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1433Y1 - 대나무판재를 이용한 가구 - Google Patents

대나무판재를 이용한 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1433Y1
KR960001433Y1 KR2019930020533U KR930020533U KR960001433Y1 KR 960001433 Y1 KR960001433 Y1 KR 960001433Y1 KR 2019930020533 U KR2019930020533 U KR 2019930020533U KR 930020533 U KR930020533 U KR 930020533U KR 960001433 Y1 KR960001433 Y1 KR 9600014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iture
bamboo
bamboo board
skelet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05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0778U (ko
Inventor
김춘섭
Original Assignee
김춘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춘섭 filed Critical 김춘섭
Priority to KR20199300205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1433Y1/ko
Publication of KR9500107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077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14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4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5/00Chairs of special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대나무판재를 이용한 가구
제 1 도는 본 고안에 따른 대나무판재를 이용한 가구의 일실시예로서 본 고안을 의자에 실시한 상태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에 따른 대나무판재를 이용한 가구에 있어서 대나무판재를 도시한 평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에 따른 대나무판재를 이용한 가구에 있어서 판재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l : 골격 2 : 홈
3 : 대나무 판재 4 : 통풍홈
5 : 마감재 6 : 보조지지대
본 고안은 의자, 시트, 침대등 기타 가구들을 대나무판재를 이용하여 조립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외관이 미려하여 장식적 효과가 높고 통풍 및 척추교정의 효과 또한 얻을 수 있도록 돤 대나무판재를 이용한 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가구들은 철재 또는 원목을 가공한 판재와 탄성재를 이용하여 조립하는 방법으로 제작되어 있는데, 이러한 가구들에 있어서 특히 의자나 침대등의 경우에는 사용자의 몸이 접하는 부분에 탄성재(예를 들어 스폰지)가 들어 있기 때문에 통풍이 원활하지 못하고 특히 안락의자나 침대와 같이 탄성재를 두텁게 사용한 제품에 있어서는 장기 사용에 의하여 사용자의 척추가 정상을 벗어나 휘어지게 되어 건강적인 측면에서도 바람직하지 못한 문제점 또한 발생하게 되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일반적인 실내용 가구들을 대나무판재를 이용하여 조립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외관이 미려하여 장식적 효과를 높일 수 있음은 물론 통풍이 극히 양호하고 대나무특유의 자체탄성에 의하여 어느 정도의 탄력을 유지하면서도 척추교정의 효과 또한 얻을 수 있도록 된 대나무판재를 이용한 가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은 골격에 의하여 기본적인 소정의 형태를 유지하고 잇는 가구에 있어서, 소정된 길이를 가지고 있으며 다수의 통풍홈을 구비하고 있는 다수의 대나무판재와, 상기 대나무판재가 조립되어지는 위치의 골격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대나무판재의 양단이 결합될 수 있도록 된 홈과, 상기 골격의 홈에 조립된 대나무판재의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골격의 외관을 장식할 수 있도록 된 마감재로 구성되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대나무판재를 이용한 가구를 제공하므로서 달성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에 따른 대나무판재를 이용한 가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제 1 도는 본 고안에 따른 대나무판재를 이용한 가구의 일실시예로서 본 고안을 의자에 실시한 상태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이고, 제 2 도는 본 고안에 따른 대나무판재를 이용한 가구에 있어서 대나무판재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제 3 도는 본 고안에 따른 대나무판재를 이용한 가구에 있어서 판재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다. 상기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대나무판재를 이용한 가구는 골격(1)에 의하여 가구들의 기본적인 형태가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골격(1)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도면에 있어서는 의자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와 같이 의자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이러한 골격(1)의 형태는 시트, 침대등 가구들의 형태에 따라 그 기본적인 구성 또한 달라지게 되는 것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골격(1)들의 소정된 위치 즉, 후술하는 대나무판재(3)가 조립되어지는 위치에는 이 대나무판재의 양단이 결합될 수 있도록 된 홈(2)이 골격(1)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있다.
상기 골격(1)의 소정된 위치에 구비된 홈(2)에 결합되며 임의의 길이를 갖는 다수의 대나무판재(3)들은 조립되었을 때 통풍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통풍홈(4)들이 구비되어 있는데, 이 대나무판재(3)들은 촉감 또는 수명의 연장을 고려하여 전체를 천연피혁, 인조피혁 등으로 감싸거나 장식적인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다양한 색채와 문양을 표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골격(1)의 홈(2)에 조립된 대나무판재(3)의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골격(1)의 외관을 장식할 수 있도록 된 마감재(5)는 대나무판재(3)가 조립된 홈(2)에 접착제등의 접착수단에 의하여 접착되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대나무판재를 이용한 가구에 있어서, 가구의 종류나 조립되는 위치에 따라 하중을 많이 받는 곳에는 대나무판재(3)의 하부 적절한 위치에 보조지지대(6)를 사용하므로서 대나무판재(3)가 하중에 의하여 휘어지거나 꺽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대나무를 이용한 가구의 조립방법은 도면 제 3 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골격(1)에 구비된 홈(2)에 접착제를 칠하고 대나무판재(3)의 양단에 접착제를 칠하여 대나무판재(3)의 양단을 골격(1)의 홈(2)에 결합시킨 후 상기 대나무판재(3)가 접착된 홈(2) 부분에 접착제에 의하여 마감재(5)를 접착하면 간단히 조립이 완료되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대나무를 이용한 가구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대나무판재(3)는 길이방향으로 직선형태를 갖는 판재로 도시되어 있으나 대나무는 휘어지고 복원되는 자체탄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이렇게 휘어지는 성질을 이용하여 대나무판재를 구부리게 되면 가구의 어떠한 곡면처리도 무난히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대나무판재를 이용한 가구는 기본적인 가구의 골격에 대나무판재를 조립하므로서 외관이 미려하여 장식적 효과를 높일 수 있음은 물론 통풍이 극히 양호하고 대나무특유의 자체탄성에 의하여 어느정도의 탄력을 유지하면서도 척추교정의 효과 또한 얻을 수 있는 극히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소정 형상의 골격(1)으로 이루어지고, 그 골격(1)의 내외측면 소정 위치에는 결합용의 홈(2)이 형성되며,상기 홈(2)에는 대나무판재(3)의 양단이 서로 잇대어 끼워져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대나무판재(3)를 이용한 가구에 있어서,
    상기 대나무판재(3)는 소정의 폭과 길이로 이루어지며, 전후방향 양측면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통풍홈(4)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판재를 이용한 가구.
KR2019930020533U 1993-10-08 1993-10-08 대나무판재를 이용한 가구 KR9600014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0533U KR960001433Y1 (ko) 1993-10-08 1993-10-08 대나무판재를 이용한 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0533U KR960001433Y1 (ko) 1993-10-08 1993-10-08 대나무판재를 이용한 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0778U KR950010778U (ko) 1995-05-15
KR960001433Y1 true KR960001433Y1 (ko) 1996-02-17

