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4284B1 - 석유 연소기기의 과열, 과전압 방지회로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석유 연소기기의 과열, 과전압 방지회로 및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4284B1
KR900004284B1 KR1019870010341A KR870010341A KR900004284B1 KR 900004284 B1 KR900004284 B1 KR 900004284B1 KR 1019870010341 A KR1019870010341 A KR 1019870010341A KR 870010341 A KR870010341 A KR 870010341A KR 900004284 B1 KR900004284 B1 KR 900004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motor
square wave
microcomputer
fan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0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5464A (ko
Inventor
김이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70010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4284B1/ko
Publication of KR890005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54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4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42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2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with a time programme acting through electrical means, e.g. using time-delay re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Electric Motors In General (AREA)
  • Regulation And Control Of Combus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석유 연소기기의 과열, 과전압 방지회로 및 제어방법
제 1 도는 본 발명의 회로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블로우 모터와 팬 모터의 제어도.
제 3 도는 본 발명의 블로우 모터와 팬 모터의 구동 상태도.
제 4 도는 본 발명의 마이콤 제어 출력 및 모터 동작도.
제 5 도는 본 발명의 마이콤 동작 플로우 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AC구형파부 2 : 히터 제어 구동부
3 : 이그 나이터 제어 구동부 4 : 전자 펌프 제어 구동부
5 : 과열감지회로 6 : 마이콤
7 : AC전원 회로부 8 : 연소 제어 구동 회로부
9 : 과전압 감지 제어 표시부 10 : 연소 공기 흡입 제어회로
11 : 연소 열량 송출 제어회로 BM : 블로우 모터
FM : 팬 모터 PI1, PI2: 포토아이소레이터
BD1-BD3: 브릿지 다이오드 SCR1, SCR2: 사이리스터
RY : 릴레이 TFA,TFB : 온도 감지 써어모
FA,FB : 휴즈 D1-D10: 다이오드
C1-C5: 콘덴서 L : 표시소자
본 발명은 석유 연소기기에서 연소시 발생되는 과열 상태 및 과전압 인가를 방지해 주도록 하는 석유 연소기기의 과열, 과전압 방지회로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석유 연소기기는 온도 휴즈나 온도 써어모(THERMO)등을 이용하여 과열시에 AC전원을 차단해 주어 석유기기의 연소 상태를 단순히 중단만 시켜 주었으나 이는 석유 연소기기의 과열 상태는 그대로 유지되고 더 이상 과열만 되지 않는 상태가 되므로 석유 연소기기의 과열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어 과열에 의한 위험성이 남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과전압 인가시에는 휴즈를 이용하여 과전압의 인가를 차단해 주므로써 석유 연소기기를 보호해 주었으나 석유 연소기기에 설정된 휴즈용량은 그 제품의 최대 전류치 이상으로 흐를 때에 차단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설정된 최대 전류치 보다 낮은 상태로 인가될 경우에는 그대로 과전압이 인가되어 회로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휴즈의 설정 최대 전류치보다 낮은 과전압이 인가되면 휴즈가 차단되지 않고 과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부하 및 회로가 소손되어 휴즈의 설정 최대 전류치 이상의 과전류가 흐를 때에 휴즈가 단락되어 교류 전원을 차단시키도록 되어 있으므로 부하 상태에 따라 휴즈가 짧은 시간내에 차단될 수도 있고 장시간 후에 차단 될 수도 있기 때문에 장시간 후에 차단될 경우에는 그 시간 동안 과전압이 인가되어 부하 및 회로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석유 연소기기의 과열시에는 전원을 차단시켜 연소를 중단시킴과 동시에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팬을 이용하여 과열 부분을 빠른 시간내에 설정온도 이하까지 떨어지도록 하고 과전압 인가시에는 휴즈로 이를 차단시키되 차단이 되지 않을 경우에도 과전압이 인가되지 않도록한 석유연소 기기의 과열, 과전압 방지회로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회로도로써 AC전원의 A라인에 제어회로 및 제어회로 구동부의 최대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설정한 휴즈(FA)를 연결하고 상기 휴즈(FA)의 뒷단에는 제어회로 최대 전류 용량의 휴즈(FB)를 연결함과 동시에 온도 감지 써어모(TFA)(TFB)를 직렬로 연결하며 상기 휴즈(FB)의 뒷단에는 트랜스(T1)를 연결하고 트랜스(T1)의 2차측에는 브릿지 다이오드(BD1)를 연결한후 상기 브릿지 다이오드(BD1)의 (+)측과 (-)측에 전압 평활용 콘덴서(C1)를 연결하는 한편 (-)측에는 레귤레이터(REG)를 연결하며 그 출력측에는 전압 평활용 콘덴서(C2)를 연결하여 마이콤(6)의 전원 및 기타 제어회로의 전원으로 사용되게 AC전원 회로부(7)를 구성한다.
