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2230Y1 - 내연기관의 보조윤활장치 연결관 - Google Patents

내연기관의 보조윤활장치 연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2230Y1
KR900002230Y1 KR2019870001585U KR870001585U KR900002230Y1 KR 900002230 Y1 KR900002230 Y1 KR 900002230Y1 KR 2019870001585 U KR2019870001585 U KR 2019870001585U KR 870001585 U KR870001585 U KR 870001585U KR 900002230 Y1 KR900002230 Y1 KR 9000022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engine
internal combustion
auxiliary lubrication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15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6411U (ko
Inventor
박인수
Original Assignee
박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인수 filed Critical 박인수
Priority to KR20198700015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2230Y1/ko
Publication of KR8800164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64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22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2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2Arrangements of lubricant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2Arrangements of lubricant conduits
    • F01M2011/021Arrangements of lubricant conduits for lubricating auxiliaries, e.g. pumps or turbo char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내연기관의 보조윤활장치 연결관
제 1 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종단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을 착설하여 사용상태를 나타낸 참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오일순환로
3 : 오일역류방지용소공 4 : 기관접속부
5 : 오일유입공 6 : 패킹착설요홈륜
7 : 보조윤활장치접속부 8 : 오일유출공
본 고안은 내연기관의 각 부분의 기능을 극대화하여 최대의 에너지를 얻어서 동력을 발생시킴에 있어서 기관의 마모를 최대한 감소하고 마찰열과 에너지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윤활유(이하 "오일"이라 한다.)의 사용수명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기존의 오일필터 보다 기능과 효율이 우수한 보조윤활장치를 기관에 연결 착설할 때 간편하고 신속하게 착설할 수 있도록 된 내연기관의 보조윤활장치 연결관에 관한 것으로, 중앙부를 관통시켜 오일역류방지용 소공을 가진 오일순환로를 형성한 관 본체의 일측면에는 오일유입공을 형성한 기관연결부로 형성하고 타측면에는 오일유출공을 형성한 보조윤활장치 연결부로 형성하여서 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일은 기관 내부에서 마찰부위에 침투하여 기관의 마모와 마찰손실을 줄이고, 오일에 함유된 각종 첨가제의 기능에 의해 기관의 부식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오일의 사용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기관의 마모를 생성되는 금속찌꺼기와 마찰열에서 발생하는 카본 및 기타 슬러지의 발생으로 각종 첨가제가 용해 소멸되고, 기관 내부에서 생성되는 수분이 미연소된 연료와 혼합하여 유발시키는 황산등에 의하여 기관을 부식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왕 같은 오일의 사용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해결하여 오일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하여 내연기관의 일측에 기존의 오일필터를 부착 사용하므로서 기관 내부에서 1차 순환된 오일이 오일펌프를 거쳐 오일필터를 거치면서 오일에 함유된 고체불순물을 어느정도 여과 제거하여 주어서 오일의 사용수명을 연장하여 주었던 것이나,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오일에 함유된 각종 첨가제가 소멸되어서 제기능과 효과를 제공받을 수 없게 되어 일정시간이나 주행거리에 따라서 주기적으로 오일과 오일필터를 교환하여 주어야 하므로서 기관의 관리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어서 사용자에게 각종 불편함과 경제적 손실을 주었던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최근에는 오일에 함유된 고체 및 액체의 불순물을 최대한 제거하고 각종 첨가제의 용해 소명를 최대한 지연시켜 주므로서 오일필터에 비하여 오일의 사용수명을 몇배나 증대시킨 보조 윤활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단계에 이르렀으나, 이와같은 보조윤활장치는 기관의 오일순환계통에 연결 착설하여야만 최대의 오일여과 및 정제작용을 제공받게 되므로서 이를 기관에 연결 착설하기 위하여 오일의 적절 순환 라인을 찾다 보면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연결 착설부분의 가공 및 변경제작동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으며 연결부분마다 오일의 유출방지를 위하여 부속품을 정밀하게 조립하여야 하고 그에 따른 소요부품이 많은등의 어려움과 불편함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각종 문제점들을 해결 보완하여서 누구나 간편하게 연결 착설할 수 있도록 제작된 내연관의 보조윤활장치 연결간을 제공하고저 함에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연결관 본체를 구성함에 있어서, 중앙부를 관통시켜서 주연부에 여러개의 오일역류방지용 소공(3)을 가진 오일순환로(2)를 형성한 관 본체(1)의 일측면에는 여러개의 오일유입공(5)을 패킹착설 요홈륜(6)을 형성한 기관접속부(4)로 형성하고, 타측면에는 하나의 오일유출공(8)을 가진 보조윤활장치 접속부(7)로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보존윤활장치 연결관이다.
첨부 도면중 미설명부호 9는 밀폐용 패킹, 10은 예비의 오일 유출공 마개, 11은 보조윤활장치, 12, 13은 보존윤활장치(11)로 오일을 유입 및 유출시키는 유입관 및 유출관, 14는 기관을 각각 나타낸다.
이와같은 본 고안의 내연기관의 보조윤활장치 연결관은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보존윤활장치(11)를 기관(14)에 연결 착설할때, 기존의 오일필터를 제거한 후 기존의 오일유입관(12) 및 유출관(13)을 이용하여 보조윤활장치(11)와 본 고안의 연결관(1)을 연결 착설하고 다시 연결관(1)과 기판(14)을 연결 착설하므로서 간편하게 보존윤활장치(11)의 장착작업을 끝낼 수 있는 것으로, 보조윤활장치(11)의 연결착설에 많은 부속의 필요성이 없으며 부착작업과 공정이 간단하여 소요시간과 경비의 절감을 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누구나 손쉽고 간편하게 연결 착설작업을 단시간에 할 수 있는 효과와 실용성을 제공받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연결관(1)을 사용하여 보조윤활장치(11)를 기관(14)에 연결 착설할때 연결관 본체(1)의 일측에 형성된 기관접속부(4)의 패킹 착설 요홈륜(6)에 밀폐용 패킹(9)을 삽입 착설하여서 오일의 유출을 방지하고, 타측에 형성된 보조윤활장치 접속부(7)의 오일유출공(8)과 오일순환로(2)에는 각각 보존윤활장치(11)와 연결된 오일의 유입관(12) 및 유출관(13)을 각각 연결 착설하여서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기관(14)을 1차 순환한 오일이 연결관 본체(1)의 일측에 형성된 기관접속부(4)의 오일유입공(5)을 통하여 연결관 본체(1)내에 유입되어서 타측에 형성된 보조윤활장치 접속부(7)의 오일유출공(8)으로 유출되어 오일유입관(12)을 통하여 보조윤활장치(11)로 유입되어 여과작업과 정제작업을 거친후 다시 오일 유출관(13)을 통하여 유출되어 연결관 본체(1)의 중앙부에 형성된 오일순환로(2)를 거쳐서 기관(14)으로 공급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기관(14)에 보조윤활장치(11)의 연결 착설작업을 최대한 간편하게 할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기관(14)에의 가공이나 변경제작 및 연결부속품의 과다 소모를 방지하므로서 시간과 경비의 절감을 꾀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누구나 간편하게 사용하여 보조윤활장치의 기능과 효과를 최대로 제공받을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연결관 본체를 구성함에 있어서, 중앙부를 관통시켜서 주연부에 여러개의 오일역류방지용 소공(3)을 가진 오일순환로(3)를 형성한 관 본체(1)의 일측면에는 여러개의 오일유입공(5)과 패킹 착설 요홈륜(6)을 형성한 기관접속부(4)로 형성하고, 타측면에는 하나의 오일유출공(8)을 가진 보조윤활장치 접속부(7)로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보조윤활장치 연결관,
KR2019870001585U 1987-02-13 1987-02-13 내연기관의 보조윤활장치 연결관 KR9000022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1585U KR900002230Y1 (ko) 1987-02-13 1987-02-13 내연기관의 보조윤활장치 연결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1585U KR900002230Y1 (ko) 1987-02-13 1987-02-13 내연기관의 보조윤활장치 연결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6411U KR880016411U (ko) 1988-10-08
KR900002230Y1 true KR900002230Y1 (ko) 1990-03-15

