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9887A - 화상기록매체출입용 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또는, 장치 또는, 그들에 적용되는 유닛 - Google Patents

화상기록매체출입용 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또는, 장치 또는, 그들에 적용되는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9887A
KR950019887A KR1019940037088A KR19940037088A KR950019887A KR 950019887 A KR950019887 A KR 950019887A KR 1019940037088 A KR1019940037088 A KR 1019940037088A KR 19940037088 A KR19940037088 A KR 19940037088A KR 950019887 A KR950019887 A KR 9500198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image recording
recording medium
camera
means inclu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7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0178286B1 (ko
Inventor
료지 오쿠노
Original Assignee
미타라이 하지메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타라이 하지메,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타라이 하지메
Publication of KR950019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9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8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82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26Holders for containing light sensitive material and adapted to be inserted within the camera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28Locating light-sensitive material within camera
    • G03B17/30Locating spools or other rotatable holders of coiled fil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9/00Camer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tails Of Cameras Including Film Mechanisms (AREA)
  • Studio Devices (AREA)
  • Indication In Cameras, And Counting Of Exposure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 기록매체출입용 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17)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또는 장치 또는, 그들에 적용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또는 장치에 대한 상기 카트리지(17)의 장전 및 인출의 적어도 어느 한쪽을 위한 동작을 행하기 위한 제1수단과, 상기 카트리지의 사용가능상태에 따라서 제1수단의 동작을 변화시키기 위한 제2수단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화상기록매체출입용 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또는 장치 또는, 그들에 적용되는 유닛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카메라의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카메라의 회로블록도,
제3도는 제1도의 카메라의 카트리지실덮개개방의 메인사이퀸스를 표시한 순서도,
제4도는 제도의 카메라의 카트리지실덮개폐쇄의 메인사이퀸스를 표시한 순서도,
제5도는 제1도의 카메라의 카트리지송출의 사이퀸스를 표시한 순서도,
제6도는 제1도의 카메라의 카트리지실덮개개방구동서브푸틴을 표시한 순서도,
제7도는 제1도의 카메라의 카트리지실덮개폐쇄구동서브푸틴을 표시한 순서도,
제8도는 제1도의 카메라의 카트리지인입구동서브루틴을 표시한 순서도,

Claims (165)

  1. 화상기록매체 출입용 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는, ⓐ상기카메라에 대한 상기 카트리지의 장전 및 인출의 적어도 어느 한쪽을 위한 동작을 행하기 위한 제1수단과, ⓑ상기 카트리지의 사용가능상태에 따라서 제 수단의 동작을 변화시키기 위한 제2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매체출입용 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기록매체는, 필름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매체출입용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기록매체출입용 커버는, 차광을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매체출입용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상기 카메라에 대한 상기 카트리지의 장전 및 인출의 적어도 어느 한쪽을 허용하기 위한 커버의 동작을 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매체출입용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상기 카메라에 대한 상기 카트리지의 장전 및 인출의 적어도 어느 한쪽의 동작을 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매체출입용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상기 카메라에 대한 상기 카트리지의 장전 및 인출의 적어도 어느 한쪽의 동작을 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매체출입용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상기 카트리지의 상기 화상기록매체출입용커버의 개폐의 적어도 어느 한쪽을 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매체출입용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상기 카트리지의 상기 화상기록매체출입용커버의 개폐의 적어도 어느 한쪽을 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매체출입용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상기 카트리지의 상기 화상기록매체출입용커버의 개폐의 적어도 어느 한쪽을 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매체출입용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상기 카메라에 대한 상기 카트리지의 장전 및 인출의 적어도 어느 한쪽을 허용하기 위한 커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매체출입용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전동구동장치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매체출입용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모터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매체출입용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카트리지의 사용가능상태를 판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매체출입용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이 상기 카트리지의 사용불가를 판정하는 것에 응답해서, 그것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매체출입용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카트리지의 사용가능상태를 이 카트리지의 상기 카메라에 대한 장전전에 판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매체출입용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카트리지의 사용가능상태를 이 카트리지의 상기 카메라에 대한 장전전에 판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매체출입용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카트리지의 사용가능상태를 이 카트리지의 상기 카메라에 대한 장전전에 판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매체출입용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카트리지의 사용가능상태를 이 카트리지의 스풀의 위치에 따라서 판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매체출입용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카트리지의 사용가능상태를 이 카트리지에 장착된 막대코우드에 의거해서 판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매체출입용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카트리지에 장전된 화상기록매체의 기록부분(an memory portion)에 기억된 정보에 의거하여 판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매체출입용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상기 