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0314B1 - 밀폐 장치 - Google Patents

밀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0314B1
KR960000314B1 KR1019870010358A KR870010358A KR960000314B1 KR 960000314 B1 KR960000314 B1 KR 960000314B1 KR 1019870010358 A KR1019870010358 A KR 1019870010358A KR 870010358 A KR870010358 A KR 870010358A KR 960000314 B1 KR960000314 B1 KR 960000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enclosure
male
liquid
screw
fe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0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4521A (ko
Inventor
유끼오 다마끼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오오가 노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오오가 노리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04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4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0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7/00Detail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and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7/24Cooling arrangements; Heating arrangements; Means for circulating gas or vapour within the discharge sp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4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 F16B37/06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by means of welding or riveting
    • F16B37/062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by means of welding or riveting by means of riveting
    • F16B37/065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by means of welding or riveting by means of riveting by deforming the material of the nut
    • F16B37/067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by means of welding or riveting by means of riveting by deforming the material of the nut the material of the nut being deformed by a threaded member generating axial movement of the threaded part of the nut, e.g. blind rivet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9/00Screwed connection with deformation of nut or auxiliary member while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3/00Covers or similar closure members for pressure vessels in general
    • F16J13/02Detachable closure members; Means for tightening closures
    • F16J13/08Detachable closure members; Means for tightening closures attached by one or more members actuated to project behind a part or parts of the frame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3/00Pressure vessels; Containment vessels; Containment in general
    • G21C13/02Details
    • G21C13/06Sealing-plugs
    • G21C13/067Sealing-plugs for tubes, e.g. standpipes; Locking devices for plu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Cathode-Ray Tubes And Fluorescent Screens For Display (AREA)
  • Common Detailed Techniques For Electron Tubes Or Discharge Tub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밀폐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밀폐 장치의 일실시예의 종단면도.
제2도는 그 밀폐전 상태의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제5도는 그 밀폐전 상태의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장치를 액체 냉각형 음극선관 장치에 적용한 경우의 단면도.
제7도 및 제8도는 각각 그 본 발명의 장치의 상이한 면에서의 단면도.
제9도 및 제10도는 각각 본 발명의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상이한 면에서의 단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설명에 제공하는 액체 냉각형 음극선관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밀폐실 101 : 관통 구멍부
102 : 탄성포위체 105 : 암나사
106 : 숫나사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의 밀폐실, 예를들면 액체 또는 기체등의 수용 탱크에 있어서, 예컨대 그 수용물의 출입구로 되는 관통구멍부에 대한 액체 밀봉 내지는 기밀적 밀봉에 의한 밀폐를 행하는 밀폐 장치에 관계한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개구부를 가지며 그 주위 가장자리에 차양(테두리)부가 설치된 탄성포위체를 밀폐실의 관통구멍부내에 차양부가 밀폐실 관통구멍부의 전체 주위 가장자리부에서 전체 주위에 걸쳐서 접촉하도록 삽입하는 한편, 탄성포위체내에 설치한 숫나사 또는 암나사에 대해 탄성포위체의 개구부를 통해서 암나사 또는 숫나사를 나사 결합 체결하는 것에 의해 탄성포위체의 일부를 팽창 돌출시키고, 이 팽창 돌출부와 차양부의 사이에 밀폐실 관통구멍부의 주위 가장자리를 기밀 내지는 액체 밀봉적으로 유지하여 이 관통구멍부를 탄성포위체에 의해 밀폐하고 또한 그 체결 나사가 탄성포위체에 의해 둘러쌓인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 인하여, 밀폐실내의 수용물에 체결 나사가 집적적으로 접촉하는 일이 회피되도록 하며, 이들 나사와 수용물이 화학적으로 반응하거나 양자의 이온화 경향의 차이에 의한 전지 반응에 의해 나사의 산화가 발생하는 것 같은 좋지 않은 상태를 회피한다.