이때 온도 감지 써어모(TFA)(TFB)는 일정온도 이상의 과열 상태시 "오프"되게 된다. 그리고 AC전원회로부(7)의 온도 감지 써어모(TFB)의 뒷단에는 연소기기 운전 스위치(SW1)를 연결하여 AC구형파부(1), 히터 제어 구동부(2), 이그 나이터 제어 구동부(3), 전자 펌프 제어 구동부(4)에 AC전원이 인가되게 연결하고 상기 AC구형파부(1)에서 AC전원 인가시 발생되는 구형파는 마이콤(6)의 단자(P1)에 인가시키며 마이콤(6)의 단자(P2-P4)출력은 버너를 연소 점화시키는 이그 나이터 제어 구동부(3)와 버너에 연료를 공급하는 전자 펌프 제어 구동부(4) 및 버너예열용 히터 제어 구동부(2)에 인가시켜 주어 마이콤(6)에 의하여 그 구동이 제어될 수 있도록 연소 제어 구동 회로부(8)를 구성한다.
또한, AC전원의 B라인에는 정류용 다이오드(D1)와 평활용 콘덴서(C3)를 통하여 구동용 저항(R1)이 연결된 표시소자(L)의 일측을 연결하고 버저나 발광다이오드로 구성되는 표시소자(L)의 타측은 릴레이(RY)의 접점(A)에 연결하며 브릿지 다이오드(BD1)의 (+)측에서 전원이 인가되고 보호용 다이오드(D2)가 연결된 릴레이(RY)코일은 트랜지스터(Q1)의 구동에 의하여 동작이 제어되게 연결하며 상기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측에는 저항(R2)(R3)을 통하여 브릿지 다이오드(BDl)의 (+)측과 (-)측을 연결시켜 과전압 감지제어 표시부(9)를 구성한다. 이때 과전압 방지용 릴레이(RY)의 단자(B)에는 블로우모터(BM)와 팬 모터(FM)를 연결하고 공통 단자(C)에는 퓨우즈(FA)의 전단에서 AC전원의 A라인과 연결하여 릴레이(RY)코일에 전류가 흐를 때 단자(B)(C)가 연결되고 전류가 흐르지 않을 때에는 단자(A)(C)가 연결되게 된다. 그리고 마이콤(6)의 단자(P5)에는 저항(R6)을 통하여 포토 아이소레이터(photo isolator ; PI1)를 연결하고 그의 수광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측에는 저항(R4)을 통하여 사이리스터(SCR1)의 애노드를 연결함과 동시에 저항(R5)과 콘덴서(C4)를 통하여 사이리스터(SCRl)의 게이트를 연결하며 사이리스터(SCRl)의 애노드와 게이트측에는 다이오드(D3-D6)로 구성된 브릿지 다이오드(BD2)를 연결시키되 다이오드(D3)(D5)의 접점에는 블로우 모터(BM)를 연결시키고 다이오드(D4)(D6)의 접점에는 AC전원의 B라인이 연결되게 연소 공기흡입 제어회로(10)를 구성한다.
이때 블로우모터(BM)에는 AC전원의 A라인을 릴레이(RY)의 단자(B)를 통해 연결한다.
또한, 연소 공기 흡입 제어회로(10)와 동일하게 구성된 연소열량 송출 제어회로(11)를 마이콤(6)의 단자(P6)에 연결하여 연소 공기 흡입 제어회로(10)와 연소열량 송출 제어회로(11)의 블로우 모터(BM)와 팬모터(FM)가 마이콤(6)의 단자(P5)(P6)출력에 의하여 구동이 제어되게 구성하며 마이콤(6)의 단자(P7)에는 버너부의 히터 가열시 온도를 감지하는 과열 감지회로(5)가 연결되게 구성한 것이다.
이때 사이리스터(SCR1)(SCR2)는 게이트 측에 하이레벨이 인가되면 "턴오프"되고 로우레벨이 인가되면 "턴온"되게 된다. 그리고 제 2 도는 연소 공기 흡입 제어회로(10)와 연소 열량 송출 제어회로(11)의 동작 상태를 보인 것이고 본 발명의 마이콤(6)의 플로우 챠트는 제 5 도에 나타내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 상태를 살펴본다.
먼저 정상 상태에서 AC전원을 인가시키면 과열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온도 감지 써어모(TFA)(TFB)가 "온"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휴즈(FA)(FB)에도 정상전류가 흘러 트랜스(T1)의 일차측에 AC전압이 인가되어 이차측으로 유기되며 트랜스(Tl)의 이차측으로 유기된 전원은 브릿지 다이오드(BD1)와 평활용 콘덴서(C1)(C2) 및 례귤레이터(REG)를 통하여 직류 전원으로 정전압이 된후 마이콤(6)의 동작 전원으로 인가됨과 동시에 기타 제어회로에 인가되게 된다.