카메라에 대한 상기 카트리지의 장저늘 허용하기 위한 커버의 동작을 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카트리지가 사용불가의 경우에는, 상기 제1수단을 동작시키지 않게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매체출입용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상기 카메라에 대한 상기 카트리지의 인입동작을 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카트리지가 사용불가의 경우에는, 상기 제1수단을 동작시키지 않게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매체출입용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상기 카트리지의 상기 화상기록매체출입용 커버의 개방동작을 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카트리지가 사용불가의 경우에는, 상기 제1수단을 동작시키지 않게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매체출입용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카트리지가 사용불가의 경우에는, 상기 카트리지로부터 영상매기록매체가 나오지 않는 상태로 상기 카트리지를 상기 카메라에 대하여 장전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매체출입용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카트리지가 사용불가의 경우에는, 상기 화상기록매체출입용 커버를 닫은 상태로 상기 카트리지를 상기 카메라에 대하여 장전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매체출입용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2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상기 카메라에 대한 상기 카트리지의 송출동작을 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카트리지가 사용불가의 경우에는, 상기 제1수단을 동작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매체출입용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2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가 사용불가의 경우에는, 상기 제1수단을 동작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매체출입용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28.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는, ⓐ상기카메라에 대한 상기 카트리지의 장전 및 인출의 적어도 어느 한쪽을 위한 동작을 행하기 위한 제1수단과, ⓑ상기 카트리지의 사용가능상태에 따라서 제1 수단의 동작을 변화시키기 위한 제2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29. 화상기록매체 출입용 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장치는, ⓐ상기 장치에 대한 상기 카트리지의 장전 및 인출의 적어도 어느 한쪽을 위한 동작을 행하기 위한 제1수단과, ⓑ상기 카트리지의 사용가능상태에 따라서 제 1수단의 동작을 변화시키기 위한 제2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매체출입용 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기록매체는, 필름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매체출입용 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장치.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기록매체출입용 커버는, 차광을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매체출입용 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장치.
  32.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상기 장치에 대한 상기 카트리지의 장전 및 인출의 적어도 어느 한쪽을 허용하기 위한 커버의 동작을 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매체출입용 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상기 장치에 대한 상기 카트리지의 인입 및 송출의 적어도 어느 한쪽의 동작을 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매체출입용 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장치.
  34.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상기 장치에 대한 상기 카트리지의 장전 및 인출의 적어도 어느 한쪽의 동작을 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매체출입용 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장치.
  35.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상기 카트리지의 상기 화상기록매체출입용커버의 개폐의 적어도 어느한쪽을 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매체출입용 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장치.
  36.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상기 카트리지의 상기 화상기록매체출입용커버의 개폐의 적어도 어느한쪽을 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매체출입용 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장치.
  37.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상기 카트리지의 상기 화상기록매체출입용커버의 개폐의 적어도 어느한쪽을 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매체출입용 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장치.
  38.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상기 장치에 대한 상기 카트리지의 장전 및 인출의 적어도 어느한쪽을 허용하기 위한 커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매체출입용 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장치.
  39.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전동구동자치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매체출입용 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장치.
  4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모터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매체출입용 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장치.
  4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카트리지의 사용가능상태를 판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매체출입용 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장치.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카트리지의 사용가능상태를 판정하는 것에 응답해서, 그것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매체출입용 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장치.
  43.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카트리지의 사용가능상태를 이 카트리지의 상기 장치에 대한 장전전에 판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매체출입용 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장치.
  44.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카트리지의 사용가능상태를 이 카트리지의 상기 장치에 대한 장전전에 판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매체출입용 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장치.
  45.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카트리지의 사용가능상태를 이 카트리지의 상기 장치에 대한 장전전에 판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매체출입용 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장치.
  46.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카트리지의 사용가능상태를 이 카트리지의 스풀의 위치에 따라서 판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매체출입용 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장치.
  47.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카트리지의 사용가능상태를 이 카트리지에 장착된 막대코우드에 의거해서 판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매체출입용 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장치.
