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0914Y1 - 진공청소기의 브러쉬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의 브러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0914Y1
KR960000914Y1 KR92018390U KR920018390U KR960000914Y1 KR 960000914 Y1 KR960000914 Y1 KR 960000914Y1 KR 92018390 U KR92018390 U KR 92018390U KR 920018390 U KR920018390 U KR 920018390U KR 960000914 Y1 KR960000914 Y1 KR 9600009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vacuum cleaner
present
inlet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83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7121U (ko
Inventor
손창우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920183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0914Y1/ko
Publication of KR9400071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71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09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9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88Combinations or arrangements of several tools, e.g. edge clean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66Rotating tools
    • A47L9/0477Roll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진공청소기의 브러쉬
제 1 도는 종래의 진공청소기 브러쉬의 저면도이다.
제 2 도는 종래의 진공청소기 브러쉬의 측면도이다.
제 3 도는 본 고안의 진공청소기 브러쉬의 저면도이다.
제 4 도는 본 고안의 진공청소기 브러쉬의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브러쉬 4, 6 : 솔
8 : 흡입구 10 : 흡입관
12 : 브러쉬 14 : 부재
16 : 흡입관 18 : 흡입구
[고안의 분야]
본 고안은 진공청소기의 브러쉬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마루바닥이나 카페트를 닦아주면서 먼지를 흡입할 수 있도록 브러쉬의 중앙부에 천이 부착된 진공청소기 브러쉬에 관한 것이다.
[고안의 배경]
종래의 진공청소기의 브러쉬에는 먼지가 섞인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를 중심으로 하여 전, 후에 솔이나 천등과 같은 부재가 부착되어 있었다.
따라서 청소기를 하기 위하여 전후방을 향하여 브러쉬를 밀고 나가는 경우에는 솔이나 천 등으로 만들어진 부재의 전후면에 있는 먼지나 오물 등이 같이 밀려나가므로 효과적으로 청소가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제 1 도 및 제 2 도에 도시된 것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진공청소기 브러쉬의 저면도 및 측면도로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8)를 중심으로 하여 전면과 후면에 각각 솔로 만들어진 부재(4, 6)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부재(4, 6)는 바닥면과 브러쉬가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솔이나 천 등과 같은 것을 사용하여 부착하며, 브러쉬(2)를 밀고 당길때 저항을 받지 않도록 완충 역할을 하며 양단에는 로울러가 부착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청소를 위하여 브러쉬(2)를 전후방을 향하여 이동시키면 부재(4, 6)가 바닥면과 접촉하여 있으므로 부재(4)의 전면에 있던 먼지나 오물 등이 쏠리게 되므로 공기흡입구(8)로 용이하게 흡입되지 않고 같이 밀리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일본공개실용신안공보 평 4-17740호(1992)년 2월 14일 공개)에는 흡입구를 중심으로 하여 전후방에 각각 솔이 일체로 밀집되어 면상으로 취부되어져 있는 전기소제기용 흡입구가 기술되어 있으나, 이는 역시 상기 한 바와 같이 이러한 흡입구를 사용하여 청소하는 경우에 흡입구를 전진시키는 경우에는 상기한 흡입구를 기준으로 전방에 밀집되어진 솔들에 의하여 오물들이 전방으로 더욱 밀려나게 되며, 후진시키는 경우에도 상기한 흡입구를 기준으로 후방에 밀집되어진 솔들에 의하여 오물들이 후방으로 더욱 밀려나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고안의 목적]
본 고안의 목적은 마루를 닦아서 먼지나 오물 등을 모아가며 공기흡입구를 통하여 흡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 진공청소기의 브러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브러쉬의 중앙부에 집진용 부재를 설치하여 청소효율이 증가된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고안의 요약]
상기의 목적을 위한 본 고안의 진공청소기 브러쉬는, 바닥을 닦을 수 있는 부재를 브러쉬의 흡입 통로 상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부재는 중간에 공간이 형성되어서 부재가 전후진하며 모은 먼지나 오물 등이 이 공간의 중앙을 통하여 흡입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고안의 구체예의 설명]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진공청소기 브러쉬는 브러쉬의 공기흡입구(18)와 인접하여 부재(1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부재(14)의 재질은 천이나 솔을 사용할 수 있으며, 공기흡입구(18)의 입구와 동일한 크기이거나 약간 적은 간격으로 중간 부분이 절단되어 있다. 또한 종래의 진공청소기 브러쉬와는 달리 부재(14)가 브러쉬(12)의 중앙부에만 설치되어 있으며, 사용시에는 바닥면과 접촉되는 면이 감소하므로 전후 이동이 자유롭다.
본 고안의 작용과 효과는 다음과 같다.
진공청소기 브러쉬(12)를 전진시키면 부재(14)에 의하여 먼지나 오물 등이 모아지며, 강한 흡인력에 의하여 공기흡입구(18)를 통하여 연결관(16)으로 유입된다.
따라서 마루바닥을 닦아주는 동시에 브러쉬의 부재(14)에 의하여 쓸어 모은 먼지나 쓰레기 등을 효율적으로 흡입하여 청소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진공청소기 브러쉬는 마루바닥 청소시 바닥에 쌓인 먼지나 쓰레기 등을 쓸어 가면서 청소할 수 있는 것으로 청소효율이 높아지며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이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변경이나 변형할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경이나 변형은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만 제한되어야 한다.

