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4013B1 - 전원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전원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4013B1
KR950014013B1 KR1019930021129A KR930021129A KR950014013B1 KR 950014013 B1 KR950014013 B1 KR 950014013B1 KR 1019930021129 A KR1019930021129 A KR 1019930021129A KR 930021129 A KR930021129 A KR 930021129A KR 950014013 B1 KR950014013 B1 KR 950014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transformer
power
unit
suppl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1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2181A (ko
Inventor
이장헌
Original Assignee
이장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장헌 filed Critical 이장헌
Priority to KR1019930021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14013B1/ko
Publication of KR950012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21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4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40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5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ircuit Arrangements For Discharge Lamps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원 제어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용 전원제어장치의 블럭도.
제 2 도는 제 1 도에 도시된 전류감지부, 기동전압 승압부 및 과부하 보호부의 상세 회로도.
제 3 도는 제 1 도에 도시된 전압감지부, 전압에러검출부, 전압보상부 및 전원부의 상세회로도.
제 4 도는 제 1 도에 도시된 래더회로의 상세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가변변압 트랜스포머 12 : 변압제어부
14 : 전류감지부 16 : 기동전압승압부
18 : 과부하보호부 20 : 전압감지부
22 : 전압에러검출부 24 : 전압보상부
26 : 래더회로 28 : 전원부
본 발명은 교류부하에 공급될 교류전압전압을 조절하기 위한 전원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역률저하, 파형왜곡 및 THD(고조파 함유율)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는 전원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전원제어장치는 전동기 및 조명장치에 공급될 교류전원의 평균전압을 사용자 또는 제작자가 설정한 전압으로 유지시키는 장치로서, 교류전원의 위상을 조절하는 위상제어형 전원제어장치 및 교류전원의 주파수를 가감시키는 주파수 제어형 전원제어장치가 있다. 그러나, 상기 위상제어형 및 주파수 제어형 전원제어장치는 사이리스터(Thyrister)와 같은 반도체 소자를 이용하여 교류전원의 위상을 부분적으로 절단하거나 교류전원 주파수를 변형시켜 부하에 공급될 교류전원의 전압을 조절할 수 있었으나, 부하에 공급될 교류전원의 역률저하, 파형왜곡 및 THD증가 등의 부작용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그리고, 상기 위상제어형 및 주파수 제어형 전원제어장치는 전원-온(Power-On) 및 전원 -오프(Power-off)시 발생되는 과도현상으로 인하여 부하를 소손시키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으며, 또한 부하의 과전류로 인하여 장치가 소손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한편, 형광등 및 방전관 등과 같은 조명등은 점등시 비교적 높은 기동전압을 요구하고, 점등중에는 비교적 낮은 교류전원전압을 요구하나 현행의 조명장치는 기동 및 점등시 동일한 교류전원전압을 형광등 및 방전관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종래의 형광등 및 방전관용 조명장치는 전력의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첫번째 목적은 부하에 공급될 교류전원전압의 역률저하, 파형왜곡 및 THD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는 전원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두번째 목적은 형광등 및 방전관에 공급될 교류전원을 제어하여 전원을 절약할 수 있는 전원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전원제어장치는 상용교류전원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수단과,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의 상용교류전원을 변압하여 교류부하쪽으로 변압된 교류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일차측에 고정탭과 가변탭을 구비한 변압 트랜스포머와, 상기 입력수단 및 상기 변압 트랜스포머의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트랜스포머의 일차측의 상기 가변탭에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다수의 탭을 구비하여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의 상용교류전원을 상기 변압트랜스포머의 일차측에 공급하여 변압비를 조절하기 위한 변압제어수단과, 상기 변압 트랜스포머의 2차측에 유기되는 변압된 교류전원을 감지하기 위한 전압감지수단과, 상기 전압감지수단으로부터의 감지전압을 자체내에 설정된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에러전압량을 검출하는 전압에러검출수단과, 상기 전압에러검출수단으로부터의 검출된 에러전압만큼 증가 및 감소되는 아날로그 변압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전압보상수단과, 상기 전압보상수단으로부터의 아날로그 변압제어신호를 디지털 변압제어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디지털 변압제어신호를 상기 변압제어수단에 인가하는 래더회로수단과,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의 상용교류전원 및 상기 변압 트랜스포머의 2차측으로부터의 변압된 교류전압을 교류부하쪽으로 선택적으로 절환하는 제어용 스위치수단과, 상기 입력수단 및 상기 변압제어수단의 사이에 접촉되어 상기 변압 제어수단에 공급되는 상용교류전원의 전류량을 감지하는 전류감지수단과, 상기 전류감지수단에 의하여 전류가 검출될 때 소정 논리의 기동펄스를 상기 변압비조절수단에 인가하여 상기 변압제어수단의 출력인 변압제어신호가 최대의 전압레벨을 유지하도록 하는 기동전압승압수단과, 상기 전류감지수단으로부터의 감지전류신호를 자체내에 설정된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용 스위치수단을 제어하는 과부하보호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들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 및 장점들은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한 다음의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란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제 1 도 내지 제 4 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도를 참조하면 제 1 상용교류입력라인(11)으로부터의 상용교류전원을 변압하여 교류부하쪽으로 변압된 교류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일차입력코일(FL)측에 고정탭과 가변탭을 구비한 가변변압 트랜스포머(Variable Transformer, 10)를 구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용 전원제어장치가 설명되어 있다.
상기 가변변압 트랜스포머(10)의 일차코일(FL)은 SSR(Solid state relay)등으로 된 변압제어부(12)에 접속된 복수의 중간탭들(FL1~FL8) 및 타측단탭(FL9)을 갖고 있으며, 반면에 상기 가변변압 트랜스포머(10)의 2차코일(SL)은 제어용 스위치(SW1)의 제 1 선택접점(SP1)에 접속된 타측탭(SLT1)를 갖고 있다.
상기 가변변압 트랜스포머(10)는 제 1 상용교류입력라인(11) 및 전류감지부(14) 및 상기 변압제어부(12)를 거쳐 자신의 일차코일(FL)의 가변탭에 무접점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선택용탭들(FL1~FL8)중 하나의 탭과, 상기 제 2 상용교류입력라인(13)을 거쳐 자신의 일차코일(FL)의 마지막탭(FL9)의 사이에 공급되어 변압된 전압이 2차코일(SL)을 유기시켜 유기된 전압을 자신의 2차코일(SL)과 제 2 상용교류입력라인(13) 및 상기 제어용 스위치(SW1)의 제 1 선택접점(SP1)을 통하여 교류부하쪽으로 공급한다.
