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0768B1 - 아아치(arch)형 건축 구조체 - Google Patents

아아치(arch)형 건축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0768B1
KR960000768B1 KR1019910003189A KR910003189A KR960000768B1 KR 960000768 B1 KR960000768 B1 KR 960000768B1 KR 1019910003189 A KR1019910003189 A KR 1019910003189A KR 910003189 A KR910003189 A KR 910003189A KR 960000768 B1 KR960000768 B1 KR 9600007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ch
building structure
plate
curved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3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8647A (ko
Inventor
아부까와 사끼오
Original Assignee
도꼬 떽꼬 가부시끼가이샤
아부까와 사끼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90037834U external-priority patent/JPH03128103U/ja
Priority claimed from JP1990039916U external-priority patent/JPH0716803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1369190U external-priority patent/JPH0716804Y2/ja
Application filed by 도꼬 떽꼬 가부시끼가이샤, 아부까와 사끼오 filed Critical 도꼬 떽꼬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18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8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0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7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0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telescopic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2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6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 B21D5/08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making use of forming-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2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E04B1/3205Structures with a longitudinal horizontal axis, e.g. cylindrical or prismatic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9/00Connections of rods or tubular parts to flat surfaces at an angle
    • F16B9/05Connections of rods or tubular parts to flat surfaces at an angle by way of an intermediate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2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E04B2001/3217Auxiliary supporting devices used during erection of the arched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2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E04B2001/327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comprised of a number of panels or blocs connected together forming a self-supporting structure
    • E04B2001/3276Panel connection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2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E04B2001/327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comprised of a number of panels or blocs connected together forming a self-supporting structure
    • E04B2001/3288Panel frame details, e.g. flanges of steel sheet pan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38Laterally related rods independently joined to transverse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아아치(ARCH)형 건축 구조체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아아치형 건축구조체의 제1실시예에서 외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제1실시예의 아아치형 건축구조체를 전방에서 도시한 정면도.
제3도는 제1실시예의 아아치형 건축구조체를 상부에서 도시한 평면도.
제4도는 제1실시예의 아아치형 건축구조체를 제3도와 선 L1-L2에 따라 절단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도시한 단면도.
제5도는 제4도에 나타난 아아치형 건축구조체를 분해해서 나타낸 측면도.
제6도는 제2도에 나타난 아아치형 건축구조체의 일부를 분해해서 나타낸 측면도.
제7도는 대형 데크플레이트(Deck Plate)의 형상 및 크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제8도는 벤딩 로울러 머신(bending roller machine)의 정면도.
제9도는 벤딩 로울러 머신을 제8도에 나타난 선 L3-L4를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도시한 측면도.
제10도는 벤딩 로울러 머신의 일부 측면도.
제11도는 벤딩 로울러 머신을 제10도의 선 L5-L6를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도시한 평면도.
제12도는 벤딩 로울러 머신을 제10도의 선 L7-L8을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도시한 평면도.
제13도는 벤딩 로울러 머신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제1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아아치형 건축구조체의 제2실시예에서 외관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제15도는 제2실시예의 아아치형 건축구조체를 나타낸 일부 사시도.
제16도는 제2실시예의 아아치형 건축구조체를 나타낸 일부 정면도.
제17도는 제2실시예의 아아치형 건축구조체를 제16도의 선 L9-L10에 따라 절단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도시한 단면도.
제18도는 제2실시예의 아아치형 건축구조체를 나타낸 일부 사시도.
제19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아아치형 건축구조체의 제3실시예에서 외관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제20도는 제3실시예에서 아아치형 건축구조체를 전방에서 본 정면도.
제21도는 제3실시예의 아아치형 건축구조체 일부를 전방에서 본 정면도.
제22도는 제3실시예의 아아치형 건축구조체를 상부에서 도시한 평면도.
제23도는 제3실시예의 아아치형 건축구조체를 제22도의 산 L1-L2에 따라 절단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도시한 단면도.
제24도는 제3실시예의 아아치형 건축구조체를 제20도의 L11-L12에 따라 절단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도시한 단면도.
제2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아아치형 건축구조체의 제4실시예에서 외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제26도는 제4실시예의 아아치형 건축구조체를 제25도의 선 L13-L14에 따라 절단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도시한 단면도.
제27도는 제4실시예의 변형 실시예를 제26도와 동일한 상태로 도시한 단면도.
제28도 본 발명에 따른 아아치형 건축구조체의 제5실시예에서 외관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제29도는 제5실시예의 아아치형 건축구조체 일부를 전방에서 도시한 정면도.
제30도는 제5실시예의 아아치형 건축구조체를 상부에서 도시한 평면도.
제31도는 제5실시예의 아아치형 건축구조체를 제30도의 선 L16-L17을 따라 절단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도시한 단면도.
제3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아아치형 건축구조체의 제6실시예에서 외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제33도는 제6실시예의 아아치형 건축구조체를 전방에서 도시한 정면도.
제34도는 제6실시예의 아아치형 건축구조체를 나타낸 측면도.
제35도는 제6실시예의 아아치형 건축구조체에 부착된 차륜 기구의 측면도.
제36도는 제6실시예의 아아치형 건축구조체에 부착된 차륜기구의 정면도.
제37도는 제6실시예의 아아치형 건축구조체를 제34도의 선 L17-L18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제38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아아치형 건축구조체의 제7실시예에서 외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제39도는 제7실시예의 아아치형 건축구조체를 전방에서 도시한 정면도.
제40도는 제7실시예의 아아치형 건축구조체를 제39도의 선 L19-L20에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제41도는 제6실시예에 따른 아아치형 건축구조체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제42도는 제41도에 있어서, 아아치형 건축구조체를 개방(open)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제43도는 제6실시예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본 발명은 아아치형 건축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아아치형 외관을 갖춘 아아치형 건축구조체가 각종 용도에 사용되고 있다. 예를들면, 눈이 많이 오는 지대에서는, 도로에 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눈보호막(Snow Shelter)으로서 아아치형 건축구조체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철도에 있어서는, 터널(Tunnel)의 출구에 있어서 풍압등을 완화시키기 위한 완충 차양막으로서 아아치형 건축구조체가 사용된다. 이러한 건축구조체는, 눈의 중량이나 풍압등에 견딜수 있는 충분한 강도가 요구된다. 이러한 이유로, 종래에는 철골 등의 지지대를 설치하고 아연도금판등과 같은 철판을 부착하여 아아치형 구조체를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으로서는 충분한 강도를 얻을 수 있지만, 건축에 소요되는 인원이나 경비가 많이 소요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충분한 강도(强度)를 갖추면서, 간단하고 저가(低價)의 아아치형 건축구조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파형 형성방향과 직각으로 절곡가공되고 단면수가 큰 파형 데크 플레이트(Plate)로 구성된 복수의 만곡체(彎曲體)와, 상기 만곡체와는 별도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만곡체를 파형 데크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으로 연결시킴에 의해, 아아치형 연결체를 구성하는 만곡체 연결수단 및,상기 만곡체의 데크플레이트에 일체로 연결되어 지반에 고정되는 지지수단등을 구비한 구성으로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건축재로서 단면계수가 큰 파형 데크플레이트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눈의 중량이나 풍압에도 충분히 견딜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의하면, 파형 데크플레이트를 조립시킴으로서 아아치형 건축구조체를 구성할 수가 있기 때문에, 단단하고 저가의 아아치형 건축구조체를 구성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의하면, 만곡체 연결수단을 만곡체와는 별도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만곡체를 반송하는 경우, 만곡체 연결수단을 만곡체로 부터 제거한 상태로 반송할 수가 있다. 따라서, 반곡체의 반송효율을 향상 시킬 수가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파형 형성방향과 직각으로 절곡되고, 단면계수가 큰 복수의 파형 데크플레이트를, 상기 파형 데크플레이트의 파형 형성방향 단부에 설치된 플랜지(Flange)에 의해 상기 파형 형성방향으로 연결 시킴에 의해 구성된 복수의 만곡체와, 상기 복수의 만곡체를 상기 파형 데크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으로 연결시킴에 의해, 아아치형 연결체를 구성하는 만곡체 연결수단 및, 상기 만곡체의 데크플레이트에 일체로 연결되어 거반에 고정되는 지지수단 등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서는, 충분한 강도를 얻고, 간단하고 저가로 제작가능한 아아치형 건축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파형 데크플레이트의 단부에 설치된 플랜지에 의해 파형 데크플레이트를 연결할 수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연결작업을 만곡체의 외면 또는 내면에서 실행함이 가능하다. 따라서, 파형 데크플레이트의 연결작업을 간단하게 실행할 수가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파형 형성방향과 직각으로 절곡가공되고, 단면계수가 큰 파형 데크플레이트에 의해 구성된 복수의 만곡체와, 상기 복수의 만곡체를 상기 파형 데크플레이트의 길이방향으로 연결함에 의해, 아아치형 연결체를 구성하는 만곡체 연결수단 및, 상기 아아치형 연결체와는 별도록 형성되고, 상기 아아치형 연결체를 지반에 고정하도록 지지하는 지지수단등을 구비한 구성으로 된다.