[종래 기술]
액체 또는 기체등의 수용 탱크와 같은 밀폐실에서 그 액체 또는 기체의 출입구로 되는 관통구멍부에 대한 액체 밀봉 내지는 기밀적 밀봉 즉 밀폐 방향으로서는 예컨대 실리콘 수지에 접착제에 의한 시일, 또는 나사의 나사 삽입에 의한 밀봉등의 여러가지 방법이 채택되나 접착제에 의한 시일의 경우에는 그 접착제의 건조 내지는 경화 시간, 수고등의 작업성에 문제가 있고, 또한 밀폐실내에 수용하는 기체 또는 액체의 종류와 접착제와의 반응성의 문제로 인한 재료의 선정에 제약이 있다. 또한 나사 멈춤등에 의한 경우에 있어서도 그 나사의 구성 재료 예컨대 금속과 밀폐실내에 수용하는 기체 내지는 액체와의 반응에 의한 부식 또는 산화, 그 위에 나사의 금속 재료와 밀폐실내에 수용되는 액체 또는 기체와의 이온화 경향의 상이에 의한 전지 작용에 기인한 산화등이 발생하고 신뢰성이 높은 장기간에 걸친 기밀 내지는 액제 밀봉적 밀폐가 손상당하는 경우가 있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예컨대 컨더 음극선관의 재생 화상을 스크린상에 투사하도록 한 음극선관형 프로젝터에 있어서는 고휘도 컬러 음극선관이 사용되는 것이나, 이 경우 고휘도의 재생 화상을 얻기 위하여 음극선관의 컬러 형광면에 대한 전자의 조사 에너지가 높은 현상때문에 음극선관의 컬러 형광면을 갖는 전면 패널의 온도 상승이 현저하다. 또한 상술한 바와같이 고휘도 음극선관에 있어서는 형광면에 대한 전자의 충격 에너지가 크게 선정되고 있는 것에 의해서 형광제로부터 X선 방출이 문제로 되고 이때문에 음극선관의 전면 패널의 두께는 비교적 크게 선정되므로 글래스(glass)의 열전도가 비교적 낮은 것에 동반하여 이 전면 패널, 따라서 형광면에 있어서 열의 방산 능률이 낮아 온도 상승이 또한 문제로 된다. 그리고 이와같은 온도 상승이 커지면 형광체의 온도소광이 문제로 된다. 이 온도소광이란 온도의 상승에 수반하여 형광체의 휘도가 저하하는 현상이다. 이 온도소광은 각 색의 형광체에 관하여 그 정도가 다르므로 화이트 밸런스(white balabce)에 이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 종류의 고휘도 음극선관에 있어서는 그 전면 패널에 대하여 열방산을 양호하게 행하기 위한 냉각을 필요로 한다. 이와같은 음극선관의 전면 패널의 냉각을 효과적으로 행하는 방법으로서 음극선관 패널의 전방면에 접하여 대류가 발생하는 투명액상 냉매를 배치하여 그 냉각을 행하도록 한 것이 여러가지 제안되고 있다(예컨대, 실공소 59-7731호 공보 참조).
이런 종류의 액체 냉각형 음극선관 장치의 일실시예를 제11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참조부호 1은 음극선관 장치 전체를 도시하고 있다. 2는 음극선관을 도시하고, 3은 이 음극선관(2)의 형광면(4)이 도포된 전면 패널을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이 음극선관(2)의 전방에서 그 주변부에 배치된 스페이서로 되는 한편, 주위 측벽으로 되는 방열 효과가 뛰어난 환형 금속 환형체(5)를 집어넣어서 투명 패널(6)이 전면 패널(3)과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대향 배치된다. 금속 환형체(5)와 양 패널(3,6) 사이에 실리콘 수지와 같이 탄성이 풍부한 접착성 수지(7)에 의해서 액체 밀봉으로 밀봉되어 양 패널(3,6) 사이에 액체 밀봉의 밀폐실(8)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밀폐실(8)내에 예컨대 금속 환형체(5)에 설치된 관통구멍부(도시 않음)를 통하여 액상냉매(9)가 충진되고, 이 충진후에 관통구멍부가 예컨대 접착성 수지에 의해서 밀봉된다.
액상냉매(9)로서는 에틸렌 글리콜 수용액등이 사용된다.
이와같은 구성에 의하면 음극선관(2)의 패널(3)의 중앙에서 온도 상승이 발생한 경우, 이로 인하여 뜨거워져서 비중이 작아진 중앙부의 냉매(9)는 이것이 상승하는 것에 의해 대류가 발생한다. 이 때문에 패널(3)의 중앙부의 열은 효과적으로 주변부의 금속 환형체(5)에 전달되고 이에 의해 효과적으로 열방산이 행하여 지게 된다.
