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5199B1 - 자동판매기 - Google Patents

자동판매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5199B1
KR950015199B1 KR1019920014801A KR920014801A KR950015199B1 KR 950015199 B1 KR950015199 B1 KR 950015199B1 KR 1019920014801 A KR1019920014801 A KR 1019920014801A KR 920014801 A KR920014801 A KR 920014801A KR 950015199 B1 KR950015199 B1 KR 950015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sales
goods
opening
merchand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4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4896A (ko
Inventor
요시오 야사까
가쓰히로 호리모도
미쓰오 다미야
가즈미 고바야시
히로유끼 사또
Original Assignee
산요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이우에 사또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이우에 사또시 filed Critical 산요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30004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8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5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51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36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of helical or spiral for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판매기
제1도는 자동판매기의 세로단면도.
제2도는 바깥쪽문을 떼어내고 상하의 단열문을 개방한 상태의 자동판매기본체의 사시도.
제3도는 상품판매구부분의 자동판매기의 확대 세로단면도.
제4도는 매달린 판의 사시도.
제5도는 전기회로도.
제6도는 제어회로의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유통도.
제7도는 매달린 판의 동작을 나타내는 상품판매구부분의 자동판매기의 확대세로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바깥쪽문
3 : 전면개방구 4 : 상품꺼내는 구멍
5 : 상품판매구 6 : 판매구 문
7 : 단열체 8 : 개방구
9 : 수납고 10 : 기계실
11 : 냉각기 12 : 압축기
13 : 응축기 14 : 상품장전용문
15 : 스파이럴 16 : 상품수납콜럼
17 : 상품활강기 18 : 상측단열문
19 : 하측단열문 20 : 지지부재
22 : 배출구 23 : 배출구 문
24 : 아암 25 : 구동전동기
27 : 판매전동기 28 : 판매구 스위치
30 : 매달린 판 33 : 밴드엔드 스위치
35 : 제어회로
본 발명은 수납고내에 설치한 상품수납콜럼(column)으로부터의 상품을 배출구로부터 상품판매구에 송출하는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배출구로부터의 상품의 송출을 검출가능한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이런종류의 자동판매기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소 61-211795호 공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납고내에 아이스크림등의 복수의 상품이 장전된 상품 수납콜럼을 설치하고, 화폐등의 투입에 수반하는 상품의 판매시에 이 상품수납콜럼으로부터 상품을 배출하고, 배출구로부터 상품 판매구로 송출하는 구성을 취하고 있다.
통상 이 상품수납콜럼은 예를 들면 일본국 실개소 61-126378호 공보나 일본국 실개평1-72682호 공보에 나타낸 바와 같은 스파이럴(spiral)을 내장하고 있고, 이 스파이럴내에 상하로 소정의 간격으로 상품을 장전해두고, 1회의 상품판매시에 이 스파이럴을 예를 들면 180°회전시키므로서 스파이럴 하부단말로부터 상품을 낙하배출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한 종래의 구조에 의하면, 예를 들면 상품수납콜럼의 스파아럴내에 상품이 중간이 빠져서 장전된 경우, 즉 상기한 종래의 예에 있어서 상품과 상품의 간격이 스파이럴의 회전각도로 180°이상 개방된 경우에는 스파이럴이 회전해도 다음의 상품이 낙하하지 않고, 화폐가 투입되었는데도 불구하고 상품이 판매되지 않는 사태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여기서, 본 발명은 배출구로부터의 상품의 송출상황을 검출해서 상품 배출동작을 재개하고, 그러한 상품이 판매되지 않는 상태를 방지한 자동판매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배출구로부터의 상품의 송출상황을 검출해서 상품의 배출동작을 재개시키는 구조로한 경우에 그 검출수단에 나쁜 장난을 하므로서 생기는 중복판매등의 부정을 방지한 자동판매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의 발명의 자동판매기(V)는 본체(1)의 전면부에 설치한 상품판매구(5)와 수납고(9)내에 설치한 상품수납콜럼(16)과 이 상품수납콜럼(16)으로부터의 상품(G)를 상품판매구(5)로 송출하는 배출구(22)와 이 배출구(22)에 요동이 자유롭게 설치된 매달린판(30)과 이 매달린판(30)의 동작을 검출하는 매달린판 동작검출수단(벤드엔드스위치)(33)과 이 벤드엔드스위치(bend-end swtich)의 출력에 기초해서 상품수납콜럼(16)으로부터의 상품배출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제어회로)(35)와를 구비하고 있고, 매달린판(30)을 상품(G)의 통과로서 적어도 상품판매구(5) 방향으로 동작하도록 매달아지지함과 동시에, 제어회로(35)는 상품판매시에 매달린판(30)이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 상품배출동작을 재개시키도록 구성한 것이다.
