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0133Y1 - 온수보일러의 운전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온수보일러의 운전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0133Y1
KR960000133Y1 KR92007267U KR920007267U KR960000133Y1 KR 960000133 Y1 KR960000133 Y1 KR 960000133Y1 KR 92007267 U KR92007267 U KR 92007267U KR 920007267 U KR920007267 U KR 920007267U KR 960000133 Y1 KR960000133 Y1 KR 9600001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iler
signal
unit
comparator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072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4071U (ko
Inventor
최진민
Original Assignee
최진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민 filed Critical 최진민
Priority to KR920072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0133Y1/ko
Priority to CN92108848A priority patent/CN1049972C/zh
Priority to PCT/KR1992/000024 priority patent/WO1993000559A1/en
Priority to RU9293058630A priority patent/RU2092744C1/ru
Publication of KR9300240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40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01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1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fl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24Preventing development of abnormal or undesired conditions, i.e. safety arrangements
    • F23N5/242Preventing development of abnormal or undesired conditions, i.e. safety arrangements using electron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F24D3/1008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expansion tank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23/1917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using digital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2Temperature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8Level sensors, e.g. water level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온수보일러의 운전제어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블록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주장치인 제어부의 상세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제어부의 명령을 수신, 출력하는 출력부 및 안전차단부의 상세도
제 4 도는 본 고안의 강제 급수회로 상세도
제 5 도는 본 고안의 과열감지회로(부) 상세도
제 6 도는 제 5 도의 다른 실시예
제 7 도는 본 고안의 저수의 감지회로(부) 상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명칭
1 : 롬신호 수신부 2 : 제어부
3 : 출력부 4 : 온도표시부(보일러의 수실내부 물온도 표시)
5 : 결속방지회로 6 : 과열감지부
7 : 안전차단부 8 : 저수위감지부
S1: 온도센서 S3: 유량센서
S4: 저수위센서 S5: 볼꽃센서
IC1: 디코더 IC2, IC3: 인버터
IC4-IC7: 비교기 IC8, IC9: 인버터
IC10: 타이머 IC11-IC14: 인버터
IC15-IC18: 비교기 TR1-TR13: 트랜지스터
R1-R75: 저항 VR1: 온도조절볼름
VR2 : 가변저항 BD : 브리지정류회로
D1-D39: 다이오드 LED1-LED4: 발광다이오드
C1-C12: 콘덴서 RSW : 수동복귀버튼
MWB : 강제급수버튼 RY1-RY5: 릴레이
BM : 버어너구동단자 IT : 점화장치구동단자
EP : 오일펌프구동단자 CP : 순환펌프구동단자
AW : 급수변구동단자 a : 난방신호출력단자
b : 급탕신호출력단자 c : 취첨신호출력단자
d : 외출신호출력단자
본 고안은 온수보일러의 운전을 자동 제어하는 콘트롤장치(콘트롤장치는 보일러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되 표시기 및 스위치가 설치된 그 전면부는 외부로 표출되어 있음)의 개량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인 온수보일러의 구성은 크게 난방장치와 급탕장치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상기 난방장치는 다시 열교환실, 난방수가열장치, 난방수순환장치, 난방수급수(보충)장치 및 오일공급장치와 점화장치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급탕장치는 난방열교환실내에 코일형으로 설치되는 급탕코일(저탕식)과 급수장치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와같은 구성을 갖는 보일러의 운전을 위한 제어장치가 구비되며, 여기서 보일러의 사용을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실내에 별도 설치되는 실내온도조절기 및 오일을 저장하기 위한 오일탱크를 일체적으로 연관 구성시켜 난방용 온수보일러가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 보일러의 운전시스템에서는 보일러의 운전을 자동 제어하는 콘트롤장치의 기능이 매우 단조로웠다.
즉, 콘트롤장치의 기능이 주로 온/오프적인 기능으로써 운전버튼을 누르면 오일공급장치를 가동시켜 버어너를 통하여 오일을 화실내로 분사 공급시킴과 동시에 점화장치를 가동시켜 기름의 연소동작에 의한 수실내의 난방수를 가열시킴과 동시에 순환펌프를 가동시켜 가열된 수실내의 물을 난방라인으로 순환시켜줌으로써 실내난방을 실시토록 하고, 운전오프버튼을 누르면 오일의 공급이 차단되어 난방의 가동이 중지되도록 하는 방식을 사용해 왔었다.