이와같은 방법에 의하면 고휘도 음극선관(2)의 형광면이 있는 패널(3)의 온도 상승이 효과적으로 회피되고 온도소광에 의한 화이트 밸런스의 이상이 회피되는 것이지만, 실제로 액상냉매로 온도 상승에 수반하는 이 냉매의 체적 팽창이 문제로 된다. 이 체적 팽창은 제11도의 구조의 것에 있어서는 탄성이 풍부한 접착성 수지(7)에 의한 시일재의 변형 팽창돌출에 의해서 실질적으로 패널(3)과 이와 대향하는 투명 패널(6)과의 사이의 밀폐실(8)의 용적이 변동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지만, 이와같이 하여도 또한 그 체적 팽창에 의해서 액체 누설 사고가 발생하거나 또는 투명 패널(6)과 전면 패널(3)간의 간격 변동이나 불균일이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투사화상이 비뚤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투명 패널(6)로서 렌즈 효과를 갖는 투명 패널이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그 투사화상이 비뚤어짐은 큰 문제로 된다.
이와같은 액상냉매의 온도 상승에 수반하는 체적 팽창에 대처하여, 예컨대, 본 출원인의 출원에 관계하는 특원소 60-137037호의 「음극선관 장치」등에 제안되어 있듯이 액상냉매의 수용 밀폐실로 연통하는 공기실을 설치하는 등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음극선관 장치의 운반등의 진동에 즈음하여 공기가 액상 냉매중에 혼입하고 사용시에 공기 거품에 의해서 화질이 손상 당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같은 문제점을 회피하기 위해서 액상냉매를 수용하는 예컨대 제11도에서 설명한 밀폐실(8)내에 이 밀폐실(8)내의 액상냉매와 분리한 신축 가능한 공기실을 설치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 있어서 이 공기실과 밀폐실(8)과의 기밀 내지는 액체 밀봉 분리의 구조가 문제로 된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
본 발명은 상술한 제문제를 해소하고, 기체 또는 액체등을 수용하는 밀폐실의 밀폐를 그 수용물과의 반응성등을 고려함이 없이 확실하고 또한 간단하게 밀폐할 수 있는 밀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있어서는 예컨대 제1도에 그 일예의 단면도를 도시한 바와같이 밀폐실(100)중 이것에 대한 수용물의 출입구로 되는 관통구멍부 또는 이 밀폐실(100)내에 공기실을 설치하기 위한 관통구멍부(101)내에 액체 밀봉 내지는 기밀성을 갖는 탄성포위체(102a)를 삽입하는 동시에 이 탄성포위체(102a)내에 서로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150a)와 숫나사(106a)를 설치한다.
탄성포위체(102a)에는 하나의 개구부(103)를 설치함과 동시에 이 개구부(103)의 주위 가장자리에 밀폐실(100)의 관통구멍부(101)의 주위 가장자리와 그 전체 주위에 걸쳐서 접촉하는 차양부(104)를 연장 설치하고, 또 탄성포위체(102a)내에는 상술한 암나사(105a) 또는 숫나사(106a)중 어느 한쪽을 채워넣거나 또는 이 자체에 성형함으로서 고정적으로 설치한다. 그리고 이 탄성포위체(102a)내의 암나사(105a) 또는 숫나사(106a)에 이들과 나사 결합하는 숫나사(106a) 또는 암나사(105a)를 탄성포위체의 개구부(103) 밖으로부터 개구부(103)를 통해서 나사 결합하고 이 결합에 의하여 탄성포위체(102a)를 그 차양부(104)와 이 탄성포위체(102a)내에 설치한 암나사(105a) 또는 숫나사(106a)의 배치부와의 사이에서 바깥쪽으로 환형으로 팽창돌출하는 환형 팽창돌출부(109)가 발생하도록 하여 이 팽창돌출부(109)와 차양부(104)와의 사이에 밀폐실의 관통구멍부(101)의 주위 가장자리부를 기밀 내지는 액체 밀봉으로 유지하여 밀폐실(100)의 관통구멍부(101)를 탄성포위체(102a)에 의해서 밀폐한다.
