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4638B1 - 엘리베이터용 미장강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미장강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4638B1
KR950014638B1 KR1019930014917A KR930014917A KR950014638B1 KR 950014638 B1 KR950014638 B1 KR 950014638B1 KR 1019930014917 A KR1019930014917 A KR 1019930014917A KR 930014917 A KR930014917 A KR 930014917A KR 950014638 B1 KR950014638 B1 KR 950014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tching
pattern
steel sheet
manufacturing
corrosion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4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3476A (ko
Inventor
김재현
Original Assignee
엘지산전주식회사
이희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산전주식회사, 이희종 filed Critical 엘지산전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14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14638B1/ko
Publication of KR950003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4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46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FNON-MECHANICAL REMOVAL OF METALLIC MATERIAL FROM SURFACE;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MULTI-STEP PROCESSES FOR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INVOLVING AT LEAST ONE PROCESS PROVIDED FOR IN CLASS C23 AND AT LEAST ONE PROCESS COVERED BY SUBCLASS C21D OR C22F OR CLASS C25
    • C23F1/00Etching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ans
    • C23F1/02Local etch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g And Chemical Polish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미장강판 및 그 제조방법
제1도는 일반적인 엘리베이터용 미장강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
제2도는 일반적인 엘리베이터용 미장강판의 일례를 보인 정면도.
제3도는 일반적인 엘리베이터용 미장강판의 1차 에칭에 의한 단면도.
제4a 및 b도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미장강판의 실시례를 보인것으로, (a)는2차 에칭에 의한 단면도, (b)는 3차 에칭에 의한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미장강판의 일실시례를 보인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미장강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
제7a 및 b도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미장강판 제조방법의 패턴 디자인공정에 따른 원고를 보인 평면도.
제8a 및 b도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미장강판 제조방법의 필름개발공정에 따른 원고의 네가티브 필름을 보인 평면도.
제9a 및 b도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미장강판 제조방법의 필름개발공정에 따른 원고의 포지티브 필름을 보인 평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미장강판 제조방법의 필름개발공정에 따른 합성필름을 보인 평면도.
제11a 및 b도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미장강판 제조방법의 필름개발공정에 따른 에칭이 가능한 네가티브 리스필름을 보인 평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미장강판 제조방법의 실크제판공정에 사용되는 망틀의 평면도.
제1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미장강판 제조방법의 실크제판공정에 따른 감광액 도포 상태를 보인 단면도.
제1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미장강판 제조방법의 실크제판공정에 따른 노광과정을 보인 스크린 제판용 밀착기의 개략도.
제15a 및 b도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미장강판 제조방법의 실크제판공정에 따른 실크제판을 보인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소재 12,13,14 : 부식면
15 : 평면 21,22 : 원고
31,32 : 네가티브 필름 41,42 : 포지티브 필름
50 : 합성필름 61,62 : 네가티브 리스필름
71 : 망틀 71' : 스크린판
72 : 망사 73 : 감광액
81,82 : 1,2차 에칭용 망틀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용 미장강판(美裝鋼板)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테인레스 스틸 소재에 적어도 2차 이상으로 에칭을 실시하여 스테인레스 스틸 소재에 형성되는 무늬의 형태를 입체감이 나도록 함으로써 의장품으로서의 가치를 충분히 발휘하게 한 엘리베이터용 미장강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엘리베이터용 의장품으로는 도장, 화장강판, 세인드몰입, 실크스크린, 에칭(ETCHING) 등의 기술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 특히 에칭 기술이 고부가가치의 의장품에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에칭 기술은 최근까지도 엘리베이터의 의장분야 뿐만 아니라 여러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는 기술로서, 통상적으로 1차부식으로만 진행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1차부식으로만 진행되는 엘리베이터용 미장강판 제조방법의 전형적인 실시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미장강판 제조방법은, 원재료를 작업 지시에 의하여 절단하는 샤링단계와, 원재료의 표면에 스크래치, 찍힘, 그리고 이물질의 부착유무를 확인하고 헤어라인(HAIR LINE)일 경우 방향을 확인하는 검사단계와, 에칭망틀을 준비하는 인쇄단계와, 스크래치에 주의하면서 12시간이상 원재료를 자연통풍시키는 건조단계와, 잉크, OPP Tape(오피피 테이프 ; 스테인레스 스틸의 부식시, 부식부위 이외의 판넬부에 부식이 되지 않도록 접착되는 테이프), 세필로인쇄파열부분을 수정하는 수정마스킹단계와, 스크래치에 주의하면서 1시간 이상 건조시키는 건조단계와, 염화제2철의 농도를 측정하여, 약 20말(360리터)의 FeCl3(이하, '염화제2철'이라 함)을 부식기에 넣은 다음, 염화제2철의 온도를 30∼35℃로 유지하여 1차 손부식으로 막을 제거하는 에칭단계와, 부식된 판넬을 물탱크에 넣는 수세단계와, 가성소다와 물을 혼합비율 1 : 25(4㎏ : 100㎏)로 혼합하는 탈막단계와, 인쇄가 제거된 판넬을 물탱크에 넣는 수세단계와, 초산과 물을 1 : 100의 비율로 혼합하여 판넬스폰지로 밀어 넣는 중화단계와, 판넬을 정화수로 깨끗하게 닦아주는 수세단계와, 판넬을 20∼30분 동안 자연 건조시키는 건조단계와, 다이얼 게이지로부터 부식깊이가 30㎛-50㎛인지를 확인하는 검사 및 포장단계의 순서로 진행된다.
