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1035Y1 - 좌석버스용 요금함 - Google Patents

좌석버스용 요금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1035Y1
KR960001035Y1 KR2019930015738U KR930015738U KR960001035Y1 KR 960001035 Y1 KR960001035 Y1 KR 960001035Y1 KR 2019930015738 U KR2019930015738 U KR 2019930015738U KR 930015738 U KR930015738 U KR 930015738U KR 960001035 Y1 KR960001035 Y1 KR 9600010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e
container
cover
charge container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57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7076U (ko
Inventor
민경돈
Original Assignee
민경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경돈 filed Critical 민경돈
Priority to KR20199300157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1035Y1/ko
Publication of KR9500070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70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10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0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00Coin dispens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6Coin box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좌석버스용 요금함
제 1 도의 (a)와 (b)는 본 고안의 요금함을 나타내는 일부 단면 사시도
제 2 도의 (a)는 (b)는 본 고안의 잠금뭉치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 사시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클램프를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요금투입구 11 : 요금수거통 설치 공간
12 : 요금함 케이스 13 : 동전배출장치
14 : 요금수거통 20 : 클램프
21 : 잠금고리 22 : 커버
23 : 걸림판 24 : 잠금뭉치
본 고안은 좌석버스용 요금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요금이 담겨져 있는 요금 수거통이 요금함 케이스로부터 빠져나올 때 요금수거통의 상부가 닫혀진 상태로 빠져나올 수 있게 한 좌석버스용 요금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좌석버스용 요금함은 상부에 투명 아크릴재로 된 요금투입구 및 하부에 요금수거통을 끼울 수 있는 설치공간을 각각 갖는 요금함 케이스와, 상기 요금함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거스름돈 배출용 동전배출장치, 요금수거통 및 이 요금수거통으로 떨어지기 전에 일정액의 요금을 임시 모아두는 요금차단판으로 구성되며, 요금 케이스의 외측으로는 운전자가 거스름돈을 원단위로 조작하는 별도의 계수장치가 장착되어서 이루어지는 바, 이러한 요금함에서 요금수거통은 상부가 개방된 상자형으로 제작되어 요금함 케이스의 앞쪽에서부터 뒷쪽으로 끼워져 설치되고 설치된 후에는 외측에서 요금함 케이스와 함께 자물쇠 등으로 결속 지어 사용하게 되며,버스의 운행을 마치고 나면 상기 자물쇠를 푼 다음 요금케이스로부터 상기 요금수거통을 빼내어 그 안의 요금을 회수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요금함에서는 상기 요금함 케이스로부터 빼내어진 요금수거통은 상부가 열려져 있게 되고, 그 상태로 옮겨지는 도중에 쏟아지게 되거나 일부 분실될 우려가 높은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요금함의 요금수거통이 끼워지게 되는 요금수거통 설치 공간의 입구 상부에는 걸림쇠 역할을 하는 클램프를 설치하고, 요금수거통에는 걸림판과 잠금뭉치를 갖는 커버를 일체로 설치하며, 그 후부에는 잠금고리를 부착 설치하여서, 상기 요금수거통을 요금함 케이스로부터 빼내면 요금수거통과 일치로 된 커버는 