이때 브릿지 다이오드(BD1)의 (+)측 전원은 바이어스용 저항(R2)(R3)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측에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시키므로 트랜지스터(Ql)가 "턴온"되어 릴레이(RY)코일에 전류가 흐르게 되므로써 릴레이(RY)가 동작하여 단자 (A)(C)가 연결된 상태에서 단자(B)(C)가 연결된 상태로 절환되게 된다.
따라서 정상 상태에서는 AC전원 투입후 릴레이(RY)의 단자(B)(C)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블로우 모터(BM) 및 팬모터(FM)에는 AC전원이 인가되게 되고 과전압 인가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소자(L)에는전원이 차단되어 버저나 발광다이오드로 구성된 표시소자(L)가 "오프"되게 되므로 과전압 상태가 아님을 표시해주게 되며 이때 마이콤(6)은 정상 동작에 들어가게 되어 도시되지 않은 시각 표시등의 단순 표시 기능만을 수행하며 연소기기의 연소동작은 중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연소기기를 동작시키고자 연소기기 운전스위치(SW1)를 "온"시키면 온도 감지 써어모(TFA)(TFB)를 통하여 인가되는 AC전원은 AC구형파부(1), 히터 제어 구동부(2), 이그나이터 제어 구동부(3), 전자 펌프 제어 구동부(4)에 인가되게 되며 AC구형파부(1)에서는 AC60Hz를 구형파 펄스로 변환시켜 마이콤(6)의 단자(P1)에 인가시켜 주므로써 마이콤(6)으로 하여금 연소기기의 운전상태임을 판단하여 단자(P2-P4)출력을 제어하므로써 히터 제어 구동부(2), 이그나이터 제어구동부(3), 전자 펌프 제어구동부(4)가 마이콤(6)의 단자(P2-P4)출력에 따라서 제어되게 한다.
즉, 운전 스위치(SW1)를 "온"시켜 AC구형파부(1)에서 구형파 펄스를 마이콤(6)의 단자(P1)에 인가시켜주어 마이콤(6)이 연소 상태임을 판단시키게 되면 마이콤(6)의 단자(P4)에서는 제 4 도에서와 같이 운전스위치(SW1)의 "온"순간 하이레벨을 히터 제어 구동부(2)로 출력시켜 히터가 t1(버너예열 완료시간)시간 동안 버너의 연소 동작을 위한 예열을 하게 하고 t1시간이 지나 버너의 예열이 끝나면 마이콤(6)의 단자(P5)에서는 제 4 도에서와 같이 하이레벨을 출력시켜 연소 공기 흡입제어회로(10)의 블로우 모터(BM)를 동작시킴(이는 후술함)으로써 블로우 모터(BM)로 하여금(t4=t1)시간 동안에 버너 내부의 이물질(타르)을 송출하는 기능인 프리퍼지 시간을 갖게한 후 버너 내부의 점화용 이그나이터와 연료 송출용 전자펌프를 제 4 도에서와 같은 마이콤(6)의 단자(P2)(P3)출력에 따라서 동작되게 한다.
즉, 버너 내부의 점화용 이그나이터의 동작은 제 4 도에서와 같이 t5시간 동안만 동작하고 이그나이터와 전자펌프 동작후 t3시간후에 열량 송출용 팬 모터(FM)가 제 4 도에서와 같이 마이콤(6)의 단자(P6)에서 출력되는 하이레벨 출력에 따라서 "온"상태로 동작하여 열량을 토출하게 되며 정상 연소 상태가 되면 전자펌프와 블로우 모터(BM) 및 팬모터(FM)는 제 4 도에서와 같은 마이콤(6)의 단자(P3)(P5)(P6)출력에 따라서 계속 동작하게 되고 히터는 t2시간 동안 계속 동작하여 버너가 최적 상태에서 연소하도록 버너를 가열시키게 되며 버너가 일정 온도가 되면 과열 감지회로(5)로 감지하여 히터를 제 4 도에서와 같은 마이콤(6)의 단자(P4) 출력으로 "오프"시킨다.
이때 제 4 도에서 알 수 있듯이 이그나이터가 전자 펌프 동작후 t3시간후에 팬모터(FM)를 동작시키는 이유는 석유연소기기의 초기 연소시 완전 연소가 안된 상태에서 열량을 송출시키면 석유 냄새 및 일산화탄소와 이산화탄소가 다량으로 송출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t3시간 동안 완전 연소시킨후에 열량을 토출시키는 것이다.
