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1091Y1 - 수상용 조립식 부반구(浮盤具) - Google Patents
수상용 조립식 부반구(浮盤具)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60001091Y1 KR960001091Y1 KR2019930008716U KR930008716U KR960001091Y1 KR 960001091 Y1 KR960001091 Y1 KR 960001091Y1 KR 2019930008716 U KR2019930008716 U KR 2019930008716U KR 930008716 U KR930008716 U KR 930008716U KR 960001091 Y1 KR960001091 Y1 KR 96000109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oyancy
- screw
- buoyancy body
- angle
- stay bolt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 1 도는 일부를 분리한 본 고안의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에 조립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에 따른 보울트의 단면작용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부력체 2,2',2'' : 나사관
3 : 스테이 보울트 3' : 각머리
4a : 오른나사 4b : 왼나사
5 : 유동방지체 6 : 앵글
8 : 마감재
본 고안은 수상에서 수상시설물의 설치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수상용 조립식 부반구에 관한 것이며, 특히 양호한 조립성, 수상설치물의 하중과 규모에 맞는 설치면적의 확보용이, 부력의 증감용이, 상면(床面)의 평탄성확보에 따른 판재의 후시공성 용이, 파랑으로 인한 물젖음방지에 유효한 수상용 조립식 부반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상체육시설, 수상휴식공간, 수상주차공간, 수상가옥등의 시설물을 설치하려면 부력이 큰다수의 부재를 사방으로 연결하여 소정의 면적으로 된 부반구를 구성하고, 이 부반체의 표면에 판재를 깔아 평탄하게 면을 조성한 후에 목적하는 바의 수상시설물을 설치할 수 있는 시설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통례였다.
지금까지는 이러한 부반체구성용 부재로서는 주로 속이 빈 금속 또는 플라시틱제 드럼통이 주종이었고, 밀봉한 드럼통을 소요수대로 수면에 나란히 띄워놓고 긴 막대기를 드럼통의 겉에 대로 로우프같은 엮음줄로 이리저리 얽어메서 전체가 하나의 부반체가 되도록 구성하고, 이 부반체의 표면에는 탄성재등을 잇대어 설치하였다.
그러나 이런 식으로 구성한 부반체는 미관이 조악스럽고, 이는 물결에 드럼통들이 출렁거리는 소음도 컸다. 또, 파랑에 의해 각 드럼통이 제각기 유동되므로서 표면이 판재가 쉽게 파손되는 경향도 있었다. 특히 필요에 따라 부반체의 넓이를 확장 또는 가감하기가 매우 곤란하고, 해수면에 설치할 경우에는 염도 때문에 금속제 로우프와 드럼통은 쉽게 부식되어 기계적 사용수명이 짧았던 점도 문제였다.
따라서, 본고안의 목적은 양호한 조립성, 수상설치물의 하중과 규모에 맞는 설치면적이 확보용이, 부력의 증감용이, 상면(床面)의 평탄성확보에 따른 판재의 후시공성 용이, 파랑으로 인한 물젖음방지에 유효한 수상용 조립식 부반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고안은 방자상의 격자로 형성되고 상하 및 전주면에 상하, 앞뒤 또는 죄우방향으로 부력체간 또는 요동방지체와의 접속용 나사관을 그리고 위 아래 가장자리에는 앵글부착용 나사관을 매입한 부력체와; 상면과 전주면에 부력체의 저면 및 최하층 부력체의 밑면에 상기와 같은 기능의 나사관을 매입한 역삼각형 단면의 부력성 요동방지체와; 부력체간 또는 부력체와 요동방지체간의 접속에 이용하는 스테이 보울트와; 파랑부상방지용 앵글로 이뤄지는 수상용 조립식 부반구를 특징으로 한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 작성한 첨부도면에 따라 구체적으로 본고안을 설명한다.
제 1 도는 일부를 분리한 본 고안의 사시도이다. 이 그림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부력체(1)와 유동방지체(5),앵글(6),마감재(8)로 구성된다.
부력체(1)는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등의 격자상이며, 발포우레탄수지 또는 발포스티렌수지제 성형물이다. 부력체(1)의 네주면과 상, 하면에는 접속용 나사관(2,2')이 매입되어 있고, 상면쪽 가장자리에는 앵글부착용 나사관(2'')이 매입돼 있다.
나사관중에서도 직각으로 이어지는 두 면의 접속용 나사관(2)은 오른나사로 하고 나머지 두 면의 나사관(2')은 왼나사로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이를 테면 앞면과 우측면의 나사관(2)은 오른나사로 하고 뒷면과 죄측면의 나사과(2')은 왼나사로 형성하는 것이다. 이것은 인접한 부력체(1)끼리를 오른나사(4a)와 왼나사(4b)를 가진 스테이 보울트(3)로 접속하기 편하게 하려는 의도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리고 앵글부착용 나사관(2'')은 주로 쓰이는 오른나사의 것이 바람직하다.