Claims (1)

  1. 먼지가 혼합된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18)의 전후에 각각 부재(14)가 설치된 진공청소기 브러쉬에 있어서, 브러쉬(12)의 흡입구(18)에 인접한 흡입통로 상에 그 중앙부분이 흡입구(18)의 폭이나 그보다 약간 적은 폭을 가지도록 절단되어 형성된 부재(14)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브러쉬.
KR92018390U 1992-09-26 1992-09-26 진공청소기의 브러쉬 KR9600009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8390U KR960000914Y1 (ko) 1992-09-26 1992-09-26 진공청소기의 브러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8390U KR960000914Y1 (ko) 1992-09-26 1992-09-26 진공청소기의 브러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7121U KR940007121U (ko) 1994-04-12
KR960000914Y1 true KR960000914Y1 (ko) 1996-02-03

Family

ID=19340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8390U KR960000914Y1 (ko) 1992-09-26 1992-09-26 진공청소기의 브러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091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7121U (ko) 1994-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76358A3 (en) Electric vacuum cleaner and nozzle unit therefor
JP4295512B2 (ja) 真空掃除機用清掃ヘッド
KR960000914Y1 (ko) 진공청소기의 브러쉬
CN209661528U (zh) 一种清洁机器人
US4045840A (en) Vacuum cleaner tool for cleaning deep pile carpets
CN219229742U (zh) 用于吸尘器的地刷及吸尘器
US6266846B1 (en) Vacuum cleaner
JP2903427B2 (ja) 電気掃除機
JPS6038444Y2 (ja) 電気掃除機の吸込具
JP3041713B2 (ja) 電気掃除機
CN217510391U (zh) 一种洗地机的滚刷盒及洗地机
CN213940613U (zh) 扫地机器人
CN215383681U (zh) 一种地刷组件及吸尘器
KR200242786Y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구
JPH0444731A (ja) 電気掃除機の吸口
GB2374523A (en) Vacuum cleaner suction head
JP5332973B2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
KR950001507Y1 (ko) 걸레질 기능을 갖는 진공청소기
JP2002336168A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JPH11299712A (ja) 電気掃除機の床用吸込具
JPH073552U (ja) 排気管付き防塵掃除機
JPH04312427A (ja) 床用吸込具
KR200242787Y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구
KR200364068Y1 (ko) 진공 청소기의 막대형 흡입구
JP2001340270A (ja) 電気掃除機用ワイパー付き吸込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