한편 AC구형파부(1)는 AC전원인가시 마이콤(6)에 구형파를 인가시키고 히터 제어 구동부(2), 이그나이터 제어 구동부(3), 전자 펌프 제어 구동부(4)는 운전 스위치(SW1)를 "온"시켜 AC전원을 인가시킨 상태에서 마이콤(6)의 출력에 따라서 릴레이와 트라이악 구동부 등을 제어하여 동작을 시키게 된다. 그리고 블로우 모터(BM)와 팬모터(FM)는 마이콤(6)의 단자(P5)(P6)출력에 의하여 구동이 제어되는 것으로 이를제 2 도와 제 3 도에 의하여 설명하되 이때 연소 공기 흡입 제어회로(10)와 연소 열량 송출 제어회로(11)는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동작 또한 같으므로 블로우 모터(BM)에 대한 설명만 하고 팬모터(FM)에 대한 동작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마이콤(6)의 단자(P5)에서 로우레벨이 출력되면 포토 아이소레이터(PI1)의 발광다이오드가 "오프"되어 수광 트랜지스터가 "턴오프"되므로 전류는 제 2 도의 ①방향으로 흐르게 되어 사이리스터(SCR1)의 게이트에는 하이레벨이 인가되므로 사이리스터(SCRl)는 "턴오프"되어 블로우 모터(BM)는 동작하지 않게 된다.
이때 사이리스터(SCR1)는 게이트측에 하이레벨이 인가되면 "턴오프"되고 로우레벨이 인가되면 "턴온"되게 된다.
즉, 마이콤(6)의 단자(P5)에서 로우레벨을 인가시키면 사이리스터(SCRl)의 게이트측에 하이레벨이 인가되어 사이리스터(SCR1)가 "턴오프"되게 되므로 블로우 모터(BM)는 동작하지 않게 되며 마찬가지로 마이콤(6)의 단자(P6)에서 로우레벨을 출력시키면 사이리스터(SCR2)가 "턴오프"되어 팬모터(FM)는 동작하지 않게된다. 그러나 마이콤(6)의 단자(P5)에서 하이레벨을 출력시키면 포토 아이소레이터(PI1)의 발광다이오드가 "온"되어 수광 트랜지스터가 "턴온"되므로 전류는 제 2 도의 ②방향으로 흘러 사이리스터(SCR1)의 게이트에는 로우레벨을 인가시켜 주므로써 사이리스터(SCR1)가 "턴온"하게 되며 사이리스터(SCR1)의 "턴온"으로 블로우 모터(BM)는 동작하게 된다.
이때 마이콤(6)의 단자(P6)에서 하이레벨이 출력될때에도 사이리스터(SCR2)가 "턴온"되어 팬모터(FM)는 동작하게 된다. 그리고 블로우 모터(BM)의 구동 상태를 제 3 도에 의하여 살펴본다.
즉, 제 3 도에서와 같이 AC 전원 파형의 위상이
Figure kpo00001
가 되면 제 2 도에서의 전류의 흐름은 ③과 같이 되고AC 전원 파형의 위상이
Figure kpo00002
가 되면 전류의 흐름은 ④와 같이 흘러 블로우 모터(BM)가 동작하게 되므로써 마이콤(6)의 단자(P5)(P6)에서 출력되는 구동 출력에 따라서 블로우(BM)와 팬모터(FM)는 제 3 도에서 표시된 구동 상태도와 같이 동작하게 된다.
따라서 마이콤(6)에서는 AC 구형파부(1)에서 인가되는 구형파 펄스의 제로 크로싱(Zero Crosing)시점을 기준으로 하여 단자(P5)(P6)의 출력 신호를 제 3 도에서와 같이 위상 제어하므로써 블로우 모터(BM)와 팬모터(FM)의 속도를 제어해 주어 연소기기의 연소 상태를 제어해 주게 된다.
이와 같은 정상 연소 상태가 진행되는 도중에 연소기기의 과열 상태가 되면 팬모터(FM)에 의해 열량이 토출되는 열량 토출부에 설치된 온도 감지 써어모(TFA)(TFB)중 어느 하나라도 "오프"되게 되고(온도 감지 써어모(TFA)(TFB)는 과열이 되면 "오프"된다), 온도 감지 써어모 (TFA)(TFB)중 하나라도 "오프"되면 AC 구형파부(1)에는 AC전원이 입력되지 않아 마이콤(6)에 구형파 펄스를 인가시키지 못하므로 마이콤(6)은 도시하지 않은 리셋트 램프를 "온"시키면서 기능만 메모리하여 유지하게 되며 히터 제어 구동부(2),이그나이터 제어 구동부(3), 전자 펌프 제어 구동부(4)에도 온도 감지 써어모(TFA)(TFB)중 어느 하나의 "오프"로 AC 전원이 인가되지 않아 히터와 이그나이터 및 전자 펌프의 구동이 중단되게 된다.
