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3954B1 - 저 NOx 버너 - Google Patents

저 NOx 버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3954B1
KR950013954B1 KR1019870005224A KR870005224A KR950013954B1 KR 950013954 B1 KR950013954 B1 KR 950013954B1 KR 1019870005224 A KR1019870005224 A KR 1019870005224A KR 870005224 A KR870005224 A KR 870005224A KR 950013954 B1 KR950013954 B1 KR 9500139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air
secondary air
pulverized coal
nozz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5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1416A (ko
Inventor
시게루 아즈하따
기요시 나라또
히로노부 고바야시
겐이찌 쇼마
도오루 이나다
노티오 아라시
히로시 미야데라
마사오 마쓰다니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 세이샤꾸쇼
미다 가쓰시게
바브콕크-히다찌 가부시기가이샤
요꼬다 이찌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475690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5001395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 세이샤꾸쇼, 미다 가쓰시게, 바브콕크-히다찌 가부시기가이샤, 요꼬다 이찌로오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 세이샤꾸쇼
Publication of KR870011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14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3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39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00Burners for combustion of pulverulent fuel
    • F23D1/02Vortex burners, e.g. for cyclone-type combustion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7/00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air supply
    • F23C7/002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air supply the air being submitted to a rotary or spinning motion
    • F23C7/004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air supply the air being submitted to a rotary or spinning motion using v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저 NOX버너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미분탄용 버너의 일실시예의 종단면도,
제 2 도는 좌측 반부가 제 1 도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다면도이며 우측반부가 제 1 도의 선 B-B를 따라 취한 도면으로, 레이디얼 유동형 선회류 발생기의 구조도,
제 3 도는 측류형 선회류 발생기를 보이는 부분절개 사시도,
제 4 도는 제 1 도에 보인 비분탄용 버너의 번형예의 종단면도,
제 5 도는 스페이서를 생략한 것으로 제1도와 유사한 종단면도,
제 6 도는 제 1 도 및 제 5 도에 보인 버너의 사용에 의해 재에 있는 가연물과 미분탄의 연소로 얻어진 NOX사이의 실험결과를 보인 다이어그램,
제 7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미분탄용 버너에서 협동하는 화염 호울더의 한 예를 보이는 부분절개 사시도.
제 8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미분탄용 버너의 제 2 실시예의 종단면도,
제 9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미분탄용 버너의 제 3 실시예의 종단면도,
제10도는 제 9 도의 선 X-X를 따라 취한 단면도(end view),
제11도는 버너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제 9 도의 버너의 부분 종단면도,
제12도는 제 9 도에 보인 버너의 한 변형예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end view),
제13도, 제14도 및 15도는 제 9 도의 버너에 의해 얻어진 효과를 보이는 테스트데이터 다이어그램,
제16도는 제 9 도에서 보인 버너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제17도는 제16도의 선 XⅦ-XⅦ을 따라 보인 단면도(end view).
제18도는 버너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제16도의 버너의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미분탄노즐 4 : 2차 공기노즐
6 : 3차 공기노즐 8 : 액체 연료노즐
10 : 화염홀더 12, 14 : 선회류발생기
16, 20 : 베인 24 : 환상 스페이서
26 : 드로우트 28 : 블럭
본 발명은 연소가스에서 질소산화물(이하에서 NOX로 언급한)의 발생을 억제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는 버너에 관한 것으로, 특히 미분탄의 연소중에 NOX발생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미분탄용 저 NOX버너에 관한 것이다.
화석연료에는 탄소, 수소 등과 같은 연소성분 뿐 아니라 질소가 있다. 특히 석탄에는 기체 연료나 액체연료와는 달리 비교적 많은 양의 질소가 있다. 따라서 석탄의 연소중에 발생된 NOX발생량은 기체연료의 연소중에 발생된 양보다 더 많다. 그러므로 이런 NOX발생은 최대한으로 감소되거나 억제되어야 한다.
여러 연소의 연소중에 발생된 NOX는 발생원인에 의거하여 열 NOX와 연료 NOX로 나누어진다. 열 NOX는 연소 공기에 있는 질소의 산화에 의해 발생되고, 반면에 연료 NOX는 연료에 있는 질소의 산화에 의해 발생된다.
이런 NOX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다양한 연소방법이 제안되었다. 종래의 대표적인 연소방법들중 하나는 많은 연소공기가 모든 단계에 공급되는 다단연소 방법이다.
다른 종래의 대표적인 연소방법은 낮은 산소농도의 배기가스가 연소영역으로 공급되는 배기가스 재순환 방법이다. 이들 종래의 저 NOX연소방법에 대한 공통원리는 질소와 산소 사이의 반응이 화염온도를 낮추어서 억제되는 것이다.
그러나 화염온도를 낮추어서 억제될 수 있는 NOX는 열 NOX이다. 즉, 연료 NOX의 발생은 화염온도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화염온도를 낮추어서 NOX발생을 억제하는 연소방법은 질소비율이 낮은 연료의 연소에만 효과적이다. 그러나, D. W. Pershing과 J. O. L. Wendt에 의해 입증된 바와 같이 석탄 연소에 의해 발생된 NOX가 연료 NOX의 약 80%를 함유하기 때문에 이 종래의 연소방법은 석탄연소에 비효과적이다(1976년 연소연구소의 연소에 대한 제16차 심포지움(국제), P389-399,화염온도와 연료 NOX의 영향」에서 언급함).
석탄에 있는 가연물은 휘발물(성분)과 고체성분으로 나눌 수 있다. 석탄의 고유특성에 따라 미분탄용 연소 방법에는 휘발물이 휘발되거나 방출되는 미분탄을 열분해하는 열분해 과정과, 열분해후 가연성 고체성분(이하에서 탄화라 함)을 연소시키는 연소과정이 있다. 휘발물의 연소율은 고체 성분보다 더 높으며, 이에 따라 후발물은 초기 연소단계에서 연소된다. 상기 열분해 과정에서 석탄에 함유된 질소(N-성분)는 다른 휘발물과 함께 휘발성분이 제거된 N-성분과 탄화에 남아있는 N-성분으로 분리된다.
