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4451B1 - 스테이플 - Google Patents

스테이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4451B1
KR950014451B1 KR1019930022790A KR930022790A KR950014451B1 KR 950014451 B1 KR950014451 B1 KR 950014451B1 KR 1019930022790 A KR1019930022790 A KR 1019930022790A KR 930022790 A KR930022790 A KR 930022790A KR 950014451 B1 KR950014451 B1 KR 9500144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staple
staples
present
clam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2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1062A (ko
Inventor
소명국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주식회사
배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주식회사, 배순훈 filed Critical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22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14451B1/ko
Publication of KR950011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10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4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44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5/00Nails; Staples
    • F16B15/0015Stap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스테이플
제1도는 종래 스테이플의 사용예를 개략적으로 보이는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플을 보이는 사시도.
제3도 (a),(b)는 제2도의 A-A선과 B-B선 단면도.
제4도 (a) 내지 (d)는 본 발명 스테이플의 작동을 보이는 단면도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몸체 13 : 클램프(clamp)
14 : (클램프의) 지지대 15 : (클램프의) 훅크(hooke)
16 : (클램프의)이젝터(ejector)
본 발명은 스테이플(staple)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물품(物品)을 포장하는 박스(box)를 접합(接合)하는데 사용하기에 적합한 스테이플에 관한 것이다.
스테이플은 사용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체결력이 우수한 장점에 따라 각종 산업분야에 걸쳐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특히 양방향으로 개방된 물품이 아닌 일방향 개방 물품의 접합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예를들어 생산업체에서 소정의 물품이 제작완료 되면 이 물이 사용되어지는 장소, 즉 소비자가 사용할 수 있는 장소를 옮겨야 한다. 그런데 이와같이 갓 생산된 물품을 운발할시에 가장 주의를 요하는 항목은 물품에 손상이 발생되지 않아야 되는 바, 매우 엄밀하게 관리되지 않으면 안된다. 이에 따라 그 물품을 소정의 박스 등으로 포장하여 운반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때 포장완료된 박스를 외부로부터 견고하게 접합하는데 통상 사용되는 것이 스테이플이다.
제1도에 이와같이 스테이플을 사용하여 박스를 접합하는 종래의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이것은 접합될 박스(B)의 양단을 상호 접촉시키고, 그 양단을 포괄하도록 대략 "I"자형의 금속제 스테이플(1)을수직으로 삽입한다. 다음 스테이플(1)의 양 외측으로 박스(B)에 형성된 안내구멍(H)을 통해 스테이플링머신(stapling machine : M)등의 장비로 박스(B) 내부에 위치한 스테이플(1)의 양 선단을 상호 대향되도록 절곡함으로써 박스(B)의 접합을 완료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스테이플(1)은 스테이플링 머신(M)등 별도의 장비에 의해서만 접합이 가능하고, 한번 사용된 스테이플(1)은 재산용이 불가능하므로 제조원가 상승을 불러 일으킬 뿐 아니라 작업공수가 증가하게 되는 등 그 접합적이 매우 번잡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스테이플(1)의 절곡을 위해 스테이플링 머신(M)의 삽입을 안내하는 별도의 안내구멍(H)이 형성될 뿐만 아니라 작업완료된 박스(B)에 이 안내구멍(H)이 그대로 존재하게 되므로 박스(B)의 미관을 저해하게 되며, 스테이플(1)의 체결력 또한 약화시키는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종래의 여러가지 문제를 감안하여 별도의 장비 없이도 상호 접합될 박스등의 양단을 간단하게 접합할 수 있으며, 박스의 미관저하를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스테이플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요에 따라 몇번이고 반복 사용할 수 있는 스테이플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스테이플은, 상호 접합될 박스등의 양단을 걸쳐 그 외면에 접착되는 몸체와, 이 몸체에 상호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각각 그 일단을 축으로 회동가능하며 박스의 양 단부에 각각 삽입되어 이들을 함께 구속하는 훅크를 가지는 클램프 쌍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각 클램프에 이들을 박스로부터 분리시키는 이젝터가 더 구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별도의 장비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박스등의 양단을 간단하게 접합할 수 있게 되므로 그 미관 저하를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제작공수 및 제조원가 절감에 큰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과 다른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제2도 및 제3도에서, 본 발명에 의한 스테이플(11)은 박스(도시안됨)등의 양단을 걸쳐 그 외면에 접촉하는 몸체(12)와, 이 몸체(12)에 상호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박스의 양 단부를 함께 구속하는 클램프쌍(aclamp;13)으로 대별된다. 몸체(12)에는 클램프쌍(13)의 동작을 허용하기 위한 공간부(12a)가 형성되고, 그 내측면의 소정 위치에는 공간부(12a)로 돌출되는 복수의 걸림돌기(12b)와 고정돌기(12c)가 각각 대응되게 형성된다. 각 클램프(13)는 지지내(14)가 몸체(12)로부터 연장되어 그 공간부(12a)내에서 일단을 축으로 회동가능하게 형성되고, 이 지지내(14)의 일면에 박스의 양 단부에 각각 삽입되는 호형의 훅크(hook,15)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각 지지내(14)의 타단 양측에는 몸체(12)의 걸림돌기(12b)가 탄성적으로 끼워져 이를 소정위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걸림턱(14a)이 형성된다. 즉 각 훅크(15)가 박스의 양 단부에 삽입되어 이들을 구속할 수 있도록 구속력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각 클램프(13)의 지지대(14)에는 바람직하기로는 박스의 양단을 구속하고 있는 훅크(15)를 박스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이젝터(ejector;16)가 더 형성된다. 이 이젝터(16)는 지지대(14)의 일단으로부터 일정 폭을 가지도록 절개되어 구성되며, 몸체(12)의 고정돌기(12c)에 의해 그 공간부(12a)내에 구속된다. 이러한 본 발명 스테이플(11)은 여러가지 측면을 고려하여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경질의 합성 수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스테이플의 작용을 제4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바, 도시되지 않은 부분은 제2도를 참조하기로 한다.
먼저 제4도 (a)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호 접합될 박스(B)의 양단을 맞대고, 이들에 각각 형성된 삽입구멍(H)에 본 발명 스테이플(11)의 훅크(15)가 위치되도록 몸체(12)를 접촉시킨 뒤, 클램프(13)의 각 지지대(14)를 화살포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그러면 제4도(b)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 훅크(15)가 박스(B)의 각 삽입구멍(H)에 삽입되어 그 양단부를 함께 구속하게 되며, 이때 몸체(12)의 걸림돌기(12b)가 지지내(14)의 걸림턱(14a)에 탄성적으로 끼워지게 되어 클램프(13)가 소정 위치에 고정되게 됨으로써 박스(B)의 양단을 접합한다.
다음 본 발명 스테이플(11)을 박스(B)로부터 분리할 경우는 제4도(c)에 도시된 바와같이 몸체(12)의 고정돌기(12c)에 구속되어 있는 이젝터(16)를 구로부터 해제시키면 자체탄성에 의해 그 일단이 외부로 돌출된다. 이 상태에서 제4도(d)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 이젝터(16)를 내측으로 당긴다. 그러면 지지대(14)가 몸체(12)의 걸림돌기(12b)로부터 분리되며, 자제 탄성력에 의해 초기상태로 복원됨으로써 훅크(15)가 박스(B)의 양단의 구속을 해제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와 같이 별도의 장비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박스등의 양단을 간단하게 접합할 수 있을 분 아니라 박스에 접합을 위한 별도의 안내구멍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박스의 미관저하가 방지된다. 또한 스테이플을 박스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몇번이고 재사용할 수 있게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물품 포장의 제작공수 및 제조원가 절감등에 큰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상호 접합될 박스 등의 양단을 외부로부터 접합시키는 스테이플에 있어서, 상기 박스(B)의 양단을 걸쳐 그 외면에 접촉되는 몸체(12)와, 상기 몸체(12)에 상호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각각 그 일단을 축으로 회동가능하며 상기 박스(B)의 양 단부에 각각 삽입되어 이들을 함께 구속하는 훅크(15)를 가지는 클램프쌍(13)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2)에 복수의 걸림돌기(12b)가 형성되고, 상기 각 클램프(13)에 상기 몸체(12)의 걸림돌기(2b)가 탄성적으로 끼워지는 복수의 걸림턱(14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클램프(13)에 이들을 상기 박스(B)로부터 분리시키는 이젝터(16)가 더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
  4. 제1항에 있어서, 그 재질이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합성수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
KR1019930022790A 1993-10-29 1993-10-29 스테이플 KR950014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2790A KR950014451B1 (ko) 1993-10-29 1993-10-29 스테이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2790A KR950014451B1 (ko) 1993-10-29 1993-10-29 스테이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1062A KR950011062A (ko) 1995-05-15
KR950014451B1 true KR950014451B1 (ko) 1995-11-28

