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3669B1 - 마이크로 컴퓨터를 이용한 자동 점멸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마이크로 컴퓨터를 이용한 자동 점멸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3669B1
KR950013669B1 KR1019930003461A KR930003461A KR950013669B1 KR 950013669 B1 KR950013669 B1 KR 950013669B1 KR 1019930003461 A KR1019930003461 A KR 1019930003461A KR 930003461 A KR930003461 A KR 930003461A KR 950013669 B1 KR950013669 B1 KR 950013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computer
unit
time
serial data
determining whet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3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3314A (ko
Inventor
김실희
Original Assignee
김실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실희 filed Critical 김실희
Priority to KR1019930003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13669B1/ko
Publication of KR940023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33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3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36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Landscapes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마이크로 컴퓨터를 이용한 자동 점멸기 및 그 제어방법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컴퓨터를 이용한 자동 점멸기의 핸드셋트의 블럭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상세회로도.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컴퓨터를 이용한 자동 점멸기의 본체의 블럭도.
제 4 도는 제 3 도의 상세회로도.
제 5 도는 제 1 도 및 제 2 도의 작동설명을 위한 플로우 차트도.
제 6a 내지 제 6c 도는 제 3 도 및 4 도의 작동설명을 위한 플로우 차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및 15 : 제 1 및 제 2 발진부 2 : 프로그램 잠금부
3 : 제 1 클럭신호 입력부 4 및 16 : 제 1 및 제 2 마이크로컴퓨터
5 : EEPROM 6 : 표시부
7 : EPROM 8 : 제 1 시리얼 데이터 출력부
9 : 제 1 시리얼 데이터 입력부 10 : 제어 스위치부
11 및 22 : 전원부 12 : 제 2 시리얼 데이터 출력부
14 : 제 2 시리얼 데이터 입력부 17 : 상항 표시부
18 : 오버라이드부 19 : 리세트부
20 : 분주부 21 : 전원 센스부
23 : 출력부 24 : 제어대상
본 발명은 마이크로 컴퓨터를 이용한 자동 점멸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중 매일 변화하는 일출 및 일몰시간을 자동으로 정밀하게 추적하여 일출 및 일몰시간에 따라 보안등 또는 가로등 등의 점멸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를 이용한 자동점멸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옥외에 설치되는 가로등, 보안등 또는 간판등 등의 점멸방법으로는 광전도 자기저항 소자(CDS)를 이용한 일광 점멸실 점멸방법이 사용된다.
이러한 일광 점멸식 점멸방법은 중간일지라도 날씨가 흐리거나 또는 다른 피사체에 의해 광전도 자기저항 소자에 투사되는 빛이 차단될 경우에 불필요한 점등이 이루어지며, 또한 야간에는 타조명에 의해 광전도 자기저항소자에 빛이 투사되어 불점등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즉 일광 점멸식 점멸방법은 설치장소 및 주변의 불규칙적인 조도에 의해 오동작할 뿐 아니라 전력 소모량도 많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출 및 일몰시간을 자동으로 추적하여 일출 및 일몰시간에 따라 자동으로 보안등 또는 가로등 등을 점소등시키므로서 상기한 단점을 해소할 수 있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이용한 자동점멸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출 또는 일몰시간에 다른 점소등은 물론 사용자가 설정한 임의의 시간에 자동으로 점소등시킬 수 있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이용한 자동점멸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컴퓨터를 이용한 자동 점멸기는, 일정한 발진 주파수를 생성하는 제 1 발진부(1)와, 제 1 마이크로컴퓨터(4)의 동작모드를 결정하는 프로그램 잠금부(2)와, 클럭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제 