그러므로 난방온도조절을 하기 위해서는 수동으로 보일러를 온/오프 시켜가면서 실내온도를 조절해야 하므로 사용상의 불편은 물론 비효율적인 난방과 아울러 연료 및 전력의 낭비를 초래해 왔었다.
또한, 급탕시스템의 경우에 있어서도 급탕을 가동시키면 순환펌프가 같이 가동되어 원하지 않는 난방이 실시되는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그래서 최근에 개발된 시스템의 경우에는 이와같은 결함들을 시정하여 저온, 적온, 고온으로 분리되는 보조스위치를 설치하거나, 봄, 여름, 가을, 겨울로 구분되는 보조스위치를 설치하여 보일러의 물온도가 세트된 일정온도를 유지토록 함으로써 난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동제어기능을 도입함과 동시에 급탕가동시의 경우에 난방설정온도 이상으로 물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순환펌프의 가동이 중지되는 등의 새로운 운전방식이 개발되었으며, 또한 여기다 동파방지기능(외출기능) 및 취침온도 조절기능까지 추가되어 보일러의 효율적인 운전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최근의 보일러 제어장치에 있어서도 아직 다음의 문제들이 미해결된채 운영되기 때문에 사용상의 번거로움과 보일러의 효율적인 운전을 기대할 수가 없었다.
즉, 보일러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해 난방수 온도감지센서와 멸도로 보일러 동체(열교환실)에 리미트식 온도(과열)센서를 부착하여 과열안전 차단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보일러를 재가동시키기 위해서는 반드시 보일러케이스에 설치된 문짝을 열고 보일러 동체에 부착된 온도센서(과열센서)를 눌러 복귀시켜주어야 하는등의 사용상의 번거로움은 물론 안전상의 문제가 있었으며, 또한 수실내의 난방수 부족으로 인한 저수위가 감지될시 자동급수가 이루어지질 않아 전문인의 서어비스를 받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또한 안전차단 및 과열로 인한 보일러의 동작 중지시 이를 복귀시키기 위한 수동 복귀스위치가 각각 별도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회로구성상의 복잡화를 야기시키는 문제점과 사용상의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보일러의 운전제어장치가 갖는 제결함을 보관하기 위한 목적으로는 수동복귀버튼에 동작회로를 연결시키므로 보일러 제어기에서 복귀가능하여 과열센서에 의한 과열기능과, 저수위 감지시 사람의 손으로 물을 보충하지 않고 자동으로 물이 보충되는 자동급수기능과, 보일러의 내부의 공기를 빼내기 위해 급수변 및 순환 펌프를 강제로 구동시키는 강제급수기능을 갖추어 보다 효율적인 보일러의 가동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상의 편이성을 도모토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원의 기술적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제어장치는 제 1 도의 전체구성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각 주변장치로 부터 신호를 받아 이를 판단하여 각 유니트(버어너, 순환펌프등등)로 제어신호를 출력시키는 제어부(2)와, 실내온도조절기(도시생략)로 부터 운전신호를 받아 상기 제어부(2)로 신호를 변환출력하는 