요금함 케이스상의 클램프에 의해 걸려지게 되고, 따라서 상대적으로 요금수거통의 상부를 덮으면서 그 위쪽으로 유동되어서 잠금고리에 계속되므로서, 요금함 케이스로부터 빼내어진 요금수거통을 완전히 밀폐되어 감겨진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좌석버스용 요금함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상부에 요금투입고(10) 및 하부에 요금수거통 설치를 위한 밀폐된 공간(11)을 갖는 요금함 케이스(12)와 상기 요금함 케이스(12)의 내부에 설치되는 동전배출장치(13), 요금수거통(14) 및 요금차단장치(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좌석버스용 요금함에 있어서, 상기 요금수거통 설치 공간(11)의 앞쪽 벽면 상부에는 고정부재(20a)와 요동부재(20b)가 상하 조합되어 이루어진 클램프(20)가 설치되는 동시에 뒷쪽 벽면에는 고리 형상의 잠금고리(21)가 부착 고정되며, 상기 요금수거통(14)의 개방된 상부가 덮혀질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를 갖는 커버(22)가 설치되어지되, 상기 커버(22)의 선단부에는 상기 요동부재(20b)와 맞걸려질 수 있는 걸림판(23)과 상기 잠금고리(21)에 체결될 수 있는 잠금뭉치(24)가 일체 구비되고, 이 커버(22)는 선단부의 걸림판(23) 및 잠금뭉치(24)가 뒷쪽을 향하도록 배치되면서 요금수거통(14)이 갖는 가이드레일(14a) 내에서 이것(14)의 상면부, 전면부 및 저면부 따라 슬라이드 유동 가능하게 되도록 설치되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커버(22)는 합성수지재로 된 날개의 고리가 다수 연결되어 연결방향으로 자유롭게 굽혀질 수 있는 플렉시블 커버로서, 커버(22)의 선단부는 상부의 판절곡형 예를 들면, L자형으로 절곡성형된 걸림판(23)과 하부의 잠금뭉치(24) 사이에서 중첩결합되어, 항상 상기 요금수거통(14)의 개방된 상부 구간내 위치하고, 이 커버(22)의 후단부는 요금수거통(14)의 전면부 또는 저면부에 선택 위치된다.
예를 들면, 커버(22)의 선단부가 요금수거통(14)의 가장 뒷쪽에 위치되면 즉, 커버(22)의 잠금뭉치(24)가 요금수거통(14)의 잠금고리(21)에 잠겨지게 되어 요금수거통(14)의 상부가 완전히 덮여지게 되면, 이때의 후단부는 요금수거통(14)의 전면부에 위치되게 되며, 커버(22)의 선단부가 요금수거통(14)의 가장 앞쪽에 위치되어 요금수거통(14)의 상부가 열려지게 되면, 이때의 후단부는 요금수거통(14)의 저면부에 위치되게 된다.
이러한 커버(22)는 요금수거통(14)의 양측벽 가장자리 안쪽면에서 상면부와 전면부 및 저면부를 따라 연속형성되는 가이드레일(14a) 내에 그 양측 단부가 걸쳐지도록 설치되어, 이 가이드레일(14a)을 따라 슬라이드 유동되면서 요금수거통(14)의 상부를 개방하거나 차단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이때의 커버(22)는 커버 자체의 무게와 그 선단부의 걸림판(23) 및 잠금뭉치(24)의 무게를 갖고 가이드레일(14a)면과 일정한 마찰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그 유동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어느 정도의 외력이 가해져도 자체적으로는 유동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즉, 인위적으로 커버(22)를 밀고 당기지 않는 한 그때의 조절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22)의 선단부가 요금수거통(14)의 가이드레일(14a)을 따라 이것(14)의 뒷쪽으로 유동되어져 그 선단부의 잠금뭉치(24)를 통하여 후벽면의 잠금고리(21)에 채워지게 되면, 이와 동시에 커버(22)의 후단부위는 요금수거통(14)의 전면부 및 저면부의 가이드레일(14a)로부터 인출되어져서 요금수거통(14)의 상부에 덮여지게 되고, 이 상태에서도 레버(22)의 후단부는 그 일정 길이가 요금수거통(14)의 밀폐된 전면부의 가이드레일(14a) 내에 위치되므로 요금수거통(14)의 상부는 완전하게 밀폐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잠금뭉치(24)는 잠금고리(21)와 직접 걸려지게되는 제 1 레버(24a)와, 이 제 1 레버(24a)와는 스프링(24b)을 통해 연결되면서 서로 연동 가능하게 되는 동시에 키 뭉치(24c)와도 접촉 전동가능한 제 2 레버(24d)로 구성되며, 이러한 제 1 및 제 2 레버(24a), (24b)는 각각의 핀(24e), (24f)을 중심으로 하여 소정의 각도로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된다.