  48.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카트리지에 장전된 화상기록매체의 기록부분(an memory portion)에 기억된 정보에 의거하여 판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매체출입용 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장치.
  49.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상기 장치에 대한 상기 카트리지의 장전을 허용하기 위한 커버의 동작을 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수단, 상기 카트리지가 사용불가의 경우에는, 상기 제1수단을 동작시키지 않게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매체출입용 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장치.
  5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상기 장치에 대한 상기 카트리지의 인입동작을 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수단, 상기 카트리지가 사용불가의 경우에는, 상기 제1수단을 동작시키지 않게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매체출입용 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장치.
  5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상기 카트리지의 상기 화상기록매체출입용 커버의 개방동작을 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수단, 상기 카트리지가 사용불가의 경우에는, 상기 제1수단을 동작시키지 않게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매체출입용 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장치.
  52.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카트리지가 사용불가의 경우에는, 상기 카트리지로부터 영상기록매체가 나오지 않는 상태로 상기 카트리지를 상기 대하여 장전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매체출입용 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장치.
  53.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카트리지가 사용불가의 경우에는, 상기 화상기록매체출입용 커버를 닫은 상태로 상기 카트리지를 상기 장치에 대하여 장전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매체출입용 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장치.
  54.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상기 장치에 대한 상기 카트리지의 송출동작을 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카트리지가 사용불가의 경우에는, 상기 제1수단을 동작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매체출입용 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장치.
  55.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가 사용불가의 경우에는, 상기 제1수단을 동작시키기 위한 수단을 또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매체출입용 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장치.
  56.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장치는, ⓐ상기카메라에 대한 상기 카트리지의 장전 및 인출의 적어도 어느 한쪽을 위한 동작을 행하기 위한 제1수단과, ⓑ상기 카트리지의 사용가능상태에 따라서 제1 수단의 동작을 변화시키기 위한 제2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장치.
  57. 화상기록매체 출입용 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적용되는 유닛은, ⓐ상기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한쪽에 대한 상기 카트리지의 장전 및 인출의 적어도 어느 한쪽을 위한 동작을 행하기 위한 제1수단과, ⓑ상기 카트리지의 사용가능상태에 따라서 제 1수단의 동작을 변화시키기 위한 제2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매체출입용 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적용되는 유닛.
  58.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기록매체는, 필름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매체출입용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적용되는 유닛.
  59.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기록매체출입용 커버는, 차광을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매체출입용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적용되는 유닛.
  60.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상기 카메라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대한 상기 카트리지의 장전 및 인출의 적어도 어느 한쪽을 허용하기 위한 커버의 동작을 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매체출입용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적용되는 유닛.
  61.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상기 카메라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대한 상기 카트리지의 인입 및 인출의 적어도 어느 한쪽의 동작을 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매체출입용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적용되는 유닛.
  62.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상기 카메라및 장치의 어느 한쪽에 대한 상기 카트리지의 인입 및 송출의 적어도 어느 한쪽의 동작을 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매체출입용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적용되는 유닛.
  63.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상기 카트리지의 상기 화상기록매체출입용커버의 개폐의 적어도 어느한쪽을 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매체출입용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적용되는 유닛.
  64.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상기 카트리지의 상기 화상기록매체출입용커버의 개폐의 적어도 어느한쪽을 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매체출입용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적용되는 유닛.
  65.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상기 카트리지의 상기 화상기록매체출입용커버의 개폐의 적어도 어느한쪽을 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매체출입용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적용되는 유닛.
  66.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상기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한쪽에 대한 상기 카트리지의 장전 및 인출의 적어도 어느한쪽을 허용하기 위한 커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매체출입용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적용되는 유닛.
  67.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전동구동장치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매체출입용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적용되는 유닛.
  68.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모터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매체출입용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적용되는 유닛.
  69.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카트리지의 사용가능상태를 판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매체출입용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적용되는 유닛.
  70. 제6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이 상기 카트리지의 사용불가를 판정하는 것에 응답해서, 그것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매체출입용 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적용되는 유닛.
  71.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카트리지의 사용가능상태를 이 카트리지의 상기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대한 장전전에 판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매체출입용 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적용되는 유닛.
  72.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카트리지의 사용가능상태를 이 카트리지의 상기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대한 장전중에 판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매체출입용 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적용되는 유닛.