상기 구성에 따라, 충분한 강도를 갖추고, 간단하고 저가로 제작이 가능한 아이치형 건축구조체를 제공할 수가 있다. 또한, 지지수단이 만곡체와는 별도로 형성되기 때문에 만곡체의 반송효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파형 형성방향과 직각으로 절곡 가공되고, 단면계수가 큰 파형 데크플레이트에 의해 구성된 복수의 만곡체와, 상기 복수의 만곡체를 상기 파형 데크플레이트의 길이방향으로 연결함에 의해 아아치형 연결체를 구성하는 만곡체 연결수단 및, 상기 아이치형 연결체를 지반위에서 이동가능토록 지지하는 지지수단등을 구비한 구서응로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서, 충분한 강도를 갖추고, 간단하고 저가로 제작가능한 아아치형 건축구조체를 제공할 수가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으로는, 아아치형 연결구조체가 이동 가능하기 때문에, 우천시나 눈이 내릴때에도, 도장(Painging)작업등의 실외 작업을 수행 할 수가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파형 형성방향과 직각으로 절곡가공되고, 단면계수가 큰 파형 데크플레이트에 의해 구성된 복수의 만곡체를 상기 파형 데크플레이트의 길이방향으로 연결시킴에 의해 각각 구성되고, 서로 스판(Span)이 다른 복수의 아아치형 연결체와, 상기 복수의 아아치형 연결체를 각각의 상대위치가 변경가능토록 지반위에서 지지하는 지지수단등을 구비한 구성으로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충분한 강도를 갖고, 간단하고 저가로 저가로 제작가능한 아아치형 건축구조체를 제공할 수가 있다. 또한, 우천시나 눈이 내릴때에도 도장 작업등과 같은 실외 작업을 수행할 수가 있다. 또한, 복수의 아아치형 연결체의 상대위치를 다르게 함이 가능하기 때문에, 아아치형 건축구조체의 길이를 크게 함이 가능하고, 상기 길이를 자유롭게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아치형 건축구조체의 연결부재가 제1플레이트 부재요, 상기 제1플레이트 부재에 기립(起立)하도록 일체로 설치된 단면이 파형인 제2플레이트 부재등을 구비한 구성으로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만곡체와는 별도로 구성된 만곡체 연결수단이나 지지수단으로서의 적절한 연결부재(繼手)를 제공함이 가능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아아치형 건축구조체의 외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제2도는 전방에서 본 정면도이다. 제1도 및 제2도에 있어서 10은 아아치형 연결체이다. 상기 아아치형 연결체(10)는, 예를 들면, 기초 플레이트(20,21)과 기초대(22,23)을 통해서 지반(24)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아아치형 연결체(10)는 2개의 만곡체(11,12)를, 플레이트 부재(13,14)의 연결에 의해 아아치형으로 형성한다.
각 만곡체(11,12)는, 파형 형성방향과는 직각으로 절곡가공된 복수의 대형 데크플레이트(15)를, 파형 형성방향으로 나란하게 연결함에 의해 구성된다. 제3도는 아아치형 연결체(10)을 상부에서 도시한 평면도이고, 제4도는 제3도의 선 L1-L2(만곡체 11,12의 경계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제5도는 제4도에서 플레이트 부재(13,14)를 제외한 상태의 단면도이고, 제6도는 제2도에서 플레이트 부재(13,14)를 제외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제3도-제5도에서 X1은 대형 데크플레이트(15)의 파형 형성방향을 나타내고, X2는 길이 방향을 나타낸다.
제3도-제5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각 만곡체(11)(12)에서, 인접한 2개의 대형 데크플레이트(15)는 파형 형성방향 X1의 단부에서 서로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겹치는 배치에 의해 발생한 겹침부(16)에는 예를들면, 보울트나 너트등으로 구성된 체결구(이하,“보울트”라고 칭한다.)(17)로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파형 형성방향 X1으로 강도의 연속성을 갖춘 만곡체(11,12)가 얻어진다. 플레이트 부재(13)는, 2개의 만곡체(11,12)의 외면에서, 상기 두개의 만곡체(11,12)에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한편, 플레이트 부재(14)는, 2개의 만곡체(11,12)의 내면에서, 플레이트 부재(13)에 대향하고 2개의 만곡체(11,12)에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두 개의 플레이트 부재(13,14)는 만곡체(11,12)를 관통하여, 예를들면, 보울트(18)로서 체결되어 있다. 따라서, 2개의 만곡체(11,12)는 대형 데크플레이트(15)의 길이방향으로 강도의 연속성을 유지한 상태로 연결된다. 즉, 플레이트 부재(13)는 파형 형성방향 X1으로 복수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각각의 플레이트 부재(13)의 파형 형성방향 X1 폭은, 대형 데크플레이트(15)의 파형 형성방향폭 X1보다 적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플레이트 부재(13)는, 인접한 2개의 겹침부(16)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각각의 플레이트 부재(13)는, 파형 형성방향 X1으로 분리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상은, 플레이트 부재(14)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또한, 플레이트 부재 (13,14)는, 대형 데크플레이트(15)에 일치하도록 단면이 파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플레이트 부재(13,14)는 예를들면, 대형 데크플레이트(15)를 절단 및 플레스(Press)가공함에 의해 형성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프레스 가공은, 플레이트 부재(13,14)를 대형 데크플레이트(15)에 겹치는 경우, 플레이트 부재(13,14)가 대형 데크플레이트(15)에 완전히 겹치도록 하기 위해 실행된다. 즉, 대형 데크플레이트(15)는 후술되는 바와같이, 사다리꼴 파형의 단면형상을 갖추고 두꺼운 두께를 갖춘다. 따라서, 플레이트 부재(13,14)를 대형 데크플레이트(15)의 절단가공으로 형성하기 때문에 플레이트 부재(13,14)를 대형 데크플레이트(15)에 겹치는 경우, 대형 데크플에이트(15)의 두께 만큼 대형 플레이트(15)와 플레이트 부재(13,14)의 산(41)이 겹치지게 된다. 여기서, 프레스 가공에 의해 플레이트 부재와 데크플레이트 부재의 산이 들어맞게 된다.
제7도는 대형 데크플레이트(15)의 파형 및 각부분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제7도에서 대형 데크플레이트(15)는 사다리꼴 파형의 다면 형상을 갖춘다.
이러한 경우, 사다리꼴 파형의 각각의 모서리부는, 약간의 R을 갖춘다. 그러나, 상술된 제4,5도에는, 간단히 나타내기 위해 R을 생략하였다. 이것은 이하의 도면에서도 동일하다. 대형 데크플레이트의 산높이는, 100mm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두께는 2.7mm에서 6.0mm의 범위에서 5종류로 현재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파형 형성방향 X1의 폭은 570mm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 폭의 70mm가 상기 겹침부(16)로 할당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대형 데크플레이트(15)의 파형 형성방향 X1의 유효폭은 500mm이다.
여기서 상술한 크기는, 일본공업규격(JIS)에 규정된 것이다. 상기 기초 플레이트(20,21)은 만곡체(11,12)의 지반측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기초 플레이트(20,21)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각의 대형 데크플레이트(15)에 설치되고, 대응하는 데크플레이트(15)에, 예를들면, 용접으로 고정된다. 기초대(22,23)는 예를들면, 지반(24)에 콘크리트(Concrete)를 타설(打設)함에 의해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기초 플레이트(20,21)는 각각 대응하는 기초대(22,23)에 예를들면 보울트(25)로서 고정된다. 따라서, 아아치형 연결체(10)는 기초플레이트(20, 21)와 기초대(22,23)에 의해 지반(24)에 고정되어 지지된다.