Family

ID=19259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01585U KR900002230Y1 (ko) 1987-02-13 1987-02-13 내연기관의 보조윤활장치 연결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223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6411U (ko) 1988-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80007280A (ko) 부식방지용 냉각수 여과기 장치
US3463317A (en) Adapter unit for a fluid filter and a fluid cooler
US4433656A (en) Automotive oil filter precharging arrangement
US5813382A (en) Oil pan drain port adapter system for engine flushing apparatus
US5957240A (en) Apparatus for engine oil replacement
KR900002230Y1 (ko) 내연기관의 보조윤활장치 연결관
US5454355A (en) Engine oil inlet adapter
JPH081129B2 (ja) 水冷式4サイクルエンジンのエンジンオイル冷却装置
KR930005861A (ko) 선미관의 윤활유 누설방지 장치
KR100250055B1 (ko) 엔진오일 여과용 오일필터
KR200159444Y1 (ko) 누유방지구조를 갖는 리저버탱크 구조
JPH0227111A (ja) 油冷エンジンの油冷装置
KR100221729B1 (ko) 실린더 헤드 윤활용 오일공급라인
KR19980041282U (ko) 오일의 바이패스 구조
JP2623370B2 (ja) 油冷併用空冷エンジンの強制潤滑装置
KR0125304Y1 (ko) 차량용 오일탱크
SU1035252A1 (ru) Система смазки оппозитного двигател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 с туннельным картером
KR200203464Y1 (ko) 윤활오일 냉각기를 구비한 오일필터
JPS6145284Y2 (ko)
KR970045633A (ko) 워터펌프의 베어링마모구조
JPS6345528Y2 (ko)
KR970045631A (ko) 워터펌프의 베어링 마모방지구조
KR960005513Y1 (ko) 엔진의 윤활장치
SU1288312A1 (ru) Система смазки двигател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
KR970045632A (ko) 워터펌프의 베어링 마모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