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4528B1 - 석유연소기의 연료공급구조 - Google Patents

석유연소기의 연료공급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4528B1
KR950014528B1 KR1019900011552A KR900011552A KR950014528B1 KR 950014528 B1 KR950014528 B1 KR 950014528B1 KR 1019900011552 A KR1019900011552 A KR 1019900011552A KR 900011552 A KR900011552 A KR 900011552A KR 950014528 B1 KR950014528 B1 KR 9500145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pipe
pump
burner
li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1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6665A (ko
Inventor
켄지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도요또미
가쯔마다 유끼하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89010974U external-priority patent/JP2519534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255426A external-priority patent/JPH03117816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도요또미, 가쯔마다 유끼하루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도요또미
Publication of KR910006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6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4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4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5/00Feeding or distributing other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5/02Liquid fu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석유연소기의 연료공급구조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석유연소기의 연료공급구조의 일실시예를 표시한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에 표시한 연료공급구조의 주요부를 표시한 부분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관한 석유연소기의 연료공급구조의 다른실시예를 표시한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연료공급구조의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석유연소기 12 : 기름탱크
14 : 버어너 16 : 연소통구조체
18 : 점화히이터 20 : 관통구멍
22 : 송풍로 24 : 송풍기
26 : 연료공급구조 28 : 연료파이프
29 : 제1의 연료파이프부 30 : 연료펌프
31 : 제2의 연료파이프부 31a : 앞절반부분
31b : 뒷절반부분 32 : 연통수단
34 : 리터언 펌프 36 : 리터언 파이프
38 : 접속점 40 : 연결파이프
42 : 바이패스 파이프 44 : 접속점
46,48 : 접속점 50 : 제어기 전원회로
52 : 점화기구 54 : 소화기구
56 : 리터언펌프의 구동기구
본 발명의 석유연소기의 연료공급구조, 특히 연료펌프로 연료를 강제적으로 버어너에 공급하는 석유연소기의 연료공급구조에 관한 것이다.
연료펌프를 사용해서 연료를 버어너에 강제적으로 공급하는 석유연소기에 있어서는, 연료펌프에는 역류방지능력이 있으므로, 소화조작에 의해서 연료펌프가 정지되면, 석유연소기는 연료펌프내에 연료를 채운재 소화된다. 이 때문에 버어너의 잔열에 의해서 연료파이프가 가열되면, 연료가 체적팽창하여, 소화후에 버어너에 연료가 적하해서 열분해를 일으켜, 악취를 발생시킨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또, 연료파이프가 상기한바와같이 가열되면, 연료가 연료파이프내에서 기화하는 일이 있어, 이 경우, 연료는 기화온도가 낮은 성분부터 순서내로 기화하므로, 연료파이프의 선단부에 타르(tar)가 축적되기 쉽고, 연료파이프의 선단부가 타르로 폐색된다고 하는 불편도 발생하고 있었다.
이 때문에 연료파이프로부터 버어너에 이르는 연료파이프의 부분에 드레인파이프를 접속하고, 소화조작에 의해 연료펌프가 정지하였을때에 전자밸브를 열고, 연료파이프내의 연료를 드레인파이프에 의해서 기름탱크로 되돌리는 구조가 제안되고 있다. 또, 연료파이프에 저유실을 배치하고, 소화조작시에 연료파이프의 연료를 저유실로 유입시키므로서, 버어너 근처의 연료파이프 부분에 연료가 남지 않도록 한 구조도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드레인파이프를 개재해서 연료를 기름탱크로 되돌리는 구조는, 연료를 낙차압에 의해서 되돌리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기름탱크를 버어너보다도 낮은 위치에 배치하는 일이 필요하며, 따라서 구조가 복잡하게 되는 동시에 대형화된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또, 유로(流路)에 에어록을 일으켰을때에는, 연료의 흐름이 정지되고, 기대한 효과를 얻을 수 없다고 하는 결점도 발생하기 쉽다. 한편, 저유실을 사용하는 구조는 회수할 수 있는 연료가 적고, 확실성이 뒤떨어진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상기 과제를 제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화소작때의 악취의 발생 및 연료파이프의 폐색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소화시에 연료파이프내의 연료를 기름탱크로 되돌릴 수 있는 석유연소기의 연료공급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점화조작시의 에어록현상의 발생을 유효하게 방지해서 점화불량 및 점화후의 이상소염의 염려를 없앨 수 있는 석유연소기의 연료공급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석유연소기가 처음 사용될 때의 최초의 연소조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도 있는 석유연소기의 연료공급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연료공급구조는 기름탱크와 버어너를 구비한 석유연소기에 적용된다. 이 연료공급구조는 기름탱크와 버어너를 접속하는 연료파이프와, 이 연료파이프의 도중에 배치된 연료펌프와, 토출쪽이 기름탱크에 연통된 펌프와, 연료펌프의 토출쪽에 위치하는 연료파이프의 부분과 상기 리터엄펌프의 흡입쪽과의 사이에 배치된 연통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리터엄펌프는 소화조작때에 상기 연료펌프의 정지 대신에 작동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구성에 관한 것이다.