  73.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카트리지의 사용가능상태를 이 카트리지의 상기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대한 장전후에 판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매체출입용 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적용되는 유닛.
  74.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카트리지의 사용가능상태를 이 카트리지의 스풀의 위치에 따라서 판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매체출입용 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적용되는 유닛.
  75.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카트리지의 사용가능상태를 이 카트리지에 장착된 막대코우드에 의거해서 판정하기 위한 수단을 또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매체출입용 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적용되는 유닛.
  76.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카트리지에 장전된 화상기록매체의 기록부분(an memory portion)에 기억된 정보에 의거하여 판정하기 위한 수단을 또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매체출입용 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적용되는 유닛.
  77.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상기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대한 상기 카트리지의 장전을 허용하기 위한 커버의 동작을 행하기 위한 수단으로 포함하고,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카트리지가 사용불가의 경우에는, 상기 제1수단을 동작시키지 않게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매체출입용 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적용되는 유닛.
  78.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상기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대한 상기 카트리지의 인입동작을 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카트리지가 사용불가의 경우에는, 상기 제1수단을 동작시키지 않게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매체출입용 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적용되는 유닛.
  79.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상기 카트리지의 상기 화상기록매체출입을 커버의 개방동작을 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카트리지가 사용불가의 경우에는, 상기 제1수단을 동작시키지 않게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매체출입용 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적용되는 유닛.
  80.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카트리지가 사용불가의 경우에는, 상기 카트리지로부터 영상기록매체가 나오지 않는 상태로 상기 카트리지를 상기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대하여 장전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매체출입용 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적용되는 유닛.
  81.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카트리지가 사용불가의 경우에는, 상기 화상기록매체출입용 커버를 닫은 상태로 상기 카트리지를 상기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대하여 장전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매체출입용 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적용되는 유닛.
  82.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상기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대한 상기 카트리지의 송출동작을 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카트리지가 사용불가의 경우에는, 상기 제1수단을 동작시키지 않게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매체출입용 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적용되는 유닛.
  83.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가 사용불가의 경우에는, 상기 제1수단을 동작시키기 위한 수단을 또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매체출입용 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적용되는 유닛.
  84.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적용되는 유닛은, ⓐ상기카메라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대한 상기 카트리지의 장전 및 인출의 적어도 어느 한쪽을 위한 동작을 행하기 위한 제1수단과, ⓑ상기 카트리지의 사용가능상태에 따라서 제1 수단의 동작을 변화시키기 위한 제2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적용되는 유닛.
  85. 광차폐부분(Light Shield Portion)을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는, ⓐ상기카메라에 대한 상기 카트리지의 장전 및 인출의 적어도 어느 한쪽을 위한 동작을 행하기 위한 제1수단과, ⓑ상기 카트리지의 사용가능상태에 따라서 제 수단의 동작을 변화시키기 위한 제2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차폐부분을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86. 제85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기록매체는,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차폐부분을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87. 제85항에 있어서, 상기 광차폐부분은 차광을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차폐부분을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88. 제8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상기 카메라에 대한 상기 카트리지의 장전 및 인출의 적어도 어느 한쪽을 허용하기 위한 커버의 동작을 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차폐부분을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89. 제8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상기 카메라에 대한 상기 카트리지의 인입 및 송출의 적어도 어느 한쪽의 동작을 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차폐부분을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90. 제8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상기 카메라에 대한 상기 카트리지의 인입 및 송출의 적어도 어느 한쪽의 동작을 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차폐부분을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91. 제8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상기 카트리지의 상기 광차폐부분의 개폐의 적어도 어느 한쪽을 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차폐부분을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92. 제8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상기 카트리지의 상기 광차폐부분의 개폐의 적어도 어느 한쪽을 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차폐부분을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93. 제8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상기 카트리지의 상기 광차폐부분의 개폐의 적어도 어느 한쪽을 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차폐부분을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94. 제8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상기 카메라에 대한 상기 카트리지의 장전 및 인출의 적어도 어느 한쪽을 허용하기 위한 커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차폐부분을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95. 제8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전동구동장치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차폐부분을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96. 제8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모터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차폐부분을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97. 제8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카트리지의 사용가능상태를 판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차폐부분을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98. 제9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이 상기 카트리지의 사용불가를 판정하는 것에 응답해서, 그것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차폐부분을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99. 