그러나 석탄연소의 경우에는 D. W. Pershing과 J. O. L. Wendt에 의해 지적된 바와 같이 NOX발생의 대부분이 휘발물(즉 연료 NOX)로부터 얻어진 NOX이다. 이 사실로 볼때 석탄연소에서 연료 NOX에 관한 문제점을 해결할 필요가 있다.
휘발성 N-성분은 산소희박지역에서 또 연소 초기단계에서 NH₃, HCN등과 같은 화합물을 형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질소화합물은 산소와 반응하여 NOX를 만들뿐만 아니라 발생된 NOX와 반응하여 NOX를 질소로 분해시키는 환원 또는 탈산제로써 작용한다. 질소 화합물과 NOX의 이 환원반응은 이런 화합물이 NOX와 공존할 때 계속된다.
즉 질소화합물이 NOX와 공존하지 않는다면 질소화합물이 대부분은 산화되어 NOX를 만든다. 더우기 연소와 같은 고온상황하에서 이 환원 반응은 대기에 함유된 산소비율이 감소함에 따라 계속 진행하게 된다. 따라서 석탄의 연소 중에 NOX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서 저농도의 산소(즉 저산소 영역)을 함유하는 대기를 어떻게 만드느냐 하는 것이 기술적인 핵심이다.
일본국 실용신안등록 공개 제82-94004호, 일본국 특허 공개 제80-30161호, 또는 문헌(1976년 D. M. Zallen, R. Gershman, M. P. Heap와 W. H. Nurck의 제 3 정상원 연소시스템의 회보, 제 2 권 P 73-109, "저방사 석탄 버너기술의 일반론")에 기술된 바와 같이 현재까지 알려진 것으로 화염에서 저산소 영역을 형성하는 종래의 버너는 2차 연소공기 노즐이나 3차 공기노즐을 연료 노즐로부터 멀리 배열하여서 과잉 공기와 연료농후 화염의 혼합을 지연시키는 버너이다.
상기 종래의 버너에서 2차 또는 3차공기는 연료노즐의 출구로부터 방사상으로 이격된 공기노즐에서 직선 전진젯트로써 분사된다. 따라서 이 종래의 버너의 수단에 의한 연소에서 연료농후화염과 과잉공기의 혼합이 지연되기 때문에 연료농후 화염에서 저산소 영역을 형성하는 것은 쉽다. 그러나 혼합이 지연됨에 따라 연소시간은 길어져 연소효율이 저하된다. 더우기 상기 종래의 버너는 대형의 연소설비를 갖춰야 하는 다른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과잉공기와 연료농후화염의 향상된 혼합을 행하는 저 NOX버너를 제공하는 것이며, 특히 연소효율의 저하를 방지하고 또한 장치의 대형화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NOX발생을 억제하는 개량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고, 여기서 저 비율의 산호를 함유한 영역(저산소 영역)은 효과적으로 화염의 중심에 형성되며, NOX가 상기 영역에서 탈산되고 환원된 후에 상기 영역에 있는 가연물과 연소 공기는 저산소 영역의 하류부에서 급격하게 혼합된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목적은 연료와 연소공기를 혼합하는 방법을 디 개량하여서 달성된다.
본 발명의 한 양상에 따라 저 NOX버너는 1차공기와 미분탄의 혼합물의 유동을 분사하는 미분탄노즐과, 이 미분탄노즐과 동축상에서 외측에 배열된 2차공기 노즐과, 2차공기놀즐의 외측에 배열되며 미분탄 노즐과 동축상에 배치된 3차공기 노즐과, 2차공기와 3차공기를 각각의 선회류로써 분사하는 선회류 발생수단과, 2차공기노즐과 3차공기노즐 사이에 배치되며 2차공기와 3차공기의 혼합을 지연시켜 2차공기와 3차공기사이에 선회류를 형성할 수 있는 두께를 갖는 스페이서 수단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라 상기 저 NOX버너는 미분탄과 1차공기의 혼합물의 유동과 2차공기의 유동 사이에 선회류를 형성하기 위해 미분탄 노즐의 자유단에 화염 홀더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라 상기 저 NOX버너는 화염홀더수단 대신에 스페이서 수단에 배치된 기체연료 노즐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네번째 양상에 따라 상기의 한 양상에 따른 저 NOX버너는 미분탄과 1차공기의 혼합물의 유동과 2차공기의 유동사이에 선회류를 형성하기 위해 미분탄 노즐의 자유단에 있는 화염홀더수단과, 스페이서 수단에 배치된 기체연료노즐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섯번째 양상에 따라 상기의 한 양상에 따른 저 NOX버너에서는 미분탄노즐이 원통형 또는 다각형 분사 출구를 가지고, 2차공기 노즐이 미분탄 노즐의 분사출구를 에워싸도록 배치된 다각형 리듀서로 이루어진 2차공기 분사 출구를 가지며, 3차 공기 노즐이 2차공기 분사출구를 에워싸도록 배치된 원통형 또는 다각형 3차공기분사출구를 갖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버너에서는 2차공기노즐과 3차공기노즐 사이에 배치된 스페이서는 반경 방향에 있는 3차공기로부터 2차공기를 떼어 놓거나 분리하여 2차공기와 3차공기의 혼합을 지연시키고, 이에 의해 NOX를 탈산시키기 위한 환원 영역을 형성한다. 더우기 스페이서는 2차공기 유동과 3차공기 유동사이에 선회류를 발생시키고, 이에 의해 화염의 홀딩을 향상시킨다. 3차공기노즐과 관련된 선회류 발생기는 3차 공기를 선회류로 바꿈으로써 연료의 직선전진 유동과 3차 공기의 혼합을 지연시킬 수 있고, 상기 선회류에서 시작되는 저압구역의 이용에 의해 환원 영역에 있는 가연물과 3차공기의 혼합을 화염의 하류부에서 촉진시킬 수 있어서 연소효율의 악화를 방지할 수도 있다. 더우기 3차공기 노즐에 있는 노즐 익스텐션을 다른 노즐의 노즐단부를 지나서 신장되며 3차공기의 선회류의 형성을 촉진하기 위한 섹션을 한정하고, 이에 따라 3차공기 선회류의 발생효율을 향상시키고, 3차공기의 선호강도가 향상될 때 3차 공기가 반경 방향으로 과도하게 흩어지는 현상을 방지한다.