상기 구성에 관한 본 발명의 연료공급구조에 있어서는, 리터언펌프는 소화조작시에 작동되며, 이에 의해 연료파이프의 적어도 버어너부근부분의 연료는 연통수단 및 리터엄펌프를 개재해서 기름탱크를 향해서 이동하게 된다.
리터엄펌프는 적어도 석유연소기의 처음 사용시의 첫회의 점화조작시에 작동시킬 수도 있어, 이에 의해 리터엄파이프로부터 연료파이프에 이르는 부분의 공기가 점화 조작시에 연료파이프에 흐르지 않도록 하고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표시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나, 동일 및 대응하는 부재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설명되어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연료공급구조의 일실시예가 적용되어 있는 석유연소기를 표시한다. 본 발명의 연료공급구조를 제외하고, 석유연소기 자체는 종래의 태양으로 구성할 수 있다. 즉, 제1도에 있어서, 전체가 참조번호(10)으로 표시되어 있는 석유연소기는 소위 석유난방기의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석유(Kerosine)와 같은 액체연료를 저장하는 기름탱크(12)와, 연료의 기화와 점화를 행하는 버어너(14)와, 점화된 연료의 연소를 행하는 연소통구조체(16)을 구비하고 있다. 버어너(14)내에는 후술과 같이 해서 이 버어너에 공급되는 연료의 기화와 점화를 행하는 점화히이터(18)이 배치되어 있다. 버어너(14)에는 다수의 관통구멍(20)이 형성되어 있으며, 버어너(14)는 석유연소기의 하부에 배치된 송풍로(22)의 일단부와 상기 관통구멍(20)을 개재해서 연통되어 있다. 송풍로(22)의 타단부에는 송풍기(24)가 배치되고, 송풍로(22)는 상기 송풍기(24)를 개재해서 대기와 연통되어 있다. 이리하여 버어너(14)에는 송풍기(24)로부터 송풍로(22)와 관통구멍(20)을 개재해서 연소공기가 공급된다.
본 실시예의 연료공급구조는 제1도에 있어서, 전체가 참조번호(26)으로 표시되어 있다. 제1도에 표시한 실시예의 연료공급구조(26)은 연소용의 연료를 기름탱크(12)로부터 버어너(14)에 공급하는 연료파이프(28)을 구비하고 있다. 연료파이프(28)에는 도중에 연료펌프(30)이 배치되며, 이에 의해 연료파이프(28)은 제2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기름탱크에 연통하는 제1의 연료파이프부(29)와, 버어너(14)에 연통하는 제2의 연료파이프부(31)로 분할되고, 쌍방의 연료파이프부는 연료펌프(30)을 개재해서 연통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연료공급구조는 또, 일단부 즉 흡입쪽이 연통수단(32)를 개재해서 연료펌프(30)에 연통되고, 타단부 즉 토출쪽이 리터언파이프(36)을 개재해서 기름탱크(12)에 연통된 리터언펌프(34)를 구비하고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리터언파이프(36)은 직접 기름탱크에 연통되어 있으나, 연료펌프(30)과 기름탱크(12)를 접속하는 제1의 연료파이프부(29)에 접속해서, 이 연료파이프(29)를 개재해서 기름탱크(12)와 연통시켜도 된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연통수단(32)는 제2의 연료파이프부(31)에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된 연료공급구조를 구비한 석유연소기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송풍기(24)에 의해서 송풍로(22) 및 관통구멍(20)을 개재해서 연소공기를 버어너(14)에 보내고, 점화히이터(18)에 통전해서 버어너(14)를 가열하고, 이 버어너(14)가 연료의 기화온도 이상으로 되었을때에 연료펌프(30)을 작동시키면, 기름탱크(12)의 연료는 연료파이프(28)을 개재해서 버어너(l4)에 송급되어, 점화히이터(18)에 의해 점화되고, 연소를 개시한다.