제8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카트리지의 사용가능상태를 이 카트리지의 상기 카메라에 대한 장전전에 판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차폐부분을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100. 제8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카트리지의 사용가능상태를 이 카트리지의 상기 카메라에 대한 장전중에 판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차폐부분을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101. 제8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카트리지의 사용가능상태를 이 카트리지의 상기 카메라에 대한 장전후에 판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차폐부분을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102. 제8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카트리지의 사용가능상태를 이 카트리지의 스풀의 위치에 따라서 판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차폐부분을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103. 제8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카트리지의 사용가능상태를 이 카트리지에 장착된 막대코우드에 의거해서 판정하기 위한 수단을 또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차폐부분을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104. 제8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카트리지에 장전된 화상기록매체의 기록부분(an memory porition)에 기억된 정보에 의거하여 판정하기 위한 수단을 또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차폐부분을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105. 제8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상기 카메라에 대한 카트리지의 장전을 허용하기 위한 커버의 동작을 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카트리지가 사용불가의 경우에는, 상기 제1수단을 동작시키지 않게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차폐부분을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106. 제8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상기 카메라에 대한 상기 카트리지의 인입동작을 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카트리지가 사용불가의 경우에는, 상기 제1수단을 동작시키지 않게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차폐부분을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107. 제8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상기 카트리지의 상기 화상기록매체출입용 커버의 개방동작을 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카트리지가 사용불가의 경우에는, 상기 제1수단을 동작시키지 않게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차폐부분을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108. 제8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카트리지가 사용불가의 경우에는, 상기 카트리지로부터 영상기록매체가 나오지 않는 상태로 상기 카트리지를 상기 카메라에 대하여 장전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차폐부분을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109. 제8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카트리지가 사용불가의 경우에는, 상기 화상기록매체출입용 커버를 닫은 상태로 상기 카트리지를 상기 카메라에 대하여 장전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차폐부분을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110. 제8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상기 카메라에 대한 상기 카트리지의 송출동작을 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카트리지가 사용불가의 경우에는, 상기 제1수단을 동작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차폐부분을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111. 제85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가 사용불가의 경우에는, 상기 제1수단을 동작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차폐부분을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112. 광차폐부분을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장치는, ⓐ상기 장치에 대한 상기 카트리지의 장전 및 인출의 적어도 어느 한쪽을 위한 동작을 행하기 위한 제1수단과, ⓑ상기 카트리지의 사용가능상태에 따라서 제 1수단의 동작을 변화시키기 위한 제2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차폐부분을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장치.
  113. 제112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기록메체는, 필름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차폐부분을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장치.
  114. 제112항에 있어서, 상기 광차폐부분은 차광을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차폐부분을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장치.
  115. 제1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상기 장치에 대한 상기 카트리지의 장전 및 인출의 적어도 어느 한쪽을 허용하기 위한 커버의 동작을 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차폐부분을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장치.
  116. 제1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상기 장치에 대한 상기 카트리지의 인입 및 송출의 적어도 어느 한쪽의 동작을 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차폐부분을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장치.
  117. 제1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상기 장치에 대한 상기 카트리지의 인입 및 송출의 적어도 어느 한쪽의 동작을 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차폐부분을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장치.
  118. 제1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상기 카트리지의 상기 광차폐부분의 개폐의 적어도 어느한쪽을 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차폐부분을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장치.
  119. 제1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상기 카트리지의 상기 광차폐부분의 개폐의 적어도 어느한쪽을 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차폐부분을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장치.
  120. 제1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상기 카트리지의 상기 광차폐부분의 개폐의 적어도 어느한쪽을 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차폐부분을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장치.
  121. 제1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상기 장치에 대한 상기 카트리지의 장전 및 인출의 적어도 어느 한쪽을 허용하기 위한 커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차폐부분을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장치.
  122. 제1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전동구동장치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차폐부분을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장치.
  123. 제1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모터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차폐부분을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장치.
  124. 제1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카트리지의 사용가능상태를 판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차폐부분을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장치.
  125. 제1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카트리지의 사용불가를 판정하는 것에 응답해서, 그것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차폐부분을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장치.
  126. 제1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카트리지의 사용가능상태를 이 카트리지의 상기 장치에 대한 장전전에 판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차폐부분을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장치.