따라서, 첨부도면 제 2 도의 (a)는 잠금뭉치(24)와 잠금고리(21)가 서로 잠겨져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요금수거통(14)을 빼내게 되면 잠금뭉치(24)는 이것(24)과 일체로 된 걸림판(23)이 후술하는 클램프(20)의 요동부재(20b)와 걸려지게 되어 상대적으로 뒷쪽으로 유동되고, 이 잠금뭉치(24)의 제 1 레버(24a)가 갖는 걸림홈(24g)에 잠금고리(21)가 수납되면서 이것(24a)을 밀어 회전시키면, 이때의 제 2 레버(24b)는 스프링(24b)에 의해 당겨져 회전되고, 이와 동시에 제 1 레버(24a)의 후단이 제 2 레버(24d)가 갖는 결림턱(24h)에 걸려지게 되므로서, 첨부도면 제 2 도의 (b)와 같이 잠금뭉치(24)와 잠금고리(21)가 서로 채워질 수 있게 된다. 이때의 채워진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키 조작에 의한 키 뭉치(24c)를 회전시켜서 제 2 레버(24d)를 회전시키게 되므로서 가능하게 된다. 또한, 첨부도면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프(20)는 상부재인 고정부재(20a)와 하부재인 요동부재(20b)가 힌지핀(20c)을 매개로 하여 상호 결합되어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부재(20a)가 요금함 케이스(12)의 전면패널 즉, 요금수거통(14)을 끼우기 위한 개구부의 상단테두리의 바로 안쪽면에 체결되므로서 그 지지가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고정부재(20a)와 요동부재(20d)는 스프링(20d)을 통하여 연계 결속되어 상호탄력지지를 받도록 되어 있으며, 이때의 스프링(20d)은 고정부재(20a)와 요동부재(20b)에 각각 일체 형성된 스프링 지지핀(20e)에 의해서 이탈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요동부재(20b)는 스프링(20d)의 탄력지지를 받으면서 고정부재(20a)에 대하여 힌지핀(20c)을 중심으로 회전유동자재되도록 되어 있으며, 특히 요동부재(20b)의 하단부는 요금수거통 설치 공간(11)의 안쪽 즉, 요금수거통(14)의 걸림판(23)이 유동되는 수평경로 아래쪽으로 위치되고, 고정부재(20a)에 대한 회전유동시 안쪽으로는 자유롭게 회전가능하게 되는 동시에 바깥쪽으로는 요금함 케이스(12)의 (전면패널에 의해 그 회전유동 범위가 제한을 받게 된다. 즉, 유동부재(20b)는 스프링(20d)의 탄상을 받아 항상 고정부재(20a)와 수직으로 나란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지만 필요에 의한 외력(예를 들면, 요금수거통의 잠금뭉치와 잠금고리가 채워진 후에 강제로 요금수거통을 빼낼 때 드는 힘)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바깥쪽으로 약간 젖혀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요금수거통(14)은 기존의 요금함에서와 마찬가지로 요금함 케이스(12)의 요금수거통 설치 공간(11) 내에 끼워지게 되고 외측에서 별도의 자물쇠 등으로 요금함 케이스(12)와 중첩 채워지게 된다.