이상이 상기 설시예의 아아치형 건축구조체 구성이다. 다음, 대형 데크플레이트 (15)를 R절곡 가공하기 위한 벤딩 로울러 머신(bending roller machine)에 대하여 설명한다. 대형 데크플레이트는, 판상의 형태로 판매되고 있다. 이것은 대형 데크플레이트 (15)가 종래에 인도교(人道橋)등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경우 사용되는 형틀로서 사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목적으로 해서 대형 데크플레이트(15)는, 대체로 큰 단면계수를 갖추고 있다. 따라서, 통상의 철판을 R절곡가공하는 벤딩로울러 머신으로서는, 대형 데크플레이트(15)를 R 절곡가공함이 불가능하다. 본건 특허출원인은 제8도에 나타난 바와같은 벤딩 로울러 머신을 제작하였다. 상기 벤딩 로울러 머신은, 본건 특허출원인에 의해 일본국 실용신안등록출원 평(平)1-24152호로 출원되어 있다.
제8도는 벤딩로울러 머신을 정면에서 본 도면이다. 제8도에서 31,32는 대형 데크플레이트(15)가 놓여지는 로울러이다. 상기 로울러(31,32)는 수평방향에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프레임(Frame)(33,34)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35,36은 로울러(31,32)에 적치된 대형 데크플레이트(15)를 상기 로울러(31,32)와 함께 끼우기 위한 로울러이다.
상기 로울러(35,36)는, 각 유압 실린더 기구(37,38)의 피스톤에 회전 자유토록 연결됨과 동시에 피스톤의 상, 하 이동에 따라서 상, 하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39는 대형 데크플레이트(15)를 만곡시킴과 동시에 대형 데크플레이트(15)를 반송하기 위한 로울러이다.
상기 로울러(39)는, 로울러(31,32)의 사이에 위치되어 프레임(40)에 회전자유토록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로울러(39)는, 모터(41)에 의해 회전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40)은, 유압 실린더 기구(42)의 피스톤에 연결되어 상기 피스톤의 상, 하 작동에 따라 상, 하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43은, 상기 로울러(39)와 함께 데크플레이트(15)를 기움에 의해 상기 대형 데크플레이트(15)를 반송하는 로울러이다. 상기 로울러(43)는, 로울러(31,32)의 사이에서, 프레임(44)에 회전 가능토록 지지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44)는, 유압실린더 기구(45)의 피스톤에 연결되어 상기 피스톤의 상, 하 작동에 따라 상, 하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피스톤의 상, 하 작동은, 상기 유압실린더 기구(42)의 피스톤 상, 하 작동과 동기(同期)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46은, 로울러(39)의 상, 하 방향 위치를 검지하기 위한 눈금(Scale)이다. 제9도는, 제8도를 선 L3-L4 방향으로 절단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절단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본 측면도이다. 즉, 제9도에서, 로울러(36)가 하부로 이동하여, 대형 데크플레이트(15)를 로울러 (32)와 함께 끼워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로울러(32)는, 대형 데크 플레이트(15)의 사다리꼴 파형에 일치하도록 된 외주형상을 갖추고 있다.
한편, 로울러(36)는, 사다리꼴 파형상의 하나의 구(溝)에 일치하는 크기를 갖추고 있다.
제9도는, 47은 로울러(36)과 동일한 기능을 갖춘 로울러이다. 상기 로울러 (47)는, 유압실린더 기구(48)의 피스톤에 회전 자유토록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피스톤의 상, 하 작동에 따라 상, 하 작동된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로울러(31,35)측도 로울러(32,26)측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10도는 로울러(39,43)의 측면도이다. 여기서, 제10도에는, 로울러(39)가 하강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같이, 로울러(39,43)는 대형 데크플레이트 (15)의 사다리꼴 파형과 일치하도록 된 외주형상을 갖추고 있다. 즉, 49는 유압실린더 기구(42)와 동일하고, 로울러(39)를 상, 하 작동시키기 위한 유압실린더 기구이다.
또한, 50은 유압실린더 기구(45)와 동일하고, 로울러(43)을 상, 하 작동시키기 위한 유압실린더 기구이다. 제11도는, 제10도의 선 L5,L6을 따라서 로울러(39)와, 이것을 지지하는 프레임(40)을 상부에서 본 평명도이다. 이와 유사하게 제12도는, 제10도의 L7-L8에 따라서 로울러(43)과, 이것을 지지하는 프레임(44)을 상부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상기 구성에 대한 동작을 설명한다. 최초, 로울러(35,36,39,43)은 제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부로 위치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대형 데크플레이트(15)는, 예를들면, 화살표(X3) 방향으로 삽입되어 로울러(31,32)위에 놓여진다. 다음, 로울러(35,36)가 제13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하강하여, 각각 로울러(31,32)와 함께 대형 데크플레이트(15)를 사이에 끼운다.
또한, 로울러(39)가 하강하여, 로울러(43)과 함께 데크플레이트(15)를 끼운다. 그후, 로울러(39)는 모터(41)에 의해 회전 구동됨과 동시에, 유압실린더 기구(42, 49)에 의해 하강된다., 이것과 동기(同期)해서, 로울러(43)도 유압실린더 기구(45, 50)에 의해 하강된다.
따라서, 대형 데크플레이트(15)는, 화살표 X4-X5 방향으로 교대로 이동하면서 서서히 만곡한다. 이러한 경우, 대형 데크플레이트(15)의 만곡률은, 로울러(39,43)의 상, 하 위치에 의해 결정된다. 로울러(39,43)의 상하위치는, 눈금(46)에 의해 알 수 있다. 따라서, 눈금(46)을 보면서 로울러(39,43)의 상, 하 위치를 설정함에 의해 목적하는 막곡률은 설정함이 가능하다. 또한, 대형 데크플레이트(15)의 이동중심 위치(화살표 X4-X5 방향의 이동중심 위치)를 변화시키면서 로울러(39,43)의 상, 하 위치를 변화시킴에 의해, 대형 데크플레이트(15)의 각 부분에 있어서도, 만곡률을 변화시킴에 가능하다.
즉, 실험에서는 예를들면, 210kg/cm2전, 후의 하중을 부여함에 의해 대형 데크플레이트(15)를 만곡시킴이 가능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상이 벤딩로울러 머신의 구성 및 동작이다.
이상 상술된 실시예에 의하면, 철골을 사용하지 않아도 관계가 없고, 강도가 매우 높은 아아치형 건축구조체를 제공함이 가능하다. 이것은, 단면계수가 큰 대형 데크플레이트(15)를 사용해서, 아아치형 건축구조체를 구성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실싱케에 의하면, 아아치형 건축구조체를 간단하고 저가로 조립할 수 있게 된다. 이것은, R 절곡 가공된 대형 데크플레이트(15)를 연결하기만 하면 아아치형 건축구조체를 조립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아아치형 연결체(10)을 분리해서 반송하고, 현지에서 조립하는 경우에, 대형 데크플레이트(15)의 반송효율을 높일 수가 있다.
이것은, 플레이트 부재(13,14)를 대형 데크플레이트(15)와는 별도로 형성하고, 이것을 대형 데크플레이트(15)로부터 제거 가능토록 한 구조이기 때문이다. 즉, 만곡체(11,12)의 연결방법으로서는, 예를들면, 본건 특허출원인이 일본국에 출원한 실용신안등록출원 소63-133231호에 기재된 것과 같이, 대형 데크플레이트(15)의 길이방향 X2의 단부에 연결용으로 플랜지를 일체로 형성한 방법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방식으로서는, 플랜지의 크기에 따라 대형 데크플레이트(15)의 적재량이 결정된다. 이것에 대하여, 상기 실시예에서는, 연결용의 플레이트 부재(13,14)를 대형 데크플레이트(15)로부터 제거한 것이기 때문에, 대형 데크플레이트(15)의 적재량은, 그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에서는, 플랜지 방식보다 대형 데크플레이트(15)의 운반효율을 높게함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플랜지 방식보다, 상부로 부터의 하중에 대한 강도를 크게 함이 가능하다.