상기 인쇄단계에서 에칭망틀의 퍼짐 및 핀홀의 없음을 확인하여야 하며, 또한 인쇄기준선의 하, 좌, 우가 일치되는가를 확인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에칭단계에서 1차로 60∼70매의 속도는 220으로 약 50초 동안 진행되며, 2차로 70∼100매의 속도는 200으로 1분 10초 동안 진행되고, 3차로 100∼130매는 1분 30초 동안 진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엘리베이터용 미장강판의 제조방법으로 제작된 미장강판의 일실시형태가 제2도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중 1은 에칭이 안된 STS(좀 더 정확하게 표면하면, STS 304로서 에칭하는 원재료의 스테인레스 스틸을 의미하며, 이하 '스테인레스 스틸'이라 함) 소재의 평면을 나타낸 것이고, 2는 에칭에 의한 부식면을 보인 것으로, 상기 에칭에 의한 부식면(2)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1)으로부터 30∼50㎛ 정도 깊이를 갖게 된다.
상기 부식면(2)에 의하여 표현되는 무늬의 형태는 단일 형상의 무늬, 사방연속무늬, 또는 불규칙 무늬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미장강판 에칭기술에 있어서는, 1차에칭에 의하여 단일 형상의 무늬, 사방연속무늬, 또는 불규칙 무늬 등, 단순 형태의 무늬만 형성함으로써 외관이 미려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심미감을 느끼지 못하여 의장품의 효과를 극대화시키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용 미장강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테인레스 스틸 소재에 다양한 형태의 무늬를 입체감이 생기게 형성하므로써 의장품의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용 미장강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고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엘리베이터용 미장강판의 일실시례로서, 소재의 평면에 적어도 2차 이상의 에칭에 의한 부식면을 단차지도록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미장강판 및 그 다른 실시례로서, 무늬의 주체는 에칭을 하지 않은 평면으로 하고, 무늬의 종체는 적어도 1차 이상의 에칭에 의한 부식면으로 하며, 무늬의 배경은 마지막 차수의 에칭에 의한 부식면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미장강판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엘리베이터용 미장강판의 제조방법으로서, 도안대지상에 적어도 2가지 이상의 무늬를 갖도록 원고를 디자인 하는 패턴 디자인 공정과, 상기 원고를 이용하여 적어도 2개 이상의 네가티브 리스필름을 제조하는 필름개발공정과, 상기 네가티브 리스필름을 이용하여 적어도 2개 이상의 스크린판을 제조하는 실크제판공정과, 상기 스크린판을 이용하여 소재의 평면에 적어도 2차 이상의 에칭에 의한 부식면을 단차지도록 형성하는 에칭개발공정의 순으로 진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미장강판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미장강판 및 그 제조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미장강판 에칭기술은, 스테인레스 스틸소재에 적어도 2차 이상으로 에칭을 실시하여 스테인레스 스틸 소재에 형성되는 무늬의 형태를 입체감이 나도록 함으로써 의장품으로서의 가치를 충분히 발휘하도록 한 것이다.