룸신호수신부(1)와, 상기 제어부(2)의 출력신호를 받아 버어너, 점화트랜스, 순환펌프, 가동급수 전자변에 전원을 공급해주거나 차단시키는 역할을 하는 출력부(3)와, 열교환실을 구성하는 수실에 충입된 난방수의 온도를 표시해 주는 온도표시부(4)와, 과열센서(S2)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비교하여 과열이 감지되면 제어부(2)로 안전차단신호를 출력시키는 과열감지부(6)와, 보일러의 연소불꽃을 감지하는 불꽃센서(S5)로 부터 착화 불착신호가 감지되면 제어부(2)로 안전차단신호를 출력시키는 안전차단부(7)와, 저수위센서(S4)에 의하여 난방수의 부족상태가 감지되면 제어부(2)로 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출력부(3)에 전자급수변 개로신호를 출력시키는 저수위감지부(8)와, 유량센서(S3)에 의해 오일의 잔량을 감지하는 유량감지부와, 보일러의 이상발생시 경고음을 발해주기 위한 경보부로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과열감지부(6)와 연결되는 과열센서(S5)를 제어부(2)와 온도표시부(4)에 연결되며 열교환실에 설치되는 온도센서(S1)와 결합 일체형으로 구성과 상기 -입력단에 과열센서(S2)가 연결된 비교기(IC16)와, 이의 출력으로 다이오드(D31)와 저항(R71)(R72)을 통해 직렬연결되는 비교기(IC17)로 과열감지부(6)를 구성하여 과열감지시 제어부(2)로 안전차단신호를 출력되고, 하나의 비교기(IC17)를 사용하여 과열감지부(6)와, 상기 비교기(IC17)+입력단에 제어장치의 외면으로 표출되는 수동복귀버튼(RSW)과, 팽창탱크에 설치되는 저수위센서(S4)를 브리지정류회로(BD)를 거쳐 비교기(IC18)의 -입력단으로 연결시켜 상기 저수위센서(S4)의 도통시 전압이 인가되도록한 저수위 감지부(8)와, 과열감지부(6)와 안전차단부(7)에 연결 설치되는 수동복귀버튼(RSW)을 다이오드(D12)를 거쳐 제어부(2)를 거쳐 제어부(2)를 구성하는 비교기(IC7)의 출력단에 연결시켜 보일러가 정지하게 하는 수동복귀버튼(RSW)와, 출력부(3)의 순환펌프구동단자(CP)와 급수변구동단자(AW)에 강제급수버튼(MWB)을 연결 설치하여 수동으로 수실에 물을 충입토록 하고, 결속방지회로(5)는 순환펌프가 결속되는 것을 방지해 주기 위한 회로를 표시하며, 이 회로는 제어부(2)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상세회로도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방 또는 거실에 설치된 실내온도조절기의 난방스위치를 누르게 되면 전선을 통하여 난방신호가 룸신호수신부(1)에 유입된다.
즉, 룸신호수신부(1)의 디코더(IC1)에서 이 신호를 제어부(2)에서 인식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시켜 제어부(2)로 출력시키게 된다.
이와같이 파형 정형된 전압펄스가 난방신호출력단자(a)를 통하여 출력되면 이 신호는 다이오드(D1)와 저항(R3)(R10)을 거쳐 비교기(IC4)의 +입력단에 인가되게 되므로 그의 출력에는 하이레벨의 신호가 출력되어 저항(R20)과 다이오드(D7)를 거쳐 출력부(3)의 순환펌프구동단자(CP)로 입력됨으로써 트랜지스터(TR12)를 구동시켜 릴레이(RY4)의 동작으로 순환펌프에 교류전원을 공급시켜 줌으로써 순환펌프가 가동되는 것이며, 동시에 저항(R7)(R12)을 통해 비교기(IC5)의 +입력단으로 인가되는 전압이 비교기(IC5)의 -입력단으로 인가되는 전압보다 낮게 되므로 그의 출력에는 저전위의 신호가 출력된다.