1 클럭신호 입력부(3)와, 상기 제 1 발진부(1), 프로그램 잠금부(2) 및 제 1 클럭신호 입력부(3)로부터 접속되며 입력되는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제 1 마이크로 컴퓨터(4)와 , 상기 제 1 마이크로 컴퓨터(4)에 접속되며 일출 및 일몰시간 등을 세팅하기 위한 제어 스위치부(10)와, 상기 제 1 마이크로 컴퓨터(4)에 접속되며 시리얼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제 1 시리얼 데이터 입력부(9)와, 상기 제 1 마이크로 컴퓨터(4)에 접속되며 시리얼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제 1 시리얼 데이터 출력부(8)와, 상기 제 1 마이크로 컴퓨터(4)에 접속되며 상기 제 1 마이크로 컴퓨터(4)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EEPROM(5)과, 상기 제 1 마이크로 컴퓨터(4)에 접속되며 상기 제어 스위치부(10)에 의해 세팅된 데이타를 저장하는 EEPROM(5)과, 상기 제1마이크로 컴퓨터(4) 및 EPROM(7)의 접속점으로부터 접속되며 상기 제어 스위치부(10)의 세팅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6)와, 상기 제 1 마이크로 컴퓨터(4)에 접속되며 각각의 회로에 구동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11)로 이루어지는 핸드셋(30)과, 상기 제1시리얼 데이타 입력부(9)에 시리얼 데이타를 공급하기 위한 제2시리얼 데이타 출력부(12)와, 상기 제 1 클럭신호 입력부(3)에 클럭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제 2 클럭신호 출력부(13)와, 상기 제 1 시리얼 데이터 출력부(8)로부터 출력되는 시리얼 데이트랜지스터를 입력받기 위한 제 2 시리얼 데이터 입력부(14)와, 일정한 발진 주파수를 생성하는 제 2 발진부(15)와, 상기 제 2 시리얼 데이터 출력부(12), 제 2 클럭신호 출력부(13), 제 2 시리얼 데이터 입력부 및 제 2 발진부(15)로부터 접속되어 입력되는 데이타를 처리하기 위한 제 2 마이크로 컴퓨터(16)와, 상기 제 2 마이크로 컴퓨터(16)로부터 접속되어 회로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상황 표시부(17)와, 상기 제 2 마이크로 컴퓨터(16)로부터 접속되며 중간의 임의의 시간동안 제어대상(24)을 제어하기 위한 오버라이드부(18)와, 상기 제 2 마이크로 컴퓨터(16)로부터 접속되어 초기 동작시 상기 제 2 마이크로 컴퓨터(16)를 리세트시키기 위한 리세트부(19)와, 전원부(22) 및 제 2 마이크로 컴퓨터(16)간에 접속되는 분주부(20)와, 상기 전원부(22) 및 상기 제 2 마이크로 컴퓨터(16)로부터 접속되며 상기 제 2 마이크로 컴퓨터(16)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대상(24)에 공급되는 전원부(22)의 전원을 ON 또는 OFF시키기 위한 출력부(23)로 이루어지는 자동 점멸부(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컴퓨터를 이용한 자동 점멸 제어방법은, A. 현재시간, 일출 및 일몰시간을 세팅하는 단계와, B. 상기 단계(A)로부터 위도 및 반구를 세팅하는 단계를 통해 핸드셋(30)을 프로그래밍하는 단계와, C. 상기 단계(B)로부터 상기 핸드셋(3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자동 점멸(40)에 장전하는 단계와, D. 상기 단계(C)로부터 프로그램이 장전되었는지를 판단한 후 낮 또는 밤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E. 상기 단계(D)로부터 심야시간이 세팅되었는지를 판단한 후 오버라이드 스위치가 눌러졌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F. 상기 단계(E)로부터 ON타임, OFF타임, 일출시간, 일몰시간이 설정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G. 상기 단계(F)로부터 금일을 거르겠는지를 판단한 후 오버라이드 신호가 세트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H. 상기 단계(G)로부터 오버라이드 상태를 부하 상태로 놓는 단계와, I. 상기 단계(H)로부터 부하 상태 플래그 신호가 세트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J. 상기 단계(I)의 판단결과 부하 상태 플래그 신호가 세트되었으면 릴레이를 ON시키고, 리세트되었으면 OFF시키는 단계와, K. 상기 단계(J)로부터 시리얼 입출력 신호를 초기화하는 프로그램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한 후 시리얼 입출력 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단계(D)로 복귀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컴퓨터를 이용한 자동 점멸기의 핸드셋의 블록도로서, 일정한 주파수로 발진하는 제 1 발진부(1), 제 1 마이크로 컴퓨터(4)를 동작모드 또는 비동작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프로그램 잠금부(2) 및 제 3 도의 제 2 클럭신호 출력부(13)로부터 클럭신호를 제공받아 제 1 마이크로 컴퓨터(4)에 공급하기 위한 제 1 클럭신호 입력부(3) 각각이 상기 제 1마이크로 컴퓨터(4)에 접속된다.