상기 변압제어부(12)는 상기 가변변압 트랜스포머(10)의 2차코일(SL)측의 제2 접점(SP2)에 접속된 교류전원출력라인(17) 및 상기 제 2 상용교류입력라인(13)에 접속될 형광등 또는 방전관에 공급될 전압에 따라 상기 가변변압 트랜스포머(10)의 일차코일(FL)의 가변탭에 무접점접속되는 선택용탭(FL1~FL8)중 하나의 탭을 상기 전류감지부(14) 및 라인(15)를 경유하여 제 1 상용교류입력라인(11)에 접속하여 상기 가변변압 트랜스포머(10)의 변압비(즉, 일차코일의 권선수)를 가변하고, 상기 가변변압 트랜스포머(10)의 2차코일(SL)에 유기되는 전압을 증가 또는 감소시킨다.
상기 제 1 상용교류입력라인(11) 및 변압제어부(12)의 사이에 접속된 전류감지부(14)는 상기 가변제어부(12)를 경유하여 상기 가변변압 트랜스포머(10)에 공급될 전류량을 감지하여 감지된 전류량에 상응하는 전압레벨을 갖는 전류감지신호를 기동전압승압부(16) 및 과부하보호부(18)에 공급한다.
상기 기동전압승압부(16)는 상기 전류감지부(14)로부터의 전류 감지신호가 공급될 때(즉, 상기 교류전원출력라인(17) 및 제 2 상용교류입력라인(13)에 접속될 형광등 및 방전관이 점등될 때) 일정기간동안 하이논리 상태의 기동승압펄스를 발생한다.
한편, 상기 과부하보호부(18)은 상기 전류감지부(14)로부터의 전류감지신호의 전압레벨이 일정전압 이상이 될 때(즉, 상기 교류전원출력라인(17) 및 상기 제 2 상용교류입력라인(13)에 접속될 형광등 및 방전관이 과부하상태로 될 때)에 상기 제어용 스위치(SW1)의 기준접점(RP)를 제 2 선택접점(SP2)에 접촉시켜 상기 제1, 2상용교류입력라인(11) (13)에 공급되는 상용교류전원이 상기 전류감지부(14), 라인(15), 라인(SLT1), 제어용 스위치(SW1) 및 교류전원출력라인(17)을 거치도록하여 가변변압트랜스포머(10)의 2차코일(SO)을 거치지 않고 곧바로 형광등 및 방전관 쪽으로 공급되도록 하여 가변변압 트랜스포머(10) 및 본 발명의 장치를 보호한다.
반대로, 정상시에는 상기 제어용 스위치(SW1)의 기준접점(RP)는 제 1 선택접점(SP1)에 접촉되어 상기 가변변압 트랜스포머(10)의 2차코일((SL))로부터의 변압된 전압을 가변변압 트랜스포머(10)의 2차코일(SL)을 거쳐서 교류전원출력라인(17)을 경유하여 형광등 및 방전관에 공급한다.
상기 조명용 전원제어장치는 상기 제 2 상용교류입력라인(13) 및 교류전원출력라인(17)을 통해 형광등 및 방전등과 같은 조명등에 공급될 교류전원 전압을 감지하기 위한 전압감지부(20)를 추가로 구비한다.
상기 전압감지부(20)는 상기 제 2 상용교류입력라인(13) 및 교류전원출력라인(17)의 양단 전압을 감지하여 감지된 전압을 전압에러검출부(22)에 공급한다.
상기 전압에러검출부(22)는 상기 전압감지부(20)로부터의 감지전압을 자체내에 미리 설정된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차전압을 검출하고 검출된 차전압을 에러전압으로서 전압보상부(24)에 인가한다.
상기 전압보상부(24)는 상기 전압에러검출부(22)로부터의 에러전압 만큼 증가 또는 감소되는 전압레벨을 갖는 변압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발생된 변압제어신호를 래더회로(26)에 공급한다.
상기 전압보상부(24)는 상기 기동전압승압부(16)로부터 하이논리의 기동펄스가 인가되는 기간동안 상기 전압에러검출부(22)로부터의 에러전압과 무관하게 최고의 전압레벨을 갖는 변압제어신호를 상기 래더회로(26)에 공급하여 상기 가변변압 트랜스포머(10)의 변압비를 최대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전압보상부(24)는 상기 래더회로(16)로부터 귀환되는 최상위 비트의 디지털 변압제어신호가 로우논리 상태를 갖는 동안 상기 래더회로(26)에 공급되는 변압제어신호의 전압레벨을 감소시킨다.
상기 래더회로(26)은 상기 전압보상부(24)로부터의 변압제어신호를 8비트의 디지털신호의 형태로 변환하여 변환된 디지털 변압제어신호를 변압제어부(12)에 인가한다.
상기 디지털 변압제어신호는 전압보상부(24)에서 출력되는 전압이 최대레벨을 갖을 경우 최상위 비트만이 로우논리를 갖고, 반대로 전압보상부(24)에서 출력되는 전압이 최저레벨을 갖을 경우에는 최하위 비트만이 로우논리를 갖는다. 마찬가지로, 상기 전압보상부(24)에서 발생된 전압이 최대레벨 및 최저레벨을 갖을 경우 그 전압레벨에 상응하는 하나의 비트만이 로우논리 상태를 갖는다. 그러면 상기 변압제어부(12)는 상기 래더회로(26)로부터의 디지털 변압제어신호의 논리값에 따라 상기 제 1 상용교류입력라인(11), 전류감지부(14) 및 라인(15)를 경유하여 입력되는 상용교류전압을 가변변압 트랜스포머(10)의 1차코일(FL)의 선택용탭(FLT1~FLT8)중 한쪽탭에 인가하여 상기 가변변압 트랜스포머(10)의 변압비를 증가 또는 감소시킨다.
실제로, 상기 디지털 변압제어신호중 최상위 비트가 로우논리를 갖을 경우, 상기 변압제어부(12)는 상기 가변변압 트랜스포머(10)의 1차코일(FL)의 제 8 탭(FL8)을 상기 라인(15)에 접속시켜 변압비를 최대가 되도록 한다.
반대로, 상기 디지털 변압제어신호의 최하위 비트가 로우논리 상태를 갖을 경우에는 상기 변압제어부(12)는 상기 가변변압 트랜스포머(10)의 일차코일(FL)의 제 1 탭(FLT1)를 상기 라인(15)에 접속시켜 상기 가변변압 트랜스포머(10)의 변압비가 최소로 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전압에러검출부(22)에 설정되는 기준전압은 형광등 및 방전등이 점등된 상태에 요구하는 상용전원전압의 80~90%에 해당하는 80/180V 정도의 전압이 상기 교류전원출력라인(17) 및 제 2 상용교류입력라인(13)의 사이에 발생되도록 적절하게 설정된다.
그리고 상기 조명용 전원제어장치는 상기 제1 및 제 2 상용교류입력라인(11) (13)을 통하여 상용교류전원전압을 유입하는 전원부(28)를 더 구비한다.