그러므로, 비교기(IC7)의 출력에는 하이레벨의 신호가 출력되어 저항(R32)을 통해 출력부(3)의 버어너구동단자(BM)에 인가됨으로써 트랜지스터(TR9)를 구동시켜 릴레이(RY1)의 동작에 의한 버어너의 가동이 이루어지는 것이며, 동시에 비교기(IC6)의 출력이 하이가 되어 하이레벨의 신호가 안전차단부(7)회로를 구성하는 다이오드(D28)를 거쳐 타이머회로의 타이머(IC10)에 인가되므로써 출력부(3)의 트랜지스터(TR11)를 구동시켜 릴레이(RY3)의 동작으로 전자펌프가 가동되어 버어너에 오일을 공급하게 되는 것이며, 일정시간후에 점화장치 구동단자(IT)에 연결된 트랜지스터(TR10)가 구동되어 릴레이(RY2)를 온시키게 되므로 점화장치의 점화동작에 의한 점화(연소)가 이루어져 보일러의 난방가동이 실시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난방운전이 실행되는 과정에서 온도조절볼륨(VR1)에 의해 세팅된 온도이상으로 수실내의 난방수온도가 올라가게 되면, 서미스터로 구성된 온도센서(S1)를 통해 전류가 흐르게 되므로 비교기(IC5)의 출력이 하이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하이전위가 저항(R23)(R30)을 통해 비교기(IC7)의 -입력단으로 인가되게 되고, 그의 출력에는 로우전위가 출력되게 되므로 버어너 구동단자(BM) 및 타이머를 통해 흐르던 전압이 차단되면서 오일전자펌프가동릴레이(RY3) 및 버어너가동릴레이(RY1)를 오프시켜 더이상 난방수의 온도가 올라가는 것을 막게 되는 것이며, 또한 온도가 설정치 이하로 떨어지면 다시 버어너가 착화되어 오일을 연소시킴으로써 난방수온도를 끌어 올려주는 동작의 반복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일정온도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그런데, 보일러를 고온으로 장시간 가동하거나 급탕을 오래 가동시킬 경우 보일러의 난방수 온도가 지나치게 올라가 위험수준에 이르게 되면 과열감지부(6)에서는 제어부(2)로 안전차단신호를 출력시켜 보일러의 가동을 중지시켜 주게 된다.
즉, 제 5 도의 과열감지회로에서 보일러의 가동중 과열이 되게 되면 보일러의 열교환실에 설치되며 온도센서(S1)와 결합 일체형으로 구성된 과열센서(S2)의 동작으로 비교기(IC16)의 출력단에 로우전위가 출력되어 이 신호가 다이오드(D31), 저항(R71), 콘덴서(C10)를 통하여 비교기(IC17)의 +입력단으로 입력되게 되므로 그의 출력에는 고전위의 안전차단신호가 출력되게 된다.
그러므로 이 신호가 다이오드 (D35)(D39)를 거쳐 제어부(2)를 구성하는 비교기(IC7)의 -입력단으로 인가되는 관계로 그의 출력이 로우되어 출력부(3)로 하이전위의 신호를 공급할 수 없게 되므로 보일러는 가동을 중지(과열로 인한 안전차단)하게 되는 것이며, 이때 다이오드(D35)의 출력전압이 경보부로 인가되어 경보부에서는 실내온도조절기를 통하여 비상경보음을 발하여 보일러에 과열이상이 발생하였음을 사용자에게 즉시 알려주게 된다.
한편, 본 과열감지회로의 구성은 제 6 도에서와 같이 한개의 비교기(IC17)만을 사용하여 구성함으로써 감도는 떨어지지만 회로의 간단화와 가격절감 효과를 거둘 수가 있다.
이와같이 과열로 인하여 보일러의 운전이 정지되었을시 본 고안에서는 수동복귀버튼(RSW)이 보일러케이스의 전면 문짝 외면으로 표출되는 콘트롤박스(도시생략)에 설치되는 관계로 사용자는 간단하게 콘트롤박스상에 설치되는 수동복귀버튼(RSW)을 눌러 콘트롤장치를 정상운전 상태로 복귀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과열센서(S2)는 서미스터로 구성함과 동시에 과열감지부(6)를 제어장치내로 유입시킴으로써 콘트롤박스상에 설치된 수동복귀버튼(RSW)의 이용이 가능해졌음)
즉, 제 5 도의 수동복귀버튼(RSW)을 누르게 되면 비교기(IC16)의 출력으로 흐르는 고전위의 전압이 다이오드(D32)를 통해 흘러버리게 되므로 비교기(IC17)의 +입력단이 로우상태가 되어 그의 출력으로는 저전위가 출력되게 된다.