그러나 블로우 모터(BM)와 팬모터(FM)는 온도 감지 써어모(TFA)(TFB)의 전단에서 릴레이(RY)를 통하여 AC 전원의 A라인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온도 감지 써어모(TFA)(TFB)의 "오프"에 관계없이 계속 AC 전원이 공급되며 또한 온도감지 써어모(TFA)(TFB)의 전단에 연결된 트랜스(T1)에도 계속 AC 전원이 공급되어 브릿지 다이오드(BD1)의 (+)측도 전원이 공급되므로 트랜지스터(Q1)가 "턴온"상태를 유지하여 릴레이(RY)가 단자(C)(B)의 접속 상태를 계속 유지하므로 블로우 모터(BM)와 팬모터(FM)에는 AC전원이 공급되어진다.
이때 마이콤(6)은 도시되지 않은 리셋트 램프를 "온"시키면서 기능만 메모리 유지하고 단자(P2-P4)의 출력은 로우레벨을 출력시키고 단자(P5)(P6)의 출력은 하이레벨을 유지시켜 주어 제 2 도와 제 3 도에 의하여 살펴본 바와 같이 연소 공기 흡입제어회로(10)와 연소 열량 송출 제어회로(11)를 동작시킴으로써 블로우모터(BM)와 팬모터(FM)에는 전위상이 공급되어 최대 속도로 계속 동작하므로 과열 부분의 열이 하강할때까지 즉 온도 감지 써어모(TFA)(TFB)가 다시 "온"될때까지 계속 과열 부분을 식혀주게 된다.
이같이 연소기기가 과열이 되면 연소 제어 구동회로부(8)가 동작하지 않게 되나 블로우 모터(BM)와 팬모터(FM)는 계속 동작시켜 주어 과열 부분을 빠르게 식혀 주게 되며 블로우 모터(BM)와 팬모터(FM)의 동작으로 과열 부분이 일정 온도 이하로 떨어지게 되어 온도 감지 써어모(TFA)(TFB)가 "온"되면 AC 전원이 다시 연소 제어 구동회로부(8)에 인가되므로 마이콤(6)은 AC 구형파부(1)에서 발생되는 구형파 펄스를 인식하여 AC 전원의 복귀를 판단하고 AC전원의 복귀가 간단되면 단자(P5)(P6)로 로우레벨을 출력시켜 팬모터(FM)의 동작을 중단시키게 된다.
이때 연소기기 운전 스위치(SW1)를 "오프"시킨후 다시 "온"시키면 마이콤(6)은 도시하지 않은 리셋트램프를 해제시켜 정상 연소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며 연소기기 운전 스위치(SW1)를 그대로 유지하면 마이콤(6)의 단자(P5)(P6)를 로우레벨 상태로 유지되게 하여 블로우 모터(BM)와 팬모터(FM)를 "오프"시키고 도시되지 않은 리셋트 램프를 "온"상태로 그대로 유지하며 연소 중단 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연소기기의 과열 상태가 열량 토출부에 설치된 온도감지 써어모(TFA)(TFB)에 의해 감지되면 상기된 바와 같이 연소 동작을 중지시킴과 동시에 블로우 모터(BM)와 팬모터(FM)를 과열 부분의 열이 하강될때까지 구동시켜 주어 과열 부분을 빠르게 식혀 주므로써 화재의 위험을 방지해 주게 된다.
한편, 석유 연소기기의 버너가 과열되었을때의 동작도 상기와 같으나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버너 내부의 온도를 계속 감지하는 과열 감지회로(5)에서 버너의 온도가 설정 온도 이상으로 올라가면 이를 감지하여 마이콤(6)의 단자(P7)에 인식시켜 주므로써 마이콤(6)에서는 버너의 과열 상태를 판단하여 단자(P2-P6)로 제 4 도의 (b)에서와 같이 출력시키게 된다.
즉, 마이콤(6)은 과열 감지회로(5)의 출력에 의하여 버너 과열 상태임이 인식되면 단자(P3)로 제 4 도에서와 같이 로우 레벨을 출력시켜 전자 펌프의 동작을 차단해 유류 공급을 중단시키고 도시되지 않은 리셋트램프를 점등시키며 단자(P5)(P6)의 출력을 하이레벨로 유지시켜 주어 제 2 도와 제 3 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블로우모터(BM)와 팬모터(FM)에 전위상을 공급하여 최대 속도로 동작하게 한다.