상기 전원부(28)는 상기 상용교류전원전압을 강압하고 강압된 교류전압을 정류 및 평활하여 상기 변압제어부(12), 전류감지부(14), 기동전압승압부(16), 과부하보호부(18), 전압감지부(20), 전압에러검출부(22), 전압보상부(24) 및 레더회로(26)가 요구하는 직류전압을 발생한다.
제 2 도에는 제 1 도에 도시된 조명용 전원제어장치의 일부분인 전류감지부(14), 기동전압승압부(16) 및 과부하보호부(18)의 상세회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 2 도에 있어서, 상기 전류감지부(14)는 제 1 도에 도시된 제 1 상승교류입력라인(11) 및 라인(15)에 직렬접속된 제 1 차코일(FL)을 갖는 전류검출용 트랜스포머(30)와 상기 트랜스포머(30)의 2차코일(SL)에 접속된 브리지다이오드(D1~D4)를 구비한다.
상기 전류검출용 트랜스포머(30)는 상기 제 1 상승교류입력라인(11) 및 자신의 1차코일(FL) 및 라인(15)을 통해 변압제어부(12) 및 제어용 스위치(SW1)쪽으로 흐르는 전류량에 따라 다른 전압레벨을 갖는 전류감지신호를 자신의 2차코일(SL)을 경유하여 상기 브리지다이오드(D1~D4)에 공급한다.
상기 전류감지신호는 상기 전류감지용 트랜스포머(30)의 일차코일(FL)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반전됨으로 인하여 교류형태를 갖는다.
상기 브리지다이오드(D1~D4)는 상기 전류검출용 트랜스포머(30)의 2차코일(SL)로부터의 전류감지신호를 전파정류하여 저항(R1)을 경유하여 기동전압승압부(16) 및 과부하보호부(18)쪽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저항(R1)의 일측단자 및 상기 브리지다이오드(D1~D4)의 출력단자와의 접속점과 기저전위(GND)의 사이에 접속된 콘덴서(C1)는 상기 브리지다이오드(D1~D4)에 의해 전파정류된 전류감지신호를 평활하여 직류형태로 변환한다.
또한, 상기 저항(R1)의 타측단자 및 기저전위(GND)의 사이에 접속된 콘덴서(C2)는 상기 저항(R1)과 함께 적분기를 형성하여 상기 브리지다이오드(D1~D4) 및 콘덴서(C1)에 의해 정류 및 평활된 전류 감지신호를 적분하고 적분된 전류감지신호를 라인(31)을 경유하여 기동전압승압부(16) 및 과부하보호부(18)에 공급한다.
그리고 기동전압승압부(16)는 상기 라인(31)을 경유하여 유입되는 상기 전류감지부(14)의 적분기로부터의 전류감지신호를 완충시켜 완충된 전류감지신호를 제 1 연산증폭기(A1)의 비반전단자에 공급하는 완충기와, 상기 라인(31)상의 전류감지신호를 일정분압비로 분압하여 분압된 전압을 상기 제 1 연산증폭기(A1)의 반전 단자에 공급하는 저항분압기(R5, R6)를 구비한다.
상기 완충기는 상기 라인(31)상의 전류감지신호를 완충하기 위하여, 상기 라인(31) 및 상기 제 1 연산증폭기(A1)이 비반전단자의 사이에 병렬접속된 저항(R2) 및 다이오드(D5)와 상기 제 1 연산증폭기(A1)의 비반전단자 및 기저전위(GND)의 사이에 접속된 저항(R3) 및 콘덴서(C3)의 병렬회로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라인(31) 및 기저전위(GND)의 사이에 접속된 저항(R4)은 상기 라인(31)의 출력저항으로의 역할을 갖는다.
상기 제 1 연산증폭기(A1)는 상기 완충기로부터의 완충된 전류감지신호와, 상기 저항분압기(R5, R6)에 의하여 분압된 전류감지신호를 비교하여 완충된 전류감지신호가 분압된 전류감지신호보다 클 때 하이논리상태를 갖는 비교신호를 다이오드(D6)를 경유하여 제 2 저항분압기(R8, R9)에 공급한다.
상기 비교신호는 상용교류전압이 제 1 도에 도시된 제 1 상용교류입력라인(11) 및 상기 전류검출용 트랜스포머(30)의 1차코일(FL) 및 상기 라인(15)을 경유하여 변압제어부(12) 및 제어용 스위치(SW1)의 제 2 선택접점(SP2)에 공급되는 동안(즉, 제 1 도에 도시된 제 2 상용교류입력라인(13) 및 교류전원출력라인(17)에 접속되는 형광등 또는 방전등에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에 하이논리를 갖는다.
상기 제 2 저항분압기(R8, R9)는 상기 제 1 연산증폭기(A1)로부터 다이오드(D6)를 경유하여 공급되는 비교신호를 일정분압비로 분압하여 분압된 비교신호를 제1NAND게이트(32)의 양입력단자에 공통적으로 공급한다.
그러면, 상기 NAND게이트(32)는 상기 분압된 비교신호가 0.2V 이상일 때, 로우논리를 갖는 반전완충된 비교신호를 발생하고, 반전완충된 비교신호를 제 1 단안정멀티바이브레이터(34)의 트리거단자에 인가한다.
상기 제 2 저항분압기(R8, R9)의 분압점과 기저전위(GND)의 사이에 접속된 제너다이오드(ZD1)은 상기 제 2 저항분압기(R8, R9)에 의해 분압된 전압이 자신의 동작전압이상 초과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제1NAND게이트(32)를 보호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연산증폭기(A1)의 출력단자 및 비반전단자의 사이에 접속된 저항(R7) 및 콘덴서(C4)의 병렬귀환회로는 상기 라인(31)상의 전류감지신호의 전압레벨이 급격히 변화되더라도 일정기간 상기 제 1 연산증폭기(A1)의 출력논리가 변경되지 않도록 한다. 즉, 상기 제 1 연산증폭기(A1)은 상기 병렬귀환회로(R7, C4)와 함께 스미트 트리거형 비교기로서의 기능을 한다.
상기 제 1 단안정멀티바이브레이터(34)는 상기 제1 NAND게이트(32)로부터 반전완충된 비교신호의 폴링에지로부터 일정기간 하이논리상태를 갖는 기동펄스를 발생하여 라인(35)을 경유하여 제 1 도에 도시된 전압보상부(24)에 공급한다.
상기 기동펄스의 펄스폭은 제 1 직류공급라인(37) 및 상기 제 1 단안정멀티바이브레이터(34)의 기준단자의 사이에 접속된 저항(R10)과 선택 스위치(SW2)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단안정멀티바이브레이터(34)의 기준단자에 접속될 콘덴서(C6) 또는 콘덴서(C7)에 따른 시정수에 근거하여 결정된다.