한편, 석유연소기의 소화를 행할 때에는 소화조작에 의해서 연료펌프(30)이 정지하는 동시에, 리터언펌프(34)가 작동한다. 이 때문에, 연료펌프(30)과 버어너(14)를 접속하는 연료파이프(28)의 제2의 연료파이프부(31)내의 연료는 리터언엄프(34)에 의해서 흡인되어, 연통수단(32), 리터언펌프(34) 및 리터언파이프(36)을 개재해서 기름탱크(12)내에 강제적으로 보내지는 동시에, 연료파이프(28), 특히 제2의 연료파이프(31)에는 그 선단부를 개재해서 버어너쪽으로부터 공기가 흡인된다. 이것은, 리터언펌프(34)를 단시간 작동시키므로서 유효하게 달성된다. 그러나, 리터언펌프(34)를 소정시간 작동시키면, 연료파이프(28) 내에 흡인되는 공기에 의해서 연료파이프의 벽면에 부착되어 있던 연료도 기름탱크(12)로 되돌려지고, 연료파이프의 선단부는 연료가 전혀없는 상태로 할 수 있다. 이렇계 해서 소화조작후에 연료가 연료파이프로부터 버어너(14)에 흐르거나, 연료파이프의 선단부에 타르가 부착함으로 인한 트러블을 한층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연료공급구조는 소화조작에 의해서 리터언펌프를 구동하여 강제적으로 연료파이프내에 연료를 기름탱크에 되돌리도록 하였으므로, 소화후에 연료가 연료사이프로부터 버어너에 송출되어서 악취를 발생시키거나, 또 연료파이프의 선단부에 타르가 부착해서 파이프를 폐색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수 있다. 또, 본 실시에의 연료공급구조는 상기한 구성을 가지므로 예를들면 버어너에 대한 기름탱크의 장착위치가 규제되는 일도 없으며, 종래의 대부분의 석유연소기에 실시할 수 있다.
제1도에 표시한 실시예의 연료공급구조는 또, 이러한 연료공급구조에 관련해서 다량의 악취발생을 수반하는 불완전연소가스를 배출하는 이상소업(異常消炎)을 초래할 염려가 있는, 점화조작직후에 발생하기 쉬운 에어록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도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리터언펌프(34)와 연료파이프(28)을 접속하는 연통수단(32)를 리더언펌프의 흡입쪽과 접속되게 하는 동시에 연료파이프,좀더 특정하면, 제2의 연료파이프부(31)에 제1의 접속점(38)에서 접속된 연결관(40)과, 리터언펌프의 흡입쪽과 연료파이프(28) 즉 제2의 연료파이프부(31)과의 사이에 연결관(40)과 병렬로 접속된 바이패스파이프(42)로 구성되어 있다. 바이패스파이프(42)는 제2의 접속점(44)에 있어서 연료파이프부(31)에 접속되어있으며, 양접속점(38)과 (44)는 연료파이프(28)(즉 (31))의 다른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바이패스파이프(42)와 연결파이프(40)은 접속점(46)에 있어서 상호 연결되고, 리터언펌프(34)에 공통접속되어 있다. 연료파이프(28)의 양접속점(38)과 (44)사이의 부분의 거리 즉 길이는 양접속점(38)과 (44)를 연락하는 연료파이프(40)와 바이패스파이프(42)를 합친 거리 즉 길이보다도 짧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터언펌프(34)의 흡입 쪽과 연료파이프(28)을 접속하는 연통수단(32)를 연결파이 프(40) 만으로 구성하였을경우에는, 악취의 발생 및 연료파이프의 폐색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으나,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는것을 알았다.