그러므로 경보음은 정지되고 제어부(2)의 비교기(IC7)로 공급되던 하이신호가 차단되므로써 다시 난방운전을 개시하면 보일러는 정상상태로 운전이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에서는 안전차단부(7)에 연결 설치되는 수동복귀버튼(RSW)과 과열감지부(6)를 연결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보일러의 전면문짝을 열지 않고서도 콘트롤박스의 외면에 표출 설치된 수동복귀버튼(RSW)을 조작 보일러를 재가동시킬 수 있는 편이성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수동복귀버튼(RSW)을 누를 경우 보일러는 재가동할 수 있는 상태로만 환원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수실내의 난방수를 자동보충하기 위하여 보일러 케이스내에 설치한 팽창탱크(도시생략)에 저수위센서(S4)를 설치하고 이 저수위센서(S4)가 연결된 저수위감지부(8)의 출력을 순환펌프에 연결시켜 저수위감지시 수실로 물이 자동 보충되도록 회로를 구성하였다
즉, 팽창탱크에 설치된 저수위센서(S4)에 의하여 난방수의 부족이 감지되면 제 7 도의 회로에서 브리지정류회로(BD)를 통하여 전압이 공급되지 못하므로 비교기(IC18)의 -입력단이 로우상태가 되어 그의 출력은 하이상태가된다.
그러므로 하이레벨의 신호가 다이오드(D37)를 통해 제어부(2)의 저항(R21)으로 인가되므로써 트랜지스터(TR3)를 오프시키게 되므로 출력부(3)의 순환펌프구동단자(CP)로 공급되던 전압을 차단시키게 되므로 순환펌프는 정지되고, 동시에 다이오드(D38)을 통하여 경보부로 하이신호가 출력되어 실내온도조절기에서는 경보음이 발생되고, 또한 이 신호는 과열감지부(6)의 다이오드(D39)를 통해 제어부(2)의 비교기(IC7)의 -입력으로 공급되므로써 그의 출력이 로우가 되어 버어너 및 오일전자펌프의 가동을 중지시키게 되는 것이며, 아울러 다이오드(D36)를 통하여 하이신호가 출력부(3)의 급수변구동단자(AW)로 공급되므로서 트랜지스터(TR13)의 구동으로 릴레이(RY5)가 구동하여 급수변(수도관과 연결된 전자변으로 수실과 연결되어 있음)을 개로시켜 수실로 물을 보충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저수위상태가 해제되면 저수위센서(S4)를 통하여 전압이 유기되므로써 비교기(IC18)의 출력이 로우가 되어 경보음이 정지됨과 동시에 보일러는 다시 정상 가동준비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저수위감지시스템에 의하면 저수위가 감지되더라도 제어장치의 자동조정으로 수실내부의 부족된 물을 자동 보충시킬 수가 있어 별도조치를 취하지 않아도 되는 보일러 운전상의 편이성을 제공받을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적용되는 안전차단부(7)의 기능에 대해서 설명하면 보일러의 열교환실에 취부된 버어너의 주위에 설치되는 불꽃센서(S5)에 의해 제 3 도의 회로중 안전차단부(7)의 회로에서 보듯이 오일전자펌프를 통하여 버어너로 오일이 분사되어 점화장치에 의해 착화 연소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나 착화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화실로 오일만 계속 공급되는 결과만 초래하게 되므로 이를 예방하기 위하여 안전차단장치가 필요시 되는 것이다.
즉, 오일전자펌프의 가동상태에서 불꽃센서(S5)에 빛(연소불빛)이 감지되지 않게 되면 인버터(IC13)의 입력이 하이가 되므로 이와 다단연결된 인버터(IC14)의 출력이 하이가 되어 저항(R50)(R51)을 통해 하이레벨의 전압이 흐르게 되므로 트랜지스터(TR7)가 도통되어 비교기(IC15)의 -입력단으로 흐르던 전압은 트랜지스터(TR8)를 통해 흐르게 된다.
그러므로 비교기(IC15)의 -입력단이 로우가 되므로 그의 출력에는 하이신호가 출력되어 발광다이오드(LED2)를 통해 보일러의 이상상태를 표시해줌과 동시에 경보부로 신호를 출력시켜 경보음을 발하여 보일러에 이상이 생겼음을 알려주게 되는 것이며 또한 비교기(IC15)에서 출력되는 하이신호가 제어부(2)내 비교기(IC7)의 -입력단에 인가되므로써 그의 출력이 로우상태가 되어 버어너를 오프시키게 되고 동시에 다이오드(D28)를 통해 타이머(IC10)에 신호를 인가시키게 되므로 오일펌프구동단자(EP)로 흐르는 전압을 차단시켜 오일공급을 중단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수동복귀버튼(RSW)을 누르면 비교기(IC15)의 +입력단으로 인가되던 전압이 이 스위치를 통해 흘러버리게 되므로 그의 출력이 로우상태가 되어 발광다이오드(SED2)및 경보음이 오프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수동복귀버튼(RSW)을 누르는 순간 다이오드(D12)를 통해 전압이 유기되도록 함으로써 버어너의 가동이 중지되도록 회로를 구성 안전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한편, 본 고안의 제어장치에는 강제 급수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제 4 도의 회로도에서 보는바와 같이 보일러 수실에 처음 물을 충입할 때나 난방수의 교환시 강제급수버튼(MWB)을 누르게 되면 전압이 저항(R66)을 통해 유기되어 다이오드(D29)(D30)를 통해 각각 흐르게 된다.