이것은, 플레이트 부재(13,14)에 의해 2개의 만곡체(11,12)를 상, 하부로부터 끼워 상기 2개의 만곡체(11,12)를 연결하도록 한 이유에서이다. 이것에 대하여, 플랜지 방식의 경우, 상부로부터 하중이 가해지면, 플랜지의 하측연결보울트가 손상을 입기 쉬워서 상부로부터의 하중에 대하여 강도가 약해지게 된다.
같은 이유로서,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플레이트 부재(13,14)를 파형 형성방향 X1으로 분리해서 설치하여도 무방하며, 만곡체(11,12)의 연결력을 크게 함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플레이트 부재(13,147)를 대형 데크플레이트(15)의 겹침부(16)와 겹치지 않도록 배치하였기 때문에, 플레이트 부재(13,14)와 대형 데크플레이트(15)의 겹칩 계수를 최대 3매로 억제할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플레이트 부재(13,14)와 대형 데크플레이트(15)와의 연결을 간단하게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플랜지 방식과 같이, 플랜지를 대형 데크플레이트 (15)에 용접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부품의 제조효율을 높일 수가 있다. 제14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다른 아아치형 건축구조체의 외관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즉, 제14도에서는, 제1도와 동일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상기 제2실시예에 있어서, 우선 제1실시예와 다른점은, 만곡체(11,12)의 연결구성과, 아아치형 연결체(10)의 지지구성이다. 우선, 만곡체(11,12)의 연결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도, 만곡체(11,12)와는 별도로 형성된 연결수단을 사용해서 만곡체(11,12)를 연결하는 점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러나, 제1실시예에서는, 만곡체(11,12)에 겹치도록 배치된 판상의 플레이트 부재(13,14)에 의해 만곡체(11,12)를 연결하는 경우를 설명하였다.
이것에 대하여, 제2실시예에서는, 각 만곡체(11,12)에 독립적으로 고정된 2개의 연결부재(51,52)를 연결함에 의해 만곡체(11,12)를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즉, 제2실시예에서는, 각각의 연결부재(51,52)가 각각의 대형 데크플레이트 (15)에 설치된 경우를 나타낸다.
제15도는, 만곡체(11)에 고정된 연결부재(51)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15도에서, 511,512는 대형 데크플레이트(15)를 끼워 고정하는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의 플레이트 부재이다. 513은, 상기 플레이트 부재(511,512)를 지지하는 평판상의 플레이트 부재이다.
플레이트 부재(511,512)는, 대형 데크플레이트(15)의 두께와 각각 동일한 간극을 갖추고 분리된 상태에서 예를들면, 용접에 의해 플레이트 부재(513)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즉,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연결 부재(51)도, 후술되는 제16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대형 데크플레이트(15)를 끼워 고정하기 위한 플레이트 부재(521,522)와, 이 플레이트 부재(521,522)를 지지하기 위한 플레이트 부재(523)을 갖춘다.
제16도는, 연결부재(51,52)에 의한 연결구성을 전방에서 도시한 정면도이다. 또한, 제17도는, 제16도를 선 L9-L10에 따라 절단하고, 화살표 방향으로 본 경우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연결부재(51)는, 플레이트(511,512)의 사이에 대형 데크플레이트(15)를 삽입하고, 보울트(53)등에 의해 체결함에 의해 대형 데크플레이트 (15)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연결부재(52)도 동일하게, 만곡체(12)측의 대형 데크플레이트(15)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플레이트 부재(513,523)는 보강부재(55)를 통해서 보울트(56)에 의해 복수개소에 체결되어 있다. 따라서, 만곡체(11,12)는 연결부재(51,52)애 의해 연결된다.
다음, 아아치형 연결체(10)의 지지구성을 설명한다. 먼저, 제1실시예에서는, 기초 플레이트(20,21)를 파형의 대형 데크플레이트(15)에 일체로 설치한 경우를 설명하였다.
이것에, 대하여 제2실시예에는, 기초 플레이트(20,21)를 대형 데크플레이트 (15)와는 별도로 형성하도록 된 것이다. 따라서, 기초 플레이트(20,21)에는 이것을 대형 데크플레이트(15)에 고정하기 위한 플레이트 부재(58,59)가 설치되어 있다. 제14도에는 플레이트 부재(58,59)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플레이트 부재(58,59)는, 제15도에서 설명된 플레이트 부재(511,512)와 동일한 배치구성 및 형상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8도는, 기초 플레이트(21)에 설치된 플레이트 부재(58,59)의 외관구성을 나타낸다.
상기 플레이트 부재(58,59)는, 기초 플레이트(21)에 예를들면, 용접에 의해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4도에는 기초 플레이트(21)의 하부측 기초대(22,23)로서 형강을 사용한 경우를 나타낸다.
이상 상술한 상기 제2실시예에 의하면, 제1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 제1실시예보다도 만곡체(11,12)의 운반효율을 한층더 높일 수 있다. 이것은 기초 플레이트(20,21)도 대형 데크플레이트(15)로부터 분리하기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제19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아아치형 건축구조체의 외관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20도는 이와동일하게 전방에서 도시한 정면도이다. 또한, 제19도 및 제20도에 있어서, 제1도와 동일부분에는 동일 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제3실시예에서는, 만곡체(11,12)의 연결구성에 관해서는, 먼저, 제1 및 제2실시예의 연결구성을 개량한 것이고, 아아치형 연결체(10)의 지지구성에 관해서는, 제2실시예의 지지구성을 개량한 것이다.
우선, 만곡체(11,12)의 연결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및 제2실시예에서는, 만곡체(11,12)를 외면과 내면에서 양면으로 연결하는 경우를 설명하였다. 이것에 대하여, 상기 실시예에서는, 만곡체(11,12)를 상기 외면과 내면중의 어느 한쪽면으로만 연결한 경우에 대한 것이다. 제19도 및 제20도에서, 61은 만곡체(11,12)를 연결하기 위한 플레이트 부재이다.
상기 플레이트 부재(61)는, 예를들면, 만곡체(11,12)의 외면에만 배치되어 있다. 제21도는, 플레이트 부재(61)를 만곡체(11,12)로부터 분리한 상태로 전방에서 본 정면도이다.
제22도는, 플레이트 부재(61)를 분리한 상태를 상부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제23도는, 제22도를 선 L1-L2에 따라서 절단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본 경우의 단면도이다.
제22도 및 제2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플레이트 부재(61)는, 먼저 제1실시예의 플레이트 부재(13)과 동일하게 사다리꼴 파형 단면으로 형성된다. 단, 상기 플레이트 부재(61)의 파형 형성방향 X1의 폭은, 대형 데크플레이트(15)의 파형 형성방향 X1의 폭과 각각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플레이트 부재(61)는, 제2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형 형성방향 X1의 단부에서 인접한 플레이트 부재(61)과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겹침부(62)에서는, 예를들면, 보울트(63)에 의해 대형 데크플레이트(15)에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겹칩부(62)는, 대형 데크플레이트(15)의 겹침부(16)와 파형 향성방향 X1으로 어긋나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 부재(61)는 데크플레이트(15)의 겹침부(16)를 통해서 2개의 인접한 데크플레이트(15)에 겹치도록 배치되는 것이다. 다음, 아아치형 연결체(10)의 지지구성을 설명한다.
먼저, 제2실시예에서는, 기초 플레이트(21)에 아아치형 연결체(10)를 고정하기 위한 플레이트 부재(58,59)를, 아아치형 연결체(10)의 외면과 내면에 배치한 경우를 설명하였다.
이것에 대하여, 제3실시예에서는 이러한 플레이트 부재(58, 59)에 상당하는 플레이트 부재(71, 72)를 아아치형 연결체(10)의 외면과 내면중의 어느 한쪽면에만 설치한 것이다.
제19도 및 제20도에는 플레이트 부재(71, 72)가 아아치형 연결체(10)의 내면에만 설치된 경우를 나타낸다.