즉, 점화조작에 의해서 연료펌프가 작동할 때에 접속점(38)로부터 리터언펌프(34)에 이르는 연료파이프(40)은 공기로 채워진 상태에 있으며, 이 공기는 연료펌프(30)을 작동시켜도 연료파이프(28)에 유출하는 일은 없다. 연료펌프(30)을 작동시켰을 때의 연료펌프의 토출압은 버어너에 공급되는 연료로 채워진 연료파이프(28)에 작용할 뿐만 아니라, 공기로 채워진 연결관(40)에도 작용하므로, 연료펌프의 토출압이 순간적으로라도 약해지는 상태가 일어나면 연료파이프내의 공기의 압력이 토출압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강하게 되고, 연료와 공기와의 경계는 접속점(38)보다도 연료파이프(28)쪽으로 이동해서, 에어록현상을 야기하게 된다. 에어록현상은 점화조작직후에 발생하기 쉽고,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면 버어너에 송급되는 연료의 유량이 감소하여, 이상소염을 일으켜서 다량의 악취를 수반하는 불완전 연소가스를 배출한다고 하는 트러블을 발생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연통수단(32)를 연료파이프(40) 뿐만 아니고, 이 연료파이프와 병렬로 접속된 바이패스파이프(42)를 배치하여 소화조작시에 연료파이프의 연료를 리터언펌프(34)가 연료파이프(40)과 바이패스파이프(42)와의 쌍방을 개제해서 흡인하여 기름탱크(12)로 되돌리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연료펌프의 작동시의 연료의 유로는 양접속점 사이의 연료파이프(28)에 의한 유로와, 양접속점 사이에서 연락하는 연료파이프(40) 및 바이패스파이프(42)로 이루어진 유로와의 2개로 형성되게 된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하면, 상기한 바와같이 공기가 갇히게 되는 부분은 연료파이프(40)과 바이패스파이프(42)와의 접속점(46)에서부더 리터언펌프(34)까지의 관로(管路)만으로 되어 점화시에는 연료파이프(28)뿐만 아니라, 연료파이프(40)과 바이패스파이프(42)도 연료로 채워진 상태로 할 수 있다. 또, 연료파이프와 바이패스파이프로 이루어진 연통수단(32)내에 에어록현상이 가령 발생하였다해도, 연료펌프(30)에 의해 연료가 송급되는 관로는 연료파이프(28)만으로 충분하므로, 버어너에의 연료공급은 안전하게 행하여져 버어너가 이상소염하는 트러블은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같이 연료파이프와 연결파이프 및 바이패스파이프(42)와의 접속짐(38)과(44)사이의 연료파이프(28)의 거리 즉 길이는, 양접속점(38)과 (44)를 연락하는 연료파이프(40)과 바이패스파이프(42)를 합친거리 즉 길이보다도 짧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하므로서, 연료펌프가 작동하였을때에 신속하게 연료파이프안을 연료로 채우고, 연료파이프안에 공기가 갇히게 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3도 및 제4도는 본 발명에 관한 연료공급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먼저 실시예와 같이 소화후에 연료가 연료파이프로부터 버어너에 송출되어서 악취를 발생시키거나, 또 연료파이프의 선단부에 타르가 부착해서 파이프를 폐색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또 점화조작을 원활하게 할 수도 있도록 하고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연료공급구조(26)은 제1도에 표시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연소용의 연료를 기름탱크(12)로부터 버어너(14)에 공급하는 연료파이프(28)을 구비하고 있다. 연료파이프(28)에는 도중에 연료펌프(30)이 배치되고, 이에 의해 연료파이프(28)은 기름탱크에 연통하는 제1의 연료파이프부(29)와, 버어너(14)에 연통하는 제2의 연료파이프부(31) 나누어지고, 쌍방의 연료파이프부는 연료펌프(30)을 개재해서 연통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연료공급구조는 또, 일단부 즉 흡입쪽이 연통수단(32)를 개재해서 연료펌프(30)의 제2의 연료파이프(31)에 연통되고, 타단부 즉 토출쪽이 리터언파이프(36)을 개제해서 기름탱크(12)에 연통된 리터언펌프(34)를 구비하고 있다. 이리하여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연통수단(32), 리터언펌프(34) 및 리터언파이프(36)에 의해 리터언시스템이 구성되어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연통수단(32)는 참조번호(48)로 표시한접속점에 있어서, 제2의 연료파이프부(31)의 도중에 접속되어 있고, 이에 의해 제2의 연료파이프부(31)은 연료펌프(30)과 연통수단(32)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앞절반부분(31a)와 연통수단(32)로부터 버어너(14)에 뻗는 뒷절반부분(31b)로 나누어져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연통수단(32)는 연료파이프(40)로 구성할 수있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작동회로기구를 제4도에 관해서 설명한다.