그러면 두개의 발광다이오드(LED3)(LED4)가 발광하면서 순환펌프의 가동과 동시에 급수변을 통한 물의 보충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려주게 되며, 이 신호는 각각 저항(R61)과 저항(R63)을 통해 트랜지스터(TR12)(TR13)의 베이스단에 각각 인가되어 각각의 트랜지스터를 도통시켜 주게 된다.
그러므로 각 릴레이(RY4)(RY5)의 구동으로 동시에 전자급수변이 개로되어 수실에 계속적으로 물공급이 실행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의 보일러 제어장치에는 과열시 수동복귀버튼에 의한 비상정지의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과열기능과, 난방수 부족으로 인한 저수위 감지시 자동급수가 실행되도록 하는 자동급수기능과, 강제 급수기능을 구비시켜 안전성 및 실용성을 갖춘 고신뢰도의 보일러를 제공할 수가 있는 것이다.
즉, 과열 및 난방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를 서미스터를 사용하여 결합 일체형으로 구성함으로써 설치가 간편토록 함은 물론 하나의 센서에 의한 과열 및 난방온도 감지기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거둘수 있으며, 동시에 과열 복귀동작이 제어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이성을 제공 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보일러의 운전중 난방수가 부족되어 저수위가 감지되면 안전차단과 동시에 자동으로 부족한 량만큼의 물이 즉시 공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일러의 가동효율을 증진트록 하였으며, 특히 안전 차단된 보일러를 운전가능 상태로 수동 복귀시킬시 보일러가 가동하지 않도록 안전회로를 구성함으로써 보다 안전하면서도 사용이 매우 간편한 보일러를 제공할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8)

  1. 보일러의 운전을 제어하는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각 주변장치로 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판단하여 각 유니트(버어너, 순환펌프등)로 제어신호를 출력시키는 제어부(2)와, 실내온도조절기로 부터 전달되는 운전신호를수신하여 상기 제어부(2)로 신호를 변환 출력시켜 주는 룸신호수신부(1)와, 상기 제어부(2)의 출력신호를 받아 각 유니트(버어너, 점화트랜스, 순환펌프, 자동급수 전자변)에 전원을 공급해주거나 차단시켜주는 출력부(3)와, 열교환실을 구성하는 수실에 충입된 난방수의 온도를 표시해주는 온도표시부(4)와 과열센서(S2)에서 입력되는신호를 비교하여 과열이 감지되면 제어부(2)로 안전차단신호를 출력시키는 과열감지부(6)와, 보일러의 연소불꽃을 감지하는 불꽃센서(S5)로 부터 착화 불착신호가 감지되면 제어부(2)로 인전차단신호를 출력시키는 안전차단부(7)와, 보일러케이스 내부에 설치된 팽창탱크에 설치되는 저수위센서(S4)에 의하여 난방수의 부족상태가 감지되면 제어부(2)로 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출력부(3)에 전자급수변 개로신호를 출력시키는 저수위감지부(8)와, 유량센서(S3)에 의해 오일의 잔량을 감지하는 유량감지부 및 보일러의 이상발생시 경고음을 발해주는경보부를 구비시켜 보일러의 운전자동화를 실현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보일러의 운전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과열감지부(6)와 연결되는 과열센서(S5)를 제어부(2)와 온도표시부(4)에 연결되며, 열교환실에 설치되는 온도센서(S1)와 결합 일체형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보일러의 운전제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입력단에 과열센서(S2)가 연결된 비교기(IC16)와, 이의 출력으로 다이오드(D31)와 저항(R71)(R72)을 통해 직렬 연결되는 비교기(IC17)로 과열감지부(6)를 구성하여 과열감지시 제어부(2)로 안전차단신호를 출력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보일러의 운전제어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하나의 비교기(IC17)를 사용하여 과열감지부(6)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보일러의 운전제어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비교기(IC17)의 +입력단에 제어장치의 외면으로 표출되는 수동복귀버튼(RSW)을 연결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보일러의 운전제어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팽창탱크에 설치되는 저수위센서(S4)를 브리지정류회로(BD)를 거쳐 