또한 상기 제 1 마이크로 컴퓨터(4)로부터 EEPROM(5), EPROM(7), 시리얼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제 1 시리얼 데이터 출력부(8), 제 3 도의 제 2 시리얼 데이터 출력부(12)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 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제 1 마이크로 컴퓨터(4)에 공급하기 위한 제 1 시리얼 데이터 입력부(9), 프로그램을 생성하기 위한 제어 스위치부(10) 및 일정한 전원을 생성하기 위한 전원부(11) 각각이 접속되고, 상기 EPROM(7) 및 제 1 마이크로 컴퓨터(4)의 접속점간에 표시부(6)가 접속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핸드셋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 1 클럭신호 입력부(3)를 제 3 도의 제 2 클럭신호 출력부(13)에 연결하고, 상기 제 1 시리얼 데이터 출력부(8)를 제 3 도의 제 2 시리얼 데이터 입력부(14)에 연결하며 상기 제 1 시리얼 데이터 입력부(9)를 제 3 도의 제 2 시리얼 데이터 출력부(12)에 연결한 후 상기 프로그램 잠금부(2)를 동작모드로 전환한 다음 상기 제어 스위치부(10)의 제어 스위치(도시안됨)를 조작하여 현재 시간, 일출 및 일몰시간당을 입력하면 상기 제 1마이크로 컴퓨터(4)는 입력되는 데이터를 가공하여 EPROME(5)에 저장시키는데, 상기 데이터가 입력되는 상황은 표시부(6)에 표시된다. 즉, 제 1 도의 핸드셋(30)은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프로그램하여 저장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한편 EPROM(7)에는 상기 제 1 마이크로 컴퓨터(4)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다.
제 2 도는 제 1 도의 상세회로도로서, 크리스탈 Y1, 캐패시터C2 및 C3로 이루어지는 제 1 발진부91)는 제 1 마이크로 컴퓨터 U1에 발진 주파수를 공급하여 프로그램 잠금부(2)의 수위치 S1의 ON 또는 OFF에 따라 상기 제 1 마이크로 컴퓨터 U1의 동작모드가 결정되는데 상기 스위치 S1을 ON시키면 상기 제 1 마이크로컴퓨터 U1는 디스에이블되어 비동작모드가 된다. EEPROM U5은 전기적으로 메모리 내용을 소거하거나 기입할 수 있는 메모리 소자로서 제어 스위치 S2 내지 S6에 의해 프로그램되는 내용이 상기 제 1 마이크로 컴퓨터 U1를 통해 저장된다. 또한 EPROM U2에는 상기 제 1 마이크로 컴퓨터 U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데, 상기 제어 스위치 S2 내지 S6의 조작에 의해 현재시간, 일출 및 일몰시간등이 세팅되는 일련의 과정은 상기 EPROM U2의 프로그램에 의해 행해진다.
또한, 표시부(6)는 낸드게이트 G1, 저항 R1 및 액정 도트 메트릭스 디스플레이 모듈(26)로 이루어지는데, 저항 R1은 상기 액정 도므 메트릭스 모듈의 콘트라스트(contrast)를 조정하는데 사용되며, 낸드 게이트 G1은 프로그램의 독출 또는 서입 동작을 위해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26)을 인에이블시키는데 사용된다. 제 1 클럭신호 입력부(3)는 도선으로서 제 3 도의 제 2 클럭신호 출력부(13)에 접속시킬 수 있으며, 제 1 시리얼 데이터 출력부(8)의 낸드게이트 G2는 상기 제 1 마이크로 컴퓨터 U1으로부터 제공되는 클럭신호를 반전시킨 다음, 저항 R6를 통해 트랜지스터 Q1의 베이스 단자에 입력시키는데, 트랜지스터 Q1의 베이스 단자에 입력되는 신호가 논리적 "고" 상태이면 트랜지스터 Q1의 컬렉터 단자는 논리적 "저"상태의 클럭신호가 발생되고, 논리적 "저"상태의 클럭신호가 상기 트랜지스터 Q1의 베이스 단자에 입력되면 상기 트랜지스터 Q1의 컬렉터 단자에는 논리적 "고"상태의 클록신호가 생성되어 저항 R7을 통해 제 3 도의 제 2 시리얼 데이터 입력부(14)에 제공된다. 또한 제 3 도의 제 2 시리얼 데이터 출력부(12)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 신호는 제 1 시리얼 데이터 입력부(9)의 낸드 게이트 G3를 통해 상기 제 1 마이크로 컴퓨터 U1에 제공된다. 상기 제 1 마이크로 컴퓨터 U1에 접속되는 전원부(11)에는 전원 안정기 및 밧데리(도시안됨)가 포함되는데 회로의 각 블럭의 동작을 위한 Vcc 전원을 생성하며, 상기 전원부(11)의 밧데리가 기준전압 이하일 때에는 이를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 U1이 감지하여 상기 액정 도트 메트릭스 모듈(26)에 밧데리 교체 시기를 표시해 주게 된다.