더우기 본 발명에서 2차공기(연료 농후화염점화 및 형성)와 3차공기(완전 연소의 달성)의 유량, 분사속도등은 본 발명의 구조에서 점화공기가 2차공기와 3차공기와 같이 독립적으로 공급된다는 사실 때문에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어서 여러 종류의 석탄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2차 공기노즐과 3차공기노즐 사이에 배치된 스페이서와 선회류 발생기는 2차공기의 역활을 3차공기의 역활과 명확히 구별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작용한다.
본 발명에 따라 완전 연소를 달성하기 위한 공기(즉 연소공기)와 낮은 공기비의 화염의 혼합이 화염에 있는 환원 영역에서 시작하도록 버너의 부근에서 지연되기 때문에 NOX의 발생은 현저하게 억제되고, 환원영역의 하류부에 있는 연소공기와 가연물의 혼합은 급격히 진행되어서 NOX발생의 억제 뿐만 아니라 연소 효율의 향상을 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서 2차 공기의 유동통로(즉, 2차공기 노즐)는 다각형상을 갖도록 제조될 수 있고, 블럭으로 구성된 다각형 리듀서는 상기 통로의 출구에 배열될 수 있어서, 2차공기의 선회가 연료젯트의 감속을 촉진하도록 다각형의 장점에서 일어나며, 미분탄과 점화공기의 혼합을 촉진하기 위한 혼합층이 발생되어 화염이 홀딩을 향상시키고 연료의 점화를 촉진시킨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1도는 미분탄용 버너의 제 1 실시예를 보인다. 제 1 도에 보인 버너는 미분탄과 이 미분탄을 위한 운반공기인 1차공기를 포함한 유체 혼합물을 분사하는 미분탄노즐(2)과, 2차공기를 분무하기 위해 노즐(2)의 둘레에 배열된 환상의 2차공기노즐(4)과, 노즐(4)의 둘레에 배열된 환상의 3차공기노즐(6)로 구성된다. 액체연료 노즐(8)은 미분탄노즐(2)내에 배치되고, 연소로가 예열될때 노즐(8)은 증유등과 같은 액체연료의 젯트를 제공한다. 미분탄노즐(2)의 외측단에는 노즐(2)의 외측반경방향으로 벌려진 화염홀더(10)가 배치된다. 화염홀더는 노즐(2)로부터 유체혼합물과 노즐(4)로부터 2차공기를 혼합하여 선회류를 발생시키고, 이에 의해 미분탄의 가연성을 향상시킨다.
2차 및 3차공기노즐(4)(6)과 각각 관련된 선회류발생기(14)(12)는 각각의 2차공기와 3차공기의 선회레벨을 조정하는 데에 이용된다. 제 2 도에 보인 바와 같이 3차 공기노즐(6)과 관련된 선회류발생기(12)는 다수의 블레이드 또는 베인(16)과 베인의 경사각(α)을 바꾸거나 조정하는 메커니즘(18)으로 이루어진 반경류타입의 선회류 발생기이다.
발생기(12)는 베인(16)의 경사각(α)을 바꾸어서 반경 방향으로 유동하는 3차 공기의 속도의 접선계수(선회계수)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2차공기노즐(4)에 부착된 선회류 발생기(14)는 제 3 도에 보인 바와 같이 축류 타입의 선회류 발생기이며, 이 발생기는 공기 유동 방향을 따라 배열된 베인(20)의 경사각(β)을 바꾸어서 2차공기 유동의 선회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2차공기노즐(4)과 3차공기노즐(6) 사이에 배열된 환상스페이서(24)는 2차공기와 3차공기의 혼합을 지연시키는 수단으로써 작용한다. 연료와 공기는 블럭(28)에 형성된 드로우트(26)를 통하여 연소로(도시하지 않음)에 분무되거나 분사된다. 블럭은 블럭의 확대 마우스(mouth)부와 각 노즐출구 사이에 직선 벽부(제 1 도에 보인 단면도)를 갖고 있다.
상기 구조를 갖는 미분탄용 버너에서 미분탄노즐(2)로부터 분사된 미분탄 1차 운반공기와 2차공기에 의해 점화되거나 발화되고, 이에 의해 전체 화명의 중심에서 연료 농후화염을 발생한다. 이 연료농후화염은 화염홀더(10)에 의해서 또 2차공기의 선회강도와 유량의 조정에 의해서 안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버너에서 3차공기와 연료 농후화염의 혼합이 3차공기 유동과 2차공기 유동사이에 배치된 스페이서(24)에 의해 지연되기 때문에, 연료농후 화염에서 연소공기에 있는 산소가 점화에 의해 소비된 후 저산소농도를 갖는 환원 또는 탈산 영역은 버너드로우트(26)의 부근에서 발생한다.
NOX가 환원 영역에서 탈산된 후에 3차공기는 잔류 가연울의 완전 연소를 달성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NOX가 탈산된 후 3차공기는 잔류가연물의 신속한 산화를 행사기 위해 중심유동과 급격하게 혼합될 필요가 있다.