제24도는, 제20도에서, 만곡체(12)를 선 L11,L12에 따라서 절단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본 경우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플레이트부(72)와, 만곡체(12)의 대형 데크플레이트(15)와의 연결구성은, 제23도와의 배교로부터 명확하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플레이트 부재(61)와 대형 데크플레이트(15)와의 연결구성이 동일하다. 즉, 플레이트 부재(72)는, 대형 데크플레이트(15)의 파형 형성방향(X1)폭과 각각 동일한 폭을 갖추고, 인접한 플레이트 부재(72)와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겹침부(73)에서는, 예를들면, 보울트(74)에 의해 체결되게 된다. 이러한 경우, 겹침부(73)의 위치는, 대형 데크플레이트 겹칩부(16)의 위치와는 어긋나고, 2개의 플레이트 부재(72)와 2개 대형 데크플레이트(15)가 1개소에서 겹치치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3실시예에서는, 기초 플레이트(20,21)가, 각각의 대형 데크플레이트(15)에 대해서가 아니라 예를들면, 만곡체(12) 전체에 걸쳐서, 1개의 플레이트로서 형성되어 있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기초 플레이트(20)와 플레이트 부재(71)도, 기초 플레이트(21)과 플레이트 부재(72)와 동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제3실시예에 의하면, 만곡체(11, 12)를 연결하기 위한 플레이트 부재(61)를 상기 제1실시예 보다도 절감할 수 있다. 이것은, 만곡체(11, 12)의 외면에만 플레이트 부재(61)를 배치하도록 한 이유에서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플레이트 부재(61)를 만곡체(11,12)의 외면에 직접 배치하지 않아도 무관하며, 제1실시예와 각각 동등의 강도를 얻을 수가 있다. 이것은, 인접한 플레이트 부재(61)를 서로 연결함에 의해 강도의 연속성을 얻도록 된 이유에서이다.
또한, 제3실시예의 의하면, 인접한 플레이트 부재(61)를 서로 연결하여도 무관하며, 2개의 플레이트 부재(61)와 2개의 대형 데크플레이트(15)의 겹침 현상이 방지된다.
이것은, 2개의 플레이트 부재(61)의 겹칩부(62)와 2개의 대형 데크플레이트 (15)의 겹침부(61)를 서로 어긋나도록 한 이유에서이다.
제25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아아치형 건축구조체의 외관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먼저, 제1 내지 제3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대형 데크플레이트(15)를 파형 형성방향 X1으로 겹치도록 배치하여, 상기 겹침부(16)에서, 인접한 대형 데크플레이트(15)를 연결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것에 대하여, 제4실시예에서는, 플랜지(81)에 의해 연결하도록 된 것이다. 그 형태는 제26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26도는, 제25도를 선 L13, L14에 따라 절단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81은 연결용 플랜지이다.
상기 플랜지(18)는, 각각의 대형 데크플레이트(15)의 파형 형성방향 X1의 단부를 만곡체(11,12)의 외면측으로 절곡함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의 절곡 개소로서는, 예를들면, 제4도의 겹침부(16)가 선정된다. 따라서, 대형 데크플레이트(15)의 유효폭을,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함이 가능하다.
이와같이 형성된 플랜지(81)는, 예를들면, 보울트(82)에 의해 인접된 플랜지 (81)와 연결된다.
따라서, 파형 형성방향 X1에서 강도의 연속성을 갖춘 만곡체(11,12)가 얻어진다. 또한, 제4실시예에서는, 2개의 만곡체(11,12)의 연결구성으로서 각각의 대형 데크플레이트(15)에 용접등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어 플랜지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플레이트(83,84)를, 예를들면, 보울트(85)에 의해 체결함에 의해 연결되어 구성을 나타낸다.
이상 설명한 제 4 실시예에 의하면,대형 데크플레이트(15)의 연결작업을, 만곡체(11,12)의 외측면에서 실행하기가 가능하기 때문에, 연결작업이 용이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플렌지(81)가 대형 데크플레이트(15)의 절곡가공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플랜지(81)의 용접가공이 불필요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플랜지(81)는, 제 2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만곡체(11,12)의 내면측으로 형성하도록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이러한 경우, 만곡체(11,12)의 내면측에서만, 대형 데크플레이트(15)의 연결작업을 수행함이 가능하다. 제 28도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아아치형 건축구조체의 외관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이다.
제 29도는, 상기 실시예를 전방에서 본 정면도이다.
또한, 제 28도에서, 제 1도의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부호가 부여되었다. 제 1 내지 제 4 실시예에서는, 2개의 만곡체(11,12)를 연결함에 의해 아아치형 연결체(10)를 구성하는 경우를 설명하였다. 이것에 대하여, 상기 실시예는, 3개의 만곡체(11,12,91)를 연결시킴에 의해 아아치형 연결체(10)를 구성하도록 된 것이다. 제30도는, 제29도를 상부에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만곡체(91)는, 만곡체(11,12)에 겹치도록 배치되고, 상기 만곡체(11,12)를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만곡체(19)에서 만곡체(11,12)에 겹치는 부분은, 예를들면, 프레스가공에 의해 만곡체(11,12)와 일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31도는, 제30도를 선 L16,L17에 따라 절단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도시한 경우의 단면도이다.
상기 제31도는, 만곡체(11)를 구성하는 대형 데크플레이트(15)의 겹침부(16)와 만곡체(91)를 구성하는 대형 데크플레이트(15)의 겹침부(92)를 겹치도록 한 경우를 나타낸다.
그러나, 겹침부(16,92)를 어긋나도록 하여도 무방함은 물론이다. 이러한 어긋남 현상은 대형 데크플레이트(15)의 겹침 매수를 최대 3매로 감소시킴이 가능하다. 따라서, 대형 데크플레이트(15)의 연결을 용이하게 수행함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 있어서도,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이고, 제 1 실시예보다도, 스판(span)이 큰 아아치형 건축구조체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제32도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아아치형 건축구조체의 외관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33도는, 상기 실시예를 전방으로부터 도시한 정면도이다. 먼저 제 1 내지 제 5 실시예에서는, 아아치형 연결체(10)를 지반에 고정한 경우를 설명하였다.
이것에 대하여, 제 6 실시예는, 아아치형 연결체(10)를 지반위에서 이동가능토록 지지한 것에 관한 것이다. 제32도 및 제33도에서는, 차륜(車輪)(101)과 레일(rall)(102)를 갖춘 이동기구에 의해 아아치형 연결체(10)를 이동시키는 경우를 나타낸다. 여기서, 차륜(101)은, 차륜 지지구(103)과 차륜 지지대(104)를 통해서 각각의 기초 플레이트(20)(혹은 21)의 하면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파륜 지지구(103)에는, 차륜(101)에 레일(102)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부(105)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아아치형 연결체(10)에 바람이 부딛혀도 차륜(101)이 레일(102)로부터 분리되지 않게된다. 또한 기초 플레이트(20)(또는21)은 만곡체(11 )(또는 만곡체 12)의 전체에 걸쳐서 1매의 플레이트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은, 제3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차륜(101)를 아아치형 연결체(10)의 길이 방향 단부에만 배치하도록된 이유이다. 다만, 기초 플레이트(20)(또는21)가 각각의 대형 데크플레이트(15)마다 설치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전체적으로 기초 플레이트(20)(또는 21)를 보강 플레이트에 고정하고, 이 보강 플레이트에 차륜 지지대(104)를 부착하면 문제가 없다.
제35도는, 이동기구를 측면으로부터 도시한 측면도이고 제36도는 상기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아아치형 연결체(10)를 밀거나, 당김에 의해, 아아치형 연결체(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경우 아아치형 연결체(10)에는, 큰힘이 가해질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경우, 아아치형 연결체의 길이 방향 단부는, 제32도 및 제3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들면, H-형강(111)으로 보강되어 있다.
제37도는, 이러한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또한, 제37도는, 제34도를 선 L17,L18에 따라 절단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의하면, 종래의 우천시나 눈이 내릴시에는 수행하지 못했던 옥외공사(예를들면, 도장공사나 도로의 콘크리트 타성공사)를 수행할 수 있다.
이것은, 아아치형 건축구조체를 이동하면서, 상기 구조체의 내부에서 실외공사를 수행할 수가 있기 때문이다. 제38도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아아치형 건축구조체의 외관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40도는, 상기 실시예를 전방에서 도시한 정면도이다. 상기 실시예는, 서로 스판(span)이 다른 복수의 아아치형 연결체(10)를 동축(同軸)으로 배치하여, 이것의 상대위치를 변경함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제39도에는, 3개의 아아치형 연결체(10A-10C)를 동축으로 배치한 경우를 나타낸다.