[작용]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밀폐실(100)중 밀폐해야 할 관통구멍부(101)내에 탄성포위체(102a)가 기밀 내지는 액체 밀봉으로 삽입되어서 그 밀폐 밀봉이 되는 것이지만, 이 경우 이 탄성포위체(102a)는 암나사(105a)는 숫나사(106a)의 체결에 의한 압축에 의해서 밀폐실(100)의 관퉁구멍부(101)의 주위 가장자리를 기밀 내지는 액체 밀봉으로 끼워 유지하는 구조로 하였음으로 확실하게 그 밀폐가 행하여지고 또한 이들 서로에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105a)와 숫나사(106a)는 탄성포위체(102a)에 의해서 포위된 구성을 갖는 것으로 밀폐실(100)내의 수용물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일이 없으며 따라서 밀폐실(100)내의 수용물과의 반응, 이온화 경향들을 고려함이 없이 재질 선정의 자유도가 높아지고 또한 장기간에 걸쳐서 안정하게 그 밀폐를 행할 수 있다.
실시예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밀폐 장치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해서 밀폐실(100)에 설치된 관통구멍부(101)에 대하여 밀폐를 행하려고 할 경우이며, 제1도는 그 밀폐 상태를 도시하고 제2도는 그 밀폐전의 상태의 각 단면도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밀폐실(100)의 관통구멍부(10)의 내주에 대응하는 외주형상을 가지는 유저 탄성인 동시에 액체 밀봉 내지는 기밀성의 예컨대 고무 슬리이브로 이루어지는 탄성포위체(102a)로 이루어진다. 이 탄성포위체(102a)의 일단에는 개구부(103)가 설치되고, 더우기 이것과 일체로 개구부(103)의 주위 가장자리부에 환형 차양부(104), 즉, 플랜즈부가 일체로 성형된다. 이 차양부(104)는 그 하면이 예를들면 밀폐실(100)의 외측면에 있어서 관통구멍부(101)의 주위 가장자리부에 접촉하도록 그 외주 치수가 선정된다.
또한 이 탄성포위체(102a)내에는 암나사(105a) 즉 너트가 채워 넣어진다. 이 암나사(105a)는 예컨대 탄성포위체(102a)의 축중심상에 또는 축중심과 직교하는 면내에 채워 넣어져서 고정된다.
한편 이 암나사(105a)와 나사 결합하는 숫나사(106a)를 설치한다. 이 숫나사(106a)는 나사 기둥부(106a1)와 그 외주부로부터 돌출하는 외부형상을 가지는 머리부(106a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 숫나사(106a)를 탄성포위체(102a)내의 암나사(105a)에 개구부(103)의 외측으로부터 삽입하여 나사 결합한다. 이 경우 숫나사(106a)의 머리부(106a2)와 탄성포위체(102a)의 차양부(104)와의 사이에는 와셔(108)를 개재시켜서 그 체결을 행할 수 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같이 하여 숫나사(106a)를 탄성포위체(102a)내의 암나사(105a)에 나사 결합시켜서 체결한다. 이때 이 체결에 의해서 암나사(105a)가 강제적으로 들어 올려지므로, 이로 인하여 탄성포위체(102a)의 일부 주위벽을 들어올려서 이 암나사(105a)와 차양부(104)와의 사이가 환형으로 바깥쪽으로 팽창돌출하여 환형 팽창돌출부(109)가 생기도록 한다. 이와같이 하면 이 팽창돌출부(109)와 차양부(104)와의 사이에 밀폐실(100)의 관통구멍부(101)의 외주부가 그 전체 주위에 걸쳐서 액체 밀봉 내지는 기밀적으로 끼워지고 관통구멍부(10)는 탄성포위체(102a)에 의해서 밀폐 밀봉되는 것으로 된다.
또한,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탄성포위체(102a)의 깊이 방향의 중간부에 암나사 즉, 너트(105a)를 채워넣는 구조로 한 경우이나, 제3도에 도시하는 것처럼 탄성포위체(102a)의 저부에 암나사(105b), 즉, 모나사(105b)를 채워넣고, 이것에 숫나사(106)를 나사 결합시켜서 제1도에서 설명한 것처럼 그 체결을 행하여서 그 관통구멍부(101)의 밀폐 밀봉을 행하도록 할 수가 있다.