또한, 과부하보호부(18)는 상기라인(31) 및 다이오드(D7)를 경유하여 유입되는 상기 전류감지부(14)의 적분기로부터의 전류감지신호를 분압하여 분압된 전류감지신호를 제 2 연산증폭기(A2)의 비반전단자에 공급하는 제 3 저항분압기(R15, R16)와, 상기 제 1 직류공급라인(37)으로부터 저항(R20)을 거쳐 공급되는 제 1 직류공급전압(Vdd)를 분압하여 분압된 제 1 직류공급전압을 기준전압으로서 전류제한용 저항(R13)을 거쳐 상기 제 2 연산증폭기(A2)의 반전단자에 공급하는 제 4 저항분압기(R11,R12)를 구비한다.
상기 제 4 저항분압기(R11, R12)의 저항(R12)와 병렬접속된 가변저항(VR1)은 사용자 또는 제작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제 4 저항분압기(R11, R12)의 분전압을 조절한다. 그리고, 상기 제 4 저항분압기(R11, R12)와 병렬접속된 제너다이오드(ZD2)는 상기 제 4 저항분압기(R11, R12)에 인가되는 전압이 자신의 동작전압과 동일한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너다이오드(ZD2)와 병렬접속된 콘덴서(C8)는 상기 제 4 저항분압기(R11, R12)에 공급되는 전압에 포함된 고주파수성분의 잡음신호를 제거한다.
상기 제 2 연산증폭기(A2)는 상기 분압된 전류감지신호와 자신의 반전단자에 인가되는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비교신호를 자식의 출력단자 및 다이오드(D8)를 거쳐 제 5 저항분압기(R18, R19)에 공급한다.
상기 제 2 연산증폭기(A2)에서 발생되는 상기 비교신호는 분압된 전류감지신호가 기준신호의 전압보다 큰 경우(즉, 제 2 상용교류입력라인(13) 교류전원출력라인(17)에 접속된 방전관 및 형광등과 같은 부하에 매우 큰 전류의 교류전원이 공급될 때)에 하이논리 상태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제 2 연산증폭기(A2)의 반전단자 및 출력단자의 사이에 병렬 접속된 저항(R17) 및 콘덴서(C9)는 상기 라인(31)상의 전류감지신호의 전압레벨이 급격하게 증감변화 하더라도 상기 제 2 연산증폭기(A2)의 출력비교신호의 논리상태가 일정기간동안 변경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제 2 연산증폭기(A2)가 스미트트리거형 비교기로서의 기능을 하도록 한다.
상기 제 5 저항분압기(R18, R19)는 상기 제 2 연산증폭기(A2)로부터 다이오드(D8)를 거쳐 공급되는 비교신호를 분압하여 분압된 비교신호를 제2 NAND게이트(36)의 양입력단자에 공통으로 공급한다.
상기 제 5 저항분압기(R18, R19)의 분압점 및 기저전위(GND)의 사이에 접속된 제너다이오드(ZD3)는 상기 제 5 저항분압기(R18, R19)에 의해 분압된 비교신호의 전압을 자신의 동작전압 이하로 제한한다.
상기 제2 NAND게이트(36)는 상기 제 5 저항분압기(R18, R19)에 의해 분압된 전압을 완충 및 반전시켜 과부하 검출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과부하검출신호는 상기 제 5 저항분압기(R18, R19)에 의해 분압된 전압이 0.2V 이상을 갖을 때(즉, 과부하시)에 로우논리 상태를 갖고, 그리고 정상시(즉, 상기 제 5 저항분압기(R18, R19)로부터의 분압전압이 0.2V일 때)에는 하이논리상태를 갖는다.
상기 과부하보호부(18)는 상기 제2 NAND게이트(36)로부터의 과부하 검출신호에 따라 제 1 직류공급라인(37)을 경유하여 공급되는 제 1 직류전원(Vdd)을 라인(39)을 경유하여 제 2 단안정멀티바이브레이터(38)에 구동전원으로서 공급하는 제 1 정합수단을 추가로 구비한다.
상기 제 1 정합수단은 상기 제1 NAND게이트(36)로부터의 과부하 검출신호를 반전시켜 반전된 과부하 검출신호를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공급하기 위하여 세개의 저항(R21~R23) 및 트랜지스터(Q1)로 이루어진 반전회로를 구비한다.
상기 트랜지스터(Q2)는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로부터 자신의 베이스에 하이논리상태의 반전된 과부하검출신호가 인가될 때 턴-온되어 제 1 직류공급라인(37)를 경유하여 자신의 콜렉터에 공급되는 제 1 직류전원(Vdd)를 자신의 에미터 및 라인(39)를 경유하여 상기 제 2 단안정멀티바이브레이터(38)에 공급한다.
상기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와 기저전위(GND)의 사이에 접속된 저항(R24)는 상기 트랜지스터(Q2)의 출력저항의 기능을 한다. 그리고, 상기 라인(39) 및 상기 제 2 단안정멀티바이브레이터(38)의 트리거단자의 사이에 접속된 저항(R25)와 상기 제 2 단안정멀티바이브레이터(38)의 트리거단자 및 기저전위(GND)의 사이에 접속된 콘덴서(C10)는 하나의 지연회로로서 라인(39)에 공급되는 전압을 일정시간(즉, 저항(R25)의 저항값 및 콘덴서(C10)의 용량값의 곱에 의해 결정되는 시정수)만큼 지연시켜 지연된 전압신호를 상기 제 2 단안정멀티바이브레이터(38)의 트리거단자에 인가한다.
상기 제 2 단안정멀티바이브레이터(38)은 상기 라인(39)을 경유하여 자신의 전원단자에 공급되는 제 1 직류전원(Vdd)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지연회로에 의해 지연된 전압신호의 라이징에지로부터 소정폭의 로우논리상태의 펄스를 전류제한용 저항(R26)을 경유하여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인가한다.
상기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인가되는 펄스의 펄스폭은 상기 라인(39) 및 상기 제 2 단안정멀티바이브레이터(38)의 기준단자의 사이에 접속된 가변저항(VR2)와, 상기 제 2 단안정멀티바이브레이터(38)의 기준단자 및 기저전위(GND)의 사이에 접속된 콘덴서(C12)에 의하여 결정된다.
상기 트랜지스터(Q3)는 상기 제 2 단안정멀티바이브레이터(38)로부터 저항(R26)을 경유하여 인가되는 로우논리상태의 펄스를 반전시켜 반전된 펄스를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에 공급한다.
상기 라인(39) 및 상기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의 사이에 접속된 저항(R27)은 풀-업(Pull-Up)용 저항의 기능을 하고, 상기 트랜지스터(Q3)의 에미터 및 기저전위(GND)의 사이에 접속된 저항(R28)은 상기 트랜지스터(Q3)의 부하저항의 기능을 한다.