청구항 2의 발명의 자동판매기(V)는 본체(1) 전면부에 설치한 상품판매구(5)와 이 상품판매구(5)의 전면에 설치된 상품꺼내는 구멍(4)와 이 상품꺼내는 구멍(4)를 개폐가 자유롭게 폐색하는 판매구문(6)과 수납고(9)내에 설치한 상품수납콜럼(16)과 이 상품 수납콜럼(16)으로부터의 상품(G)를 상품판매구(5)에 송출하는 배출구(22)와 이 배출구(22)로부터의 상품(G)의 송출을 검출하는 상품송출검출수단[매달린판(30)과 벤드엔드스위치(33)]과 판매구문(6)의 개폐를 검출하는 판매구문개폐검출수단(판매구스위치)(28)과 벤드엔드스위치(33) 및 판매구스위치(28)의 출력에 기초해서 상품수납콜럼(16)으로부터의 상품배출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제어회로)(35)와를 구비하고 있고, 제어회로(35)는 상품판매시에 배출구(22)로부터 상품(G)가송출되지 않는 경우에 상품배출동작을 재개시킴과 동시에, 판매구문(6)이 개방된 경우에는 상품배출동작의 재개를 금지시키도록 구성한 것이다.
청구항 1의 발명의 자동판매기(V)에 의하면, 상품수납콜럼(16)에 중간에 빠진 것이 있어서 상품(G)가 낙하하지 않고, 배출구(22)로부터 상품판매구(5)에 상품(G)가 송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매달린판(30)이 동작하지 않는다.
이 매달린판(30)이 동작하지 않으면 벤드엔드스위치(33)으로부터의 출력에 의해 판단되고, 그것에 의해 제어회로(35)는 상품(G)이 판매되지 않은 것을 검출한다.
제어회로(35)는 상품(G)이 판매되지 않은 것을 검출한 것에 의해 상품수납콜럼(16)으로부터의 상품배출 동작을 재개시킨다.
청구항 2의 발명의 자동판매기(V)에 의하면 부정을 행하고저 하는 자가판매구문(6)을 개방해서 상품꺼내는 구멍(4)로부터 손을 집어넣어 매달린판(30)에 나쁜 장난을 해서 상품수납콜럼(16)으로부터 상품(G)가 낙하했는데도 불구하고 매달린판(30)이 배출구(22)로부터의 상품(G)의 송출을 검출할 수 없도록 했다고 해도 판매구문(6)이 개방된 것을 판매구스위치(28)이 검출하므로서 제어회로(35)는 상품배출동작의 재개를 금지시킨다.
[실시예]
다음에 도면에 기초해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자동판매기(V)의 세로단면도, 제2도는 바깥쪽문(2)를 떼어내어서 상하의 단일문(18)(19)를 개방한 상태의 자동판매기(V)의 본체(1)의 사시도, 제3도는 상품판매구(5) 부분의 자동판매기(V)의 확대세로 단면도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자동판매기(V)의 본체(1)의 전면개방구(3)에는 바깥쪽문(2)가 개폐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고, 이 바깥쪽문(2)에는 도시하지 않은 화폐투입고, 상품선택버튼등이 각각 배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하부에는 전면을 상품꺼내는 구멍(4)로서 개방하는 상품판매구(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상품꺼내는 구멍(4)는 상부단말이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지되어서 내측상품판매구(5)측으로 회전해서 상품꺼내는 구멍(4)를 개방하는 판매구문(6)에 의해 개폐가 자유롭게 폐색되어 있다.
이 상품판매구(5)의 상부에는 판매구문(6)의 후방에 위치해서 본 발명의 판매구문 개폐검출수단으로서의 평상시 개방상태의 판매구스위치(28)이 설치되어 있고, 판매구문(6)이 상품판매구(5)의 방향으로 회전되면 이 판매구스위치(28)에 맞닿아서 접점이 닫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본체(1)은 단열체(7)에 의해 형성되고, 전면에 개방구(8)을 개방형성한 수납고(9)와 이 수납고(9)의 아래쪽에 설치한 기계실(10)과를 갖고 있다.