각 나사관(2,2',2'')은 부력체(1) 및 요동방지체(5)에 매입된 상태에서 훨거워 빠진다거나 헛돌지 않도록 외주면에 돌기(2a)를 형성한다.
여기서, 스테이 보울트(3)란 중앙에 각머리(3')가 위치하고 각머리(3')의 양방향에 왼나사(4b)와 오른나사(4a)가 부여된 것으로, 턴버클대용물이다. 상기 왼나사의 나사관(2)에는 스테이보울트(3)의 왼나사(4b)가 체결되고 오른나사의 나사관(2')은 스테이 보울트(3)의 오른나사(4a)가 체결될 자리이다.
턴버클에 있어서는 버클을 일방향으로 돌리면 왼나사와 오른나사가 동시에 죄어들고 버클을 상기와는 반대방향으로 돌리면 왼나사와 오른나사가 동시에 풀린다.
하지만 턴버클은 버클이 길어서 부력체(1)간의 접속간격이 넓어 틈이 벌어지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부력체(1) 조립용 접속구로서는 부적합하다. 턴버클에 비해 현저히 짧은 각머리를 가진 스테이 보울트(3)로 부력체(1)을 연결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각머리(3')는 스패너를 끼워서 돌리기 위한 것이다.
스테이 보울트(3)는 제 3 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오른나사(4a)의 머리(4')가 있는 통상의 보울트로하고 왼나사(4b)는 각머리일체형 보울트로 구성하되 각머리(3')를 각공(3'')을 지니게하여 오른나사(4a)의 머리(4')를 각공(3'')속에 집어넣고 크라우닝가공해 오른나사(4a)의 머리(4')가 빠지지 않게 함과 동시에 상기 오른나사(4a)가 각머리(3')상에서 임의 방향으로 편위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런 구조의 스테이 보울트(3)는 부력체(1)간 또는 부력체(1)와 요동방지체(5)간에 유동성이 있는 때에 스테이 보울트(3)가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어 스테이 보울트(3)의 오른나사(4a)와 왼나사(4b)의 축방향에 직각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의 방향이나 파랑에도 불구하고 스테이 보울트(3)의 파손을 방지하는데 아주 유효하다. 도면 부호중G는 보울트(4b)의 머리와 각머리(3')의 내주면간에 남는 간극을 표시한다.
요동방지체(5)는 이등변 역삼각형 단면을 한 부력체로서, 수중에서 수파에 대한 지지력을 높여 부반체가 요동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아주는 부재로서, 상기 부력체(1)의 편면모양과 평면적을 같이한다.
또, 앵글(6)은 상하 부력체(1)간 및 좌우 부력체(1)간의 접속부를 강화함과 동시에 파랑이 부반구의 상위부력체(1)쪽으로 튀어오르는 것을 막아주는 것으로, 상기 나사관(2'')이 배치된 곳과 같은 위치마다 체결공이 천공되어 있어 보울트(7)로 체결하게 된다.
마감재(8)는 부력체(1)간의 틈새(H), 부력체(I)와 요동방지체(5)간의 틈새(H), 및 요동방지체(5)간의 틈새(H)에 삽입하여 틈을 막고 완충역할을 하기 위한 고무제이다.
이와같은 요소들로 이뤄지는 본 고안은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상시설물의 규모에 맞춰 거기에 상당하는 부력체(1)를 전후, 좌우로 대충 늘어놓고 서로 마주보는 면의 나사과(2)과 (2')이 한쌍을 이루게 조정한 다음에 일측 부력체(1)의 나사관(2)에는 스테이 보울트(3)의 오른나사(4a)를 임시로 체결하고 상기 부력체(1)에 인접한 다른 부력체(1)의 나사관(2')에는 상기 스테이 보울트(3)의 왼나사(4b)를 역시 임시로 체결한 다음에 각머리(3)에 스패너는 걸어 죄는 방향으로 돌린다.
그러면 오른나사(4a)와 왼나사(4b)가 동시에 죄어들면서 인접한 두 부력체(1,1)끼리 접속되는 것이다. 맨 하위의 부력체(1)밑에 요동방지체(5)를 접속하는 요령 또한 이와같다. 이때, 각 접속부의 틈새(H)마다 마감재(8)를 삽입하는 것을 잊어서는 안된다.
이처럼 스테이 보울트(3)로 부력체(1)와 부력체(1), 부력체(1)와 요동방지체(5)를 접속하여 부반체를 이룰 때 부력체(1)간 또는 부력체(1)와 요동방지체(5)가 시로 상대하는 나사관(2,2')(2,2'') 또는 (2',2'')의 중심이 불일치하는 사례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테이 보울트(3)의 왼나사(4b)가 머리(4')가 각머리(3')내에서 간극(G)을 유지한 채 결합되어 있으므로 양 나사간의 중심선의 불일치정도에 따라 각 도변환을 하게되므로 접속에는 아무런 지장도 받지 않는다.