또한 상술한 각 예에서는 암나사(105a, 105b)를 탄성포위체(102a, 102b)에 채워넣어서 고정한 경우이지만,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숫나사(106b)를 탄성포위체(102c)내에 채워넣어서 고정하고 그 선단의 나사기둥(106b1)을 탄성포위체(102c)의 개구부(103)로부터 돌출 설치하도록 하여 개구부(103)의 바깥쪽으로부터 암나사(105c)를 체결하여 그 관통구멍부(101)의 밀폐를 동일하게 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제4도 및 제5도에 있어서 제1도 및 제2도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제6도를 참조하여 액체 냉각형의 음극선관 장치의 액상냉매의 밀폐실내에 공기실을 설치하는 경우에 적용하는 일예를 설명한다. 제6도에 있어서 제11도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서 중복 설명을 생략하며, 이 경우에 있어서는 음극선관(2)의 전면 패널(3)에 그 주위에 실리콘 수지등의 접착성 수지(7)를 걸쳐서 제1금속 환형체(5A)를 설치하고, 그 전방에 동일한 실리콘 수지등의 접착성 수지(7)를 걸쳐서 제2금속 환형체(5B)를 배치하며, 그 전방에 확대 렌즈 효과를 가지는 투명 패널(6)을 동일하게 실리콘 수지에 의한 접착성 수지(7)를 거쳐서 액체 밀봉으로 밀봉 부착하여 금속 환형체(5A,5B)와 투명 패널(6)에 의해서 음극선관(2)의 전면 패널(3)의 전방에 액상냉매(9)를 충전하는 밀폐실(100)을 구성한 경우이다. 이 밀폐실(100)의 주면 예컨대 금속 환형체(5B)의 일부에는 관통구멍부(101)가 돌출설치되고, 이것을 통해서 액상냉매(9)가 주입되는 동시에, 이 관통구멍부(10)로 연통하는 탄성 공기실(200)이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관통구멍부(101)에 본 발명에 의한 밀폐 장치를 설치하여 이것에 의해 밀폐실(100)의 액체 밀봉 내지는 기밀의 밀봉을 행한다. 이 경우의 밀폐 장치로서는 그 탄성포위체(102D) 자체에 의해서 공기실(200)을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 제7도 및 제8도에 서로 직교하는 면에 있어서의 단면도를 도시하는 것처럼 탄성포위체(102d)는 밀폐실(100)의 관통구멍부(101)내에 삽입할 수 있는 예컨대 원통형의 원통형상부(102d1)와 그 후방에서 밀폐실(100)내에 삽입되어 외형 두께가 밀폐실(100)내부의 두께에 대응하는 두께를 가지며, 소정 내부 길이를 가지는 공기실(200)이 일체로 성형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탄성포위체(102d)의 원통형 상부(102d1)에는 제1도 내지 제5도에서 설명한 것처럼 예컨대 암나사(105d)가 동심적으로 채워넣어지고, 한편 원통형상부(102d1)의 선단에 필요에 따라서 금속 환형체(201)가 채워져서 그 금속 환형체(201)를 통해서 탄성포위체(102d)의 원통형상부(102d1)내에 숫나사(106c)가 삽입되어서 암나사(105d)에 나사 결합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숫나사(106c)의머리부(106C1)와 금속 환형체(201) 사이에는 와셔(108)가 개재되어 있다. 이 경우 탄성포위체(102d)의 원통형상부의 기부측이 밀폐실(100)의 벽면, 그 예로서는 제2금속 환형체(5B)의 내면에 있어서 관통구멍부(10)의 주위 가장자리부의 전체 주위에 걸쳐서 접촉하도록 차양부(104)가 설치되어 있고 숫나사(106c)를 암나사(105d)에 나사 삽입하므로서 탄성포위체(102d)의 원통형상부(102d1)가 그 축방향으로 축소되어 환형 팽창돌출부(109)가 생기고, 이 환형 팽창돌출부(109)와 차양부(104)와의 사이에 밀폐실(100)의 관통구멍부(101)의 주위가 끼워져서 이 관퉁구멍부(10)가 액체 밀봉 내지는 기밀로 밀폐된다. 제7도 및 제8도에 있어서 우측반분은 각각 숫나사(106c)를 암나사(105d)에 나사 결합되어 있기는 하지만 아직 비틀어 넣음이 이루어지지 않은 밀폐전의 상태를 도시하고, 좌측반분에 있어서는 비틀어 넣음에 의해서 관통구멍부(101)를 밀폐한 상태를 도시한다. 