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0649Y1 - 리모우터축의 축받이 붙임 고정구조(bearing fixing sturcuture of motor shaft) - Google Patents
리모우터축의 축받이 붙임 고정구조(bearing fixing sturcuture of motor shaf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60000649Y1 KR960000649Y1 KR2019950031014U KR19950031014U KR960000649Y1 KR 960000649 Y1 KR960000649 Y1 KR 960000649Y1 KR 2019950031014 U KR2019950031014 U KR 2019950031014U KR 19950031014 U KR19950031014 U KR 19950031014U KR 960000649 Y1 KR960000649 Y1 KR 96000064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earing
- press
- diameter
- resin
- fitt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6—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08—Insulating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도면은 본 고안에 관한 모우터축의 축받이 붙임 고정구조의 본 실시예를 표시한 것으로,
제 1 도는 모우터의 개략 단면도.
제 2 도는 프런트 프레임의 요부 확대 단면도.
제 3 도는 종래의 예를 나타내는 프런트 프레임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모우터 2 : 영구자석
3a : 정류자 3b : 로터축
3 : 로터 코어 4 : 요크
5 : 프런트 브라켓 6 : 브러시 홀더
7 : 통홈부 7a : 축받이 도입부
7b : 축받이 압입부 7c : 빠짐 방지부
8 : 축받이 10 : 수지제 프레임
11 : 통홈부 11a : 압입부
A : 도입부의 속지름 C : 빠짐 방지부의 속지름
C ' :팽창한 빠짐 방지부 7c의 속지름 X : 축받이의 속지름
X' : 팽창한 축받이의 속지름
본 고안은 수지제 프레임에 모우터축을 지지 위한 모우터축의 축받이 붙임 고정 구조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모우터중에는 경량화등을 위하여 수지성 프레임에 축받이 (축받이 금속)를 통해 모우터축을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지하도록 구성된 것이 있고, 이 경우 축받이는 수지제 프레임에 형성한 통홈부의 속둘레에 눌리넣어 조립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이것은 제 3 도에 표시한 것처럼 수지제 프레임(10)으로 형성되는 통홈부(11)를 축받이 바깥지름보다도 작은 지름으로하여 축받이 압입부(11a)로 하고, 이 압입부(11a)에 축받이(8)를 압입하고 있는 것에 지나지 않았다.
그런데, 수지제의 가공 정밀도는 금속재의 가공 정밀도 보다 나쁘며, 이 때문에 축받이 압입부의 속지름이 설정 치수보다 크게 되어, 필요한 축받이 압입 대응력을 확보할 수 없을 염려가 있고, 이 경우에는 축받이가 압입부에서 빠져 버리는 문제가 발생한다.
더구나 모우터 중에는 자동차등의 차량에 합재된 것이 있으며, 이 같은 경우, 사용 온도 범위를 고온쪽으로 넓게 설정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프레임을 구성하는 수지제는 축받이를 구성하는 금속재에 대해 큰 팽창율을 가지기 때문에 고온이 됨에 따라 압입부(11a)의 속지름이 축받이 바깥지름보다 커지게 되고, 이에 수지제 크리프(creap)현상도 가해져, 축받이 압입 대응력이 저하하여 느슨해지며, 이에 따라 축받이가 압입부로부터 빠져버릴 우려도 생각할 수 있다.