첨부된 도면, 제4a 및 b도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미장강판의 실시례를 보인 것으로, (a)는 2차 에칭에 의한 단면도를, (b)는 3차 에칭에 의한 단면도를 각각 보인 것이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미장강판은, 소재(11)에 적어도 2차 이상의 에칭에 의한 다단(多段)의 부식면(12), (13), 또는 (12)(13)(14)을 단차지게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부식면(12)(13)이 제4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2단으로 단차진 경우에는 그 깊이(a)(b)를 각각 25∼40㎛와, 100∼15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식면(12)(13)(14)이 제4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3단으로 단차진 경우에는 그 깊이(c)(d)(e)를 20∼30㎛와, 50∼60㎛와, 100∼15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좋기로는 25㎛와, 50∼60㎛와, 150㎛이다.
본 발명은 소재(11)에 2차, 또는 3차 에칭을 하는 경우에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4차 이상의 에칭에 의하여 다단의 부식면을 형성하여도 무방하나, 소재(11)의 두께와, 에칭에 의한 부식깊이등을 고려하면, 2차, 또는 3차로 에칭을 실시하여, 2단 또는 3단의 부식면(12)(13), (12)(13)(14)을 형성하는 것이 가장 좋다.
제4도는 미설명 부호 15는 소재(11)의 평면을 보인 것이다.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하여 2차 에칭으로 제작한 엘리베이터용 미장강판의 일실시례를 보인 것으로, 도면중 M은 소재(11)에서 가장 부각시키고자 하는 무늬의 주체(主體), 예를 들어, 가지를 포함한 나무로서, 제4a도에 도시한 에칭을 하지 않은 평면(15)으로 가장 돌출된 면이다.
또한, S는 무늬의 주체(M) 다음으로 부각시키고자 하는 무늬의 종체(從體)로서, 예를 들어, 나뭇잎의 테두리 및 생선가시 모양의 나뭇잎 줄기로, 제4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차 에칭에 의하여 무늬의 주체(M) 다음으로 돌출된 부식면(12)이며, B는 무늬의 배경으로서 제4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2차 에칭에 의한 부식면(3)으로 가장 깊은 부분이다.
이와 같이, 소재(11)에 형성하고자 하는 무늬를 크게, 무늬의 주체(M)와, 무늬의 종체(S)와, 그리고 배경(B)으로 3분화하여 그 전체무늬를 소재(11)의 평면(15)과, 2단에 걸친 부식면(12)(13)으로 표현하도록 함으로써 무늬의 입체감을 느낄수 있는 미려한 엘리베이터용 미장강판을 얻을 수 있다.
한편, 3차 에칭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미장강판의 경우에는, 별도로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무늬의 주체(M)와, 2단으로 표현되는 무늬의 종체(S)와, 그리고 배경(B)으로 4분화하여 그 전체 무늬를 제4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재(11)의 평면(15)과, 3단에 걸친 부식면(12)(13)(14)으로 표현하도록 함으로써 무늬의 입체감을 느낄수 있는 보다 미려한 엘리베이터용 미장강판을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미장강판 제조방법을 2차 에칭을 실시하는 경우, 즉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나무 무늬를 얻기 위한 경우를 들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미장강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미장강판 제조방법은, 1단계로 패턴 디자인(PATTERN DESIGN) 공정과, 2단계로 필름(FILM) 개발공정과, 3단계로 실크(SILK)제판공정과, 그리고 4단계로 에칭(ETCHING) 개발공정의 순으로 진행된다.
상기 패턴 디자인 공정에서는 제5도의 확대도와 같이, 스테인레스 스틸 소재(11)에 무늬의 종체(S)로 표현되는 나뭇잎의 테두리 및 생선가시 모양의 나뭇잎 줄기 형상이 전면에 걸쳐 연속적으로 형성된 원고(21)(제7a도)와,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테인레스 스틸 소재(11)에서 가장 부각시키고자 하는 무늬의 주체(M)로 표현되는 가지를 포함한 나무 형상의 원고(22)(제7b도)를 준비한다.
상기 원고(21)(22)는 도안대지상의 최초의 원고상태이다.
다음의 필름개발공정은 원고(21)(22)를 필름화하는 공정이다.
즉, 최초의 패턴 디자인된 원고(21)(22)를 이용하여 통상적인 원고 촬영기재인 디자인 카메라로 촬영을 하게 되면, 제8a 및 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네가티브(NEGATIVE ; 음화) 필름(31)(32)을 얻는다.