한편, 제어 스위치부(10)의 각 스위치의 기능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위치 S2는 모드변환 스위치로서 이 스위치를 누를 때마다 시간, 요일, 년, 월, 일→일출 및 일몰시간→부하점등후 심야 임의시간 동안의 점, 소등→특정요일거르기→위도 및 반구→일광절약시간→프로그램저장→전송장전입력, 전송장전 프로그램 읽기 또는 확인 모드로 변환된다.
스위치 S3는 상기 액정 도트 메트릭스 디스플레이 모듈(26)에 표시된 파라메터중 커서가 위치한 파라메터를 지울 때 사용된다. 또한 핸드셋(3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제 3 도의 지동점멸기(40)에 장전시킬 때 사용된다.
스위치 S4는 핸드셋(3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읽을 때 사용되며, 또한 상기 액정 도프 메트릭스 디스플레이 모듈(26)에 표시된 데이터를 급회전시킬 때 사용된다.
스위치 S5는 제 3 도의 자동점멸기(4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확인할 때 사용되거나 상기 액정 도트 메트릭스 디스플레이 모듈(26)에 표시된 데이터를 서회전시킬 때 사용된다.
스위치 S6는 전술한 각 모드내에서 항목을 차례로 증진시킬 때 사용된다.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컴퓨터를 이용한 자동 점멸기의 블럭도로서, 제 2 마이크로 컴퓨터(16)로부터의 클럭신호를 출력하는 제 2 클럭신호 출력부(13), 전술한 제 1 도의 제 1시리얼 데이터 출력부(8)로부터의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 2 시리얼 데이터출력부(12), 제 2 미이크로 컴퓨터(16)로부터의 데이터를 입력받는 제 2 시리얼 데이터 입력부(14) 및 일정한 발진 주파수를 생성하는 제 2 발진부(15) 각각은 제 2 마이크로 컴퓨터(16)에 각기 접속된다.
또한, 상기 제 2 마이크로 컴퓨터(16)로부터 자동 점멸기(40)의 현황을 나타내는 상황표시부(17), 주간의 임의시간 동안 제어대상, 즉 부하 등을 일정시간 동안 동작시키기 위한 오버라이드(over ride)부(18), 초기동작시 상기 제 2 마이크로 컴퓨터(16)를 리세트시키기 위한 리세트부(19) 전원의 공급상태를 센스하기 위한 전원센스부(21) 및 제어대상(24)을 제어하기 위한 출력부(23) 각각이 접속된다. 또한 상기 출력부(23)는 가로등 또는 외등과 같은 제어대상에 접속되는 한편 전원부(23)에 접속된다. 전원부(23)는 전원 센스부(21)에 접속되는 한편 일정한 주기로 분주하는 분주부(20)를 통해 상기 제 2 마이크로 컴퓨터(16)에 접속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 3 도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2 마이크로 컴퓨터(16)의 제 1 도의 헤트셋(30)을 장착하여 프로그램을 입력하려면 제 2 시리얼 테이터출력부(12)는 제 1 도의 제 1 시리얼 데이터 입력부(9)에 접속되고, 제 2 클럭신호 출력부(13)는 제 1 도의 제 1 클럭신호 입력부(3)에 접속되며, 제 2 시리얼 데이터 입력부(14)는 제 1 도의 제 1 시리얼 데이터 출력부(8)에 접속된 상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도의 제어 스위치부(10)의 조작에 따라 프로그램을 입력할 수 있다. 프로그램 입력이 완료되면 제 1 도의 핸드셋을 제거하면 제 2 도의 자동점멸기는 독자적인 동작을 시작하게 된다.