Family

ID=19365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0533U KR960001433Y1 (ko) 1993-10-08 1993-10-08 대나무판재를 이용한 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143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563B1 (ko) * 2007-06-25 2009-09-16 방길선 대나무편을 이용한 테이블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0778U (ko) 1995-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3028099A (en) Bedstead
KR960001433Y1 (ko) 대나무판재를 이용한 가구
CA2141088A1 (en) Wire spring assemblies made of nestably stackable half units
USD362578S (en) Laminated seat cushion
DE29716992U1 (de) Liegemöbel mit verschwenkbarem Fuß- und/oder Kopfteil
JPH018210Y2 (ko)
DE29608468U1 (de) Sitz-Liege-Möbel mit mehreren Polsterteilen
DE9416801U1 (de) Sitz-Liege-Möbel mit mehreren Polsterteilen
FR2733674B1 (fr) Siege a prendre deux positions, une position chaise et une position misericorde
KR200211417Y1 (ko) 폐목재를 이용한 의자 다리
KR200288622Y1 (ko) 평판과 지주의 연결부위에 설치되는 가구용 완충부재
KR200252513Y1 (ko) 장롱
KR200222780Y1 (ko) 양면 나무자리
JPS6345963Y2 (ko)
CN2225190Y (zh) 栅板式沙发
USD286474S (en) Seat
DE9311896U1 (de) Sitz- oder Liegemöbel
GB2200540A (en) Chair
DE29514250U1 (de) Sitz-Liege-Möbel mit mehreren Polsterteilen
DE9400700U1 (de) Sitz-Liege-Möbel mit mehreren Polsterteilen
KR200369060Y1 (ko) 가구의 장식판 부착구조
EP2096960A1 (en) An article of furniture
ITMI950054A1 (it) Elemento di imbottitura per mobili dotato di anima interna flessibile con sede per l'inserimento di un elemento rigido di supporto
DE9319803U1 (de) Sitz-Liege-Möbel mit mehreren Polsterteilen
WO2004043208A1 (en) Reinforced part of woven furnitur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