  127. 제1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카트리지의 사용가능상태를 이 카트리지의 상기 장치에 대한 장전중에 판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차폐부분을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장치.
  128. 제1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카트리지의 사용가능상태를 이 카트리지의 상기 장치에 대한 장전후에 판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차폐부분을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장치.
  129. 제1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카트리지의 사용가능상태를 이 카트리지의 스풀의 위치에 따라서 판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차폐부분을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장치.
  130. 제1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카트리지의 사용가능상태를 이 카트리지에 장착된 막대코우드에 의거해서 판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차폐부분을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장치.
  131. 제1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카트리지에 장전된 화상기록매체의 기록부분(an memory portion)에 기억된 정보에 의거하여 판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차폐부분을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장치.
  132. 제1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상기 장치에 대한 상기 카트리지의 장전을 허용하기 위한 커버의 동작을 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카트리지가 사용불가의 경우에는, 상기 제1수단을 동작시키지 않게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차폐부분을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장치.
  133. 제1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상기 장치에 대한 상기 카트리지의 인입동작을 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카트리지가 사용불가의 경우에는, 상기 제1수단을 동작시키지 않게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차폐부분을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장치.
  134. 제1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상기 카트리지의 상기 광차폐부분의 개방동작을 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카트리지가 사용불가의 경우에는, 상기 제1수단을 동작시키지 않게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차폐부분을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장치.
  135. 제1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카트리지가 사용불가의 경우에는, 상기 카트리지로부터 영상기록매체가 나오지않는 상태로 상기 카트리지를 상기 카메라에 대하여 장전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차폐부분을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장치.
  136. 제1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카트리지가 사용불가의 경우에는, 상기 광차폐부분을 닫은 상태로 상기 카트리지를 상기 장치에 대하여 장전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차폐부분을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장치.
  137. 제1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상기 장치에 대한 상기 카트리지의 송출동작을 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카트리지가 사용불가의 경우에는, 상기 제1수단을 동작시키지 않게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차폐부분을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장치.
  138. 제112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가 사용불가의 경우에는, 상기 제1수단을 동작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차폐부분을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장치.
  139. 광차폐부분을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및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적용되는 유닛은, ⓐ상기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대한 상기 카트리지의 장전 및 인출의 적어도 어느 한쪽을 위한 동작을 행하기 위한 제1수단과, ⓑ상기 카트리지의 사용가능상태에 따라서 제 1수단의 동작을 변화시키기 위한 제2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차폐부분을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적용되는 유닛.
  140. 제139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기록매체는, 필름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폐차부분을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적용되는 유닛.
  141. 제139항에 있어서, 상기 광차폐부분을 차광을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폐차부분을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적용되는 유닛.
  142. 제13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상기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대한 상기 카트리지의 장전 및 인출의 적어도 어느 한쪽을 허용하기 위한 커버의 동작을 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폐차부분을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적용되는 유닛.
  143. 제14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상기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대한 상기 카트리지의 인입 및 송출의 적어도 어느 한쪽을 허용하기 위한 커버의 동작을 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폐차부분을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적용되는 유닛.
  144. 제13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상기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대한 상기 카트리지의 인입 및 송출의 적어도 어느 한쪽의 동작을 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차폐부부분을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적용되는 유닛.
  145. 제14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상기 카트리지의 상기 광차폐부분의 개폐의 적어도 어느한쪽을 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폐차부분을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적용되는 유닛.
  146. 제14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상기 카트리지의 상기 광차폐부분의 개폐의 적어도 어느한쪽을 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폐차부분을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적용되는 유닛.
  147. 제13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상기 카트리지의 상기 광차폐부분의 개폐의 적어도 어느한쪽을 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폐차부분을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적용되는 유닛.
  148. 제13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상기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대한 상기 카트리지의 장전 및 인출의 적어도 어느 한쪽을 허용하기 위한 커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차폐부분을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적용되는 유닛.
  149. 제13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전동구동장치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폐차부분을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적용되는 유닛.
  150. 제13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모터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폐차부분을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적용되는 유닛.
  151. 제13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카트리지의 사용가능상태를 판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폐차부분을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적용되는 유닛.
  152. 제15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이 상기 카트리지의 사용불가를 판정하는 것에 응답해서, 그것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폐차부분을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적용되는 유닛.