즉, 제 2 마이크로 컴퓨터(16)에 프로그램 입력을 완료하면, 제 2 마이크로 컴퓨터(16)는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출력부(23)를 통해 전등부하와 같은 제어대상(24)에 공급되는 전원부(22)의 전원을 ON 또는 OFF 제어하게 된다. 또한 오버라이드부(18)의 세팅 여부에 따라 상기 제어대상(24)을 제어할 수 있으며, 전원부(22)로 공급되는 주파수를 분주하는 분주부(20)의 출력 주파수는 상기 제 2 마이크로 컴퓨터(16)에 공급되어 상기 제 2 마이크로 컴퓨터(16)가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허용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1초간 인터럽트(interrupt)를 걸게 된다.
한편 전원 센스부(21)는 전원부(22)의 전원공급 여부를 센스하여 상기 제 2 마이크로 컴퓨터(16)에 공급하고, 전원공급이 없을 경우 핸드셋(30)과의 통신이 두절되며 상황 표시부(17) 또한 디스에이블된다.
제 4 도는 제 3 도의 상세회로도로서, 제 2 시리얼 데이터 출력부(12)의 반전 게이트 G4는 제 2 마이크로 컴퓨터 U6에 저장된 데이터를 제 1 도의 제 1 시리얼 데이터 출력부(9)를 통해 제 1 마이크로 컴퓨터(4)에 제공하고, 제 2 클럭신호 출력부(13)의 반전 게이트 G5는 상기 제 2 마이크로컴퓨터 U5로부터의 클럭신호를 제 1 도의 제 1 클럭신호 입력부(93)에 전달하며, 제 2 시리얼 데이터 입력부(14)는 도선으로 구성되는데 제 1 도의 제 1 시리얼 데이터 출력부(9)로부터의 데이터를 공급받아 상기 제 2 마이크로컴퓨터 U2에 제공한다.
제 2 발진부(15)는 반전게이트 G6 및 G7, 저항 R12 및 R13, 캐패시터 C6, 크리스탈 Y2, 제너 다이오드 CR4로 구성되는데, 반전 게이트 G6은 크리스탈 Y2의 발진주파수를 180°반전시키는데 사용되며, 반전 게이트 G7은 버퍼링 작용을 하게 된다. 저항 R12는 상기 반전 게이트 G6의 바이어스를 제공하는데 사용되고, 저항 R13은 상기 크리스탈 Y2의 드라이브 레벨을 세트하는데 사용된다. 캐패시터 C6은 상기 크리스탈 Y2의 발진 주파수를 위상 추이시키기 위해 사용되고 제너 다이오드 CR4는 노이즈 제거를 위해 사용된다.
상황 표시부(17)는 반전 게이트 G10, 발광 다이오드 DS1 및 저항 R14로 구성되는데, 발광 다이오드 DS1은 상기 제 2 마이크로 컴퓨터 U6의 제어상황을 표시하며 제어대상(24)으로의 전원공그상태, 프로그램 장전상태 및 점멸기의 불량 여부 등을 표시해 준다. 반전 게이트 G10은 상기 발광 다이오드 DS1 구동용이며, 저항 R14는 저항 R14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 DS1의 드라이베 레벨을 세트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오버라이드부(18)는 스위치 S7 및 저항 R19로 구성되는데, 스위치 S7은 오버라이드 요청을 지시하기 위해 상기 제 2 마이크로 컴퓨터 U6의 G1 입력을 Low 상태로 전환시키는데 사용되고, 저항 R19는 상기 스위치 S7이 눌러지지 않았을 때 상기 G1 입력을 풀업(pull up)시키는데 사용된다.
리세트부(19)는 저항 R15 및 캐패시터 C11으로 구성되는데, 초기동작시 명령이 실행되기 전에 스타트 클럭신호를 허용하도록 상기 제 2 마이크로 컴퓨터 U6의 리세트 입력단자로 지연시간을 제공하기 위해 캐패시터 C11은 저항 R15를 통해 충전된다.
전원 센스부(21)의 반전 게이트 G9는 전원부(22)의 전원공급 유무를 센스하여 상기 제 2 마이크로 컴퓨터 U6에 전달한다.