참조번호(50)은 제어기의 전원회로이며, 상용전원에 접속할 수 이다. 제어기 전원회로(50)에는 종래 사용되고 있는 점화단추(도시생략) 등으로부터의 신호에 의해서 작동하는 점화기구(52) 및 소화단추 등으로부터의 신호에 의해서 작동하는 소화기구(54)가 접속되어 있으며, 이들 기구는 제어기 전원회로(50)이 온상태로 되면, 점화단추나 소화단추가 눌러졌는지 아닌지를 상시 감시하고, 눌러졌을 때에는 각각 작동을 개시하도록 되어 있다. 점화기구(52) 및 소화기구(54)에는 송풍기(24) 및 연료펌프(30)이 접속되어 있는 동시에, 점화기구(52)에는 또 점화히이터(18)이 접속되어 있으며, 점화기구(52) 가 작동하면 연료펌프(30), 송풍기(24)및 점화히이터(18)이 작동하여 버어너(14)는 점화연소를 개시한다.
참조번호(56)은 리터언펌프(34)에 접속된 리터언펌프 구동기구이며, 이 구동기구(56)은 리터언펌프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제어기 전원회로(50)에 접속되는 동시에, 점화기구(52)와 소화기구(54)에도 접속되어 있다. 이리하여 구동기구(56)은 연소를 개시시키는 점화조작에 대응해서 구동기구(56)을 작동시켜, 접속점(48)부근, 연통수단(32) 즉 연결파이프(40), 리터언펌프(34) 및 리터언파이프(36) 내의 공기를 기름탱크(12)에 배출하여 이들을 연료로 채울 수 있다. 이 경우, 리터언펌프(34)가 펄스구동방식이면, 예를들면 점화조작시에 20초 간격으로 5회 리터언펌프(34)를 펄스구동하므로서, 리터언펌프(34)는 주로 1회째는 접속점(48)부근 및 연통수단(32)의 공기를 기름탱크에 보내고, 2회째 이후는 리터언펌프(34) 및 리터언파이프(36)내의 공기를 배출하여 연통수단(32) 즉 연료파이프(40), 리터언펌프(34) 및 리터언파이프(36)을 연료로 채우도록 할 수 있다.
석유연소기의 작동중에 소화조작을 행하기 위하여 소화단추를 누르면 소화기구(54)가 작동하여, 일정한 시이퀀스하에 연료펌프(30) 및 송풍기(24)를 정지해서 버어너(14)를 소화한다. 이때, 소화기구(54)는 리터언펌프(34)의 구동기구(56)을 작동하여 리터언펌프(34)를 구동한다. 이 경우, 리터언펌프가 펄스구동방식인경우에는 예를들면 연료점프(30)의 정지후 1∼2회 리터언펌프(34)를 펄스구동한다. 이에 의해 연료파이프(28) 즉 연료파이프(28)의 제2의 연료파이프(31)의 뒷절반부분(31b)는 버어너(14)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이 뒷절반부분(31b)에 잔류하고 있는 연료를 연통수단(36) 즉 연결파이프(40) 및 리터언파이프(36)을 개재해서 기름탱크(12)에 리더언 시킨다. 이것을 달성하도록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리터언펌프(34)의 구동시간을 극히 짧게 설정하고 있다. 따라서, 리터언펌프(34)가 정지되었을 때에는 접속점(46), 리터언파이프(36) 및 리터언펌프(34)는 연료로 채워져 있으며, 다음회의 소화조작시도 극히 정확한 유량으로 연료를 기름탱크(12)에 되돌릴 수 있다.