한편, 운행을 마친 다음 요금함 케이스(12)로부터 요금수거통(14)을 빼내기 위해서는 먼저, 외측의 요금함케이스(12)와 요금수거통(14)간에 채워져 있는 자물쇠(도시되지 않음)를 푼 다음에 요금수거통(14)의 전면부에 부착된 손잡이(14b)를 잡고 당기게 되면, 요금수거통(14)은 요금함 케이스(12)의 요금수거통 설치 공간(11)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되는 데, 이때 상기 커버(22)는 요금수거통 설치 공간(11) 내에서 어느 정도 따라 나오다가 요금수거통 설치 공간(11)의 앞쪽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클램프(20)의 요동부재(20b) 하단부에 그 선단부의 걸림판(23)이 걸려지게 되고, 이때부터는 요금수거통(14) 본체만이 요금수거통 설치 공간(11)의 바깥족으로 빠져나오게 되며, 이와 상대적으로 커버(22)의 선단부는 요금수거통(14)의 개방된 상부를 덮으면서 요금수거통(14)의 가이드 레일(14a)을 따라 뒤쪽으로 유동되어 그 선단부의 잠금 뭉치(24)가 요금수거통(14)후부의 잠금고리(21)에 체결되므로써, 요금수거통(14)을 완전히 덮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요금수거통(14)이 완전히 밀폐된 상태에서 이 요금수거통(14)은 요금함케이스(12)로부터 거의 대부분이 빠져나온 상태가 되는 동시에 커버(22)의 선단부에 일체로 장착된 걸림판(23)은 클램프(20)의 요동부재(20b)에 걸려져 있는 상태가 되므로 이때 좀더 힘을 가하여 요금수거통(14)을 잡아 당기면 상기 요동부재(20b)가 상기 걸림판(23)에 의해 밀려서 뒷쪽으로 젖혀지게 되고 (예컨대, 요동부재의 후면부가 요금함 케이스의 전면패널면에 맞닿아서 그 젖혀짐이 제한될 때까지 약 15°정도 젖혀지게 되고), 동시에 커버(22)의 걸림판(23)은 요동부재(20b)와의 걸림상태로부터 해제되어 요금수거통(14)은 요금함 케이스(12로부터 완전히 빠져나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클램프(20)의 요동부재(20b)는 힌지핀(20c)을 중심으로 안쪽으로는 약 90°에 가깝게 뒷쪽으로는 약 15°가량 스프링(20d)의 탄력지지를 받으며 회전유동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특히 상기 요동부재(20b)가 바깥쪽으로 회전유동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상기 스프링(20d)의 탄성지지력은 커버(22)의 걸림판(23)과 클램프(20)의 요동부재(20b)가 맞걸려졌을때 커버(22)의 유동을 제한하는 마찰력 보다 충분히 크기 때문에 커버(22)가 뒷쪽으로 원활하게 슬라이드 유동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요금함 케이스(12)의 요금수거통 설치 공간(11)내로 요금수거통(14)을 끼우는 경우에는, 먼저 별도의 키를 이용하여 커버(22)의 잠금뭉치(24)와 요금수거통(14)의 자금고리(21)간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고, 커버(22)의 선단부를 앞쪽으로 당겨서 요금수거통(14)의 상부가 개방되게 한 다음 요금수거통(14)의 뒷쪽부터 끼운다.
상기 요금수거통(14)이 거의 다 끼워진 상태에서는 요금수거통(14)의 앞쪽으로 위치된 커버(22)의 걸림판(23)이 상기 클램프(20)의 요동부재(20b)에 걸려지게 되고, 재차 요금수거통(14)을 가볍게 밀면 상기 걸림판(23)는 상기 요동부재(20b)를 뒷쪽으로 손쉽게 젖히면서 커버(22)의 선단부와 함께 안쪽으로 밀려들어가게 되므로 요금수거통(14)을 용이하게 끼울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의 요금수거통(14)은 요금함 케이스(12)의 내부에 완전히 끼워진 상태에서 그 상부가 개방되어지게 되고 커버(22)의 선단부 즉, 걸림판(23) 및 잠금뭉치(24)는 요금수거통(14)의 앞쪽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요금함 케이스로부터 요금수거통을 빼낼 때 밀폐된 상태로 빼냄으로써, 요금을 안전하게 회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상부에 요금투입구(10) 및 하부에 요금수거통 설치를 위한 밀폐된 공간(11)을 갖는 요금함 케이스(12)와, 상기 요금함 케이스(12)의 내부에 설치되는 동전배출장치(13), 요금수거통(14) 및 요금차단장치(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좌석버스용 요금함에 있어서,
