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3614B1 - 오디오용 출력회로 - Google Patents

오디오용 출력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3614B1
KR950013614B1 KR1019910010778A KR910010778A KR950013614B1 KR 950013614 B1 KR950013614 B1 KR 950013614B1 KR 1019910010778 A KR1019910010778 A KR 1019910010778A KR 910010778 A KR910010778 A KR 910010778A KR 950013614 B1 KR950013614 B1 KR 9500136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ting
signal
circuit
power amplifier
sp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0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1995년11월13일
Original Assignee
후지쓰텐 가부시끼가이샤
원본미기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쓰텐 가부시끼가이샤, 원본미기재 filed Critical 후지쓰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1019910010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136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3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3614B1/ko

Links

Landscapes

  • Amplifi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오디오용 출력회로
제 1 도는 본 발명의 오디오용 출력회로의 기본구성을 나타낸 도면.
제 2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도면.
재 3 도는 시정수를 갖고 서서히 감쇄량이 변화되는 뮤팅회로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제 4 도는 뮤팅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스탠드바이 신호와 뮤팅신호의 타이밍을 나타낸 도면.
제 5 도는 종래의 뮤팅기능을 갖는 오디오 출력 회로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볼륨을 줄이지 않고 일기에 신호를 감쇠시키는 뮤팅기구를 갖는 특히 뮤팅 기구의 감쇄를 크게 하여 회로구성을 간단화한 오디오용 뮤팅회로에 관한 것이다.
제 5 도는 종래의 오디오시스템의 뮤팅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도면의 구성을 설명하겠다.
제 5 도의 구성은 음원(1)과, 이 음원으로부터의 신호를 중폭하는 파워앰프(21)와 파워앰프(21)에서 증폭된 신호를 재생하는 스피커(2)와 상기 음원(1)으로부터의 이상음신호를 뮤팅하는 수단(22-1)을 포함하며 본 도면의 뮤팅부(20)로서, 뮤팅수단(22-1)은 콜렉터가 파워앰프(21)의 출력에 접속되고 에미터가 접지되고 또 그 베이스가 뮤팅지시신호(SM1)를 입력하는 저항에 접속된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있다. 이 트랜지스터는 FET(Field Effect transistor)라도 좋다. 이 뮤팅수단(22-1)의 파워 IC로 구성되는 파워앰프(2)와 일체로 되어 있는 것도 알려져 있다.
다음에 그 동작을 설명하겠다.
제 5 도에서 음원(1)으로부터의 신호는 파워앰프(21)에서 전력 증폭되어 스피커(2)로 재생된다.이 경우에 제 5 도에서 뮤팅지시신호(SM1)가 "L(저)"레벨 신호이면 트랜지스터가 비도통 상태에 있고 파워앰프(2)의 입력은 어스와 절연되어 있다. 그러나 뮤팅할 지시신호(SM1)로서 "H(고)"레벨신호가 입력되면 트랜지스터가 도통상태로 되고 파워앰프(2)의 입력이 접지되어 음원(1)으로부터의 신호는 스피커(2)로 출력되지 않고 접지로 빠져나가 스피커(2)에서 재생되지 않는다.