본 실시에에 있어서는 리터언펌프는 점화조작마다 매번 작동시킬 수 있다. 그러나 리터언펌프(34)가 펄스구동방식인 때에는, 정확한 유량제어를 행할 수 있으므로 점화기구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리터언펌프(34)는 점화조작마다 작동시킬 필요성이 없어지고, 제어기 전원회로(50)에 통전된 첫회의 점화조작시에만 리터언펌프(34)의 구동기구(56)가 작동하도록 해도 아무런 트러블을 발생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나머지 부분은 제1도 밋 제 2도에 표시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구성할 수 있다. 또, 제 4도의 회로구성은 제1도 및 제 2도의 실시예에도 응용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동작을 제3도 밋 제4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점화기구(52)에 의해서 연료펌프(30)을 작동하면, 기름탱크(12)의 연료는 연료파이프(28)을 개재해서 버어너(14)에 공급되어, 점화연소를개시한다. 동시에 점화기구(52)는 리터언펌프(34)의 구동기구(56)에 작용하기 시작하고, 이 구동기구(56)은 리터언펌프를 작동해서 연료파이프(28)내의 연료의 일부를 리더언파이프(36), 리터언펌프(34) 및 연통수단(32)로 이루어진 리터언시스템에 흡입하여, 연료파이프(28)뿐만 아니고, 리터언시스템도 연료로 채워진다. 따라서, 연동수단(32)와 연료파이프와의 접속점(48)부근도 연료로 채워지므로, 연료는 연료파이프(28)을 원활하게 흐를 수 있다. 이리하여 리터언파이프로부터 연료파이프로 유출하는 공기에 의해서 연료의 흐름이 불안정하게 되고, 점화불량을 일으킨다고 하는 선행기술이 조우하고 있는 문제를 유효하게 해결할 수 있다. 리터언펌프(34)로서, 펄스구동파이프의 것을 사용하면, 유량을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리터언시스템은 항상 연료로 채워 놓을 수 있으며, 이렇게 해서 점화기구(52)에 의한 리터언펌프(34)의 구동은 최초에 석유연소기를 사용할 때의 첫번째의 점화조작에 있어서 또한 단시간만 행하는 것이 필요할 뿐인 것으로 된다.
다음에, 소화조작을 행하기 위하여 소화기구(54)를 작동시키면, 리터언펌프(34)의 구동기구(56)이 작동된다. 이때, 소화기구(54)에 의해서 리터언펌프를 작동시키는 시간은 리터언시스템(32)(34) 및 (36)과 연료파이프(28)과의 접속점(48)에서부터 버어너까지의 연료파이프의 부분(31b)의 연료의 일부를 기름탱크에 되돌리는 시간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소화시에는 버어너부근의 연료파이프의 부분에는 전혀 연료는 존재하지않아, 약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접속점(48)부근의 연료파이프에는 연료를 남길 수 있으므로, 리터언시스템도 연결로 채워지고, 다음회의 점화시에 구동기구(56)을 작동시키지 않아도 안정된 점화가 가능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점화조작시에 리터언펌프(34)를 구동하여 리터언시스템(32)(34)및 (36)내의 공기를 배제해서 연료로 채우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점화조작시에 리터언시스템에 남아 있던 공기가 연료파이프로 흘러서 점화불량을 일으키거나, 점화후에 이상소염을 일으킬 염려를 없앨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연료공급구조는 소화조작시에 리터언펌프를 구동하여 강제적으로 연료파이프내의 연료를 배제하도록 하였으므로, 소화후에 연료파이프로부터 연료가 버어너에 송출되어서 악취를 발생하거나, 혹은 연료파이프의 선단부에 타르가 부착해서 파이프가 폐색된다고 하는 불편을 확실하게 해소할 수 있다.