3차공기가 버너의 중심에서 먼 반경방향 위치에서 직선 전진 유동의 행태로 분사되는 상기의 종래 버너에서는 3차 공기 유동이 중심유동과 천천히 혼합되기 때문에 환원 영역이 효과적으로 형성되거나 발생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 3차 공기가 환원 영역에 있는 가연물과 급격하게 혼합될 수 없기 때문에 화염이 길어진다. 이것이 상기 종래 버너의 단점들중 하나이다. 종래 버너의 다른 단점은 비교적 많은 양의 가연물이 배출되는 것이다.
한편 제 1 도에 보인 미분탄용 버너에서 3차공기는 선회류 형태로 분사된다. 3차 선회공기유동방향이 직선전진 연료유동 방향과 다르기 때문에 이 3차선회공기 유동은 직선전진 공기 유공과 비교하여 버너출구의 근처에서 직전전진 연료유동과 혼합되는 것이 어렵다. 더우기 선호류의 중심부에 있는 정압이 선회강도의 중가에 따라 감소하기 때문에, 화염유동의 하류부에서 연료의 유동방향에 반대인 화염의 하류부로부터 버너출구를 향하는 유동을 포함한 재순환 유동이 일어나고, 이 재순환 유동에 의해서 화염유동의 하류부에서 중심유동과 3차공기의 혼합이 촉진된다. 따라서 제 1 도에 보인 버너에 의해 연료와 3차공기의 혼합이 버너근처에서 억제되고 화염유동의 하류부에서 촉진되기 때문에 , NOX의 탈산을 행사는 데에 필요한 환원 영역을 만드는 것이 쉽고, 또한 NOX의 탈산후의 잔류가연물을 산화시키는 것이 쉽다.
상기한 바와 같이 화염의 중심유동과 3차 공기의 혼합에 관하여 이런 최적 조건을 얻기 위하여 3차공기의 선회강도의 최적치를 결정할 필요가 있고, 이에 의해 선회류의 발생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하기 위해 다른 노즐보다 3차공기노즐을 더 길게 하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것을 실험으로 알 수 있다. 이런 향상으로 안정된 순환유동이 화염홀더의 둘레 뿐만 아니라 2차 노즐과 3차노즐사이에 배치된 스페이서 (24)의 둘레에 발생되기 때문에 화염의 홀딩이 향상된다.
제 1 도의 실시예에서 보다 긴 3차공기 노즐을 얻기 위해 노즐(6)에 블럭(28)으로 구성된 노즐 익스텐션이 있다. 노즐 익스텐션의 형상은 적절히 선택되며, 제 1 도의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노즐 익스텐션의 직경은 가능한 큰 것이 효율적이다. 그러나 보일러의 경우에서와 같이 버너둘레의 연소실이 수관으로 형성될 때 사용하는 연소실을 변향시키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노즐 익스텐션의 직경을 자주 증가시키는 것은 어렵다.
본 발명에서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럭(28)은 2차 공기노즐의 자유단에서 외측으로 벌려질 수 있고, 이 경우에는 환원 영역을 만드는 것이 더 쉽다.
쉽게 상상할 수 있는 바와같이 2차공기노즐(4)과 3차공기노즐(6)사이의 간격을 증가시키기 위해 2차공기노즐과 3차공기노즐사이에 위치된 스페이서(24)의 직경을 가능한 크게 증가시키는 것이 환원된 NOX발생에는 효과적이고, 이에 의해 연료와 3차공기의 혼합이 지연된다. 그러나 스페이서(24)의 직경이 증가된다면 3차 공기노즐(6)을 형성하는 환상간격은 더 작게 되어 버너의 제조가 어렵게 된다.
제 4 도에 보인 바와 같은 블럭(28)의 구조로 스페이서(24)의 치수가 증가된다면, 3차공기가 3차공기의 선회강도를 증가시켜 블럭(28)의 벌려진 내부벽을 따라 분사될 수 있게 때문에, 2차 및 3차 노즐사이의 간격을 증가시켜서 얻어지는 효과와 같은 기술적 효과가 얻어진다.
더우기 미분탄용 노즐을 이중노즐 구조로 변형시킴으로써 본 발명은 미분탄이 다수의 통로로부터 공급되는 버너에 응용될 수 있다. 이런 버너는 버너의 조작 및 제어가 미분탄의 별개의 공급에 관한 부가의 조작 때문에 복잡하다는 단점을 갖는다. 그러나 이와 대조적으로 미분탄과 2차 점화 공기의 혼합이 미분탄의 별개 공급에 의해 촉진되기 때문에 연료의 점화성과 화염의 홀딩은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버너는 버너의 부근에서 산소소비가 촉진되고 이에 따라 NOX의 발생을 감소시키는 데에 효과적이라는 사실 때문에 환원영역을 쉽게 만들 수 있다.
제 6 도는 미분탄이 스페이서를 생략한 제 5 도의 버너와 제 1 도의 버너의 사용에 의해 탈 때 얻은 실험데이터이다. 실험에 사용된 석탄은 31.1wt%의 휘발물과 53.2%의 응고된 탄소와 15.7%의 재 그리고, 1.04%의 질소를 함유한다. 더우기 마분탄이 각각 74㎛ 이하의 직경을 갖는 석탄 입자의 약 80wt%를 포함하여서 석탄은 분쇄된다.
석탄공급율은 300㎏/h이고, 석탄은 수냉벽으로 형성된 연소통로에서 탄다. 제 6 도에 보인 테스트 데이터는 약 2초동안의 거주시간이 지날때 측정된 테스트연소의 결과이다.