상기 트랜지스터(Q4)는 자신의 베이스에 인가되는 반전된 펄스신호의 하이논리상태의 기간동안 턴-온(Turn-On)되어 제 1 직류공급라인(37)으로부터 릴레이여자코일(RY1), 자신의 콜렉터 및 에미터를 경유하여 기저전위(GND)로 이어지는 상기릴레이여자코일(RY1)의 전류통로를 형성한다.
상기 릴레이여자코일(RY1)은 전류통로가 형태될 때 전자력을 발생하여 제 1 도에 도시된 제어용 스위치(SW1)의 기준접점(RP)를 제 2 선택접점(SP2) 쪽으로 절환시켜 변압제어부(12) 및 가변변압 트랜스포머(10)를 포함한 본 발명의 장치를 과부하로부터 보호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직류공급라인(37) 및 상기 릴레이여자코일(RY1)의 사이에 접속된 리세트스위치(RSW)는 사용자가 압압한 기간동안 상기 릴레이여자코일(RY1)의 전류통로를 개방하여 제 1 도에 도시된 제어용스위치(SW1)의 기준접점(RP)을 제 1 선택접점(SP1)쪽으로 절환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장치를 재구동한다.
또한 상기 릴레이여자코일(RY1)에 병렬로 역방향으로 접속된 다이오드(D9)는 상기 릴레이여자코일(RY1)의 전류통로가 개방될 때 역기전력으로 인하여 상기 릴레이여자코일(RY1)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 3 도에는 제 1 도에 도시된 조명용 전원제어장치의 일부부인 전압감지부(20), 전압에러검출부(22), 전압보상부(24) 및 전원부(28)가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제 3 도에 있어서, 상기 전압감지부(20)는 형광등 및 방전관에 공급되는 전압을 검출하기 위하여 제 1 도에 도시된 제 2 상용교류입력라인(13) 및 교류전원출력라인(17)에 자신의 일차코일(FL)을 접속한 전압 검출용 트랜스포머(40)와, 상기 트랜스포머(40)의 2차코일(SL)에 접속된 브리지정류기(D10~D13)를 구비한다.
상기 전압검출용 트랜스포머(40)는 상기 제 2 상용교류입력라인 및 교류전원출력라인(17)을 거쳐 형광등 및 방전관에 공급될 교류전압을 강압하여 강압된 전압을 부하전압 검출신호로서 상기 브리지정류기(D10~D13)에 인가한다.
상기 브리지정류기(D10~D13)는 상기 부하전압 검출신호를 전파정류하여 전파정류된 부하전압 검출신호를 저항(R29) 및 콘덴서(C14)로 이루어진 적분기에 공급한다.
상기 브리지정류기(D10~D13)의 출력단자 및 기저전위(GND)의 사이에 접속된 콘덴서(C13)는 상기 전파정류된 부하전압 검출신호를 평활한다.
그러면, 상기 저항(R29) 및 콘덴서(C14)로 구성된 적분기는 상기 브리지정류기(D10~D13)에 의해 전파정류되고, 상기 콘덴서(C13)에 의하여 의하여 평활된 부하전압 검출신호를 적분하여 평준화된 부하전압 검출신호를 발생한다.
그리고, 제 3 도에 도시된 전압에러검출부(22)는 상기 전압감지부(20)의 적분기로부터의 평준화된 부하전압 검출신호를 일정분압비로 분압하여 분압된 부하전압 검출신호를 제 3 연산증폭기(A3)의 비반전단자에 공급하는 제 6 저항분압기(R30, R31)와 제 1 직류공급라인(37) 및 저항(R32)를 경유하여 공급되는 제 1 도에 전원부(28)로부터의 제 1 직류전원(Vdd)를 일정분압비로 분압하여 분압된 제 1 직류전압을 기준전압으로서 전류제한용 저항(R35)를 경유하여 상기 제 3 연산증폭기(A3)의 반전단자에 공급하는 제 7 저항분압기(R33, R34)를 구비한다.
상기 제 7 저항분압기(R33, R34)의 분압점 및 기저전위(GND)의 사이에 접속된 가변저항(VR3)은 사용자 또는 제작자가 조절함에 따라 상기 제 7 저항분압기(R33,R34)의 분전압을 증감 조절한다. 그리고 상기 제 7 저항분압기(R33, R34)와 병렬접속된 제너다이오드(ZD4)는 상기 제 7 저항분압기(R33, R34)에 인가되는 전압이 자신의 동작전압과 동일한 전압을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너다이오드(ZD4)와 병렬접속된 콘덴서(C15)는 상기 제 7 저항분압기(R33, R34)에 공급될 전압에 포함된 고주파수성분의 잡음신호를 제거한다.
상기 제 3 연산증폭기(A3)는 자신의 비반전단자에 공급되는 분압된 부하전압 검출신호와 자신의 반전단자에 인가되는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비교신호를 전류제한용 저항(R37)을 경유하여 제 1 포토다이오드(PD1)의 애노오드 및 제 2 포토다이오드(PD2)의 캐소오드에 공통적으로 공급한다.
상기 제 3 연산증폭기(A3)에서 발생되는 비교신호는 상기 분압된 부하전압 검출신호가 상기 제 7 저항분압기(R33, R44)에서 발생되는 기준전압보다 큰 경우 제 3직류전압(+Vcc)의 하이논리상태를 갖고, 반대로 상기 분압된 부하전압검출신호가 상기 제 7 저항분압기(R33, R34)에서 발생된 기준 전압보다 작은 경우에는 제 4 직류전압(-Vcc)의 전압레벨을 갖는 로우논리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제 3 연산증폭기(A3)의 반전단자 및 출력단자의 사이에 접속된 저항(R36) 및 콘덴서(C16)의 귀환병렬회로는 상기 제 3 연산증폭기(A3)의 비반전단자에 인가되는 분압된 부하전압 검출신호의 전압이 심하게 증감 또는 감증변화 하더라도 상기 제 3 연산증폭기(A3)에서 발생된 비교신호의 논리상태가 일정기간 변화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제 3 연산증폭기(A3)가 스미트트리거형 비교기로서의 기능을 갖도록 한다.
상기 제 1 포토다이오드(PD1)는 상기 제 3 연산증폭기(A3)로부터의 비교신호가 하이논리상태를 갖을 때 점등되어 형광등 및 방전관에 공급되는 전압이 동작유지전압(예를들면, 80 또는 160V)보다 크다는 것을 나타내는 광신호를 발생한다. 한편, 상기 제 2 포토다이오드(PD2)는 상기 제 3 연산증폭기(A3)로부터의 비교신호가 로우논리상태를 갖을 경우에 점등되어 형광등 및 방전관에 공급되는 전압이 동작유지전압보다 작음을 나타내는 광신호를 발생한다.