또, 리터언펌프를 점화조작시에도 작동시키도록 하면, 점화조작시에 리터언시스템에 남아 있던 공기를 배제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잔류공기에 의한 점화불량 및 점화후의 이상소염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Claims (4)

  1. 기름탱크(12)와 버어너(14)를 구비한 석유연소기(10)의 연료공급구조에 있어서, 기름탱크와 버어너를 접속하는 연료파이프(28)와, 상기 연료파이프의 도중에 배치된 연료펌프(30)와, 토출쪽이 기름탱크에 연통된 리터언펌프(34)와, 상기 리터언펌프와 기름탱크에 연통해서 배치된 리터언파이프(36)와, 연료펌프의 토출쪽에 위치하는 연료파이프의 부분과 상기 리터언펌프의 흡입쪽과의 사이에 배치된 연통수단(32)을 구비하고, 석유연소기의 소화조작시에 연료펌프(30)의 운전을 정지하는 소화기구(54)를 설치하고, 또한 상기 소화조작시의 신호를 받아서 작동하는 동시에, 운전시간을 단시간으로 제한해서 연통수단(32)과 리터언파이프(36)내에 연료를 남기는 리터언펌프(34)의 구동기구(56)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연소기의 연료공급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수단은 리터언펌프의 흡입쪽에 접속되는 동시에 연료파이프에 제1의 접속점(38)에 있어서 접속된 연료파이프(40)와, 리터언펌프의 흡입쪽에 접속되는 동시에 연료파이프에 제2의 접속점(44)에 있어서 접속된 상기 연료파이프와 병렬을 이루는 바이패스파이프(4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의 접속점과 제2의 접속점은 다른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연소기의 연료공급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터언펌프는 펄스구동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연소기의 연료공급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소화시에 있어서의 상기 리터언펌프의 작동은 상기 연통수단과의 접속부로부터 버어너에 이르는 상기 연료파이프의 부분의 연료의 일부를 상기 연통수단을 개재해서 상기 기름탱크를 향해서 이동시키는데 충분한 시간 행하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연소기의 연료공급구조.
KR1019900011552A 1989-01-31 1990-07-28 석유연소기의 연료공급구조 KR9500145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9010974U JP2519534Y2 (ja) 1989-01-31 1989-01-31 石油燃焼器の消火装置
JP1-10974 1989-01-31
JP1255426A JPH03117816A (ja) 1989-09-30 1989-09-30 石油燃焼器の消火装置
JP1-255426 1989-09-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6665A KR910006665A (ko) 1991-04-29
KR950014528B1 true KR950014528B1 (ko) 1995-12-05

Family

ID=26346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1552A KR950014528B1 (ko) 1989-01-31 1990-07-28 석유연소기의 연료공급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1452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6665A (ko) 1991-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49260A (en) Device and method for combustion of waste oil
AU751061B2 (en) Safety device for a gas burner
DE2715802C2 (de) Brennersteuerschaltung
KR950014528B1 (ko) 석유연소기의 연료공급구조
JPS59517A (ja) デイ−ゼルエンジンの排気浄化装置
JP4266025B2 (ja) オイルバーナー
JPH03117816A (ja) 石油燃焼器の消火装置
JP2688768B2 (ja) 気化式石油燃焼器
JP2519534Y2 (ja) 石油燃焼器の消火装置
JP3089965B2 (ja) 石油燃焼器の消火制御装置
JP4849223B2 (ja) 流体噴霧燃焼装置
JP2501660Y2 (ja) 液体燃料燃焼装置
KR100846963B1 (ko) 자동 다목적 보일러
EP1610062A2 (de) Fahrzeugheizgerät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Fahrzeugheizgerätes
JPH0241464Y2 (ko)
KR101170749B1 (ko) 연료공급 시스템
JP3853984B2 (ja) 気化式燃焼機の気化制御装置
JP2000213737A (ja) 燃焼装置
JPH10196943A (ja) 液体燃料燃焼装置
JPH0711311Y2 (ja) 石油燃焼器の燃料供給装置
JP3191604B2 (ja) 燃焼制御装置
JPH0127332B2 (ko)
JP3735916B2 (ja) ポット式石油燃焼器
JP3029346B2 (ja) 気化式燃焼装置の制御方法
JPH10122511A (ja) 燃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21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