유동방지체(5)는 역삼각형 갖고 있으므로 길이방향으로 도래하는 파랑은 지나쳐보내고 측면방향에서 도래하는 물결은 양쪽의 빗면으로 빗겨나가도록 유도한다.
이같은 파랑의 분산작용에 따라 부력체(1)의 유동성이 감소되는 것이다.
또, 앵글(6)은 부력체(1)간의 접속력을 강화하는 동시에 물결이 부반구의 부력체(1)측면을 타고 올라가는 것을 막아주어 윗쪽 부력체(1)의 주면이 물에 젖는 것을 방지한다.
마감재(8)는 부반체의 표면이 평활면을 이루게 도와주는 일도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부력체와 부력체, 부력체와 요동방지체를 스패너로 틀어서 죄고 풀 수 있는 동시에 축향에 대하여 편위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한 스테이 보울트로 접속하여 수상시설물의 하중과 규모에 맞는 부반체로 조립할 수 있게 한 것으로, 부반체의 면적 빛 수상설치물의 하중에 따른 부력의 증감 및 면적의 증감이 용이하고, 부반체의 상면도 평활해 평탄성이 확보됨에 따라 판재의 후시공성도 향상되며, 또한 요동방지체의 독특한 구조는 파랑에 대한 부반체의 요동방지는 물론 물결이 상부 부력체를 적시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아준다.
Claims (1)
- (정정)방자상의 격자로 형성되고 상하 및 전주면에 상하, 앞뒤 또는 좌우방향으로 부력체간 또는 요동방지체와의 접속용 나사관(2,2')을 그리고 위 아래 가장자리에는 앵글부착용 나사관(2'')을 매입한 부력체(1)와;상면과 전주면에 부력체(1)의 저면 및 최하위 부력체(1)의 밑면에 상기와 같은 기능의 나사관을 매입한 역삼각주 모양의 요동방지체(5)와; 부력체(1)간 또는 부력체(1)와 요동방지체(5)간을 접속하는 스테이 보울트(3)와; 파랑부상방지용 앵글(6)로 이뤄지는 수상용 조립식 부반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30008716U KR960001091Y1 (ko) | 1993-05-21 | 1993-05-21 | 수상용 조립식 부반구(浮盤具)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30008716U KR960001091Y1 (ko) | 1993-05-21 | 1993-05-21 | 수상용 조립식 부반구(浮盤具)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40026688U KR940026688U (ko) | 1994-12-09 |
KR960001091Y1 true KR960001091Y1 (ko) | 1996-02-07 |
Family
ID=19355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30008716U KR960001091Y1 (ko) | 1993-05-21 | 1993-05-21 | 수상용 조립식 부반구(浮盤具)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60001091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81556B1 (ko) * | 2005-06-27 | 2007-02-09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선박의 부가부력 진수공법 및 이에 적합한 장치 |
-
1993
- 1993-05-21 KR KR2019930008716U patent/KR960001091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81556B1 (ko) * | 2005-06-27 | 2007-02-09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선박의 부가부력 진수공법 및 이에 적합한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40026688U (ko) | 1994-12-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402908B2 (en) | Dock system | |
US7640881B1 (en) | Dock system | |
KR101536278B1 (ko) | 추가부력체를 설치할 수 있는 부력체지지홀더와 이를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 | |
US5568909A (en) | Mounting bracket | |
KR101806193B1 (ko) | 롤링을 저감하며 복원성을 높인 해상부유구조물 | |
EP0038218A1 (en) | Float for loading hoses | |
KR101040014B1 (ko) | 조립형 부구 | |
US5454665A (en) | Artificial reef | |
KR960001091Y1 (ko) | 수상용 조립식 부반구(浮盤具) | |
CA1147611A (en) | Utility distribution system for marine floats | |
US6257164B1 (en) | Dock joint structure | |
KR200435836Y1 (ko) | 양식장용 플로트의 결합구조 | |
KR102140992B1 (ko) | 조립식 부표 | |
KR200435478Y1 (ko) | 플로트 조립체의 상부 구조물 | |
JP3606821B2 (ja) | 内水圧が作用する水路用の可撓性耐震接合構造 | |
KR102395681B1 (ko) | 소파 기능과 횡동요 방지 기능을 갖는 부잔교 | |
JP2001311112A (ja) | フロート装置 | |
KR102136876B1 (ko) | 플로트 조립체 | |
KR101818089B1 (ko) | 수상 부유구조물 연결체 | |
KR960008683Y1 (ko) | 조립식 부력체 구조물 | |
KR101924779B1 (ko) | 다기능 해상부유구조물 | |
KR200441485Y1 (ko) | 해상부유구조물 | |
GB2244784A (en) | Elastomeric mounting | |
JPS6315370Y2 (ko) | ||
JP2676545B2 (ja) | 浮揚体及び浮揚構造物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