그래서, 고온시에 있어서, 필요한 압입 대응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축받이 압입부의 속지름을 작게 하는 것이 제안되었지만, 이 경우에는 상온 상태에 있어서, 압입 대응력이 너무 강하여, 압입부 속지름과 축받이와의 사이에 갉아 먹는 현상이 발생하며, 이에 따라 압입부 속지름이 깍이거나 축홈부가 깨져버리는 반대의 문제가 생기므로 채용할수 없으며, 이에 대한 대응이 촉박하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이러한 결점을 해결할 수 있는 모우터축의 축받이 붙임 고정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창안된 것으로서, 우선 모우터축을 축받이를 통해 수지제 프레임에 형성한 통홈부에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지하는데 있어, 이 통축부에는 축받이가 눌러 넣음이 되는 축받이 압입부와, 이 축받이 압입부의 축받이 압입축에 위치하여, 속지름이 축받이 바깥 지름보다 작은 지름에 설정되는 빠짐 방지부를 형성한것을 특장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모우터축을 축받이를 통해 수지제 프레임에 형성한 통홈부에 회동이 자유롭게 축지지함에 따라, 이 통흡부에는 축받이가 압입되는 축받이 압입부와, 그 축받이 압입부의 축받이 입구측에 위치하여, 속지름이 축받이 바깥 지름보다 작은 지름에 설정되는 빠짐 방지부와, 이 빠짐 방지부의 축받이 입구측에 위치하여 축받이 바깥지름 보다 큰 지름으로 설정되는 축받이 도입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위에 기술한 각 고안에 있어, 기재되는 빠짐 방지부의 속지름은 적어도 모우터가 사용되는 사용 온도범위의 상한 온도에 있어서의 팽창한 축받이의 바깥 지름에 대해 팽창한 빠짐 방지부의 속지름쪽이 작은 지름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이들 구성에 의해 수지제 프레임에 형성되는 축받이 압입부에 압입된 축받이가 빠져 나오는 일이 없도록 했다.
다음에 본 고안의 1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1은 모우터의 케이싱으로서, 이 케이싱 (1)은 영구 자석(2)이 속둘레면에 고착되고, 로터코어(3)가 내장되는 금속성이 요크(4)와, 이 요크(4)의 개구 끝단에 일체적으로 고착되는 수지제의 프런트 브라켓(프런트 프레임)(5)에 의하여 구성되지만, 프런트 브라켓(5)의 내면측에 형성되는 브러시실(5a)에는 브러시 홀더(6)가 일체적으로 조립되고 있고, 이 브러시 홀더(6)에 탄력있게 장착된 브러시(6a)가 로터코어(3)의 정류자(3a)에 미끄러 접합하도록 되어 있다.
더우기 상기 프런트 브라켓(5)에는 로터 코어(3)의 로터축(3b)을 축지지하는 통홈부(7)가 형성되어 있다.
결국 이 통홈부(7)는 로터축(3b)을 축받이(8)를 통해 회동이 자유롭게 축지지를 하지만, 통홈부(7)의 속둘레면은 다음과 같이 된다.
결국, 축받이(8)를 압입하는 쪽, 즉, 브러시실(5a)측을 향해 축받이 도입부(7a)가 돌출 형성되어 있지만, 이 도입부(7a), 속지름(A)온 축받이(8), 바깥지름(X) 보다 다소 큰지름(A〉X)로 되어 있고, 축받이(8)를 심을 넣어 맞춤 가유지상태에서 삽입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도입부(7a)의 앞끝단축에 축받이 압입부(7b)가 형성되게 되지만, 도입부(7a)와 압입부(7b)와의 사이에 압입된 축받이(8)의 빠짐 방지하는 작은 지름의 빠짐 방지부(7c)가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프런트 브라켓(5)은 수지제이기 때문에 그 팽창 계수는 축받이(8)를 구성하는 금속재의 괭창계수 보다 꽤 크며, 그래서 상기 빠짐 방지부(7c), 속지름(C)을 상온에 두어 상기 축받이(8)의 속지름(X) 보다 작은 지름(C〉X)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으나, 또한 그 지름차 (X-C)는 적어도, 모우터가 사용되는 사용 온도 범위의 상한가에 두어 팽창한 축받이(8)의 바깥지름(X ' )(X〈X ' )보다도 팽창한 빠짐 방지부(7c)의 속지름(C ' )(C〈C ' )의 쪽이 작은 지름(X '〉C ' )이 되도록 설정된다.
상술한 것처럼,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 축받이(8)는 도입부(7a)에 삽입하여 가유지한 것을 강제압입하여 압입부(7b)에 압입조립한 것이지만, 이 압입된 축받이(8)는, 상기 도입부(7a)와 압입부(7b)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작은 지름의 빠짐 방지부(7c)에 의해 확실하게 빠짐 방지가 이루어지는 것이 된다.