제 6 도는 재에 있는 가연물과 NOX사이의 관계를 보인다. 재에 있는 가연물의 단위는 테스트연소후 수집되거나 얻어진 고체물에 있는 가연물의 중량퍼센트(wt%)이다. 제 6 도에서 오픈심볼은 제 5 도의 버너에서 행해진 테스트의 결과를 보이며, 솔리드 심볼은 제 1 도의 버너에서 행해진 테스트의 결과를 보인다. 더우기 테스트에 사용된 제 1 도의 버너에서 스페이서(24)의 두께는 50㎜이다. 제 6 도에서 재에 남아 있는 가연물이 많으면 많을수록(즉, 연소효율이 낮으면 낮을수록) NOX발생은 더 적게 된다는 것이 분명하다. 더우기 제 6 도의 다이어그램으로 명백한 바와 같이 제 1 도의 버너에서 얻어진 가연물량이 제 5 도의 버너에서 얻어진 것과 같을때, 제 1 도의 버너에서 발생된 NOX발생은 제 5 도의 버너에서 발생된 것보다 더 작고, 이것은 스페이서의 유효성을 입증하는 것이다.
제 7 도에 보인 바와같이 L형 구조를 갖는 화염홀더(10)가 일본국 특허 공개 제85-226609호와 미합중국 특허 제4,543,30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화염의 홀딩과 연료의 점화성을 더 향상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연료의 가연성은 제 7 도에 도시한 L형 화염홀더의 이용으로 더 향상된다.
제 8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보인다. 이 제 2 실시예에 버너에서 제 1 도의 액체 연료노즐(8) 대신에 기체 연료노즐(30)이 있고, 이 기체 연료노즐(30)은 스페이서 (24)를 통하여 지난다. 이 구조로 제 8 도의 버너는 미분탄과 기체연료의 혼합 및 이 혼합물의 연소를 할수 있고, 또한 기체연료 또는 미분탄(고체연료)을 선택적으로 공급하여 점화시킬 수 있다. 더우기 제 1 도에 보인 바와같이 액체연료 노즐(8)이 제 8 도의 버너의 연료노즐(2)에 합동된다면, 어떤 연료(액체 연료, 기체연료 및 고체연료)도 효과적으로 점화될 수 있다.
제 9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미분탄용 버너의 제 3 실시예의 종단면도이고, 제10도는 제 9 도의 선 X-X선을 따라 보인 버너의 단면도(end view)이다. 제 3 실시예의 버너는 2차공기 노즐(4)과 3차공기노즐(6) 사이에 위치된 스페이서(24)가 다각형 단면의 내부면을 갖고 있다는 점에서 제 1 실시예의 버너와다르며, 다각형 리듀서(32)는 2차공기 노즐(4)의 출구부근에 형성된다.
제11도는 본 발며의 조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분사된 1차유동과 분사된 2차공기유동(34)의 각각은 혼합층(36)이 미분탄의 분사된 유동과 분사된 2차공기 유동사이의 경계에서 쉽게 발생될 수 있다는 결과로 리듀서(32)의 장점에 대응하는 네 위치에서 선회 또는 소용이를 형성하고, 미분탄과 1차 운반공기의 혼합물의 젯트 또는 유동의 속도는 감소되거나 감소되어서 선회의 형성에 의해서 화염의 홀딩과 연료의 점화성을 향상시킨다.
제12도는 버너가 다른 2차공기노즐 또는 통로(4)를 갖고 있는 것으로 본 발명 버너의 변형예이다. 이 버너에서 다각형 리듀서(32)는 정규의 육각형 단면을 갖고 있다.
제10도의 다각형(사각형) 리듀서(32) 뿐만 아니라 정규의 육각형 리듀서는 리듀서의 장점에 대응하는 여섯 위치에서 2차공기의 선회를 형성하고, 이에의해 또한 미분탄의 점화성도 향상된다.
다음에 본 발명으로 얻을 수 있는 기술은 제 9 도와 10도의 버너에 의해 얻은 테스트데이스를 보이는 제13도 내지 15도를 참고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제13도는 80%의 석탄입자를 포함한 미분탄을 얻기 위해 퍼시픽오션 석탄이 분쇄된 조건하에서 행해진 미분탄연료의 테스트 연소의 결과를 보이며, 각 석탄 입자를 74㎛이하의 직경을 갖고, 석탄공급율은 20-50% Kg/h으로 선택되며, 연소공기유량은 이론적(화학량론) 비율로써 1.1로 설정된다. 테스트에서 원통형 2차공기노즐(통로)을 갖는 종래 버너와는 달리 사각형 2차 공기 노즐과 2차 노즐의 출구에 위치한 사각형 리듀서를 갖는 본 발명의 버너가 사용되었다.
석탄공급율이 25Kg/h일때(거주시간의 3초에 대응하는) 연소로의 출구에서 발생된 NOX의 양과 비교하여 보면, 본 발명의 버너가 약 70ppm까지 종래 버너의 것보다 NOX를 적게 발생시키고 시간에 대한 NOX발생의 율에 있어서 거의 변화가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종래 버너에서는 많은 양의 NOX가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종래 버너에서 재가 미분탄노즐의 출구에 부착될 뿐만 아니라 2차공기 젯트와 미분탄의 유동이 상쇄되어 화염의 상쇄를 일으키고, 이에 의해 유동의 중심에서 저산소 영역의 형성이 더 어렵게 된다. 다시 말하면 종래 버너 NOX의 탈산을 촉진시키는 저산소 영역이 안정하게 형성될 수 없다는 단점을 갖는다.
더우기 어론적 비율은 1.1로 유지하는 동안 석탄 공급율이 25Kg/h 에서 20K/h로 바뀔때 종래버너에서 NOX발생량은 현저하게 변한다(제13도 참조). 이와 대조적으로 제13도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버너에서 NOX발생량은 거의 변하지 않았다. 이것은 본 발명의 버너가 우수한 점화성과 화염의 홀딩을 갖는다는 것을 입증한다.
제14도 및 15도는 각각 본 발명의 장점을 입증하는 다른 테스트데이터의 예를 보인다. 특히 제14도는 석탄공급율이 25K㎏/h의 일정치로 유지되고 3차공기의 유량이 변하는 조건하에서 행해진 테스트연소에 의해 얻어진 발생 NOX의 밀도와 노출구에 있는 O₂사이의 관계를 보인다.