    상기 요금수거통 설치 공간(11)의 앞쪽 벽면 상부에는 고정부재(20a)와 요동부재(20b)가 상하 조합되어 이루어진 클램프(20)가 설치되는 동시에 뒷쪽 벽면에는 고리 형상의 잠금고리(21)가 부착 고정되며, 상기 요금수거통(14)의 개방된 상부가 덮혀질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를 갖는 커버(22)가 설치되어지되, 상기 커버(22)의 선단부에는 상기 요동부재(20b)와 맞걸려질 수 있는 걸림판(23)과 상기 잠금고리(21)에 체결될 수 있는 잠금뭉치(24)가 일체 구비되고, 이 커버(22)는 선단부의 걸림판(23) 및 잠금뭉치(24)가 뒷쪽을 향하도록 배치되면서 요금수거통(14)이 갖는 가이드레일(14a) 내에서 이것(14)의 상면부, 전면부 및 저면부 따라 슬라이드 유동 가능하게 되도록 설치되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버스용 요금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22)는 합성수지재로 된 낱개의 고리가 다수 연결되어 연결방향으로 자유롭게 굽혀질 수 있는 플렉시블 커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버스용 요금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20)는 요금함 케이스(12)의 전면패널상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재(20a)와, 이 고정부재(20a)의 하단부에 힌지핀(20c)을 매개로 하여 회전유동되도록 결합되는 요동부재(20b)로 이루어지되, 상기 요동부재(20b)는 스프링(20d)에 의해서 상호 결속되어져, 이 고정부재(20a)에 대한 회전유동시 상기 스프링(20d)의 탄력지지를 받으면서 안쪽으로는 자유롭게 회전유동 가능하게 되고 바깥쪽으로는 회전유동이 소정 각도로 제한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버스용 요금함.
KR2019930015738U 1993-08-16 1993-08-16 좌석버스용 요금함 KR9600010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5738U KR960001035Y1 (ko) 1993-08-16 1993-08-16 좌석버스용 요금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5738U KR960001035Y1 (ko) 1993-08-16 1993-08-16 좌석버스용 요금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7076U KR950007076U (ko) 1995-03-21
KR960001035Y1 true KR960001035Y1 (ko) 1996-02-05

Family

ID=19361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5738U KR960001035Y1 (ko) 1993-08-16 1993-08-16 좌석버스용 요금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103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8152B1 (ko) * 2002-06-24 2004-07-02 비씨아이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전자투표기용 투표용지보관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7076U (ko) 1995-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38746A (en) Device for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cash container
EP2623352B1 (en) Arrangement structure for charging port cover
EP0627650A2 (en) Cassette ejecting apparatus
JP5169229B2 (ja) 遊技機
KR960001035Y1 (ko) 좌석버스용 요금함
GB2108377A (en) Filter bag holder mounting in suction cleaner
KR102602955B1 (ko) 차량용 연료 도어 장치
US5106132A (en) Closure device for suitcases, briefcases or the like
EP0078309A4 (en) DOOR MECHANISM OF A PHOTOGRAPHIC APPARATUS.
EP0153585B1 (en) Tape cassette and cassette recorder using the same
KR960001036Y1 (ko) 잠금장치를 갖는 버스용 요금함
US6598787B1 (en) Coin receptacle assembly with door locking mechanism
CN1590677B (zh) 平面手柄装置
US5570836A (en) Coin collector for an automatic dispenser
KR870001426Y1 (ko) 주화류 투입함
US3321129A (en) Coin collection system
KR200212128Y1 (ko) 버스 요금함
KR200195415Y1 (ko) 코인 로커에 있어서의 자물쇠 잠금장치
JPH08299536A (ja) 弾球遊技機の制御基板ケース装置
JPH08184884A (ja) カメラの裏蓋ロック装置
KR100984555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매체카세트 자동개폐장치
JPH0466983A (ja) トナー補給装置
CN115188124A (zh) 一种投币机内胆结构
JP3059548B2 (ja) パチンコ機
KR200228009Y1 (ko) 자동차의 콘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