여기서, 가장 스판이 짧은 아아치형 연결체(10A)는, 기초 플레이트(20,21)와 기초대(22,23)에 의해 지반에 고정된다. 이것에 대하여, 나머지 아아치형 연결체(10B, 10C)에는, 제 6 실시예와 동일한 형태로 차륜(101)과 레일(102)를 갖춘 이동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39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아아치형 연결체 (10B,10C)의 단부에는, 제40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각, 아아치형 연결체(10B,10C)의 사이에 형성된 간극 및 아아치형 연결체(10B,10C) 사이의 간극을 막도록 고무시일 (rubber seal)(111)(112)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40도는, 제39도를 선 L19-L20에 따라 절단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41도 내지 제43도는, 상술한 3개의 아아치형 연결체(10A-10C)를 갖춘 구조체의 응용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제41,42도는, 상기 제39도를 선 L21-L22에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또한 제43도는, 제40도를 상부로부터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시된 실시에는, 상기 구조체를 좌우로 한쌍씩 대향햐도록 배치한 구조이다. 이러한 경우,고정배치된 좌측(L)이 아아치형 연결체(10A)(L)과 우측(R)의 아아치형 연결체(10A)(R)는, 소정 간극으로 떨어진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두 개의 아아치형 연결체(10A)(R),(10A)(R) 사이의 공간이, 이동가능한 좌측(L)의 아아치형 연결체(10B)(L),(10C)(L)과 우측(R)의 아아치형 연결체(10B)(R),(10C) (R)에 의해 닫혔다가 열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41도는, 닫힌 상태의 측면도이고, 제42도는, 열린상태의 측면도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용하고, 맑은 날씨에는 42도와 같이 열어서 사용함에 의해, 기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실외작업을 수행할 수가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으로서, 아아치형 건축구조체의 길이를 크게 할 수 있고, 또한 상기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몇가지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면, 제1실시예에서 있어서는, 플레이트 부재(13,14)의 파형 형성방향 X1폭을 대향 데크플레이트(15)의 파형 형성방향 X1의 폭보다 적게 설정한 경우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동등한 길이를 갖추도록 설명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제2실시예에 있어선, 플레이트 부재(511,512)를 만곡체(11,12)의 외면 및 내면에 설치한 경우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선, 이러한 플레이트 부재를 제3실시예와 동일하게 만곡체(11,12)의 외면과 내면중의 어느 한면에만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제3실시예에 있어서는, 플레이트 부재(61)의 파형 형성방향 X1폭을 대형 데크플레이트(15)의 파형 형성방향 폭과 각각 동일하게 형성한 경우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크거나, 적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제6실시예에 있어서는, 이동수단으로서 차륜과 레일을 사용한 차륜기구를 이용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차륜으로만 형성된 이동수단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예를들면, 슬라이딩(sliding)방식, 선회방식, 캐스트(cast) 방식등과 같은 이동수단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만곡체의 연결수를 2개 또는 3개로 구성된 경우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으로는 4개 이상으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이러한 경우, 연결수를 증가시킴에 의해 스판이 큰 아아치형 연결체를 얻을 수가 있다.
또한, 제7도의 실시예에서는, 내측의 아아치형 연결체(10A)고정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 밖의 아아치형 연결체(10B) 또는 (10C)를 고정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제7실시예에서는 3개의 아아치형 연결체내에 2개의 아아치형 연결체를 이동가능토록 한 구성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하나 또는 3개의 아아치형 연결체를 이동 가능토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제7실시예에서는 3개의 아아치형 연결체를 설치한 경우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2개 또는 4개 이상의 아아치형 연결체를 사용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제 7실시예에서는, 만곡체의 연결방식으로 플랜지를 사용하는 방식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제1도, 제14도, 제19도 제28도와 같은 연결방식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만곡체를 복수의 대형 데크플레이트(15)로 구성하는 경우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하나의 대형 데크플레이트(15)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이러한 구성은, 예를들면 아아치형 문등을 제작하는 경우에 적용된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단면계수가 큰 파형 플레이트로서, 대형 데크플레이트 (15)를 사용한 경우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예를들면, 데크플레이트나 키스톤 플레이트(Keystone paste)등의 단면계수가 큰 파형 플레이트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여기서, 데크플레이트등은, 산의 높이가 50-75mm의 플레이트이다. 또한, 키스톤 플레이트등은, 산의 높이가 25mm의 플레이트이다. 이러한 파형 플레이트는, 대형데크플레이트보다는, 단면 계수가 작지만, 그것으로도 상당한 단면계수를 갖추고 있다. 따라서, 아아치형 연결체(10)의 스판 크기에 따라서는 대형 데크플레이트(15)를 사용하는 경우와 동일한 강도를 얻을 수가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같은 파형 플레이트로서는, 현재, 철(鐵)로 형성된 것이 많다. 그러나, 본 발명은 철이외의 예를들면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레스등으로 형성된 파형 플레이트로도 적용가능하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2개의 만곡체를 연결하는 경우, 예를들면,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2개의 만곡체 연결부(아아치형 연결체의 머리부)를 산형(山形)으로 한 경우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R을 갖추어서 연결하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만곡체에 겹쳐지는 플레이트 부재(예를들면, 제 1 도의 플레이트 부재 13,14)를 파형으로 형성하는 경우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예를들면 평판상으로 형성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그밖에도, 본 발명은 요지(要旨)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변형하여 실시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34)

  1. 파형 형성방향과 직각으로 절곡 가공되고, 단면계수가 큰 파형의 대형 데크플레이트(115)로 구성된 복수의 만곡체(11,12)와, 상기 복수의 만곡체(11,12)와는 별도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만곡체(11,12)를 상기 파형의 대형 데크플레이트(15)의 길이방향으로 연결함에 의해, 아아치형 연결체(10)를 구성하는 만곡체 연결수단 및, 상기 만곡체(11,12)의 데크플레이트(15)에 일체로 연결되어 지반(24)에 고정되는 지지수단 등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아아치형 건축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체 연결수단은, 상기 복수의 만곡체(11,12) 사이에서 인접한 2개의 만곡체(11,12)에 겹치도록 배치된 플레이트 부재(13,14)에 의해, 상기 인접한 2개의 만곡체(11,12)를 연결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아아치형 건축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부재(13,14)에 의해, 상기 만곡체(11,12)의 외면과 내면의 양측면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아아치형 건축구조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부재(13,14)는, 상기 만곡체(11,12)의 외면과 내면중의 어느 한쪽면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아아치형 건축구조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부재(13,14)는, 상기 파형의 데크플레이트(15)에 일치하도록 파형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아아치형 건축구조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체 연결수단은, 상기 복수의 만곡체(11,12)사이에서 인접한 2개의 만곡체(11,12)중의 한쪽에 고정된 제 1 의 플레이트 부재(511,512)와, 상기 인접한 2개의 만곡체(11,12)의 타측에 고정된 제 2의 플레이트 부재(521,522) 및, 상기 제1 및 제2의 플레이트 부재(511,512),(521,522)를 연결하는 플레이트 (513,523)와 보울트(56)를 구비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아아치형 건축구조체.
  7. 제6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의 플레이트 부재(511,512),(521,522)는, 상기 만곡체(11,12)의 외면과 내면의 양측면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아아치형 건축구조체.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의 플레이트 부(511,512),(521,522)는, 상기 만곡체(11,12)의 외면과 내면중의 어느 한쪽면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아아치형 건축구조체.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의 플레이트 부재(511,512),(521,522)는, 상기 파형 데크플레이트(15)에 일치하도록 파형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아아치형 건축구조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체(11,12)는, 상기 파형 형성방향(X1)으로 연결된 파형을 갖는 복수의 대형 데크플레이트(15)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아아치형 건축구조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을 갖는 복수의 대형 데크플레이트(15)는, 상기 파형 형성방향(X1)으로 겹쳐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겹쳐서 배치됨에 의해 발생한 겹침부(16)에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아아치형 건축구조체.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체 연결수단은, 상기 파형 형성방향(X1)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복수로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아아치형 건축구조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체 연결수단과 상기 만곡체(11,12)와의 연결부는, 인접한 2개의 파형 데크플레이트 겹침부(16)와 어긋나도록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아아치형 건축구조체.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체 연결수단은, 상기 파형 형성방향(X1)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복수로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아아치형 건축구조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만곡체 연결수단의 겹침부(62)는, 인접한 2개의 파형 데크플레이트(15)의 겹침부(16)와 어긋나도록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아아치형 건축구조체.