Family

ID=19366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2790A KR950014451B1 (ko) 1993-10-29 1993-10-29 스테이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144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953B1 (ko) * 2006-11-24 2008-0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실러 센서노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1062A (ko) 1995-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82813A (en) Banding clip
JP2859498B2 (ja) ロッキングまたは安全シール
US5927497A (en) Pack of large surface washers
KR950014451B1 (ko) 스테이플
US5826308A (en) Bundling strap assembly
JPH0214247Y2 (ko)
KR101876323B1 (ko) 부품 운반용 포장 케이스
KR19980014735A (ko) 포장용 상자
JPH0710164A (ja) 束線ベルト
JP3462906B2 (ja) テープ等の固定具
JP2011235950A (ja) 物品の締結具
JPH0823364B2 (ja) クリツプ
JP3213795B2 (ja) 封緘具
JPH0617742Y2 (ja) 瓶等の結束バンド用ホルダー
JPS5917780Y2 (ja) 包装箱の結合具
JP4002421B2 (ja) パレット
JP2000191024A (ja) 底部用包装材
KR200159284Y1 (ko) 물품 결속용 끈
KR200153275Y1 (ko) 모니터의 차폐 장치
JP2687307B2 (ja) 新聞、雑誌類の整理箱
JP2004142745A (ja) 結束用コーナ保護具
KR200250928Y1 (ko) 과일 포장용기의 덮개 결합구조
KR0137614Y1 (ko) 포장용 밴딩수단의 체결구조
KR100815553B1 (ko) 수납상자용 손잡이
JPH068047Y2 (ja) 紐用結束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10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