또한 경우에 있어서 숫나사(106c)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예컨대 그 축중심 방향으로 관통구멍을 돌출 설치하여 공기실(200)이 외부 공기와 연통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이와같은 관통구멍을 설치하지 않고 공기실(200)내를 외부와 차단하도록 할 수도 있다.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밀폐실(100)내에 충전된 액상냉매(9)가 그 온도의 상승, 하강에 따라서 체적에 변동이 생긴 경우에 있어서도 공기실(200)내의 기체의 압축, 팽창에 의해서 이것에 추종하여 밀폐실(100)내의 실질 적용적의 조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 공기실(200)의 수축을 보다 양호하게 행하기 위하여 제9도 및 제10도에 각각의 서로 직교하는 면에 있어서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각 우측반부 및 좌측반부가 각각 밀폐전과 밀폐후의 상태에서의 단면을 나타내도록, 탄성포위체(102e)의 후방의 공기실(200)에 콜게이션 또는 주름 상지 내지는 벨로우즈 기구 등의 신축 기구(202)를 설치하여 공기실(200)의 신축이 밀폐실(100)내의 액상냉매(9)의 팽창수축에 따라서 신축할 수 있게끔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9도 및 제10도에 있어서 제7도 및 제8도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발명의 효과]
상술한 것처럼 본 발명은 각종 밀폐실(100)에 대한 예컨대 밀폐실(100)내에 충전하는 액체 내지는 기체의 주입구가 되는 관통구멍부(101)에 대한 밀폐에 이용하여 그 기밀 내지 액체 밀봉의 밀폐를 탄성포위체(102, 즉, 20a 내지 102e)의 관통구멍부(101) 주위의 탄성적 협착에 의해서 행하므로 확실하게 이 관통구멍부의 시일을 행할 수 있다. 또 동시에 그 체결 나사 수단은 직접적으로 밀폐실내의 기체 내지는 액체와 접촉하는 일이 회피되므로 상술한 전지 작용 등에 의한 부식 문제등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이 관통구멍부를 수지접착제 등에 의해서 시일할 경우에 있어서처럼 이 수지제의 건조 내지는 경화에 필요한 시간적 문제, 즉 이 건조중에 기밀성이 손상 당한다든가 건조후에 접착 수지가 수축하여 기밀 내지는 액체 밀봉성을 손상하는 등의 문제, 그 외에 작업성 등의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치는 각종 용도에 이용되어서 액체 밀봉 내지는 기밀성에 있어서의 신뢰성과 확실성의 향상 및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어서 그 공업적 이익은 크다.

Claims (1)

  1. 밀폐실의 관통구멍부내에 삽입하는 탄성포위체와, 서로 나사 결합하는 숫나사 및 암나사와, 상기 탄성포위체에 설치된 하나의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의 주위 가장자리에 연장 설치되며, 상기 밀폐실의 상기 관통구멍부의 주위 가장자리와 그 전체 주위에 걸쳐서 접촉하는 차양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포위체내에 상기 숫나사 또는 암나사중 어느 하나를 설치하고, 상기 탄성포위체내의 상기 숫나사 또는 암나사에 상기 암나사 또는 숫나사를 상기 개구부 외부로부터 그 개구부를 통과해서 나사 결합하며, 상기 숫나사와 암나사의 체결에 의해서 상기 탄성포위체를 상기 차양부와 상기 탄성포위체내에 설치한 상기 숫나사 또는 암나사의 배치부와의 사이에서 바깥쪽으로 팽창돌출시키고, 이 팽창돌출부와 상기 차양부와의 사이에 상기 밀폐실의 상기 관통구멍부 주위 가장자리부를 기밀 내지는 액체 밀봉으로 끼워 유지하여 상기 밀폐실을 밀폐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장치.