  16. 파형 형성방향(X1)과 직각으로 절곡가공되고, 또한, 단면계수가 큰 복구가 파형 데크플레이트(15)를, 상기 파형 데크플레이트(15)의 상기 파형 형성방향(X1)에서 단부에 설치된 플랜지(81)에 의해 상기 파형 형성방향(X1)으로 연결시킴에 의해 구성된 복수의 만곡체(11,12)와, 상기 복수의 만곡체(11,12)를 상기 파형 데크플레이트(15)의 길이 방향으로 연결시킴에 의해, 아아치형 연결체(10)를 구성하는 만곡체 연결 수단 및, 상기 만곡체(11,12)의 데크플레이트(15)에 일체로 연결되어 지반(24)에 고정되는 지지수단등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아아치형 건축구조체.
  17. 파형 형성방향(X1)과 직각으로 절곡 가공되고, 단면계수가 큰 파형 데크 플레이트(15)로 구성된 복수의 만곡체(11,12)와, 상기 복수의 만곡체(11,12)를 상기 파형 데크플레이트(15)의 길이 방향으로 연결함에 의해, 아아치형 연결체(10)를 구성하는 만곡체 연결수단 및 상기 아아치형 연결체(10)와는 별도로 형성되고, 상기 아아치형 연결체(10)를 지반(24)에 고정하도록 지지하는 지지수단등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아아치형 건축구조체.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지반측(24)에 고정된 제1의 플레이트 부재(20, 21)와, 상기 제1의 플레이트 부재(20,21)에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아아치형 연결체(10)의 단부에 고정된 제2의 플레이트 부재(58, 59)등을 구비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아아치형 건축구조체.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플레이트 부재(58, 59)는, 상기 아아치형 연결체(10)의 단부에서 외면과 내면에 양면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아아치형 건축구조체.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플레이트 부재(58, 59)는, 상기 아아치형 연결체 (10)의 단부에서 외면과 내면중에 어느 한쪽면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아아치형 건축구조체.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플레이트 부재(58,59)는, 상기 파형 데크플레이트(15)에 일치하도록 파형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아아치형 건축구조체.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체(11, 12)는, 상기 파형 데크플레이트(15)를 상기 파형 형성방향(X1)으로 복수개 연결함에 의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아아치형 건축구조체.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파형 형성방향(X1)으로 복수개 분리된 상태로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아아치형 건축구조체.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과 상기 만곡체(11,12)와의 연결부는, 인접한 2개의 파형 데크플레이트(15)의 겹침부(16)와 어긋나도록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아아치형 건축구조체.
  25.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파형 형성방향(X)으로 복수개 연결된 상태에서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아아치형 건축구조체.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의 연결부는, 인접한 2개의 파형 데크플레이트 (15)의 겹침부(16)와 어긋나도록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아아치형 건축구조체.
  27. 파형 형성방향(X1)과 직각으로 절곡 가공되고, 단면계수가 큰 파형 데크플레이트(15)로 구성된 복수의 만곡체(11,12)와, 상기 복수의 만곡체(11,12)를 상기 파형 데크플레이트(15)의 길이 방향으로 연결함에 의해 아아치형 연결체(10)를 구성하는 만곡체 연결수단 및, 상기 아아치형 연결체(10)를 지반(24)위에서 이동가능토록 지지하는 지지수단등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아아치형 건축구조체.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차륜(101)과 레일(10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아아치형 건축구조체.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만곡체(11,12)와는 별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아아치형 건축구조체.
  30. 파형 형성방향(X1)과 직각으로 절곡가공되고, 단면계수가 큰 파형 데크플레이트(15)로 구성된 복수의 만곡체(11,12)를 상기 파형 데크플레이트(15)의 길이 방향으로 연결함에 의해 각각 구성되며, 서로 스판이 다른 복수의 아아치형 연결체(10A,10B, 10C)와, 상기 복수의 아아치형 연결체(10A,10B,10C)를 서로에 대한 상대위치가 변경가능토록 지반(24)위에 지지하는 지지수단등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아아치형 건축구조체.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복수의 아아치형 연결체(10A,10B, 10C)중의 어느 하나인 아아치형 연결체(10A)를 지반(24)위에 고정하도록 지지하고, 나머지 아이치형 연결체(10B,10C)를 지반(24)위에서 이동가능토록 지지하는 구성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아아치형 건축구조체.
  32. 제1의 플레이트 부재(21)와, 상기 제1의 플레이트 부재(21)에 기립(起立)하도록 일체로 설치되고, 단면이 파형으로 형성된 제2의 플레이트 부재(58,59)등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부재.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플레이트 부재(58, 59)가 1개임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부재.
  34.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플레이트 부재(58,59)가, 소정 간극으로 떨어져 대향하도록 2매(枚)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부재.
KR1019910003189A 1990-04-09 1991-02-27 아아치(arch)형 건축 구조체 KR9600007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0037834U JPH03128103U (ko) 1990-04-09 1990-04-09
JP37834/90 1990-04-09
JP1990039916U JPH0716803Y2 (ja) 1990-04-13 1990-04-13 凹凸波形を有する曲板状継ぎ手からなるアーチ形デッキプレート構造体
JP39916/90 1990-04-13
JP113691/90 1990-10-29
JP11369190U JPH0716804Y2 (ja) 1990-10-29 1990-10-29 大型デッキプレートを使用するアーチ形構造体用の継ぎ手の構造
JP113691/30 1990-10-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8647A KR910018647A (ko) 1991-11-30
KR960000768B1 true KR960000768B1 (ko) 1996-01-12

Family

ID=27289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3189A KR960000768B1 (ko) 1990-04-09 1991-02-27 아아치(arch)형 건축 구조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5233799A (ko)
KR (1) KR9600007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395B1 (ko) * 2005-06-28 2007-04-06 동양종합건업 주식회사 박스형 교량용 파형 강판의 연결구조
WO2017099304A1 (ko) * 2015-12-09 2017-06-15 평산에스아이 주식회사 대형 파형강판 보강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터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0768B1 (ko) * 1990-04-09 1996-01-12 도꼬 떽꼬 가부시끼가이샤 아아치(arch)형 건축 구조체
FR2718480A1 (fr) * 1994-04-08 1995-10-13 Cnim Dispositif formant abri souterrain de protection de personnes, ainsi que le procédé de réalisation d'un tel dispositif.