본 발명의 버너가 NOX발생을 현저하게 감소시키는 것을 제14도에서 명백하게 알 수 있다. 다음에 제15도는 제4도에 관한 테스트연소에서 연소로의 출구에서 모아진 샘츨링챠아에 있는 가연물의 분석결과를 보인다. 본 발명의 버너에서 챠아에 있는 가연물은 종래 버너에 의해 얻어진 것과 비교하여 매우 적으며, 이에 따라 높은 연소 효율을 달성할 수 있다. 다라서 제13도-15도의 테스트데이터로부터 본 발명은 화염의 홀딩과연료의 점화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키는 장점을 가지며, 저 NOX발생과 높은 연소효율을 달성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제16도, 17도 및 18도를 참고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제16도에 보인 버너는 제 9 도의 것과 유사하다. 그러나 제16도의 버너는 버너가 미분탄노즐(2)의 출구로부터(2차 공기통로로) 외측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화염홀더(38)를 갖는 점에서 제 9 도의 버너구조와 다르다. 2차공기노즐(4)이 제10도에 보인 바와 같이 사각통로를 가질때 네개의 화염홀더(38)는 제16도의 선 XⅦ-XⅦ을 따라 취한 단면도인 제17도에 보인 바와 같이 사각형의 네정점에 대응하는 네위치에서 노즐단부(2)상에 배열된다. 화염홀더가 이렇게 배열되어서 부의 압력 영역은 화염홀더(38)의 하류측에서 발생하고, 이에 의해 선회를 형성하게 되며, 제18도에 보인 바와 같이 혼합층(36)의 구역은 확대되고, 이에 의해서 점화 2차공기와 미분탄의 혼합이 더 촉진되며 점화성의 촉진이 더 향상되고 안정한 화염이 형성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였지만, 많은 변형이 당해 업계에 숙련된 사람에게 명백히 이해되고, 본 출원은 어떤 변화나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청구범위와 이의 동등물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14)

  1. 미분탄과 1차공기의 혼합물의 유동을 분사하는 미분탄노즐과, 미분탄노즐의 동축상에서 외측에 배열된 2차공기노즐과, 미분탄노즐에 동측상에서 배치되며 2차공기노즐의 외측에 배열된 3차공기노즐과, 2차공기와 3차공기를 각각 선회류로써 분사하는 선회류 발생기수단과, 2차공기노즐과 3차공기노즐 사이에 배치되며, 2차공기와 3차공기의 혼합을 지연시키면서 2차공기와 3차공기 사이에 선회류를 형성시킬 수 있는 두께를 갖는 스페이서 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 NOX버너.
  2. 제 1 항에 있어서, 선회류발생기 수단이 3차공기를 선회류로써 분사하기 위해 3차공기 노즐에 있는 제 1 선회류발생기와, 2차공기를 선회류로서 분사하기 위해 2차공기 노즐에 있는 제 2 선회류 발생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NOX버너.
  3. 제 1 항에 있어서, 3차 공기노즐의 블럭으로 구성되고 2차공기노즐의 자유단을 가로질러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노즐익스텐션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 NOX버너.
  4. 제 3 항에 있어서, 3차공기 노즐의 노즐 익스텐션이 2차공기노즐의 자유단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외측으로 벌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 NOX버너.
  5. 제 1 항에 있어서, 미분탄노즐이 이중노즐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 NOX버너.
  6. 미분탄과 1차공기의 혼합물의 유동을 분사하는 미분탄노즐과, 미분탄노즐에 동축상에 외측으로 배열된 2차공기노즐과, 미분탄노즐에 동축으로 배치되며 2차 공기노즐의 외측으로 배열된 3차공기노즐과, 2차공기와 3차공기를 각각 선회류로써 분사하는 선회류 발생기수단과, 2차공기노즐과 3차공기노즐 사이에 배치되며, 2차공기와 3차공기의 혼합을 지연시키면서 2차공기와 3차공기 사이에 선회류를 형성시킬 수 있는 두께를 갖는 스페이서 수단과, 미분탄과 1차공기의 혼합물의 유동과 2차공기의 유동사이에 선회류를 형성시키기 위해 미분탄 노즐의 자유단에 있는 화염홀더 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 NOX버너.
  7. 제 6 항에 있어서, 3차공기노즐이 블럭으로 구멍되며 2차공기노즐의 자유단을 가로질러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노즐익스텐션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 NOX버너.
  8. 미분탄과 1차공기의 혼합물의 유동을 분사하는 미분탄노즐과, 미분탄노즐의 동축상에서 외측으로 배열된 2차공기노즐과, 미분탄노즐에 동축으로 배치되며 2차공기노즐의 외측에 배열된 3차공기노즐과 2차공기와 3차공기를 각각 선회류로써 분사하는 선회류 발생기수단과, 2차공기노즐과 3차공기노즐 사이에 배치되며, 2차공기와 3차공기의 혼합을 지연시키면서 2차공기와 3차공기 사이에 선회류를 형성시킬 수 있는 두께를 갖는 스페이서 수단과, 스페이서 수단에 배치된 기체연료 노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 NOX버너.
  9. 제 8 항에 있어서, 3차공기노즐이 블럭으로 구성되며, 2차 공기노즐의 자유단을 가로질러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노즐익스텐션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 NOX버너.
  10. 미분탄과 1차공기의 혼합물의 유동을 분사하는 미분탄노즐과, 미분탄노즐의 동축상에서 외측으로 배열된 2차공기노즐과 미분탄노즐에 동축으로 배치되며 2차공기노즐의 외측에 배열된 3차공기노즐과, 2차공기와 3차공기를 각각 선회류로써 분사하는 선회류 발생기수단과, 2차 공기노즐과 3차공기노즐 사이에 배치되며, 2차공기와 3차공기의 혼합을 지연시키면서 2차공기와 3차공기 사이에 선회류를 형성시킬 수 있는 두께를 갖는 스페이서 수단과 미분단과 1차공기의 혼합물의 유동과 2차공기의 유동사이에 선회류를 형성시키기 위해 미분탄노즐의 자유단에 있는 화염홀더 수단과, 스페이서 수단에 배치된 기체연료 노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 NOX버너.