이같은 블로우 모터(BM)와 팬모터(FM)의 동작은 과열된 버너의 온도가 과열 감지회로(5)에서 일정 온도이하로 감지될때까지 계속되며 과열 감지회로(5)에서 일정 온도 이하로 버너의 온도가 떨어짐을 감지하게되면 마이콤(6)에서는 단자(P5)(P6)로 제 4 도에서와 같이 로우레벨을 출력시켜 블로우 모터(BM)와 팬모터(FM)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도시되지 않은 리셋트 램프의 "온"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연소 중지 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된다.
이때 운전 스위치(SW1)를 "오프"시킨후 다시 "온"시키면 AC 구형파부(1)에서 출력되는 구형파가 없다가 다시 발생되는 것을 마이콤(6)의 단자(P1)에서 판단하여 마이콤(6)에서는 도시되지 않은 리셋트 램프를 해제 시키며 정상 연소 기능을 수행하도록 동작시킨다.
그리고 과열 상태를 식혀 주기 위하여 블로우 모터(BM)와 팬모터(FM)가 계속 동작하고 있을 때에는 운전스위치(SW1)를 "오프"시킨후 "온"시켜도 표시되지 않은 리셋트 램프 계속 "온"상태를 유지하며 연소중지 상태가 계속되게 된다.
이와 같이 석유연소기기의 과열이 발생되면 발생 부위에 따라 이를 감지하여 연소 상태의 중단과 함께 빠른 시간내에 열이 하강되도록 블로우 모터(BM)와 팬모터(FM)를 동작시켜 안전상태를 유지하게 하고 사용자가 운전스위치(SW1)를 "오프"시킨후 다시 "온"시키지 않으면 연소기기의 정상 운전이 안되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마이콤(6)의 동작 상태를 제 5 도의 플로우 챠트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원이 인가된 초기 상태에서 운전 스위치의 온/오프를 판단하여 "온"시에는 히터를 "온"시켜 버너의 예열을 시키게 되며 예열이 완료되면 블로우 모터를 동작시켜 버너 내부의 이 물질을 송출하는 프리퍼지 동작을 완료시키게 되고 프리퍼지가 완료되면 이그나이터와 전자 펌프를 "온"시킨후 석유 연소기기의 초기 완전연소에 필요한 t3시간 경과후에 팬모터가 동작되게 하여 히팅을 계속하여 히팅이 완료되면 히터를 "오프"시키게 된다. 그런후에 단자(P1)로 구형파 입력이 있고 버너가 과열이 되지 않았을 때에는 정상 연소가 계속되게 되고 단자(P1)로 구형파 입력이 없을때에는 단자(P2-P4)로 로우레벨, 단자(P5)(P6)로 하이레벨을 출력시켜 블로우 모터와 팬모터를 동작시키는 한편 연소 중단을 시키고 도시되지 않은 리셋트 램프를 "온"시킨후 단자(P1)로 인가되는 구형파 입력을 다시 감지하여 구형파가 입력되면 단자(P5)(P6)로 로우레벨을 출력시켜 블로우 모터와 팬모터를 "오프"시킨후 초기 상태로 되돌아가게 된다.
또한, 단자(P1)로 구형파 입력이 있을때 버너가 과열이 되면 구형파가 입력되지 않을때와 같이 단자(P2-P4)로 로우레벨, 단자(P5)(P6)로 하이레벨을 출력시켜 블로우 모터와 팬모터를 동작시키는 한편 연소중단과 리셋트 램프를 "온"시킨후 버너의 온도를 다시 감지하여 일정 온도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단자(P5)(P6)로 로우레벨을 출력시켜 블로우 모터와 팬모터를 "오프"시킨후 초기 상태로 되돌아가게 된다.