분주부(20)는 분주 IC U7, 캐피시터 C7, 저항 R16 및 점퍼선 J13으로 구성되는데, 분주 IC U7은 전원부(22)로부터 60HZ를 공급받아 상기 제 2 마이크로 컴퓨터 U6에 1초간 인터럽트를 걸기 위해 50 또는 60으로 분주한다. 즉 점퍼선 J13이 접속상태이면 60분주하고, 단선상태이면 50분주하게 된다. 저항 R16 및 캐패시터 C7은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저역통과필터이다.
출력부(23)는 릴레이 K1, 다이오드 CR1 및 반전게이트 G11로 구성되는데, 상기 제 2 마이크로컴퓨터 U6으로부터 논리적 "고"신호가 공급되면 Vcc1은 릴레이 K1 및 반전 게이트 G11로 이루어지는 전류통로가 이루어져 릴레이 K1의 접점은 닫히게 되므로 릴레이 접점에 연결되는 제어대상(도시안됨)에는 교류전원이 공급된다.
전원부(22)를 살펴보면, 트랜스, T1는 예를 들어 240V 교류전원을 20V로 변환시키며, 정류 다이오드 CR5 내지 CR8은 전파 정류회로로서 교류전압을 정류하고, 저항 R17은 제너 다이오드 CR3를 바이어스하며, 제너 다이오드 CR3는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 U6에 일정한 동작 전압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캐패시터 C8은 평활용이며, 다이오드 CR2는 전압 강하용이며 백업 캐패시터 C9의 방전통로를 차단하게 된다. 캐패시터 (9는 백업(back up) 캐패시터로서 Vcc전압을 적어도 24시간 이상 유지하며, 저항 R1은 상기 백업 캐패시터 C9의 충전비를 세트시키는데 사용되고, 금속산화 바리스터 RV1은 전원부(22)에 인입되는 고전압 서지(surges)를 차단시키는데 사용된다.
제5도는 제 1 도 및 제 2 도의 작동설명을 위한 플로우 차트도로서, 시작 신호로부터 단계(101)에서 모든 데이터를 초기화한 다음 단계(102)로 진행되어 현재시간을 세팅하고 단계(103)로 진행된다. 단계(103)에서는 일출 및 일몰시간을 세팅하고 단계(104)로 진행된다. 단계(104)에서는 심야 임의시간 동안 부하(제어대상)를 소등할 것인지의 여부에 따라 소등하지 않을 것이면 단계(106)로 진행되고, 소등할 것이면 단계(105)로 진행되어 심야 임의시간을 세팅한 후 단계(106)로 진행된다.
상기단계(106)에서는 특정요일을 거를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특정요일을 거르지 않을 것이면 단계(108)로 진행되고, 특정요일을 거를 경우에는 단계(107)로 진행되어 이 단계(107)에서 특정요일을 세팅하고 단계(108)로 진행된다.
상기 단계(108)에서는 위도 및 반구(북반구인지 남반구인지)를 세팅한 다음 단계(109)로 진행된다. 단계(109)에서는 봄철 일광절약시간 및 가을철 일광절약시간을 세팅할 것인지의 여부에 따라 불필요한 경우 작동을 종료하고, 세팅할 경우 단계(110)로 진행되어 일광절약시간을 세팅한 다음 작동을 종료한다.
제6a 내지 6c도는 제 3 도 및 제4도의 작동 설명을 위한 프로우 차트도로서, 시작신호로부터 단계(201)에서 제 2 마이크로 컴퓨터를 초기화하고 단계(202)로 진행되어 이 단계(202)에서 신규 일출 및 일몰시간을 등록하고 단계(203)로 진행된다. 단계(203)에서는 제어프로그램이 있는지를 판별하여 제어프로그램이 없으면 단계(215)로 진행되고, 제어프로그램이 있으면 단계(204)로 진행되어 이 단계(204)에서 낮 또는 밤인가를 판별하여 낮이면 단계(207)로 진행되고 밤이면 단계(205)로 진행된다.
상기 단계(205)에서는 심야시간 세팅 상태를 판별하여 세팅이면 단계(206)로 진행되고, 리세트이면 상기 단계(207)로 진행되는데, 계(206)에서는 부하 상태 플래그 신호를 세트하고 단계(208)로 진행되고, 단계(207)에서는 부하상태 플래그 신호를 리세트하고 단계(208)로 진행된다.