  11. 제10항에 있어서, 3차공기노즐이 블럭으로 구성되며 2차공기노즐의 자유단을 가로질러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노즐익스텐션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 NOX버터.
  12. 미분탄과 1차공기의 혼합물의 유동을 분사하는 미분탄노즐과, 미분탄노즐의 동축상에서 외측으로 배열된 2차공기노즐과, 2차공기노즐의 외측에 배열되며, 미분탄노즐의 자유단과 2차공기노즐의 자유단을 가로질러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노즐익스텐션을 구비한 3차 공기노즐과, 2차공기와 3차공기를 각각 선회류로써 분사하는 선회류 발생수단과, 2차공기와 3차공기의 혼합을 지연시키기 위해 2차공기노즐과 3차공기노즐 사이에 배치된 스페이서 수단들로 이루어지고 ; 미분탄노즐이 원통형 분사출구를 구비하고, 2차공기노즐이 미분탄노즐이 미분탄노즐의 분사출구를 에워싸도록 배치된 다각형 리듀서로 구성된 2차공기분사출구를 구비하며, 3차공기노즐이 2차공기 분사출구를 에워싸도록 배치된 원통형 3차공기 분사출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 NOX버너.
  13. 제12항에 있어서, 다수의 돌출물의 2차공기 노즐의 리듀서의 다각형 정점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미분탄노즐의 분사출구의 외측원주상에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 NOX버너.
  14. 제9항에 있어서, 2차공기노즐과 3차공기노즐의 출구를 형성하는 각 벽이 내화성 재료로 구성되고, 3차공기노즐의 노즐익스텐션이 2차공기노즐의 출구를 지나서 돌출되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 NOX버너.
KR1019870005224A 1986-05-26 1987-05-26 저 NOx 버너 KR9500139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119259A JPH0754162B2 (ja) 1986-05-26 1986-05-26 低NOx燃焼用バ−ナ
JP?86-119259 1986-05-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1416A KR870011416A (ko) 1987-12-23
KR950013954B1 true KR950013954B1 (ko) 1995-11-18

Family

ID=14756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5224A KR950013954B1 (ko) 1986-05-26 1987-05-26 저 NOx 버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907962A (ko)
EP (1) EP0260382B2 (ko)
JP (1) JPH0754162B2 (ko)
KR (1) KR950013954B1 (ko)
DE (1) DE3761107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76572B2 (ja) * 1989-07-17 1998-07-16 バブコツク日立株式会社 微粉炭バーナ
FI98658C (fi) * 1990-03-07 1997-07-25 Hitachi Ltd Jauhetun hiilen poltin, jauhetun hiilen kattila ja menetelmä polttaa jauhettua hiiltä
US5098282A (en) * 1990-09-07 1992-03-24 John Zink Company Methods and apparatus for burning fuel with low NOx formation
DE4325643A1 (de) * 1993-07-30 1995-02-02 Lentjes Kraftwerkstechnik Brenner zum Verbrennen von staubförmigem Brennstoff
US5394688A (en) * 1993-10-27 1995-03-07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Gas turbine combustor swirl vane arrangement
RU2104443C1 (ru) * 1993-11-08 1998-02-10 Иво Интернэшнл ОЙ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жигания пылевидного топлива
US5417564A (en) * 1994-01-27 1995-05-23 Riley Stoker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ltering the firing pattern of an existing furnace
ES2117919B1 (es) * 1994-10-18 1999-03-16 Proyce S A Quemador de aire total mejorado.
US5525053A (en) * 1994-12-01 1996-06-11 Wartsila Diesel, Inc. Method of operating a combined cycle power plant
US6837702B1 (en) 1994-12-01 2005-01-04 Wartsila Diesel, Inc. Method of operating a combined cycle power plant
US5649819A (en) * 1995-05-25 1997-07-22 Gordon-Piatt Energy Group, Inc. Low NOx burner having an improved register
US5771823A (en) * 1996-01-31 1998-06-30 Aep Resources Servic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NOx emissions from a multiple-intertube pulverized-coal burner
CN1130539C (zh) * 1996-03-22 2003-12-10 丰田自动车株式会社 反射型熔解保持炉
ATE288051T1 (de) * 1996-07-19 2005-02-15 Babcock Hitachi Kk Brenner und eine damit versehene verbrennungsvorrichtung
US5829369A (en) * 1996-11-12 1998-11-03 The Babcock & Wilcox Company Pulverized coal burner
JP3344694B2 (ja) * 1997-07-24 2002-11-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微粉炭燃焼バーナ
TW362128B (en) * 1997-09-30 1999-06-21 Westinghouse Electric Corp Ultra-low NOx combustor
JP3343855B2 (ja) * 1998-01-30 2002-11-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微粉炭燃焼バーナ及び微粉炭燃焼バーナの燃焼方法
CA2625463C (en) * 2001-11-16 2011-03-08 Hitachi, Ltd. Solid fuel burner, burning method using the same, combustion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combustion apparatus
DE102005032109B4 (de) * 2005-07-07 2009-08-06 Hitachi Power Europe Gmbh Kohlenstaubbrenner für niedrige NOx-Emissionen
US20080280238A1 (en) * 2007-05-07 2008-11-13 Caterpillar Inc. Low swirl injector and method for low-nox combustor
EP2080952A1 (en) * 2008-01-17 2009-07-22 L'AIR LIQUIDE, Société Anonyme pour l'Etude et l'Exploitation des Procédés Georges Claude Burner and method for alternately implementing an oxycombustion and an air combustion
KR101228359B1 (ko) * 2008-03-06 2013-02-01 일렉트릭 파워 디벨롭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산소 연소 보일러의 미분탄 버너
