운행이 주행중 정지되도록 하는 등의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첫째, 엔진내의 순화계통을 순환하는 오일의 이송량이나 속도등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오일 여과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둘째, 항시 적정량의 압력에 의해 오일에 혼입된 볼순물과 이물질들을 제거토록 한 오일 여과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셋째, 엔진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 오일 여과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넷째, 환경오염을 최소화하도록 한 오일 여과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다섯째, 차량의 주행중 불의로 정지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오일 여과장치률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속이 빈 단면 형태의 원통체로 된 외통(11)의 상측일단에 출구(11a)가 뚫려진 케이싱(10)과; 상기 외통(11)의 내부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필터(P1)(P2)(P3)들에; 엔진(도시없음)내부의 순환계통을 순환하여 가아제 압송된 오일을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이 오일에 혼입된 불순물들을 제거토록 한 여과부(20)와; 상기 외통(11)의 상부에 뚜껑체(31)를 결합하는 것에 의해; 그 하단에 형성된 오일확산판(32)이 상기 외통(11)의 내측 상부에 위치토록하여 상기 여과부(20)를 통과한 오일을 펼쳐지게한 확산부(30)와, 상기 외통(11)의 외주면 상부일단에 설치된 투시창(41)에 의해, 그 내부를 보여지게 한 투시부(40)와; 상기 외통(11)의 하부측에 설치된 것에 의해, 엔진에서 강제 압송되어 상기 외통(11)내로 공급되는 오일에 적정 압력을 갖도록 한 압력조절밸브(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성(10)은, 속이 빈 단면 형태의 원통체로 된 외통(11)의 상부측 얼단에 출구(11a)를 형성한 구조체로서, 그 내부애는 상기한 필터(P1)(P2)(P3)들이 순차적으로 설치되며, 그 상부측에 트여지게 형성된 입구에는 상기 뚜껑체(31)가 결합된다.
상기 출구(11a)는, 외통(11)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여과부(20)를 강제적으로 통과하는 것에 의해 각종 이물절과 불순물 및 금속입자들이 제거된 오일이 재차 엔진으로 공급되게 하는 유출구이다.
따라서 이 출구(11a)에는 엔진에 그 일단이 연통되게 설치된 이송파이프(A)의 타단이 접속되어 있다.
상기 여과부(20)는, 엔진(도시없음) 내부의 순환계통을 순환하는 것에 의해 금속입자 및 각종 이물질과 불순물들이 혼입된 오일을, 상기 외통 (11)의 내부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필터(P1)(P2)(P3)들에 강제적으로 통과토록 하여 금속입자 및 각종 이물질과 불순물들을 제거토록 한 구조체이다.
즉, 엔진 구동시 실린더를 비룻한 각 구성부품들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금속입자들이 탈락된 분달들과, 엔진의 내부에는 연료의 연소시 발생하는 카본등의 이물질을 상기 외통(11)내에 설치된 여과부(20)로 강제 압송하는 것에 의해 필터(Pl)(P2)(P3)들을 통과할 때, 금속입자를 비롯한 각종 이물질과 불순물들을 제거하는 것이다. 이렇게 금속입자를 비롯한 각종 이물질과 불순물들이 제거된 상대의 오일은, 상기 출구(11a)에 접속된 이송파이프(A)를 통해 엔진으로 이송된다.
상기 확산부(30)는, 상기 여과부(20)를 통과하는 것에 의해 금속입자 및 각종 불순물과 이물질들이 제거된 상태의 오일에 혼입된 수분을 제거하는 구조체이다. 즉, 그 하부에 확산판(32)이 형성된 뚜껑체(31)를 상기 외통(11)의 상단부에 결합하는 것에 의해 막혀지게 하고, 이 확산판(32)의 상면으로 상기 여과부(20)를 강제적으로 통과한 오일을 확산시키고, 이를 별도의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되게 한 히터장치(H)로 가열하는 것에 의해 오일에 혼입된 수분을 제거토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확산판(32)은, 첨부도면 제 1 도에서와 같이 그 단면형가 계단형상을 이루고 있는데, 이는 화산판(32)의 일단에 상. 하로 관통되게 뚫려진 통공(32a)들을 통해 그 상부면으로 분출되게 한 오일을 계단식으로 흘러내리게 하는 것에 의해 상기 히터장치(H)에서 방출되는 열을 보다 효과적으로 오일에 전도시켜 수분을 제거토록 하는 바, 이는 종래와 동일하다
본 고안에서 가장 중요한 구성상의 특징은 상기 케이싱(10)의 상부측에 확산부(30)를 거쳐 단계적으로 흐르는 오일의 상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투시부(40)를 설치하는데 있다.
즉, 상기 투시부(40)는 상기 외통(11)의 오주면 상부일단에 설치된 투시창(41)에 의해, 상기 확산판(32)의 상부면으로 확산되게 한 오일을 의통(11)의 외부에서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여과부(20)를 통과하는 것에 의해 금속입자 및 각종 이물질과 불순물들이 제거된 상태로 확산판(32)의 상부면에 확산되는 오일의 상태를 외통(11)의 외부에서 육안으로 관찰하는 것에 의해 그 교환시기를 판별토록 하는 것이다.
이때 투시창(41)은, 빚이 투과될 수 있는 합성수지재로 성형되며, 첨부도면 제 1 도에서와 같이 외통(11)의 내부에 채워진 오일이 압력에 의해서도 외부로 유실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결합된다.
상기 압력조절밸브(50)는, 엔진내의 순환계통을 순환한 것에 의해 상기 여과부(20)로 강제 압송되는 오일에 적정압력을 부여토록 한 것이다.
즉 엔진내의 순환계통을 순환한 오일은, 별도의 오일펌프를 통해 약 4-5kg㎝, 이상의 높은 압력으로 상기 여과부(20)로 공급되는데, 이때 상기 외통(11)내로 공급되는 오일의 압력과, 상기 여과부(20)와 확산판(32)을 통해 정제된 상태로 외통(11)의 일단에 형성된 출구(11a)를 통해 배출되는 압력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오일이 외통(11)의 외부로 유출되거나, 혹은 과압에 의해 오일에 혼입된 금속입자 및 각종 이물질과 불순물들이 미처 제거되지 않은 상태에서 재차 엔진으로 공급되는 폐단이 발생한다. 따라서 엔진내의 순환계통을 순환한 것에 의해 상기 여과부(20)로 강제압송되는 오일을 상기 압력조절밸브(50) 통해 일성압력을 유지한 상태로 공급되게 하여 항시 상기 여과부(20)와 확산판(32)에 의해 금속입자를 비롯한 각종 이물질과 불순물 및 수분등이 효과적으로 제거되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첫째, 엔진내의 순환계통을 순환한 오일의 이송량과 이송속도등을 감지하여 최적의 상태로 순환압력을 설정할 수 있어 차량 중행중 오일이 넘치는 오버 플로우 현상등에 의해 운행이 정지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다.
둘째, 항시 적정량의 압력에 의해 오일에 혼입된 각종 불순물과 이물질 및 금속입자들을 제거토록 하여 그 기기의 사용수명을 연장토록 하며, 셋째 가장 적정한 시기에 그 교환 작업을 수행하므로서 불필요한 기기의 낭비를 해소하여 소비자에게 경제적인 이익을 제공하며, 넷째 엔진의 불필요한 마모와 이상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므로서 그 전체적인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다섯째 그 기기의 사용수명을 최대한 활용하므로서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유용한 것이다.