이 기계실(10)내에는 수납고(9)내의 하부에 설치한 냉각기(11)에의 냉동회로를 구성하는 압축기(12), 응축기(13)등을 배치하고 있다.
또, 수납고(9)내에는 전면에 상품장전용의 문(14)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스파이럴(15)를 상하로 설치한 상품수납콜럼(16)을 복수병렬로 설치하고 있다.
아이스크림등의 상품(G)는 이 스파이럴(15)내에 소정의 간격으로 장전된다.(제1도에는 도시하지 않음)
또, 각 상품수납콜럼(16)의 상부단말에는 상기한 스파이럴(15)를 회전시키기 위한 판매용 전동기(27)이 설치되고, 다시 또 상품수납콜럼(16)의 아래쪽에는 스파이럴(15)에 의해 배출낙하되는 상품(G)를 바깥쪽문(2)의 상품판매구(5)에 안내송출하는 상품활강기(17)이 설치되어 있다.
수납고(9)의 전면개방구(8)은 상하로 분할되어서 각각 한쪽끝을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지해서 설치된 단열문(18)(19)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측의 단열문(18)은 하단의 이면을 지지부재(20)에 맞닿게 해서 상품수납콜럼(16)의 전면에 대응하는 개방구(8)을 폐색가능하게함과 동시에, 문을 개방하면 상품수납콜럼(16)의 문(14)의 개폐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한편, 하측의 단열문(19)는 상단의 이면을 지지부재(20)에 맞닿게해서 상품활강기(17)의 전방에 대응하는 개방구(8)을 폐색가능하게함과 동시에, 문을 개방하므로서 상품활강기(17) 혹은 상품활강기(17)의 후방에 위치하는 냉각기(11)의 점검수리등이 행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상하의 단열문(18)(19)는 각각 독립해서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하측의 단열문(19)에는 상품활강기(17)에 안내된 상품(G)를 상품판매구(5)에 송출하기 위한 배출구(22)가 개방형성되어 있다.
이 배출구(22)의 외측에는 상품수납콜럼(16)으로부터 상품(G)가 배출낙하된 상품판매시에 문이 개방되는 배출구문(23)이 설치되어 있다.
이 배출구문(23)은 아암(24)에 의해 상하이동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위쪽으로 이동된 때에는 배출구(22)를 개방하고, 아래쪽으로 이동되면 내면주위에 설치한 패킹(26)이 배출구(22) 전면주위에 전방으로부터 압축 접촉되어 배출구(22)를 폐색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구동전동기(25)에 의해 판매시에 개폐동작된다.
다시 또, 단열문(19)와 배출구문(23)의 사이에는 배출구(22)에 대응해서 본 발명의 상품송출검출수단으로서의 매달린판(30)이 설치된다.
매달린판(30)은 예를 들면 0.3mm정도의 가벼운 폴리카아보네이트판으로 구성되어 있고, 제4도의 확대 사시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단에 스테인레스등의 비자성체로된 힌지(31)이 부착되어 있다.
이 힌지(31)이 배출구(22)의 위쪽의 단열문(19)의 전면에 고정되고, 하측의 힌지판(31B)가 배출구(22)까지 연장되므로서 매달린판(30)은 배출구(22) 부분에 있어서 요동이 자유롭게 늘어져 지지된다.
매달린판(30)은 늘어진 상태에서 배출구(22)를 대략 폐색하는 치수를 갖고 있고, 그 상태로부터 제4도중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품판매구(5)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다.
힌지(31)의 회전연결부(31A)는 배출구문(23)의 폐색시에 있어서 패킹(26)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부착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수납고(9)로부터의 냉기를 차단해서 회전연결부(31A)의 동결을 방지하고 있다.
또, 힌지판(31B)는 측면쪽으로 뻗어 있고, 이 연장부에 자석(32)가 부착되어 있다.