CN101532662B (zh) * 2008-03-14 2013-01-02 烟台龙源电力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采用内燃式燃烧器的煤粉锅炉降低氮氧化物的方法
JP5181751B2 (ja) * 2008-03-17 2013-04-10 株式会社Ihi 微粉炭バーナ
US9121609B2 (en) * 2008-10-14 2015-09-01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introducing diluent flow into a combustor
CN102393015A (zh) * 2011-05-27 2012-03-28 上海锅炉厂有限公司 一种浓相旋流煤粉燃烧器
CN102418922B (zh) * 2011-11-07 2013-12-18 华北电力大学 一种富氧点火及低负荷稳燃煤粉燃烧器
US9388983B2 (en) * 2013-10-03 2016-07-12 Plum Combustion, Inc. Low NOx burner with low pressure drop
KR102129052B1 (ko) * 2013-11-12 2020-07-02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스월러 어셈블리
CN103672884A (zh) * 2013-12-27 2014-03-26 安其云 新型高效低氮全自动煤粉燃烧器
US10281140B2 (en) 2014-07-15 2019-05-07 Chevron U.S.A. Inc. Low NOx combustion method and apparatus
RS60283B1 (sr) * 2014-11-28 2020-06-30 General Electric Technology Gmbh Sistem za sagorevanje za kotao
CN107504480A (zh) * 2017-09-21 2017-12-22 哈尔滨工业大学 一种带有中心给粉旋流煤粉燃烧装置的工业煤粉锅炉
CN108194921A (zh) * 2017-12-29 2018-06-22 江苏飞鹿重工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新型改造低氮燃烧器
CN111795381B (zh) * 2020-07-23 2022-07-19 郑州轻工业大学 一种煤粉燃烧器用旋流叶片可调式旋流器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46499A (en) * 1970-07-06 1973-07-17 Exxon Research Engineering Co Staged air burner with swirling auxiliary air flow
JPS5530161A (en) 1978-08-24 1980-03-03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Electromagnetic relay
JPS6026922B2 (ja) * 1980-02-25 1985-06-26 川崎重工業株式会社 微粉炭バ−ナ
US4381718A (en) * 1980-11-17 1983-05-03 Carver George P Low emissions process and burner
JPS5818007Y2 (ja) 1980-11-28 1983-04-12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バ−ナ
DE3107649A1 (de) * 1981-02-27 1982-11-11 Steag Ag, 4300 Essen Verfahren zum mindestens zweistufigen zuenden einer brennstaubleistungsbrennerflamme und brennsystem zur durchfuehrung des verfahrens
US4412810A (en) * 1981-03-04 1983-11-01 Kawasaki Jukogyo Kabushiki Kaisha Pulverized coal burner
DE3125901A1 (de) 1981-07-01 1983-01-20 Deutsche Babcock Ag, 4200 Oberhausen Brenner zum verbrennen von staubfoermigen brennstoffen
JPS599156Y2 (ja) * 1981-07-17 1984-03-22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微粉炭バ−ナ
JPS58127005A (ja) * 1982-01-22 1983-07-28 Hitachi Ltd 微粉炭用低NOxバ−ナ
DD212305A1 (de) * 1982-12-17 1984-08-08 Inst Energetik Zre Wirbelbrenner zur no tief x-armen verbrennung
JPS60226609A (ja) * 1984-04-23 1985-11-11 Babcock Hitachi Kk 燃焼装置
US4620571A (en) * 1984-07-24 1986-11-04 Fisher-Baker Corporation Skein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260382A1 (en) 1988-03-23
US4907962A (en) 1990-03-13
JPH0754162B2 (ja) 1995-06-07
KR870011416A (ko) 1987-12-23
EP0260382B2 (en) 1994-07-27
EP0260382B1 (en) 1989-12-06
DE3761107D1 (de) 1990-01-11
JPS62276310A (ja) 1987-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13954B1 (ko) 저 NOx 버너
US579959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nitrogen oxide emissions from burning pulverized fuel
US4545307A (en) Apparatus for coal combustion
US402118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NOx from furnaces
RU2442929C1 (ru) Способ снижения оксидов азота в котле, работающем на распыленном угле, в котором используются горелки типа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PL212230B1 (pl) Sposób spalania paliw węglowodorowych
US6189464B1 (en) Pulverized coal combustion burner and combustion method thereby
PL196858B1 (pl) Sposób spalania węgla w skoncentrowanych strumieniach z redukcją NOx
CA2088659C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control of nitric oxide emissions from combustion devices using vortex rings and the like
JPH01217109A (ja) 微粉炭バーナ
RU2433340C2 (ru) Горелка и способ для попеременно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оксигорения и воздушного горения
JPH08957A (ja) 分子窒素及び炭化水素混合物からのプラズマ発生NOx還元性先駆物質の製造
JPS60126508A (ja) 微粉炭の燃焼装置
KR102261150B1 (ko) 버너 구조의 개선을 통한 벤츄리 효과를 이용하여 배가스의 내부 재순환이 가능한 저질소산화물 연소장치
JPH0555763B2 (ko)
JPH09126412A (ja) 低nox ボイラ
JPH0794881B2 (ja) 低NO▲下x▼燃焼用バ−ナ
JPH086901B2 (ja) 微粉炭の低窒素酸化物バーナ
JP2635294B2 (ja) 微粉炭の低NOx燃焼方法
KR20010108672A (ko) 질소산화물 발생을 억제하는 버너
RU2262039C2 (ru) Способ сжигания углеводородного топлив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варианты)
RU2013699C1 (ru) Способ сжигания газомазутного топлива
RU2159895C1 (ru) Газомазутная горелка
SU1262194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сжигани топлива
JPH0123682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2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