Claims (2)

  1. 속이 빈 단면 형태의 원통체로 된 외통(11)의 상측일단에 출구(11a)가 뚫려진 케이싱(10)과; 상기 외통(11)의 내부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필터(P1)(P2)(P3)들에, 엔진(도시없음) 내부의 순환계통을 순환하여 강제압송된 오일을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이 오일에 혼입된 볼순물들을 제거토록 한 여과부(20)와; 상기 외통(11)의 상부에 뚜껑체(31)를 결합하는 것에 의해; 그 하단에 형성된 확산판(32)이 상기 외통(11)의 내측 상부에 위치토록하여 상기 여과부(20)를 통과한 오일을 펼쳐지게 한 확산부(30)와; 상기 외통(11)의 외주면 상부일단에 설치된 투시창(41)에 의해; 그 내부를 보여지게 한 투시부(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여과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11)의 하부측에는 공급되는 오일에 적정 압력을 갖도록 한 압력조절밸브(50)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여과장치.
KR2019940009805U 1994-05-03 1994-05-03 오일 여과장치 KR9600015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9805U KR960001521Y1 (ko) 1994-05-03 1994-05-03 오일 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9805U KR960001521Y1 (ko) 1994-05-03 1994-05-03 오일 여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3551U KR950033551U (ko) 1995-12-16
KR960001521Y1 true KR960001521Y1 (ko) 1996-02-17

Family

ID=19382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9805U KR960001521Y1 (ko) 1994-05-03 1994-05-03 오일 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152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3551U (ko) 1995-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43284A (en) Two-stage oil bypass filter device
ES2156169T3 (es) Filtro, en especial para la purificacion del aceite lubrificante de un motor de combustion interna.
EP1216102A1 (en) Centrifugal filter
KR101001073B1 (ko) 자동차용 엔진오일과 연료 정화 및 연료 예열 어셈블리
US4338189A (en) Oil reconditioning device
DE4021325C1 (ko)
JP2003011196A (ja) 電動式射出成形装置のボールねじの潤滑構造
KR960001521Y1 (ko) 오일 여과장치
KR101948094B1 (ko) 디스크 수분 제거 장치
DE102018131689B4 (de) Mit einem wasserhaltigen Schmierstoff geschmierte Brennkraftmaschine
CN218237023U (zh) 一种水轮发电机轴承润滑油净化监测优化系统
US5454355A (en) Engine oil inlet adapter
KR200259620Y1 (ko) 엔진의 윤활을 위한 보조 정유 장치.
KR100446439B1 (ko) 엔진의 윤활을 위한 보조 정유 장치
CN108744700B (zh) 一种离心净油机废机油进口初级过滤装置
US20220347599A1 (en) Moisture removal device using rotating disk and nitrogen peeling
KR200464387Y1 (ko) 엔진오일 냉각 및 노폐물 제거장치와 이를 이용한 엔진오일 유동시스템
CN211202626U (zh) 一种螺旋推进器的独立轴承润滑装置
KR200394165Y1 (ko) 발전기 엔진의 오일 여과장치
KR950003447B1 (ko) 자동차용 오일 여과기(OIL Cleaner)
CN217712719U (zh) 摩托车的机油过滤结构
CN208417494U (zh) 一种立式传动变速箱的保障装置
KR19980011069U (ko) 선박용 유수분리장치의 전처리장치
KR960005513Y1 (ko) 엔진의 윤활장치
KR900002230Y1 (ko) 내연기관의 보조윤활장치 연결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