이 자석(32)에 대응하는 단열문(19)의 전면에는 리이드스위치로된 벤드엔드스위치(33)이 부착되어 있고, 매달린판(30)이 늘어진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한 자석(32)가 벤드엔드스위치(33)에 근접하고 매달린판(30)의 동작에 수반하여 힌지판(31B)가 상품판매구(5)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한 자석(32)가 벤드엔드스위치(33)으로부터 이간되도록 관련지워지고, 벤드엔드스위치(33)은 자석(32)가 근접하면 접점을 개방하고, 이간되면 접점을 닫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이 힌지(31)을 비자성체로 구성하므로서 벤드엔드스위치(33)의 오동작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다음에, 제5도의 전기회로도 및 제6도에 나타내는 제어수단으로서의 제어회로(35)의 유통도를 참조해서 자동판매기(V)의 판매동작을 설명한다.
제어회로(35)는 범용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구성되고, 그 입력단자(35A)에는 저항을 거쳐서 전원에 접속된 벤드엔드스위치(33)의 단자전압이 인버어터(36)을 거쳐서 입력된다.
또, 제어회로(35)의 입력단자(35B)에는 저항을 거쳐서 전원에 접속된 판매구스위치(28)의 단자전압이 인버어터(37)을 거쳐서 입력된다.
다시 또, 제어회로(35)의 출력단자(35C)에는 인버어터(38)이 접속되고, 인버어터(38)의 출력과 전원간에는 판매전동기(27)이 접속된다.
다시 또, 제어회로(35)의 출력단자(35E)에는 인버어터(40)이 접속되고, 인버어터(40)의 출력과 전원간에는 구동전동기(35)가 접속된다.
또한, 판매전동기(27)에 관해서는 실제로는 복수의 상품판매콜럼(16)의 각각에 대해 존재하지만, 여기서는 상품선택버튼에 의해 선택된 상품에 관한 상품수납콜럼(16)의 것만을 나타낸다.
또, 유통도는 판매전동기(27)의 제어에 대해서만 나타낸다.
경화의 투입후 상품선택버튼이 눌러지면 대응하는 상품의 판매지령신호(M)이 제어회로(35)의 입력단자(35D)에 입력된다.
제어회로(35)는 이 판매지령신호(M)이 입력되면 우선 출력단자(35E)를 고전위[이하 「H」라 한다]로 한다.
이것에 의해 인버어터(40)의 출력은 저전위[이하「L」이라 한다]로 되고, 구동전동기(25)는 통전되어어 제7도와 같이 배출구문(23)을 위쪽으로 이동시키고, 그 후 제어회로(35)는 출력단자(35E)를 「L」로 복귀시켜서 구동전동기(25)를 정지시켜 그 상태를 유지한다.
이 때, 매달린판(30)은 배출구(22)를 대략 폐색하고 있기 때문에 배출구문(23)이 상승해도 수납고(9)로부터의 냉기의 누설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다음에, 제6도의 단계(S1)에서 출력단자(35C)를 「H」로 하고, 인버어터(38)의 출력을 「L」로 해서 판매전동기(27)에 통전해서 회전시키고, 스파이럴(15)를 회전시킨다.
다음에, 단계(S2)에서 벤드엔드스위치(33)이 폐쇄되고, 인버어터(36)의 출력이 「H」로 되었는가 아닌가를 검출해서 「H」가 되면 그것을 기억한다.
다음에, 단계(S3)에서 스파이럴(15)가 180°회전해서 판매가 종료했는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아니오(NO)이면 단계(S1)으로 복귀한다.
스파이럴(15)가 180°회전되어서 판매가 종료되면 상품배출동작을 종료하고, 단계(S3)에서 단계(S4)로 진행해서 벤드엔드스위치(33)이 폐쇄되었는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한 스파이럴(15)의 회전에 의해 제7도 중 점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품(G)가 상품수납콜럼(16)으로부터 배출낙하되면 상품(G)는 상품활강기(17)로 안내되어서 배출구(22)에 이르고, 요동이 자유롭게 늘어져 있는 매달린판(30)을 상품판매구(5)방향으로 밀어 후퇴시켜서 상품판매구(5)내로 낙하한다.
이 상품(G)의 통과에 의해 매달린판(30)이 동작하면 자석(32)가 벤드엔드스위치(33)으로부터 이간되기 때문에 접점은 닫힌다.
따라서, 단계(S4)로부터 단계(S8)로 진행하고, 플래그를 리셋해서 판매동작을 종료하고, 제어회로(35)는 재차 구동전동기(25)에 통전해서 배출구문(23)을 이번에는 강하시켜서 배출구(22)를 닫는다.