US5743192A (en) * 1996-10-17 1998-04-28 Gunderson, Inc. Railroad freight car for carrying motor vehicles
US6434891B1 (en) * 1999-10-25 2002-08-20 Michael W. Cameron Reinforced panel arch for soft-covered buildings and the like
KR100475485B1 (ko) * 2002-06-17 2005-03-10 백선필 암벽등반연습을 위한 구조물
PL208184B1 (pl) * 2004-01-09 2011-03-31 Wiesław Matusiak Hala łukowa trój-przegubowa rozbieralna
KR100632962B1 (ko) * 2005-04-29 2006-10-12 (주)건원산업건축사사무소 겹침식 셀터 시스템
US7562497B2 (en) * 2005-10-27 2009-07-21 Warren Douglas A Arched door frame
KR100589877B1 (ko) * 2005-12-20 2006-06-19 주식회사 픽슨이앤씨 파형강판 구조물의 보강라이너 설치용 거푸집
US20110072734A1 (en) * 2006-07-12 2011-03-31 Newby Roland L Compact interior safe room
US20090214297A1 (en) * 2008-02-22 2009-08-27 Wilson Michael W Reinforcement rib and overhead structure incorporating the same
US8485555B2 (en) * 2008-09-12 2013-07-16 Volvo Group North America, Llc Structural joint for a commercial vehicle frame and a frame made with a structural joint
CA2743481C (en) * 2008-11-25 2017-07-04 King Solomon Creative Enterprises Corp. End wall panel
US8117879B2 (en) * 2008-12-12 2012-02-21 M.I.C. Industries, Inc. Curved building panel, building structure, panel curving system and methods for making curved building panels
US20110214615A1 (en) * 2010-03-05 2011-09-08 Martin Shan Animal confinement housing configured for improved forced air ventilation
US9869090B2 (en) * 2011-08-12 2018-01-16 Atlantic Industries Limited Corrugated metal plate and overhead structure incorporating same
CN103917721B (zh) * 2011-11-02 2018-12-04 埃弗遮蔽物有限公司 用于即时或永久遮蔽物的建筑单元
US10808394B1 (en) * 2012-02-24 2020-10-20 Endurequest Corporation Prefabricated modular structure
US9061687B2 (en) 2012-11-05 2015-06-23 Gunderson Llc Railroad car for carrying motor vehicles
US20140202091A1 (en) * 2013-01-24 2014-07-24 Walton W. McCarthy Hexoid arch and shelter structure
AR092636A1 (es) * 2013-09-20 2015-04-29 Saggese Sebastian Cerramiento multifuncional
US20150252579A1 (en) * 2014-03-07 2015-09-10 Ping Guo Cold-formed steel above ground tornado shelter
US9938710B2 (en) * 2014-03-31 2018-04-10 Ping Guo Cold-formed steel above ground tornado shelter
RU2566881C1 (ru) * 2014-08-11 2015-10-27 Юри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Максимов Сборно-разборное арочное сооружение и узел крепления профилированного элемента к фундаменту, использованный в этом сооружении
CN105986644A (zh) * 2015-02-15 2016-10-05 美联钢结构建筑系统(上海)股份有限公司 超长度拱形金属屋面板翻身起吊施工装置
US10458141B2 (en) * 2015-09-17 2019-10-29 Simpson Strong-Tie Company Inc. Tornado shelter
US9822522B2 (en) * 2016-01-06 2017-11-21 David Wayne Cruey Arched cabin
USD794828S1 (en) * 2016-04-26 2017-08-15 Biotekt Usa, Llc Modular building archway panel
USD794827S1 (en) * 2016-04-26 2017-08-15 Biotekt Usa, Llc Modular elongate building
USD795451S1 (en) * 2016-04-26 2017-08-22 Biotekt Usa, Llc Modular T building
USD795450S1 (en) * 2016-04-26 2017-08-22 Biotekt Usa, Llc Modular corner building
USD796058S1 (en) * 2016-04-26 2017-08-29 Biotekt Usa, Llc Modular corner building
FR3055021B1 (fr) * 2016-08-09 2018-09-07 Cjb Revolution Abri repliable comprenant un magasin a pistes inclinees pour le stockage des elements de toiture de l'abri.
US9725895B1 (en) * 2016-08-17 2017-08-08 Kwikspace Guam, Inc. Relocatable wind resistant modular ISO container structure
US10443239B2 (en) * 2016-12-02 2019-10-15 Columbia Insurance Company Long span masonry lintel support system
US10480197B2 (en) 2017-04-04 2019-11-19 Columbia Insurance Company Masonry support
CN206987838U (zh) * 2017-08-03 2018-02-09 中国铁道科学研究院铁道建筑研究所 支护用波纹板组件
US10549824B2 (en) * 2017-10-24 2020-02-04 Daniel Joseph Bejrowski Floating vessel modular protection and security device
CN108301515B (zh) * 2018-01-17 2020-07-31 中国中元国际工程有限公司 一种大型辐射光源建筑体与基础轨道牵引装配式施工方法
US11898351B2 (en) * 2018-10-10 2024-02-13 Nucor Corporation Joist tie used in structural decking systems and method of installing
CA3157809A1 (en) * 2019-10-18 2021-04-22 Ail International Inc. Structural plates and methods of constructing arch-shaped structures using structural plates
CN111088757B (zh) * 2019-12-29 2021-07-16 正平路桥建设股份有限公司 基于碎石注浆填充层的覆土波纹钢板桥施工方法
CN113062460B (zh) * 2021-03-31 2022-05-10 潮峰钢构集团有限公司 一种超大跨度索承网格系统及索网张拉施工方法
WO2022260748A1 (en) * 2021-06-08 2022-12-15 trac9, LLC Collapsible hangar systems an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65645C (de) * 1933-02-08 1938-09-30 Friedrich Lange Biegungsfeste Knotenpunktverbindung von Traeger und Stuetze
US2019707A (en) * 1933-06-08 1935-11-05 Samuel A Jenkins Building construction
US2047436A (en) * 1934-08-20 1936-07-14 Sheffield Steel Corp Highway guard
US2073185A (en) * 1936-01-03 1937-03-09 American Rolling Mill Co Channel structure for metal arches
US2100209A (en) * 1936-01-20 1937-11-23 Alex H Bleuel Studding shoe
US2146333A (en) * 1938-02-02 1939-02-07 Air Reduction Welded structure
US2574074A (en) * 1945-11-28 1951-11-06 Nat Steel Corp Building construction
CH359532A (de) * 1958-03-17 1962-01-15 Aluminium Ind Ag Baracke
LU37441A1 (ko) * 1958-07-29
US3300923A (en) * 1963-03-11 1967-01-31 Behlen Mfg Company Inc Corrugated metal building and building panels
IT1012117B (it) * 1973-01-12 1977-03-10 Mavil Dispositivo di montaggio di montanti e longheroni per scaffalature amovibili
US4069638A (en) * 1974-06-05 1978-01-24 Scanovator Ab Structure of lightweight bars and connector means therefore
US3989399A (en) * 1974-10-04 1976-11-02 Slowbe Joseph A Structural joint assembly
US4068438A (en) * 1977-03-23 1978-01-17 Armstrong Cork Company Ceiling runner
IT8135902V0 (it) * 1981-07-07 1981-07-07 Ventimiglia Francesco Di Monte Copertura rigida, termoisolante, mobile per serre o simili
US4711257A (en) * 1986-06-11 1987-12-08 Nisshin Seiki Kabushiki Kaisha Vehicle washing apparatus
JPH0253404A (ja) * 1988-08-18 1990-02-22 Kubota Ltd 農作業車の作業装置昇降操作構造
JPH02114117A (ja) * 1988-10-24 1990-04-26 Sanyo Electric Co Ltd 車両誘導装置
JPH02127880A (ja) * 1988-11-08 1990-05-16 Sony Corp 乗物内の映像信号伝送装置
KR960000768B1 (ko) * 1990-04-09 1996-01-12 도꼬 떽꼬 가부시끼가이샤 아아치(arch)형 건축 구조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395B1 (ko) * 2005-06-28 2007-04-06 동양종합건업 주식회사 박스형 교량용 파형 강판의 연결구조
WO2017099304A1 (ko) * 2015-12-09 2017-06-15 평산에스아이 주식회사 대형 파형강판 보강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터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8647A (ko) 1991-11-30
US5233799A (en) 1993-08-10
US5385423A (en) 1995-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0768B1 (ko) 아아치(arch)형 건축 구조체
US4291510A (en) Prefabricated building construction
CA1097007A (en) Lightweight modular, truss-deck bridge system
US4365453A (en) Frameless metal building and building components
US6129483A (en) Prefabricated metal overcast having a crushable lower section
US4961297A (en) Transportable weather resistant building enclosure
US3213583A (en) Lock seam sheet metal panel
US468680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oofing
MX2014001878A (es) Estructura estatica libre de gran envergadura.
US3999336A (en) Building dome structure
US7069614B1 (en) Modular span multi-cell box girder bridge system
US5393173A (en) Tunnel liner building method and building panels therefor
US4655020A (en) Cinch strap and backup plate for metal roof endlap joint
US3744841A (en) Camper with expandable top
CA1320328C (en) Outer walls or roofs
EP0215231A2 (de) Auf einem Aufsetzkranz oder dergleichen angeordnetes, gewölbtes Dachoberlicht
US537951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oofing
JP2009102844A (ja) 金属製建屋、屋根材ユニット及びジョイント部材
JP4494307B2 (ja) 間口寸法拡張可能なアーチ状建築構造体
US6125603A (en) Construction system of corrugated edge sections and engaging connecting devices
US11548048B1 (en) Folding sheet metal panels
US4715160A (en) Set of standardized structural elements and accessories for the accomplishment of spatial and/or flat structures which can be combined to delimit habitable spaces in an industrialized building system
SU1055795A1 (ru) Способ уширени существующих разрезных пролетных строений моста
JPH0211537Y2 (ko)
US3455070A (en) Roofing panel with interlocking ed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03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