한편, 본 발명 회로에 과전압이 인가되었을 경우를 살펴본다. AC 전원 입력단에 과전압이 인가되었을때 휴즈(FB)가 없고 릴레이(RY)가 없을때에는 트랜스(T1)의 1차측에 과전압이 그대로 인가되면서 소손되기 시작하고 트랜스(T1)의 2차측에도 과전압이 유기되어 제어회로도 소손되며 또한 블로우 모터(BM)와 팬모터(FM)에도 과전압이 인가되는데 이때 휴즈(FA)는 전체 회로의 최대 전류치 용량을 기준으로 설정하였기 때문에 블로우 모터(BM)와 팬모터(FM)가 동작하지 않을 경우 즉, 제 4 도의 t1이전 시간인 경우 휴즈(FA)는 상당시간 지연된후 단락되고 또 단락되는 시간이 제 4 도의 t1시간 이후가 되면 블로우 모터(BM)와팬모터(FM)가 동작되어 과전압이 인가된후에 휴즈(FA)가 단락되기 때문에 블로우 모터(BM)와 팬모터(FM)가 과전압에 의해 소손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휴즈(FA)와 트랜스(T1)의 1차측 사이에 휴즈(FB)를 연결하고 블로우 모터(BM)와 팬모터(FM)의.과전압 차단용 릴레이(RY)를 연결 구성한 것으로 블로우 모터(BM)와 팬모터(FM)가 제 4 도의 t1과 같은 상태일때에는 무부하 상태이므로 과전압이 인가되어도 정격 전류 이하로 흐르기 때문에 AC전원 입력측에 과전압이 인가되었을 때 휴즈(FA)가 단락되지 않은 휴즈(FB)가 단락되어(이때 휴즈(FA)용량〉휴즈(FB)용량이다)트랜스(T1)의 1차측에 과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므로써 회로를 보호하면서 휴즈(FB)의 단락으로 트랜스(T1)의 2차측에 연결된 브릿지 다이오드(BD1)에도 전원이 유기되지 않아 마이콤(6)에는 동작 전원(Vcc)이 인가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마이콤(6)에서는 AC 전원 회로부(7)로부터 전원(Vcc)이 인가되지 않으면 단자(P5)(P6)로 로우레벨은 출력시켜 블로우 모터(BM)와 팬모터(FM)를 동작시키지 않게 되며 이때 브릿지 다이오드(BD1)의 출력이 없으므로 트랜지스터(Q1)가 "턴오프"되어 릴레이(RY)코일에 전류가 흐르지 못하여 릴레이(RY)의 단자(C)(A)가 접속되게 되므로써 블로우 모터(BM)와 팬모터(FM)에 인가되는 AC 전원을 차단시켜 줌과 동시에 발광다이오드나 버저로 구성되는 과전압 표시용 표시소자(L)를 구동시켜 주어 발광다이오드나 버저등으로 과전압 인가 상태를 표시해 주게 된다.
또한 블로우 모터(BM)와 팬모터(FM)가 과전압 인가 초기시에 제 4 도의 t1시간 이후의 상태라든가 또는 연소기기의 과열 상태에서 동작시에 전원 코드를 빼고 다른 전원 코드에 연결할때 과열 상태가 해제가되어 온도 감지 써어모(TFA)(TFB)가 "오프"상태를 유지하고 또한 과열 감지회로(5)로 감지되는 버너의 온도가 과열 상태이면 마이콤(6)에서는 단자(P5)(P6)로 하이레벨을 출력시켜 블로우 모터(BM)와 팬모터(FM)를 회전시키기 때문에 과전압 인가시 휴즈(FA)(FB)가 단락되어 상기된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Q1)가 "턴오프"되어 릴레이(RY)의 단자(A)(C)가 연결되므로 과전압 인가 상태를 표시소자(L)로 표시해 주는한편 모든 전원이 차단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전원 입력단에 과전압 차단용 휴즈와 온도 감지 써어모를 연결하고 과열 감지회로로 과열을 감지하게 구성하며 과열시 온도를 낮추는 연소 공기 흡입 제어회로와 열량을 송출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연소 열량 송출 제어회로를 구성하여 마이콤에 의해 석유 연소기기의 과열을 방지하도록 하였으며 AC 입력단에 과전압 감지 릴레이와 과전압 차단용 휴즈를 연결하여 과전압 인가시 부하에 관계없이 과전압을 차단해 주도록 한 것으로써 팬 히터류와 공조 히터류 및 석유 연소기기의 제어에 실시할 수 있으며 과전압 방지회로는 모든 AC 전원 사용 제품에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석유 연소기기에서 과열 발생시 구동부의 전원을 차단하면서 과열 발생부를 빠른 시간내에 온도가 하강되도록 동작시키고 과열 감지회로로 버너의 온도를 감지하여 과열 상태일 경우에도 동일한 동작을 하도록 하므로써 석유 연소기기의 과열에 대한 방지 및 안전 효과가 있으며 또한 과전압 인가시에는 빠른 시간에 과전압을 차단하여 제어회로 및 제품을 보호해 주므로 과전압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화재의 위험성을 없앨 수 있는 효과가 있을 것이다.