이와 같은 네가티브 필름(21)(22)으로는 필름 합성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그 네가티브 필름(31)(32)을 다시 촬영하여 최초 패턴 디자인된 원고(21)(22)와 동일한 형상으로 제9a 및 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지티브(POSITIVE ; 양화) 필름(41)(42)을 얻는다.
이와 같이, 포지티브 필름(41)(42)이 제작되면, 그 포지티브 필름(41)(42)을 합성하여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합성 필름(50)을 얻는다.
이후, 상기 합성 필름(50)을 다시 한번 밀착 촬영하면, 제11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차 에칭할 수 있는 네가티브 리스 필름(61)이 완성되며, 1차 에칭할 수 있는 네가티브 필름(61)이 완성되면, 제11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2차 에칭 필름인 나무 무늬를 네가티브 필름(62)으로 촬영 완성하게 된다.
상기 네가티브 리스필름(61)(62)은 에칭용 필름으로서, 통상 리스필름이라고 하며, 그 두께는 0.1∼0.2μ㎜이다.
또한, 다음의 실크제판공정은 다시 망틀제작공정과, 망사(紗) 전처리공정과, 노광(露光 ; EXPOSURE)공정과, 현상(現狀 ; DEVELOPING)공정과, 그리고 건조공정의 순으로 진행된다.
상기 망틀제작공정은 제12도와 같은 망틀(71)을 제작하기 위한 공정이다.
상기 망틀(71)은 알루미늄 재질로서 망사('스키린사'라고도 함)(72)가 메어져 있다.
상기 망사 전처리공정(감광액 도포공정 포함)에서는 유제 10㏄에 중크롬산 암몬(분말) 0.2g을 투여 혼합용해되면(이를 '감광액'이라 함), 바겟트(bucket ; 주로 스테인레스제품)에 담아 망사(72)가 매어져 있는 망틀(71)을 수직으로 15도 경사로 세워 감광액을 균일한 압력으로 훑으며 칠한다. 칠이 끝나면 2∼3회 반복 실시한다.
따라서,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망사(72)에 균일한 두께로 감광액(73)이 도포된다. 이와 같이, 망사(72)에 균일한 두께로 감광액(73)이 도포된 망틀(71)을 이하, 스트린판(71')이라 한다.
상기 감광액 도포작업은 빛이 들어오지 않는 암실(暗室)에서 실시한다.
상기 감광액(73)은 무늬를 망사(72)에 표현하기 위하여 망사(72) 전체에 도포하는 것으로, 노광(빛)을 주면 망사(72)에는 감광액(73)이 묻어 있는 부분과, 탈막된 부분(에칭되는 부위)이 생기게 하는 약품이다.
상기 노광공정에서는 스크린의 감광면과 네가티브 리스필름(61)(62)의 막면을 밀착시켜 제1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적인 스크린 제판용 밀착기를 이용하여 진공밀착한 후, 노광시킨다.
도면중 74는 형광등, 75는 유리판, 76는 흑지를 각각 보인 것이다. 상기 현상공정에서는 조광이 완료된 스크린판(71')을 즉시 물에 담가 3∼5분 경과하여 수세하면, 포지티브부분은 광선을 받지 못하여 용해제거되고, 스크린판(71')의 스크린사(72)에는 구멍이 뚫리게 된다.
또한, 다른 부분은 빛의 작용으로 경화되어 스크린사(72)에 감광액(73)이 굳어 있게 된다.
상기 건조공정에서는 열풍건조로를 이용하여 수분을 제거함으로써 제15a 및 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차 에칭용 망틀(81)과, 2차 에칭용 망틀(82)이 제작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검은 부분은 감광액(73)이 도포된 부분이고, 햐얀 부분은 구멍을 보인 것이다.
상기 1차 에칭용 망틀(81)과, 2차 에칭용 망틀(82)을 실크제판이라 한다.
이와 같이 실크제판공정이 완료되면, 마지막 4단계로 에칭개발공정의 순으로 진행되는 바, 그 에칭개발공정은 판넬(PANEL)탈지 및 세척공정과, 1차 에칭을 위한 보호막 도포공정과, 건조 및 열처리공정과, 1차 에칭공정과, 1차 에칭후 처리공정과, 2차 에칭을 위한 준비공정과, 건조 및 열처리공정과, 2차 에칭공정과, 2차 에칭후 처리공정과, 건조 및 열처리 공정과, 검사 및 보호 테이프 접착공정의 순으로 진행된다.