  153. 제13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카트리지의 사용가능상태를 이 카트리지의 상기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대한 장전전에 판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차폐부분을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적용되는 유닛.
  154. 제13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카트리지의 사용가능상태를 이 카트리지의 상기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대한 장전중에 판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차폐부분을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적용되는 유닛.
  155. 제13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카트리지의 사용가능상태를 이 카트리지의 상기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대한 장전후에 판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차폐부분을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적용되는 유닛.
  156. 제13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카트리지의 사용가능상태를 이 카트리지의 스풀의 위치에 따라서 판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차폐부분을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적용되는 유닛.
  157. 제13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카트리지의 사용가능상태를 이 카트리지에 장착된 막대코우드에 의거해서 판정하기 위한 수단을 또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차부분을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적용되는 유닛.
  158. 제13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카트리지에 장전된 화상기록메체의 기록부분(an memory portion)에 기억된 정보에 의거하여 판정하기 위한 수단을 또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차폐부분을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적용되는 유닛.
  159. 제13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상기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대한 상기 카트리지의 장전을 허용하기 위한 커버의 동작을 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카트리지가 사용불가의 경우에는, 상기 제1수단을 동작시키기 않게하기 위한 수단을 또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폐차부분을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적용되는 유닛.
  160. 제13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상기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대한 상기 카트리지의 인입 동작을 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카트리지가 사용불가의 경우에는, 상기 제1수단을 동작시키기 않게하기 위한 수단을 또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폐차부분을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적용되는 유닛.
  161. 제13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상기 카트리지의 상기 광차폐부분을 개방동작을 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카트리지가 사용불가의 경우에는, 상기 제1수단을 동작시키기 않게하기 위한 수단을 또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폐차부분을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적용되는 유닛.
  162. 제13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카트리지가 사용불가의 경우에는, 상기 카트리지로부터 영상기록매체가 나오지 않는 상태로 상기 카트리지를 상기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대하여 장전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폐차부분을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적용되는 유닛.
  163. 제13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카트리지가 사용불가의 경우에는, 상기 광차폐부분을 닫은 상태로 상기 카트리지를 상기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대하여 장전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폐차부분을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적용되는 유닛.
  164. 제13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상기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대한 상기 카트리지의 송출동작을 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카트리지가 사용불가의 경우에는 상기 제1수단을 동작시키기 위한 수단을 또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폐차부분을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적용되는 유닛.
  165. 제139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가 사용불가의 경우에는, 상기 제1수단을 동작시키기 않게하기 위한 수단을 또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폐차부분을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및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적용되는 유닛.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40037088A 1993-12-28 1994-12-27 화상기록 매체카트리지 또는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장치 KR01782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337151A JPH07199319A (ja) 1993-12-28 1993-12-28 使用済みカートリッジ対策のあるカメラ
JP93-337151 1993-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9887A true KR950019887A (ko) 1995-07-24
KR0178286B1 KR0178286B1 (ko) 1999-05-15

Family

ID=18305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7088A KR0178286B1 (ko) 1993-12-28 1994-12-27 화상기록 매체카트리지 또는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612760A (ko)
EP (1) EP0661585B1 (ko)
JP (1) JPH07199319A (ko)
KR (1) KR0178286B1 (ko)
CN (1) CN1068440C (ko)
DE (1) DE69430181T2 (ko)