또한, 제 3 도에 도시된 전압보상부(24)는 상기 전압에러검출부(22)의 제 1 포토다이오드(PD1)로부터 광신호가 입력될 때 제 1 직류공급라인(37) 및 풀-업저항(R38)을 경유하여 자신의 콜렉터에 공급되는 제 1 직류전원(Vdd)를 자신의 에미터를 거쳐 기저전위(GND)쪽으로 뮤트시켜 0.2V 이하의 전압레벨을 갖는 로우논리상태의 전압감쇠 명렬을 다이오드(D14)를 거쳐 제3 NAND게이트(42)의 양입력 단자에 공급하는 제 1 포토트랜지스터(PT1)와, 상기 전압에러검출부(22)의 제 2 포토다이오드(PD2)로부터 광신호가 입력될 때 제 1 직류공급라인(37) 및 풀-업저항(R56)을 경유하여 자신의 콜렉터에 공급되는 제 1 직류전원(Vdd)를 자신의 에미터를 경유하여 기저전위(GND)쪽으로 뮤트하여 로우논리상태의 전압증가명령을 다이오드(D16)을 거쳐 제4 NAND게이트(44)의 양입력 단자에 인가하는 제 2 포토트랜지스터(PT2)를 구비한다.
상기 제3 NAND게이트(42)는 상기 전압감쇠명령을 완충 및 반전시켜 반전된 전압감쇠명령을 다이오드(D15)를 경유하여 제 8 저항분압기(R40, R41)에 인가한다.
상기 제 8 저항분압기(R40, R41)는 상기 반전된 전압감쇠명령을 일정분압비로 분압된 전압감쇠명령을 제 4 연산증폭기(A4)의 비반전단자에 인가한다.
한편, 상기 제4NAND게이트(44)는 상기 전압증가명령을 완충 및 반전시켜 반전된 전압증가명령을 다이오드(D17)를 경우하여 제 9 저항분압기(R43, R44)에 인가한다.
상기 제 9 저항분압기(R43, R44)는 상기 반전된 전압증가명령을 일정분압비로 분압하여 분압된 전압증가명령을 상기 제 4 연산증폭기(A4)의 반전단자에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전압보상부(24)는 라인(21)을 경유하여 유입되는 제 1 도에 도시된 래더회로(26)로부터의 최상위비트의 디지털 변압제어신호를 완충 및 반전시켜 완충 및 반전된 최상위비트의 디지털 변압제어신호를 트랜지스터(Q6)의 베이스에 인가하기 위하여 세개의 저항(R45~R47) 및 트랜지스터(Q5)로 이루어진 반전회로를 더 구비한다.
상기 트랜지스터(Q5)는 상기 반전회로로부터 자신의 베이스에 인가되는 반전된 최상위비트의 디지털 변압제어신호가 하이논리를 갖을 때 턴-온 되어 상기 제 4 연산증폭기(A4)의 반전단자상의 전압을 자신의 콜렉터 및 에미터를 경유하여 기저전위(GND)쪽으로 뮤트함으로서 상기 제 4 연산증폭기(A4)의 출력이 하이논리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연산증폭기(A4)의 반전단자 및 라인(35)의 사이에 직렬접속된 저항(R48) 및 다이오드(D18)는 상기 라인(35)를 경유하여 인가되는 제 2 도에 도시된 기동전압승압부(16)의 제 1 단안정멀티바이브레이터(34)로부터의 기동펄스를 상기 제 4 연산증폭기(A4)의 반전단자쪽으로 전송한다.
상기 저항(R48)은 기동펄스의 전류량을 제한하는 기능을 하고, 그리고 상기 다이오드(D18)은 상기 제 4 연산증폭기(A4)의 반전단자상의 고전압이 상기 저항(R48)쪽으로 인가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저항(R48) 및 다이오드(D18)와의 접속점으로부터 자신의 베이스로 상기 기동펄스를 유입하는 트랜지스터(Q7)는 상기 기동펄스가 하이논리를 갖는 동안 턴-온되어 상기 제 4 연산증폭기(A4)의 비반전단자상의 전압을 자신의 콜렉터 및 에미터를 경유하여 기저전위(GND)쪽으로 뮤트시킴으로써 상기 제 4 연산증폭기(A4)의 출력신호가 로우논리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제 4 연산증폭기(A4)는 자신의 비반전단자 및 반전단자에 인가되는 전압들을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하이 또는 로우논리를 갖는 비교신호를 양 다이오드(D19, D20)를 각각 경유하여 트랜지스터들(Q8, Q9)의 베이스에 각각 인가한다.
상기 트랜지스터(Q8)는 상기 제 4 연산증폭기(A4)에서 발생되는 비교신호가 로우논리를 갖을 경우에 턴-온되어 상기 제 1 직류공급라인(37)을 경유하여 자신의 콜렉터에 공급되는 제 1 직류전원(Vdd)를 자신의 에미터 및 저항(R50)을 통하여 모터(54)에 공급함으로서 상기모터(54)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반면에, 상기 트랜지스터(Q9)는 상기 제 4 연산증폭기(A4)에서 발생되는 비교신호가 하이논리가 갖을 경우에 턴-온되어 제 2 직류공급라인(39)을 경유하여 자신의 에미터에 공급되는 제 1 도에 도시된 전원부(28)로부터의 제 2 직류전원(-Vdd)을 자신의 콜렉터 및 저항(R52)을 경유하여 상기 모터(54)에 공급함으로서 상기 모터(54)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제 1 직류공급라인(37) 및 기저전위(GND)의 사이에 자신의 양쪽탭을 접속한 가변저항(VR4)은 상기 모터(54)의 회전방향에 따라 저항 분압비를 점진적으로 증감하고, 증감된 저항분압비에 의해 제 1 직류전원(Vdd)을 분압하여 분압된 전압을 변압제어신호로서 자신의 중간탭 및 라인(41)을 경유하여 제 1 도에 도시된 래더회로(26)쪽으로 송출한다.
제 3 도에 도시된 상기 전원부(28)는 제 1 도에 도시된 제1 및 제 2 상용교류입력라인(11,13)에 자신의 1차코일(FL)의 양쪽탭을 각각 접속한 강압트랜스포머(46)를 구비한다.
상기 강압트랜스포머(46)는 자신의 일차코일(FL)에 인가되는 상용교류전원을 강압하여 자신의 2차코일(SL) 및 보조코일(AL)을 거쳐 두개의 브리지다이오드(D21~D24) 및 브리지다이오드(D25~D28)에 전압레벨이 다른 강압된 교류전압을 각각 공급한다.