먼저, 판넬탈지 및 세척공정에서는 정면기를 통하여 소재(이하, '판넬'이라 칭함)에 있는 유분 및 스크라치를 제거하고, 에세톤 및 톨루엔으로 후처리를 실시한다.
상기 1차 에칭을 위한 보호막 도포공정에서는 1차 에칭용 망틀(81)을 준비한 다음, 그 1차 에칭용 망틀(81)에 아크릴 우레탄계 수지 잉크를 판넬 10㎛ 이상 실크스크린 한다.
상기 아크릴 우레탄계 수지 잉크는 '실크스크린 잉크'라고도 하며, STS 판넬에 도포하여 판넬에 도포된 부위를 부식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건조 및 열처리공정에서는 1차 에칭용 망틀(81)에 아크릴 우레탄계 수지 잉크를 판넬에 10㎛ 이상 실크스크린한 판넬을 건조로에 통과시킨다. 이때의 온도는 섭씨 90도∼120도로 유지하며, 그 시간은 30분정도로 한다.
상기 1차 에칭공정에서는 염화제2철에 아크릴 우레탄계 수지 잉크가 도포된 판넬을 통과시킨다. 이때 염화제2철 산도는 50%정도 유지한다. 시간은 에칭깊이가 30㎛를 기준으로 할 때, 40∼50초 정도로 하며, 온도는 40∼50℃로 유지한다.
이때, 부식기의 압력과 데이타에 따라서 소요 시간의 변동이 있을 수 있다.
상기 1차 에칭후 처리공정에서는 염화제2철을 통과한 판넬을 물로 세척한다. 알칼리 90%에 온도는 섭씨 95℃ 이상을 유지하여 통과한 다음, 물세척을 하는 탈막공정을 실시한다. 이후, 질산 40%를 통과하여 물세척한 다음, 건조로를 통과하는 부동태처리를 실시한다.
상기 2차 에칭을 위한 준비공정에서는 2차 에칭용 망틀(82)을 준비한 다음, 그 1차 에칭용 망틀(81)에 아크릴 우레탄계 수지 잉크를 판넬에 10㎛ 이상 실크스크린 한다.
상기 건조 및 열처리공정은 2차 에칭용 망틀(82)에 아크릴 우레탄계 수지 잉크를 판넬에 10㎛ 이상 실크스크린한 판넬을 건조로에 통과시킨다. 이때의 온도는 섭씨 90∼120도로 유지하며, 그 시간은 30분 정도로 한다.
상기 2차 에칭공정은 염화제2철에 아크릴 우레탄계 수지 잉크가 도포된 판넬을 통과시킨다. 이때의 염화제2철 산도는 50%정도 유지한다. 시간은 에칭깊이가 150㎛를 기준으로 할때, 3∼4분정도로 하며, 온도는 40∼50℃로 유지한다.
이때, 무식기의 압력과 데이타에 따라서 소요 시간의 변동이 있을 수 있다.
상기 2차 에칭후 처리공정은 염화제2철을 통과한 판넬을 물로 세척한다. 알칼리 90%에 온도는 섭씨 95℃ 이상을 유지하여 통과한 다음, 물세척을 하는 탈막공정을 실시한다. 이후, 질산 40%를 통과하여 물세척 한 다음, 건조로를 통과하는 부동태처리를 실시한다. 질산에 장시간 보관하여 알칼리성분을 완전히 제거한다.
상기 건조 및 열처리공정에서는 수분을 건조하는 과정으로서 열풍건조기를 통과시킨다.
상기 검사 및 보호 테이프 접착공정에서는 제품의 품질을 검사하여 판넬을 보호 테이프로 접착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2차 에칭공정에 있어서는, 1차 에칭에 의한 나무의 위치와 2차 에칭에 의한 나무의 위치를 상, 하 정확하게 맞추어야 한다.