TW (1) TW35976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52144B2 (ja) * 1993-12-28 1999-09-20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メラ及びカメラのフィルムカートリッジ装填装置
JPH0933995A (ja) * 1995-07-20 1997-02-07 Asahi Optical Co Ltd 電動カメラ
US5664248A (en) * 1995-08-08 1997-09-02 Fuji Photo Optical Co., Ltd. Photographic camera
JP3557294B2 (ja) * 1995-08-29 2004-08-25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スキャナ装置
JPH09127599A (ja) * 1995-08-31 1997-05-16 Nikon Corp フィルムカートリッジ遮光扉の開閉装置
US5812897A (en) * 1995-11-21 1998-09-22 Canon Kabushiki Kaisha Cartridge loading/ejecting apparatus
US5893000A (en) 1996-01-31 1999-04-06 Fuji Photo Film Co., Ltd. Camera capable of reading/writing information of photo film cassette
US5867746A (en) * 1996-01-31 1999-02-02 Canon Kabushiki Kaisha Film cartridge detecting apparatus
US5815755A (en) * 1996-02-21 1998-09-29 Minolta Co., Ltd. Camera and method for setting a used-state display
US5907734A (en) * 1997-12-19 1999-05-25 Eastman Kodak Company Active light lock coupled restraint and camera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06046C1 (de) * 1987-02-25 1988-05-26 Agfa Gevaert Ag Vorrichtung zum Entladen von Roentgenblattfilmkassetten
US4845733A (en) * 1987-05-01 1989-07-04 Liebel-Flarsheim Company Cassette film transport
JPH01233431A (ja) * 1988-03-15 1989-09-19 Nikon Corp 使用済パトローネ判別装置付カメラ
EP0353750B1 (en) * 1988-08-05 1996-05-29 Minolta Co., Ltd. A film cartridge and a camera employing the film cartridge
US4860037A (en) * 1988-09-12 1989-08-22 Eastman Kodak Company Film cassette with magnetic film leader
US5083721A (en) * 1989-01-31 1992-01-28 Fuji Photo Film Co., Ltd Photographic film cartridge
US5463435A (en) * 1990-02-09 1995-10-31 Nikon Corporation Camera
US5049914A (en) * 1990-06-26 1991-09-17 Eastman Kodak Company Cassette ejecting apparatus
US5032854A (en) * 1990-07-31 1991-07-16 Eastman Kodak Company Photographic film cassette and camera apparatus and method
US5032861A (en) * 1990-10-15 1991-07-16 Eastman Kodak Company Film cassette with lock-out means for preventing load of exposed film
US5307099A (en) * 1990-11-30 1994-04-26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Film cartridge accomodating device which prevents previously used cartridges from being employed in a camera or the like
US5526084A (en) * 1991-09-12 1996-06-11 Fuji Photo Film Co., Ltd. Photographic film cassette which is easily removed from a camera and camera for use with the same
JP2889466B2 (ja) * 1993-06-30 1999-05-10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メ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430181D1 (de) 2002-04-25
US5612760A (en) 1997-03-18
KR0178286B1 (ko) 1999-05-15
CN1115393A (zh) 1996-01-24
DE69430181T2 (de) 2002-08-22
CN1068440C (zh) 2001-07-11
EP0661585B1 (en) 2002-03-20
EP0661585A1 (en) 1995-07-05
JPH07199319A (ja) 1995-08-04
TW359766B (en) 1999-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19887A (ko) 화상기록매체출입용 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또는, 장치 또는, 그들에 적용되는 유닛
KR850002539A (ko) 기록 재생장치
KR950012133A (ko) 가동차광도어를 지닌 필림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KR950019888A (ko) 화상기록매체출입용커버를 가진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또는 장치, 또는 그들에 적용되는 유닛
US5398087A (en) Camera reading information applied to a film unit
EP0619914A1 (en) Light-tight optical disk cartridge
KR950029839A (ko) 필름카트리지가 적용되는 카메라
US5664249A (en) Camera or apparatus adapted to use film cartridge or device applicable to such camera or apparatus
JP2005108323A (ja) データ記録装置
US6074108A (en) Photographic sensitive material processing equipment, method of cleaning the photographic sensitive material processing equipment, cleaning cartridge, cleaning material, cleaning member recognition system and cleaning member
KR950012134A (ko) 가동차광도어를 지닌 필림카트리지를 사용하도록 적용되는 카메라
JP3458392B2 (ja) スチルカメラ
EP0750218B1 (en) Camera with a cartridge loading device
US6052542A (en) Film cartridge indication control apparatus
JP3423782B2 (ja) 磁気記憶部付フィルムを用いるカメラ
JPH06344631A (ja) 記録装置
KR100560396B1 (ko) 디스크 카트리지
JPH08328108A (ja) 磁気ヘッド付きカメラ
KR100266225B1 (ko) 디스크 카트리지
JP3976283B2 (ja) フイルム検索装置
US6029016A (en) Camera capable of magnetic recording
JPH08114845A (ja) カメラ
EP089087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judging an error in reading data recorded on a photographic film
JP3599419B2 (ja) カメラ
KR950001382A (ko) 가동차광도어를 지닌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는 카메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