상기 브리지다이오드(D21~D24)는 상기 강압트랜스포머(46)의 2차코일(SL)로부터의 강압된 교류전압을 전파정류하여 전파정류된 맥류전압을 자신의 제1 및 제 2 출력단자를 통하여 제1 및 제 2 전압레귤레이터(48, 50)에 정 및 부의 맥류전압을 각각 공급한다.
상기 브리지다이오드(D21~D24)의 제 1 출력단자와 상기 강압 트랜스포머(46)의 2차코일(SL)의 중간탭과 보조코일(AL)의 중간탭과의 접속점(43) 사이에 접속된 콘덴서(C18)는 상기 제 1 전압레귤레이터(48)에 공급될 정의 맥류전압을 평활한다. 그리고, 상기 브리지다이으드(D21~D24)의 제 2 출력단자와 상기 접속점(43)의 사이에 접속된 콘덴서(C19)는 상기 제 2 전압레귤레이터(50)에 공급될 부의 맥류전압을 평활한다.
상기 제 1 전압레귤레이터(48)는 상기 브리지다이오드(D21~D24) 및 콘덴서(C18)에 의하여 정류 및 평활된 전압을 안정화하여 정의 일정 전압레벨을 유지하는 제 1 직류전원(Vdd)을 발생하고, 상기 제 1 직류전원(Vdd)를 제 1 직류공급라인(37)을 통하여 송출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전압레귤레이터(50)도 상기 브리지다이오드(D21~D24) 및 콘덴서(C19)에 의해 정류 및 평활된 부의 전압을 안정화하여 부의 일정 전압레벨을 유지하는 제 2 직류전원(-Vdd)을 발생하고, 상기 제 2 직류전원(-Vdd)을 제 2 직류공급라인(39)을 경유하여 전압보상부(24)에 공급한다.
상기 제 1 직류공급라인(37) 및 상기 접속점(43)의 사이에 접속된 콘덴서(C20)은 상기 제 1 직류전원(Vdd)에 포함된 고주파수성분의 잡음신호를 제거하고, 한편 상기 제 2 직류공급라인(39) 및 상기 접속점(43)의 사이에 접속된 콘덴서(C21)은 상기 제 2 전압레귤레이터(50)에 의해 발생된 상기 제 2 직류전원(-Vdd)에 포함된 고주파수성분의 잡음신호를 제거한다. 그리고 상기 브리지다이오드(D25~D28)도 상기 강압트랜스포머(46)의 보조코일(AL)로부터의 교류전압을 전파정류하여 전파정류된 정 및 부의 맥류전압을 자신의 제1 및 제 2 출력단자를 통해 제2 및 제 3 제어용스위치(SW2,SW3)에 공급한다.
상기 브리지다이오드(D25~D28)의 제 1 출력단자와 상기 접속점(43)의 사이에 접속된 콘덴서(C22)는 제 2 제어용스위치(SW2)에 공급될 정의 맥류전압을 평활한다. 그리고 상기 브리지다이오드(D25~D28)의 제 2 출력단자 및 상기 접속점(43)의 사이에 접속된 콘덴서(C23)는 상기 제 3 제어용스위치(SW3)에 공급될 부의 맥류전압을 평활한다.
또한, 상기 제 1 직류공급라인(37)로부터 제 1 직류전원(Vdd)를 유입하는 제 3 단 안정멀티바이브레이터(52)는 제 1 직류전원(Vdd)가 공급되기 시작한 시점으로부터 일정기간 하이논리를 유지하는 전원지연제어신호를 저항(R54)를 경유하여 트랜지스터(Q10)의 베이스에 공급한다.
상기 전원지연제어신호의 하이논리의 펄스폭은 상기 제 1 직류공급라인(37) 및 상기 제 3 단안정멀티바이브레이터(52)의 트리거단자의 사이에 접속된 저항(R53)과 상기 제 3 단안정멀티바이브레이터(52)의 트리거단자 및 기저전위(GND)의 사이에 접속된 콘덴서(C24)에 의한 결정되는 시정수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 트랜지스터(Q10)는 두개의 저항(R54, R55)와 함께 반전회로로서 작용하여 상기 제 3 단안정멀티바이브레이터(52)로부터의 전원지연제어신호를 완충 및 반전하고 반전된 전원지연제어신호를 트랜지스터(Q11)의 베이스에 공급한다.
상기 트랜지스터(Q11)는 상기 반전된 전원지연제어신호가 하이논리를 갖을때(즉, 제 1 직류전원(Vdd)가 공급되기 시작한 때로부터 일정기간 지난 후부터 공급이 중단될 때까지의 기간)에 턴-온되어 릴레이여자코일(RY2)의 전류통로를 형성시킨다.
상기 릴레이여자코일(RY2)는 전류통로가 형성될 때 전자력을 발생하여 상기 제2 및 제 3 제어용스위치(SW2, SW3)를 턴-온시킨다. 그러면 상기 제 2 제어용스위치(SW2)는 상기 브리지다이오드(D25~D28) 및 콘덴서(C22)에 의해 정류 및 평활된 정의 직류전압을 제 3 직류전원(Vdd)으로서 제 3 직류공급라인(45)을 통해 제1~12 연산증폭기(A1~A12)에 공급한다. 그리고 제 3 제어용스위치(SW3)도 상기 브리지다이오드(D25~D28) 및 콘덴서(C23)에 의해 정류 및 평활된 부의 직류전압을 제 4 직류전원(-Vcc)으로서 제 4 직류공급라인(47)을 경유하여 제1~12연산증폭기(AS1~A12)에 공급한다.
제 4 도에는 제 1 직류공급라인(37)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부(28)로부터의 제 1 직류전원(Vdd)을 일정한 이율의 차이를 갖도록 8개의 분전압으로 분압하여 분압된 8개의 분전압을 제5~12연산증폭기(A5~A12)의 반전단자에 각각 공급하는 제10저항분압기(R56~63, VR5)을 구비하는 래더회로(26)이 설명되어 있다.
상기 제10저항분압기(R56~63, VR5)에 의해 분압된 분전압중 제 5 연산증폭기(A5)에 공급되는 분전압이 제일 큰 전압레벨을 갖고, 그리고 제6~12연산증폭기(A6~A12)에 공급되는 분전압들은 점진적으로 일정전압차 만큼 낮은 전압레벨을 갖는다.
상기 제5~12연산증폭기(A5~A12)들은 각각 상기 제10저항분압기(R56~63, VR5)로부터 자신의 비반전단자에 공급되는 분전압과 라인(41)을 통해 자신의 반전단자에 공급되는 제 3 도에 도시된 전압보상부(24)의 가변저항(VR4)로부터의 변압제어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변압제어신호가 분전압보다 클 때 하이논리를 비교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변압제어신호가 제 5 연산증폭기(A5)에 공급되는 분전압보다 큰 경우 상기 제5~12연산증폭기(A5~A12)의 비교신호는 모두 하이논리를 갖고, 반대로 상기 변압제어신호가 상기 제12연산증폭기(A12)에 공급되는 분전압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제5~12연산증폭기(A5~A12)의 비교신호는 모두 로우논리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변압제어신호가 제 9 연산증폭기(A9)에 공급된 분전압보다는 작고 제10연산증폭기(A10)에 공급되는 분전압보다는 클 경우, 상기 제5~9연산증폭기(A5~A9)의 비교신호는 로우논리를 갖는 반면에 제10~12연산증폭기(A10~A12)의 비교신호는 모두 하이논리를 갖는다.
