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1050Y1 - 육묘용 트레이(tray) - Google Patents

육묘용 트레이(tr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1050Y1
KR960001050Y1 KR2019930012773D KR9212773D KR960001050Y1 KR 960001050 Y1 KR960001050 Y1 KR 960001050Y1 KR 2019930012773 D KR2019930012773 D KR 2019930012773D KR 9212773 D KR9212773 D KR 9212773D KR 960001050 Y1 KR960001050 Y1 KR 9600010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lings
tray
cells
plate body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2773D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기병
Original Assignee
홍농종묘주식회사
이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농종묘주식회사, 이덕훈 filed Critical 홍농종묘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12773D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10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10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050Y1/ko

Links

Landscapes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육묘용 트레이(TRAY)
제 1 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평면 상태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판체 2 : 셀
2a : 배수구멍 3 : 연결막
4 : 통기공
본 고안은 육묘용 트레이(TRAY)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볍씨 재배용 트레이에 다수의 통기공을 천공하여 원활히 자연 통풍이 되도록 하여 묘재배시 묘의 성장을 균일하도록 고안된 것이다.
최근에는 영농의 기계화로 인해 볍씨를 별도의 트레이에서 생장시킨 후 이를 파종기를 통해 논에 파종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현재 사용되고 있는 육묘용 트레이는 대부분이 상광하협형의 묘생장용 셀(cell)이 원형이나 사각 또는 육각형태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육묘용 트레이에서 묘의 재배시 묘의 생육이 불균일 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즉, 셀(cell)에 파종된 묘의 생장시 트레이의 외주면부에 형성된 셀에 파종된 묘는 자연통풍이 원활하여 정상적으로 균일하게 생장하는데 반해, 트레이의 중심부에 형성된 셀에서 생장하는 묘는 자연통풍이 불량한 관계로 불균일한 길이로 성장하는 등의 폐단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소하고자 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묘재배시 육묘용 트레이의 전체에 원활히 자연통풍이 되도록 하므로써 각각의 셀에서 생장하는 묘들이 균일길이로 생장할 수 있도록 된 육묘용 트레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일정크기의 판체(1)에 육각형상의 셀(2)이 균일 간격으로 다수 형성된 육묘용 트레이에 있어서, 상기 셀(2)의 소정간격사이에 형성된 연결막(3)에 통기공(4)을 뚫어지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육묘용 트레이는 일정크기의 판체(1)에 볍씨 생장용 셀(2)이 소정의 간격으로 균일하게 배열된 것이다.
이때, 각각의 셀(2)의 바닥면에서는 배수구멍(2a)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 셀(2)은 상광하협형의 원형이나 사각 또는 육각형으로 형성된 것이면 어느 것이든 무방하나, 특히 육각형상의 셀(2)을 균일하게 배열하되 전체적으로 벌집형을 이루도록 하면 육묘의 배열과, 시각적인 측면등을 감안하면 효과적이다.
상기 통기공(4)은 판체(1)에 소정의 간격으로 균일하게 벌집형으로 배열된 셀(2)이 사이 사이에 적당간격으로 형성된 연결막(3)상에 천공된 것으로 첨부도면 제 2 도에서와 같이 셀(2)이 형성된 판체(1)의 외주면 보다는 중심부에 뚫어지게 성형하는 것이 좋다.
즉, 묘의 생장시 판체(1)의 외주면부에 형성된 셀(2)에서 생장하는 묘에는 비교적 자연통풍이 원활히 이루어짐에 따라 비교적 고르게 생장하는데 반하여, 판체(1)의 중심위치로 갈수록 통풍이 원활치 못하여 판체(1)의 외주면부에 형성된 셀(2)들에 위치한 묘보다 중심위치에 형성된 셀(2)에 위치한 묘들이 더 길게(윗자람) 자라게 되어 전체적으로 불균형을 초래하는 것이다.
따라서, 외기와 근접되게 위치되는 판체(1)의 주변에는 상기 통기공(4)을 성형하지 않고, 비교적 육묘가 치밀하게 성장되며 외기로부터 떨어져 위치되는 중앙부의 위치로 통기공(4)을 뚫어지게 함으로써, 공기가 골고루 순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제 3 도는 이와 같이 고른 통풍을 위해 대기와 육묘와의 거리가 비교적 가까운 판체(1)의 주변으로는 셀(2)이 2-3 열이 성형된 위치로 연결막(3) 및 이에 뚫어지는 통기공(4)을 배열하지 않도록 성형되는 상태를 예로서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전체적으로 첨부도면 제 3 도에서와 같이 묘의 생장시 판체(1)의 외주면부 뿐만 아니라, 중심부위치에 까지 소정간격으로 형성된 셀(2)의 사이 사이에 위치한 연결막(3)상에 천공된 통기공(4)을 통하여 원활히 자연통풍이 이루어 짐으로써 각각의 셀(2)들에 위치한 묘들이 균일하게 생장하도록 한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2)

  1. 셀(2)이 종, 횡으로 다수 반복되게 성형되는 판체(1)를 구성한 것에 있어서,
    상기 셀(2)의 소정간격 사이 사이에 형성된 연결막(3)에 통기공(4)이 뚫어지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용 트레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공(4)은 판체(1)의 외주면부에서부터 중심부로 적어도 2열 내지 3열은 형성되지 않도록 성형함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용 트레이.
KR2019930012773D 1992-07-12 1992-07-12 육묘용 트레이(tray) KR9600010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2773D KR960001050Y1 (ko) 1992-07-12 1992-07-12 육묘용 트레이(tr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2773D KR960001050Y1 (ko) 1992-07-12 1992-07-12 육묘용 트레이(tra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1050Y1 true KR960001050Y1 (ko) 1996-02-07

Family

ID=19336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2773D KR960001050Y1 (ko) 1992-07-12 1992-07-12 육묘용 트레이(tra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105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54075A (en) Plant tray
KR960001050Y1 (ko) 육묘용 트레이(tray)
KR20210052643A (ko) 육묘 트레이
JP2601708Y2 (ja) 育苗用トレー
JPH055881Y2 (ko)
RU214346U1 (ru) Стаканчик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зеленых культур
KR200309864Y1 (ko) 육묘 트레이
KR200359219Y1 (ko) 활엽수용 양묘 포트
JP3235463U (ja) 育苗棚
JPS5912056Y2 (ja) 水栽培器
KR100696610B1 (ko) 산파묘용 벼 육묘상자
JP2528731Y2 (ja) 育苗用トレー
KR20110101545A (ko) 시설양묘용 용기받침대
JP2001157518A (ja) ひまわりの栽培法及びひまわり栽培用構造体
KR890000295Y1 (ko) 수경 재배용 화분
JPH10257826A (ja) 育苗箱
KR200210174Y1 (ko) 육묘용 트레이
JPH0715400Y2 (ja) 茸及び野菜兼用栽培装置
KR200238307Y1 (ko) 식물 재배장치
JPH08130988A (ja) セルトレー
KR20230016115A (ko) 지피포트를 이용한 저면관수식 육묘방법 및 저면관수장치
JPH0273948U (ko)
KR200183234Y1 (ko) 배수돌편이 구비된 육묘상자
JP3016388U (ja) 移植用苗の集合育苗器
KR200401891Y1 (ko) 새싹 재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