상기 단계(208)에서는 오버라이드 스위치가 눌러졌는지를 판단하여 눌러졌으면 단계(209)로 진행되고, 눌러지지 않았으면 단계(211)로 진행된다. 상기 단계(209)에서는 오버라이드 플래그 신호를 전환(toggle)시키고 단계(210)로 진행되어 이 단계(210)에서 오버라이드를 세트시키고 상기 단계(211)로 진행된다.
상기 단계(211)에서는 ON타임, OFF타임, 일출시간 및 일몰시간이 설정되었는지를 판별하여 설정되었으면 단계(213)로 진행되고, 설정되지 않았으면 단계(212)로 진행되어 이 단계(212)에서 오버라이드를 리세트시키고 상기 단계(213)로 진행된다. 상기 단계(213)에서는 금일을 거르겠는지를 판별하여 금일을 거르겠으면 단계(214)로 진행되고, 금일을 거르지 않을 것이면 단계(215)로 진행된다. 상기 단계(214)에서는 부하 상태 플래그 신호를 리세트하고 상기 단계(215)로 진행된다.
상기 단계(215)에서는 오버라이드 플래그 신호가 세트되었는지를 판별하여 세트되었으면 단계(217)로 진행되고 세트되지 않았으면 단계(216)로 진행된다. 단계(216)에서는 오버라이드 상태를 부하 상태로 놓고 단계(218)로 진행되고, 상기 단계(217)에서는 부하 상태를 오버라이드 상태로 놓고 단계(218)로 진행된다.
상기 단계(218)에서는 부하 상태 플래그 신호가 세트되었는지를 판별하여 세트되었으면 단계(220)로 진행되어 릴레이를 ON시키고 단계(221)로 진행되고, 리세트되었으면 단계(219)로 진행되어 릴레이를 OFF시키고 단계(221)로 진행된다.
상기 단계(221)에서는 시리얼 입출력 신호를 초기화하는 프로그램이 있는지를 판별하여 없으면 상기 단계(202)로 복귀되고, 있으면 단계(222)로 진행되어 이 단계(22)에서 시리얼 입출력 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단계(202)로 복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연중 매일 변화되는 일출 및 일몰 시간을 자동으로 추적하여 일출 및 일몰시간에 따라 보안등 또는 가로등 등의 점멸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시리얼 데이터 출력부, 클럭신호 출력부, 시리얼 데이터 입력부, 발진부, 상황표시부, 오버라이드부, 리셋부, 전원센스부, 출력부, 분주부 및 전원부로 이루어져 입력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마이크로 컴퓨터를 이용하는 자동점멸기에 있어서, 상기 자동점멸기의 마이크로 컴퓨터를 셋팅하기 위해, 입력되는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제 1 마이크로 컴퓨터와, 일정한 발진 주파수를 생성하여 상기 제 1 마이크로 컴퓨터로 공급하는 제 1 발진부와, 상기 제 1 마이크로 컴퓨터의 동작모드를 결정하는 프로그램 잠금부와,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의 클럭신호 출력부의 클럭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 1 마이크로 컴퓨터로 공급하는 제 1 클럭신호 입력부와, 상기 제 1 마이크로 컴퓨터에 접속되며 일출 및 일몰시간 등을 세팅하기 위한 제어 스위치부와, 상기 제 1 마이크로 컴퓨터에 접속되며 상기 컴퓨터의 시리얼 데이타의 출력부로부터 시리얼 데이타를 입력받기 위한 제 1 시리얼 데이타 입력부와, 상기 제 1 마이크로 컴퓨터에 접속되며 시리얼 데이타를 출력하기 위한 제 1 시리얼 데이타 출력부와, 상기 제 1 마이크로 컴퓨터에 접속되며 상기 제 1 마이크로 컴퓨터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EPROM과, 상기 제 1 마이크로 컴퓨터에 접속되며 상기 제어 스위치부에 의해 세팅된 데이타를 저장하는 EEPROM과 상기 제 1 마이크로 컴퓨터 및 EPROM의 접속점으로부터 접속되며 상기 제어 스위치부의 세팅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 상기 제 1 마이크로 컴퓨터에 접속되며 각각의 회로에 구동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로 구성된 핸드셋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이용한 자동점멸기.