상기 제5~12연산증폭기(A5~A12)의 각 출력단자와 기저전위(GND)의 사이에 각각 접속된 2개의 저항(R72~R87) 및 하나의 제너다이오드(ZD5~ZD12)는 하이논리의 비교신호의 전압을 제너다이오드의 동작전압 이하로 제한한다.
상기 제5~12연산증폭기(A5~A12)의 각 반전단자 및 출력단자에 접속된 콘덴서(C24~C31) 및 저항(R64~R71)의 병렬귀환 회로는 상기 제5~12연산증폭기(A5~A12)가 스미트트리거형 비교기로 작용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래더회로(28)는 16개의 반전소자(54~69), 8개의 NAND게이트(70~77) 및 8개의 버퍼(78~85)로 이루어진 디코딩회로를 구비한다.
상기 디코딩회로는 상기 제5~12연산증폭기(A5~A12)로부터의 8비트의 디지털 비교신호를 디코딩하여 어느한 비트만 로우논리 상태를 갖는 8비트의 디지털 변압제어신호를 버스라인(53)을 통해 제 1 도에 도시된 변압제어부(12)에 공급한다.
상기 8비트의 비교신호가 모두 하이논리를 갖을 경우에는 상기 8비트의 디지털 변압제어신호들중 최상위 비트만 로우논리를 갖고, 상기 8비트의 비교신호가 모두 로우논리상태를 갖는 경우에는 상기 8비트의 변압제어신호의 8비트는 모두 하이논리를 갖는다. 그리고 1~3번째 비트의 비교신호만이 하이논리를 갖을 경우에는 상기 8비트의 변압제어신호중 3번째 비트만이 로우논리를 갖는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조위의 전력변화에 따라 형광등 및 방전등과 같은 교류부하에 공급되는 전압을 일정레벨로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기동시 큰 교류전압을 형광등 및 방전관에 공급한 후, 정상모드시 동작에 필요한 낮은 교류전압을 공급하도록 하여 전력의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Claims (1)

  1. 상용교류전원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수단과,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의 상용교류전원을 변압하여 교류부하쪽으로 변압된 교류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일차측에 고정탭과 가변탭을 구비한 변압 트랜스포머와, 상기 입력수단 및 상기 변압 트랜스포머의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트랜스포머의 일차측의 상기 가변탭에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다수의 탭을 구비하여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의 상용교류전원을 상기 변압트랜스포머의 일차측에 공급하여 변압비를 조절하기 위한 변압제어수단과, 상기 변압 트랜스포머의 2차측에 유기되는 변압된 교류전원을 감지하기 위한 전압감지수단과, 상기 전압감지수단으로부터의 감지전압을 자체내에 설정된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에러전압량을 검출하는 전압에러검출수단과, 상기 전압에러검출수단으로부터의 검출된 에러전압 만큼 증가 및 감소되는 아날로그 변압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전압보상수단과, 상기 전압보상수단으로부터의 아날로그 변압제어신호를 디지털 변압제어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디지털 변압제어신호를 상기 변압제어신호에 인가하는 래더회로수단과,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의 상용교류전원 및 상기 변압 트랜스포머의 2차측으로부터의 변압된 교류전압을 교류부하쪽으로 선택적으로 절환하는 제어용 스위치수단과, 상기 입력수단 및 상기 변압제어수단의 사이에 접촉되어 상기 변압제어수단에 공급되는 상용교류전원의 전류량을 감지하는 전류 감지수단과, 상기 전류감지수단에 의하여 전류가 검출될 때 소정 논리의 기동펄스를 상기 변압비조절수단에 인가하여 상기 변압제어수단의 출력인 변압제어신호가 최대의 전압레벨을 유지하도록 하는 기동전압승압수단과, 상기 전류감지수단으로부터의 감지전류신호를 자체내에 설정된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그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용 스위치수단을 제어하는 과부하보호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장치.
KR1019930021129A 1993-10-12 1993-10-12 전원 제어장치 KR950014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1129A KR950014013B1 (ko) 1993-10-12 1993-10-12 전원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1129A KR950014013B1 (ko) 1993-10-12 1993-10-12 전원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2181A KR950012181A (ko) 1995-05-16
KR950014013B1 true KR950014013B1 (ko) 1995-11-20

Family

ID=19365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1129A KR950014013B1 (ko) 1993-10-12 1993-10-12 전원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140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0935B1 (ko) * 2006-11-02 2008-05-22 주식회사 디엠비테크놀로지 소비전력 제어를 이용한 방전관 제어 장치
KR101336793B1 (ko) * 2012-02-28 2013-12-04 주식회사 뉴파워 프라즈마 플라즈마 발생을 위한 전원 공급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2181A (ko) 1995-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2657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abilizing AC power supply systems connected to power factor correcting loads
US5347164A (e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having a 115V or 230V selectable AC output and power saving
US5811963A (en) Line powered DC power supply
WO2016089032A1 (ko) 모터 구동 장치,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및 그의 제어방법
US8035251B2 (e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TWI405061B (zh) 用於調節電壓的方法及其電路
KR100263031B1 (ko) 대기 모드를 가지는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
US7573251B2 (en) AC-to-DC voltage regulator
JPH1097356A (ja) 節電型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241401B1 (ko) 보조 전원 공급회로
KR950014013B1 (ko) 전원 제어장치
JP2005020917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およびスイッチング電源制御用半導体装置
KR20040042618A (ko) 압축기 구동시스템
JP2660172B2 (ja) 二重化電源装置のソフトスタート回路
JPS62135269A (ja) 突入電流防止回路
KR0132076Y1 (ko) 전원공급장치의 전류검출회로
JP2592523B2 (ja) 電源装置の制御装置
JPH04281343A (ja) 無瞬断電源切替方法および無瞬断無停電電源装置
KR940000577Y1 (ko) 진공청소기의 속도 제어 장치
KR0162573B1 (ko) 모니터의 절전회로
JPH08273869A (ja) 放電灯点灯装置
KR20010027874A (ko) 승압형 초퍼의 입력전류 제한 제어장치
KR0143276B1 (ko) 모니터의 소프트 스타팅 회로
JPH1132447A (ja) 無停電電源システム
WO2023213613A1 (en) Driver arrangement including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12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