한편, 예를 들면 스파이럴(15)에의 상품(G)의 장전이 중간에 빠져 있어서 스파이럴(15)가 180°회전해도 상품(G)가 낙하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품(G)가 배출구(22)를 통과하지 않기 때문에 매달린판(30)도 동작하지 않는다.
따라서, 벤드엔드스위치(33)도 접점을 개방한 상태채로 있고, 단계(S2)에서의 검출에 의해서도 벤드엔드스위치(33)이 닫힌 사실이 검출되지 않고, 단계(S4)로부터는 단계(S5)로 진행해서 제어회로(35)가 기능으로서 갖는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가 판단하고, 여기서는 리셋되어 있기 때문에 단계(S6)에서 판매구문(6)이 개방되어서 판매구스위치(28)의 접점이 닫혔는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접점이 닫혀 있지 않으면 단계(S7)에서 상기한 플래그를 세트해서 단계(S1)로 복귀하고, 이후 단계(S1)으로부터 단계(S3)까지의 상품배출동작을 재개한다.
이것에 의해 스파이럴(15)는 판매전동기(27)의 회전에 의해 재차 180°회전되고 다음의 상품(G)가 배출된다.
이와 같이 1회의 상품배출동작에 의해서도 상품(G)가 배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재차 상품배출동작을 반복하기 때문에 스파이럴(15)에의 상품(G)의 장전착오에 의한 상품의 판매가 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다음에 단계(S4)에서 단계(S2)에서의 검출에 기초하여 벤드엔드스위치(33)이 닫혔는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상품(G)가 배출되어 있으면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단계(S8)로 진행하지만, 이 단계에서도 벤드엔드스위치(33)이 닫히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S5)로 진행한다.
여기서, 플래그는 세트되어 있기 때문에 단계(S5)로부터 이번에는 단계(S8)로 진행하여 판매동작은 종료된다.
즉, 1회의 상품배출동작에 의해서도 상품(G)가 배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다시 1회 배출동작을 반복하는 것만으로 종료된다.
여기서, 1회째의 상품배출동작에서도 상품이 배출되지 않고, 단계(S4)에서 벤드엔드스위치(33)이 닫혀있지 않고, 단계(S5)에서 단계(S6)으로 진행한 때에 판매구스위치(28)이 닫혀서 인버어터(37)의 출력이 「H」가 된 경우에는 단계(S8)로 진행하기 때문에 상품배출동작은 재개되지 않는다.
즉, 부정을 행하고저 하는 자가 판매구문(6)을 열고 상품판매구(5)에 손을 집어 넣어 매달린판(30)을 전방으로부터 누르면 판매전동기(27)의 회전에 의해 상품(G)가 낙하해도 매달린판(30)은 동작하기 않기 때문에 제어회로(35)는 상품배출동작을 재개해버린다.
이 배출동작이 그대로 행해지면 매달린판(30)의 후방의 상품활강기(17)상에 2개의 상품(G)가 채여서 손을 떼므로서 상품판매구(5)내에 2개의 상품(G)를 낙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손을 집어넣으려고 판매구문(6)을 개방하면 판매구문(6)은 판매구스위치(28)에 맞닿고, 그것에 의해 판매구스위치(28)의 접점이 닫히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단계(S6)으로부터는 단계(S8)로 진행하게 되고, 상품배출동작의 재개는 금지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2중판매는 발생하지 않고 부정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매달린판(30)을 폴리카아보네이트로 구성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경량으로서 상품(G)가 여하한 자세로 배출구(22)를 통과해도 동작가능한 것이면 지장이 없다.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배출구로부터의 상품의 송출을 매달린판의 동작에 의해 검출하고, 상품수납콜럼에 도중에 빠진 것이 있어서 상품이 낙하하지 않고, 배출구로부터 상품판매구에 상품이 송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품배출동작을 재개시키기 때문에 상품장전착오등에 의해 판매가 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상품송출검출수단이 배출구로부터의 상품의 송출을 검출할 수 없도록 부정을 행하려고해서 판매구문을 열면 그것을 판매구문개폐검출수단이 검출해서 상품배출동작의 재개를 금지시키기 때문에 중복판매의 부정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다.