결국, 본 고안에 있어서는, 압입부(7b)에 압입되는 축받이(8)는 가령, 그 압입 대응력이 필요 설정값보다 작더라도 이 압입부(7b)의 입구측에 작은 지름의 빠짐 방지부(7c)가 축받이(8)의 빠짐 방지를 하는것이 되고, 이 때문에 프런트 브라켓(5)을 수지제로 형성한 것이기 때문에 모우터의 신뢰성이 현저히 향상하게 되며, 축받이(8)가 빠져나오려는 것에 기인하는 트러블을 회피할 수 있다.
더구나 이것은 모우터를 고온 상태로 사용했을지라도 동일하게 축받이(8)가 빠져나오는 일이 없다.
결국, 빠짐 방지부(7c)의 속지름은 모우터가 고온 사용상태가 되었을 때에 있어서도 팽창한 축받이(8)의 바깥지름 보다 작아지도록 설정되어 있고, 각각 다른 팽창을 하는 고온 사용시에 있어서도, 축받이(8)가 압입부(7b)로부터 빠져 나오는 일이 없고 그리하여 여기에서 더욱 모우터의 신뢰성이 향상하고 있다.
그러나, 이것에 있어 축받이(8)는 작은 지름 빠짐 방지부(7c)를 강제로 빠져 나가도록 하고 압입부(7b)에 압입조립해야 하나, 빠짐 방지부(7c)의 입구측에 형성된 도입부(7a)에 축받이(8)를 삽입하게 함으로써, 축받이(8)는 심을 넣어 맞추어진 상태로 가유지지되며, 그리고 이것을 강제로 밀어 넣음에 따라, 작은 지름이 빠짐 방지부(7c)에 대해서 심이 어긋나는 일이 없이 강제로 밀어 넣어 압입부(7b)까지 눌러넣어질 수 있고, 밀어 넣기 가공상, 전혀 문제가 되는 일이 없다.
그러나, 이것에 있어서 도시하는 것처럼 도입부(7a)로 부터 빠짐 방지부(7c)에 이르는 경계를 테이퍼등 형상으로 하고 축받이(8)의 도입부(7a)로부터 빠짐 방지부(7c)로 이동이 원활하도록 배려해두면 더욱 좋다.
덧붙여서, 작은 지름 빠짐 방지부(7c)를 축받이(8)가 통과할 때 이 빠짐 방지부(7c)에는 강제적인 괭창부하가 작용하게 되지만, 이 부재는 수지제이므로 탄력성을 가지고 있고, 이 괭창부하가 탄성 한계내이면, 축받이(8)가 통과시간도 얼마 안되므로 축받이(8)의 통과에 의해 강제로 팽창했더라도 빠짐 방지부(7c)는 축받이 통과후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게 되며, 아무 문제도 엾다.
이상으로 결국, 본 고안은 상술한 것처럼 구성된 것이므로 축받이 압입부에 압입된 축받이는 그 압입 대응력이 설정된 것보다 작은 것으로서, 늘어졌다해도 압입부의 입구측에 형성되는 작은 지름의 빠짐 방지부에 의해 빠짐이 방지되고, 이때문에 축받이 압입부가 형성되는 프래임을 수지제로 했더라도, 축받이를 부주의로 빼버리는 것을 확실히 회피할 수 있고, 모우터의 신뢰성이 현저하게 향상되어 축받이를 빼내는 것에 기인하는 트러블을 피할 수 있다.
더구나 축받이를, 작은 지름 빠짐 방지부를 강제로 통과하여 압입부에 압입조립함에 따라 빠짐 방지부의 입구측에, 축받이 바깥 지름보다 큰 지름에 설정되는 축받이 도입부를 형성하여, 축받이를 심 넣어 맞춘 상태로 가유지하는 것은 축받이 빠짐 방지부의 밀어넣기 통과 작업이 번거로운 심을 넣어 맞추는 작업이 불필요하게 되어, 원활히 행해지게되고 작업성이 크게 향상된다.