비교기(IC18)의 -입력단으로 연결시켜 상기 저수위센서(S4)의 도통시 전압이 인가되도록 한 저수위 감지부(8)를 구성하여 저수위 감지시 자동급수가 실시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보일러의 운전제어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과열감지부(6)와 안전차단부(7)에 연결 설치되는 수동복귀버튼(RSW)을 다이오드(D12)를 거쳐 제어부(2)를 구성하는 비교기(IC7)의 출력단에 연결시켜 이 수동복귀버튼(RSW)을 누르는 순간 보일러의 가동이 정지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보일러의 운전제어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출력부(3)의 순환펌프구동단자(CP)와 급수변구동단자(AW)에 강제급수버튼(MWB)을연결 설치하여 수동으로 수실에 물을 충입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보일러의 운전제어장치.
KR92007267U 1991-06-29 1992-04-30 온수보일러의 운전제어장치 KR9600001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7267U KR960000133Y1 (ko) 1992-04-30 1992-04-30 온수보일러의 운전제어장치
CN92108848A CN1049972C (zh) 1991-06-29 1992-06-26 热水锅炉系统
PCT/KR1992/000024 WO1993000559A1 (en) 1991-06-29 1992-06-29 Hot water boiler system
RU9293058630A RU2092744C1 (ru) 1991-06-29 1992-06-29 Котловая водогрейная систем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ее работо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7267U KR960000133Y1 (ko) 1992-04-30 1992-04-30 온수보일러의 운전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4071U KR930024071U (ko) 1993-11-26
KR960000133Y1 true KR960000133Y1 (ko) 1996-01-04

Family

ID=19332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07267U KR960000133Y1 (ko) 1991-06-29 1992-04-30 온수보일러의 운전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013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4071U (ko) 1993-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57692A (en) Dual firing rate flame sensing system
US4576552A (en) Air and water volume control apparatus for hydropneumatic tanks
NL8802457A (nl) Diagnostisch toestel voor een heetwaterreservoir.
US4436505A (en) Device for detecting flame in open-type combustor and oxygen density of indoor air
KR100291489B1 (ko) 가스보일러의 시운전방법 및 장치
KR960000133Y1 (ko) 온수보일러의 운전제어장치
KR960016351B1 (ko) 보일러의 동작 제어회로 및 제어 방법
JP2540258B2 (ja) 燃焼安全制御装置
WO1993000559A1 (en) Hot water boiler system
JPS6142164B2 (ko)
CA2109719C (en) Hot water boiler system
KR0159984B1 (ko) 보일러의 운전 제어장치
US6478574B1 (en) Pump purge for oil primary
JPS63318419A (ja) 燃焼制御装置
JPS6057129A (ja) 燃焼装置
KR100291487B1 (ko) 가스보일러의 응답방식에 의한 자기진단 표시장치
KR970010323B1 (ko) 팬 히터의 안전제어장치 및 방법
JPS5833408Y2 (ja) 石油燃焼器の安全装置
KR910005509B1 (ko) 전자 무접점식 오일버어너용 연소안전 제어장치
KR950009122B1 (ko) 보일러의 동결방지 운전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950008582Y1 (ko) 보일러의 기능제어장치
JPH0639207Y2 (ja) 逆止弁異常検出装置
KR880002075Y1 (ko) 온수 보일러의 자동 콘트롤 장치
KR900004284B1 (ko) 석유 연소기기의 과열, 과전압 방지회로 및 제어방법
KR910008819Y1 (ko) 유류 보일러의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0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