Claims (2)

  1. 휴즈(FA)(FB)를 통한 AC전원을 트랜스(T1)와 브릿지 다이오드(BD1) 및 레귤레이터(REG)에 인가시켜 마이콤(6) 및 제어회로에 정전압을 공급시키는 AC 전원 회로부(7)와, 상기 AC 전원 회로부(7)의 온도감지 써어모(TFA)(TFB)를 통과한 AC 전원이 인가되고 마이콤(6)에 의하여 구동이 제어되는 AC 구형파부(1)와 히터 제어구동부(2) 및 이그나이터 제어구동부(3)와 전자 펌프 제어 구동부(4)로 구성된 연소 제어 구동회로부(8)와, 상기 브릿지 다이오드(BD1)의 출력으로 제어되는 트랜지스터(Q1)를 통하여 릴레이(RY)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릴레이(RY)의 구동에 따라 표시소자(L) 및 블로우모터(BM)와 팬모터(FM)에 인가되는 AC 전원을 제어하는 과전압 감지 제어 표시부(9)와, 상기 AC 구형파부(1)에 구형파가 인가되고 버너의 온도를 감지하는 과열 감지회로(5)가 연결된 마이콤(6)의 출력이 포토 아이소레이터(PI1)(PI2)를 통하여 사이리스터(SCR1)(SCR2)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사이리스터(SCR1)(SCR2)의 구동에 따라 브릿지 다이오드(BD2)(BD3)를 통하여 연결된 블로우 모터(BM)와 팬모터(FM)의 구동을 제어시키는 연소 공기 흡입 제어회로(10) 및 연소 열량 송출 제어회로(11)로 구성시킨 석유 연소기기의 과열, 과전압 방지회로.
  2. 마이콤(6)은 운전스위치(SW1)의 "온"을 인식하여 히터를 "온"시켜 예열을 행하고 예열 완료후에는 블로우 모터(BM)를 동작시켜 프리퍼지 동작을 행하게 하며 프리퍼지 동작이 완료되면 이그나이터와 전자펌프를 "온"시키고 초기 완전 연소에 필요한 시간(t3)후에 팬모터(FM)를 동작시켜 히팅 완료시킨후 히터를 "오프"시키며, 히터가 "오프"된후 AC 구형파부(1)에서 구형파가 입력되고 버너가 과열이 안되면 정상 연소를 수행시키며 AC 구형파부(l)에서 구형파가 입력되지 않거나 버너가 과열되면 블로우 모터(BM)와 팬모터(FM)를 동작시키는 한편 연소 중단과 리셋트 램프를 "온"시키고 구형파가 다시 입력되거나 버너의 온도가 일정 온도 이하가 되면 블로우 모터(BM)와 팬모터(FM)를 "오프"시키고 연소초기 상태가 되게 하는 석유 연소기기의 과열 제어방법.
KR1019870010341A 1987-09-17 1987-09-17 석유 연소기기의 과열, 과전압 방지회로 및 제어방법 KR900004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10341A KR900004284B1 (ko) 1987-09-17 1987-09-17 석유 연소기기의 과열, 과전압 방지회로 및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10341A KR900004284B1 (ko) 1987-09-17 1987-09-17 석유 연소기기의 과열, 과전압 방지회로 및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5464A KR890005464A (ko) 1989-05-15
KR900004284B1 true KR900004284B1 (ko) 1990-06-20

Family

ID=19264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0341A KR900004284B1 (ko) 1987-09-17 1987-09-17 석유 연소기기의 과열, 과전압 방지회로 및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428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5464A (ko) 198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46690A1 (en) Flame sensing system
JPH02242019A (ja) 燃料バーナー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電気抵抗式点火器の付勢の制御方法
US5118039A (en) Domestic hot water heating control circuit for furnace control systems
US4906177A (en) Electronic controller for fluid fuel burner
US4773586A (en) Blower control circuit for a furnace
US3584988A (en) Electrothermal furnace control
KR900004284B1 (ko) 석유 연소기기의 과열, 과전압 방지회로 및 제어방법
CA1083248A (en) Burner control system with primary safety switch
US3549088A (en) Electrothermal furnace control
GB2196500A (en) Time delay pulse circuit
US4189091A (en) Furnace having a normally closed blower relay
US5726850A (en) Fail safe protection circuit for PTC comfort devices
US5009588A (en) Time-delay circuit for automatic shutdown of furnace systems
US3563681A (en) Electrothermal furnace control
US4856984A (en) Time-delay for automatic reset of furnace
KR890005331B1 (ko) 온풍난방기의 버너모타 제어회로
KR890006468Y1 (ko) 기화기 온도 과도 상승 방지회로
KR890005544Y1 (ko) 석유 연소기의 냉풍 및 과열 방지회로
JP2556433B2 (ja) 燃焼装置
KR920008882B1 (ko) 연소기기의 과열 검출방법
KR970001935B1 (ko) 팬 히터의 기화기온도 제어장치
KR100461652B1 (ko) 전기압력밥솥의 과열방지회로
JP3191368B2 (ja) 加熱器具の安全装置
KR970010323B1 (ko) 팬 히터의 안전제어장치 및 방법
KR940006906B1 (ko) 가스기기의 연소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12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