게다가, 상기 뛰어난 축받이 빠짐 방지 작업은 빠짐 방지후의 속지름을 적어도 모우터가 사용되는 사용 온도범위의 상한 온도에 있어, 팽창한 축받이의 바깥 지름에 대해 팽창한 빠짐 방지부의 속지름 쪽은 작은 지름이 되도록 설정해 두면 팽창이 다른 온도가 되었을때에도 확실히 빠짐 방지되게 되며, 전기 장치나 제품처럼 고온에서 사용되는 일이 많은 모우터에 있어서도, 그 신뢰성이 크게 향상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 모우터축을, 수지제 프레임(11)에 형성한 통홈부(7)에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축지지함에 따라, 축받이(8)는 외주가 동일 직경을 가지는 것으로 하고, 상기 통홈부(7)에는 축받이를 통홈부(7)내에 도입하기 위한 축받이 도입부(7a)와 그 도입된 축받이(8)의 외주 전면이 미끄럼 접속 상태로 압입되는 축받이 압입부(7b)와, 그 압입된 축받이(8)의 축받이 도입부(7a) 측면에 대향하도록 축받이 도입부(7a)와 축받이 압입부(7b)와의 사이에 위치하고, 속지름이 축받이 바깥지름보다도 적은 지름으로 설정되어 상기 축받이 압입부(7b)에 압입된 축받이(8)의 축받이 도입부(7a)쪽 끝단면에 맞닿은 빠짐 방지부(7c)를 형성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우터축의 축받이 붙임 고정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50031014U KR960000649Y1 (ko) | 1991-11-26 | 1995-10-30 | 리모우터축의 축받이 붙임 고정구조(bearing fixing sturcuture of motor shaf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10021330A KR930011372A (ko) | 1991-11-26 | 1991-11-26 | 모우터축의 축받이 붙임 고정구조 |
KR2019950031014U KR960000649Y1 (ko) | 1991-11-26 | 1995-10-30 | 리모우터축의 축받이 붙임 고정구조(bearing fixing sturcuture of motor shaft)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10021330A Division KR930011372A (ko) | 1991-11-26 | 1991-11-26 | 모우터축의 축받이 붙임 고정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60000649Y1 true KR960000649Y1 (ko) | 1996-01-25 |
Family
ID=26628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50031014U KR960000649Y1 (ko) | 1991-11-26 | 1995-10-30 | 리모우터축의 축받이 붙임 고정구조(bearing fixing sturcuture of motor shaf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60000649Y1 (ko) |
-
1995
- 1995-10-30 KR KR2019950031014U patent/KR960000649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610462A (en) | Brushless motor | |
EP1041303B1 (en) | Small-sized motor and method of manufactruring the same | |
US20090120225A1 (en) | Motor equipped with reduc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US6318900B1 (en) | Ball bearing mounting member | |
KR970001604B1 (ko) | 볼 조인트 | |
KR960000649Y1 (ko) | 리모우터축의 축받이 붙임 고정구조(bearing fixing sturcuture of motor shaft) | |
KR20010072252A (ko) | 전기 모터 | |
US6091176A (en) | Motor shaft assembly | |
JPH0530701A (ja) | モータ | |
JP2004104915A (ja) | アウターロータ型ブラシレスモータ | |
JP2006311654A (ja) | 電動アクチュエータ | |
JP3701737B2 (ja) | 回転電機 | |
JP2646139B2 (ja) | アウタロータモータの軸受構造 | |
JP2577266B2 (ja) | モータ軸の軸受取付け構造 | |
KR200144706Y1 (ko) | 모터 | |
JP3377247B2 (ja) | ファン装置 | |
JP2002095204A (ja) | モータ軸の抜け止め構造 | |
JPH1169698A (ja) | ステッピングモータ | |
JP4695309B2 (ja) | モータ | |
JPH09219951A (ja) | 電動機の軸受装置 | |
CA2215208A1 (en) | Motor armature arrangement | |
JPH0438142A (ja) | モータの軸受装置 | |
KR200145133Y1 (ko) | 차량용 모터의 휠 조립구조 | |
KR100208566B1 (ko) | 차량용 모터의 스러스트 갭 조정방법 | |
KR100342570B1 (ko) | 마그네트레버스프링의 지지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60110 Year of fee payment: 11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