Claims (2)

  1. 본체(1)의 전면부에 설치한 상품판매구(5)와 수납고(9)내에 설치한 상품수납콜럼(16)과 그 상품수납콜럼(16)으로부터의 상품을 상기한 상품판매구(5)로 송출하는 배출구(22)와를 구비한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상기한 배출구(22)에 요동이 자유롭게 설치된 매달린판(30)과 그 매달린판(30)의 동작을 검출하는 매달린판 동작검출수단과 그 매달린판 동작 검출수단의 출력에 기초해서 상기한 상품수납콜럼(16)으로부터의 상품배출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를 구비하고, 상기한 매달린판(30)은 상품의 통과로서 적어도 상기한 상품판매구(5) 방향으로 동작하도록 늘어져 지지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한 제어수단은 상품판매시에 상기한 매달린판(30)이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 상품배출동작을 재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
  2. 본체(1)의 전면부에 설치된 상품판매구(5)와 그 상품판매구(5)의 전면에 설치한 상품꺼내는 구멍(4)와 그 상품꺼내는 구멍(4)를 개폐가 자유롭게 폐색하는 판매구문(6)과 수납고(9)내에 설치한 상품수납콜럼(16)과 그 상품수납콜럼(16)으로부터의 상품을 상기한 상품판매구(5)에 송출하는 배출구(22)와를 구비한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상기한 배출구(22)로부터의 상품의 송출을 검출하는 상품송출검출수단과 상기한 판매구문(6)의 개폐를 검출하는 판매구문 개폐검출수단과 상기한 상품송출검출수단 및 판매구문 개폐검출수단의 출력에 기초해서 상기한 상품수납콜럼(16)으로부터의 상품배출동작의 상품배출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를 구비하고, 그 제어수단은 상품판매시 상기한 배출구(22)로부터 상품이 송출되지 않는 경우에 상품배출동작을 재개시킴과 동시에, 상기한 판매구문(6)이 개방된 경우에는 상기한 상품배출동작의 재개를 금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
KR1019920014801A 1991-08-27 1992-08-18 자동판매기 KR9500151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238871 1991-08-27
JP23887191A JP3157206B2 (ja) 1991-08-27 1991-08-27 自動販売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4896A KR930004896A (ko) 1993-03-23
KR950015199B1 true KR950015199B1 (ko) 1995-12-23

Family

ID=17036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4801A KR950015199B1 (ko) 1991-08-27 1992-08-18 자동판매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157206B2 (ko)
KR (1) KR950015199B1 (ko)
TW (1) TW21745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94095B2 (ja) * 2004-06-24 2010-06-30 旭化成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ヒンジ機構の回転検出装置
CN109035576A (zh) * 2018-07-11 2018-12-18 赵东 一种组合销售式自助机
KR102267567B1 (ko) * 2021-04-08 2021-06-22 (주)아이브이엔코리아 빙수자동판매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17452B (en) 1993-12-11
JP3157206B2 (ja) 2001-04-16
JPH0554246A (ja) 1993-03-05
KR930004896A (ko) 1993-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61231A (en) Combination refrigerator with ice service in fresh compartment door
US4854477A (en) Control device for a vending machine dispensing mechanism
US2719651A (en) Refrigerated package vending machine
KR910004931B1 (ko) 분배장치를 위한 작동조절장치
KR950015199B1 (ko) 자동판매기
JPH0257284A (ja) スロットマシン
JP2006139448A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KR100455438B1 (ko) 취출도어 개폐 인식 장치를 구비한 얼음 자동판매기
EP2187152B1 (en) Ice dispensing technology
JP2000113302A (ja) 自動販売機
KR0133818B1 (ko) 자동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
JPS6227996Y2 (ko)
KR100292327B1 (ko) 자동판매기용 랙크조립체
JPH0431654Y2 (ko)
KR0153699B1 (ko) 피자자판기의 정전후 피자 판매방법
KR200183751Y1 (ko) 자동 판매기의 내부도어 분리구조
JP4356224B2 (ja) 自動販売機の制御方法
JPH1049732A (ja) 硬貨振分機構
JPH10228569A (ja) 自動販売機
KR19990013783U (ko) 자동판매기의 캔 투출장치
JPH09326073A (ja) 自動販売機
KR19990065586A (ko) 자동 판매기의 상품 투출 장치
JPH07334739A (ja) 自動販売機
JPH09270065A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JP2003217012A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取出口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0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