KR1019870010358A 1986-09-19 1987-09-18 밀폐 장치 KR9600003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112386A JPH071671B2 (ja) 1986-09-19 1986-09-19 密閉装置
JP221123 1986-09-19
JP????221123 1986-09-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4521A KR880004521A (ko) 1988-06-07
KR960000314B1 true KR960000314B1 (ko) 1996-01-04

Family

ID=16761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0358A KR960000314B1 (ko) 1986-09-19 1987-09-18 밀폐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H071671B2 (ko)
KR (1) KR960000314B1 (ko)
DE (1) DE3731296A1 (ko)
GB (1) GB219730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46404B1 (fr) * 1989-04-28 1991-11-15 Tournaire Sa Dispositif de fermeture etanche pour recipients
DE9001069U1 (ko) * 1990-01-31 1990-04-05 Boellhoff & Co Gmbh & Co Kg, 4800 Bielefeld, De
GB2403212A (en) * 2003-06-06 2004-12-29 Keith White Sealing unit for a drinks can
DE202007003763U1 (de) * 2007-03-14 2008-07-17 Veritas Ag Verschluss-Stopfen mit integrierter Absaugpumpe
DE102012019037A1 (de) * 2012-09-27 2014-03-2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etzen des Staates Delaware) Käfigmutteranordnung zur Befestigung an einer Kraftfahrzeugkarosserie
CN108361376B (zh) * 2017-12-28 2020-07-24 铜陵日科电子有限责任公司 一种变压器浸油机用密封盖
GB2598291B (en) * 2020-07-27 2022-09-28 Aspen Pumps Ltd Condensate pump arrangement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414254A (en) * 1933-11-09 1934-08-02 Alfred Thiel Stoppers for bottles with internal expanding device
US2439628A (en) * 1945-02-02 1948-04-13 Donald G Kopecky Bottle stopper
US2533715A (en) * 1946-11-26 1950-12-12 Alfred A Conklin Expansible tube plug
US2566816A (en) * 1948-10-20 1951-09-04 Worth H Work Expansible plug closure
GB700379A (en) * 1951-04-16 1953-12-02 Rawlplug Co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nchoring devices for use in fixing articles to wallsor the like
US3489312A (en) * 1968-05-03 1970-01-13 Hunckler Products Inc Plug for oil pan openings and the like
GB1276485A (en) * 1971-04-01 1972-06-01 Paul Plura Stoppers for necked bottles
US3836035A (en) * 1973-01-24 1974-09-17 R Simbirdi Plu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8721025D0 (en) 1987-10-14
JPH071671B2 (ja) 1995-01-11
GB2197302A (en) 1988-05-18
KR880004521A (ko) 1988-06-07
DE3731296A1 (de) 1988-04-07
JPS6378431A (ja) 1988-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597731Y2 (ja) 陰極線管装置
JPH0156495B2 (ko)
KR960000314B1 (ko) 밀폐 장치
JPS63155523A (ja) ビデオプロジエクタ−用冷却装置
KR950002428B1 (ko) 프로젝센 수상관
US6456341B1 (en) CRT assembly of projection TV system
JPH0156494B2 (ko)
JPH0139183B2 (ko)
JPS61296636A (ja) 陰極線管装置
KR900003216B1 (ko) 음극선관장치
JPS6322604Y2 (ko)
KR940004692Y1 (ko) 투사형 음극선관
JPS6322605Y2 (ko)
KR100296011B1 (ko) 프로젝션텔레비젼의냉매주입구밀봉장치
KR930002091Y1 (ko) 투사형 텔레비젼의 액냉장치
KR950000719Y1 (ko) 액냉효과를 개선한 투사형 음극선관
JPS6168841A (ja) 液冷投写管装置
JPS6336599Y2 (ko)
JPS62252049A (ja) 陰極線管装置
JPS5836117Y2 (ja) 液冷式陰極線管装置
JPS601734A (ja) 投写形陰極線管
JPH047555Y2 (ko)
JP2904190B2 (ja) 投射形ブラウン管
KR100575626B1 (ko) 음극선관프로젝션텔레비젼의음극선관커플러장치
KR100508287B1 (ko) 음극선관 커플러의 냉매 압력조절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2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