이상에서는 2차 에칭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미장강판 제조방법을 그 실시례로 하였으나, 3차 에칭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미장강판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2차 건조 및 열처리공정과, 검사 및 보호 테이프 접착공정의 사이에 3차 에칭을 위한 준비공정과, 3차 건조 및 열처리 공정과, 3차 에칭공정과, 3차 에칭후 처리공정이 추가되는 바, 그 일련의 공정은 2차 에칭에 의한 제조방법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례에 있어서는 소재(11)에 형성되는 무늬의 형태를 나무와 나뭇잎으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풍경, 정물, 합성무늬의 정밀한 무늬에 적용할 경우, 시각적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미장강판 및 그 제조방법은, 소재의 평면에 적어도 2차 이상의 에칭에 의한 부식면을 단차지도록 형성하여 소재에 형성되는 무늬의 형태를 입체감이 나도록 함으로써 보는 외관이 미려하여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심미감을 느낄수 있으며, 따라서 의장품으로서의 가치를 충분히 발휘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소재의 평면에 적어도 2차 이상의 에칭에 의한 부식면을 단차지도록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미장강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식면이 2단으로 단차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미장강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부식면의 깊이가 25∼40㎛이고, 2차 부식면의 깊이가 100∼1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미장강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식면이 3단으로 단차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미장강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부식면의 깊이가 20∼30㎛이고, 2차 부식면의 깊이가 50∼60㎛이며, 3차 부식면의 깊이가 100∼1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미장강판.
  6. 도안대지상에 적어도 2가지 이상의 무늬를 갖도록 원고를 디자인 하는 패턴 디자인 공정과, 상기 원고를 이용하여 적어도 2개 이상의 네가티브 리스필름을 제조하는 필름 개발공정과, 상기 네가티브 리스필름을 이용하여 적어도 2개 이상의 스크린판을 제조하는 실크제판공정과, 상기 스크린판을 이용하여 소재의 평면에 적어도 2차 이상의 에칭공정으로 2단이상의 부식면을 단차지도록 형성하는 에칭개발공정의 순으로 진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미장강판.
  7. 무늬의 주체는 에칭을 하지 않은 평면으로 하고, 무늬의 종체는 적어도 1차 이상의 에칭에 의한 부식면으로 하며, 무늬의 배경은 마지막 차수의 에칭에 의한 부식면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미장강판.
KR1019930014917A 1993-07-31 1993-07-31 엘리베이터용 미장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9500146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4917A KR950014638B1 (ko) 1993-07-31 1993-07-31 엘리베이터용 미장강판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4917A KR950014638B1 (ko) 1993-07-31 1993-07-31 엘리베이터용 미장강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3476A KR950003476A (ko) 1995-02-17
KR950014638B1 true KR950014638B1 (ko) 1995-12-11

Family

ID=19360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4917A KR950014638B1 (ko) 1993-07-31 1993-07-31 엘리베이터용 미장강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146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3517B1 (ko) * 2011-02-23 2013-04-11 한성유엘산업 주식회사 무늬가 형성된 패널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3517B1 (ko) * 2011-02-23 2013-04-11 한성유엘산업 주식회사 무늬가 형성된 패널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3476A (ko) 1995-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15194A (en) Method for forming three-dimensional objects from sheet metal
CN107663030A (zh) 一种含蚀刻纹路图案的玻璃板的制备方法及玻璃板
KR20100133592A (ko) 금속판에 입체 패턴을 형성한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950014638B1 (ko) 엘리베이터용 미장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S57173806A (en) Manufacture of color filter
CN87101014A (zh) 金属蚀刻版画
KR20030070640A (ko) 금속문양판의 제조방법
KR0125477B1 (ko) 착색 및 입체표면을 갖는 엠보싱 스테인레스강판과 그 제조방법
CN1200412A (zh) 光化学蚀刻制做金属照片技术
CA1122469A (en) Method of engraving workpiece surfaces by etching
KR0125473B1 (ko) 착색 및 입체표면을 갖는 스테인레스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0125475B1 (ko) 착색 및 입체표면을 갖는 스테인레스 강판과 그 제조방법
EP0047627A1 (en) Method of applying an image to a surface and product thereof
KR100524186B1 (ko) 금속사진 제작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작된 금속사진
KR950009322A (ko) 기능성 도막을 형성하는 방법
KR0125476B1 (ko) 착색 및 입체표면을 갖는 스테인레스 강판과 그 제조방법
SU1215081A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 фотошаблонов
RU1834868C (ru) Декоративное стекло
KR0146971B1 (ko) 공업용 "자"의 도장 및 표면처리방법
KR860000169B1 (ko) 후막(厚膜)스크린 제판의 두께 성형 방법
Chamberlain Strip mask process
JP3274887B2 (ja) 化粧板用賦形型の製造に使用するマスク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H0421790A (ja) 外装部品の食刻加工方法
JPS5734506A (en) Production of color filter
KR20070097882A (ko) 알루미늄 질감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 인레이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0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