  2. 점멸기 제어방법에 있어서, A. 현재시간, 일출 및 일몰시간을 세팅하는 단계와, B. 상기 단계(A)로부터 위도 및 반구를 세팅하는 단계를 통해 핸드셋을 프로그래밍하는 단계와, C. 상기 단계(B)로부터 상기 핸드셋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지동점멸기에 장전하는 단계와, D. 상기 단계(C)로부터 프로그램이 장전되었는지를 판단한 후 낮 또는 밤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E. 상기단계(D)로부터 심야시간이 세팅되었는지를 판단한 후 오버라이드 스위치가 눌러졌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F. 상기 단계(E)로부터 ON 타임, OFF 타임 일출시간, 일몰시간이 설정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G. 상기 단계(F)로부터 금일을 거르겠는지를 판단한 후 오버라이드 신호가 세트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H. 상기 단계(G)로부터 오버라이드 상태를 부하 상태로 놓는 단계와, I. 상기 단계(H)로부터 부하 상태 플래그 신호가 세트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J. 상기 단계(I)의 판단결과 부하 상태 플래그 신호가 세트되었으면 릴레이를 ON시키고, 리세트 되었으면 릴레이를 OFF시키는 단계와, K. 상기 단계(J)로부터 시리얼 입출력 신호를 초기화하는 프로그램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한 후 시리얼 입출력 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단계(D)로 복귀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이용한 자동점멸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로부터 심야 임의시간 동안 소등을 원하는지에 따라 심야 임의시간을 세팅한 후 특정요일을 거르는지를 판단하여 특정요일을 세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이용한 자동점멸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로부터 일광절약시간을 세트하기를 원하는지에 따라 일광절약시간을 세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이용한 자동점멸방법.
KR1019930003461A 1993-03-09 1993-03-09 마이크로 컴퓨터를 이용한 자동 점멸기 및 그 제어방법 KR950013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3461A KR950013669B1 (ko) 1993-03-09 1993-03-09 마이크로 컴퓨터를 이용한 자동 점멸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3461A KR950013669B1 (ko) 1993-03-09 1993-03-09 마이크로 컴퓨터를 이용한 자동 점멸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3314A KR940023314A (ko) 1994-10-22
KR950013669B1 true KR950013669B1 (ko) 1995-11-13

Family

ID=19351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3461A KR950013669B1 (ko) 1993-03-09 1993-03-09 마이크로 컴퓨터를 이용한 자동 점멸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136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13803B1 (en) * 1999-12-30 2007-12-25 Thomson Licensing Ratings control system with temporary override capability and store-recall feature
KR100747504B1 (ko) * 2006-09-25 2007-08-08 안기남 스케줄 기능을 이용하여 전력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3314A (ko) 1994-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98024A (en) Energy controlling system for time shifting electric power use
KR100463135B1 (ko) 원격 제어 부하 관리 시스템용 프로그램 가능한 타이머 유닛
US4189664A (en) Power control unit for automatic control of power consumption in a lighting load
US4714352A (en) Electronic device powered by solar cells
US4451763A (en) Electronic lamp control apparatus
US5237698A (en) Microcomputer
EP0600073A1 (en) Computer-controlled circuit breaker energy management arrangement having reliable memory and clock
NZ209966A (en) Dual display programmable time switch
KR950013669B1 (ko) 마이크로 컴퓨터를 이용한 자동 점멸기 및 그 제어방법
US7417378B2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lighting lamp with security function and lighting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JP3757838B2 (ja)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のプログラムタイマユニット
CN101382725B (zh) 投射显示设备
US5655070A (en) Power fault monitoring circuit with microprocessor reset
KR920000751Y1 (ko) 심야 전력 공급용 타이머 장치
WO1994015443A1 (en) Deterrent device
JP2000078751A (ja) 省電力型電子機器
JP3588241B2 (ja) 電気機器の表示制御装置
JPS5897720A (ja) 電源回路
KR970004498Y1 (ko) 보안등용 점소제어장치
KR19990047183A (ko) 자동 온/오프 전력 제어 장치
JPH04138692A (ja) 照明制御装置
JPH0514584Y2 (ko)
JPH0990064A (ja) 発電機構付き電子時計
JPS6124794B2 (ko)
JP2004221018A (ja) 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1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