그리하여 뮤팅수단(22-1)은 듣고 있었든 음을 볼륨을 돌리지 않고 스위치에 의해서 그 음의 레벨을 갑자기 낮게 하고, 예를 들면 1/10(-20dB) 또는 1/30(-30dB)로 낮추어 음이 전혀 출력되지 않도록 커트하는 방법으로 정상 신호음 이외의 노이즈나 왜곡음을 억제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이들 음에는 예를들어 앰프 스위치를 ON-OFF시켰을 때의 퍽하는 과도음, 입력 절환 스위치를 조작했을때의 클럭음, 이들의 노이즈는 귀에 불쾌감을 줄 뿐만 아니라 스피커(2)를 손상시키는 것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음원(1)이 여러개인 이들의 음원(1)은 1개소에서 뮤팅되는 것이 요망되지만 이들의 음원(1)에는 본래의 레벨이 높은것(다이나믹 레인지가 넓은 것) 예를 들면 CD, DAT가 포함되고 뮤팅수단(22-1)이 동작해도 파워 앰프(21)의 입력에는 신호가 잔존하여 증폭되어 스피커(2)에서 잡음이 재생되는 경우가 있다. 도 카세트 테이프의 조송이나 되감기시에는 잡음레벨이 높아져서 상기 뮤팅만으로는 신호의 저하가 충분하지 못할 경우가 있다. 왜냐하면 뮤팅수단(22-1)에서 구성되는 트래지스터의 도통상태의 내부저항 때문에 감쇠량이 유한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음원(1)의 뮤팅을 완전하게 하기 위해서 뮤팅수단을 도시한 바와 같이 22-2, ……22-n으로 복수화할 필요가 있으므로 회로구성이 복잡해지고 원가상승을 초래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비추어 회로구성을 간단화하여 원가삭감이 도모되는 뮤팅기능을 갖는 오디오용 출력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이 오디오용 출력회로(10)의 기본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음원(1)으로부터의 음향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2)로 출력하고 이 출력을 저하시키는 뮤팅기능을 갖는 오디오용 출력회로(10)에 스탠드바이 기능을 갖는 파워앰프(3), 뮤팅회로(4) 및 뮤팅제어수단(5)을 설비한다.
파워앰프(3)는 동작상태와 비동작상태와의 사이에 절환 가능한 스탠드바이 기능을 갖고 뮤팅동작 개시요구에 의해서 비동작상태가 된다.
뮤팅회로(4)는 동작시 및 비동작시에 상기 스피커(2)로의 출력신호를 저하, 상승시키고 그 저하, 상승정도는 소정의 시정수로 변화된다.
뮤팅제어수단(5)은 뮤팅기능의 동작 개시시에는 우선 상기 뮤팅회로(4)를 동작상태로 하고, 소정시간후에 상기 파워앰프(3)를 비동작 상태로 하고 뮤팅기능의 정지시에는 우선 파워앰프(3)를 동작상태로 하고 소정 시간후에 이 뮤팅회로(4)를 비동작상태로 한다.
제 1 도에서의 뮤팅기능를 갖는 오디오용 출력회로(10)에 의하면 스탠드바이 기능을 갖는 파워엠프(3)에 의한 뮤팅동작개시에 위해서 파워앰프(3)가 비동작 상태의 스탠드바이 상태가 되므로 큰 레벨의 잡음이라도 파워앰프(3)에 의해서 증폭되지 않으므로 스피커(2)로의 출력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
상기 파워앰프(3)가 급격하게 비동작 또는 동작상태로 절환됨으로써 고주파성의 클릭음이 뮤팅회로(4)에 의해서 소정의 시정수로 완화된다. 또 뮤팅제어수단(5)에 의해서 파워엠프(3)의 스탠드바이 동작과 뮤팅회로(4)의 뮤팅동작이 소정의 타이밍으로 제어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뮤팅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제 2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CD(la), AM/FM 라디오(2a) 및 카세트 덱크(3a)등의 복수의 음원이 설비되어 있고 조작부(11)를 조작함으로써 각각의 음원이 동작된다. 그와 동시에 셀렉터(12)가 동작되어 음원을 선택한다.
뮤팅부(10)로서 조작부(11)에는 뮤팅제어부(5)가 설비되어 있고 셀렉터(12)의 동작시나 카세트 덱크(3a)에서의 조송이나 되감기 동작시등에서는 자동적으로 뮤팅기능의 동작 및 정지가 행해지게 되어 있다.
셀렉터(12)로 선택된 음원으로부터 신호는 뮤팅회로(4)를 거쳐서 스탠드바이 기능를 갖는 파워앰프(3)로 증폭되어 스피커(2)로부터 출력된다. 뮤팅제어부(5)로부터는 파워앰프(3)와 뮤팅회로(4)에 각각 스탠드바이 신호와 뮤팅신호가 출력된다.
여기서 파워앰프(3)는 스탠드바이스위치를 내장한 파워 IC로서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다. 예를 들면 μPC1881V, μPC2500H 등이 이에 해당된다.(참조 89 최신산업용 리니어 IC 규격표(PART-2) CQ 출판사), 이 스탠드바이 스위치는 C-MOS 레벨의 제어전압으로 파워앰프(3)를 동작상태 또는 스탠드바이 상태인 비동작 상태로 제어한다.
이 스탠드바이스위치는 통상 파워앰프(3)의 전력소비를 제어하기 위하여 설비되는 것으로 통상 파워앰프(3)에는 동작중에 무신호시라도 수 mA의 회로전류가 흐르고 있으므로 스탠드바이 스위치에 의해서 파워앰프(3)가 스탠드바이 상태가 되어야 비로서 회로전류가 10μA 이하로 되어 완전히 비동작으로 되어 무신호 상태로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파워앰프의 스탠드바이 기능을 이용하여 뮤팅기능을 실현시키는 것은 이점이 많으나 절환신호에 대한 동작상태와 비동작상태와의 사이에 변화시간이 짧기 때문에 신호상태에 따라서는 변화량이 매우 크게 될 수 있다. 이것은 신호가 고주파에서 크게 변동된 것에 상당된다.
이때에 스피커는 이와 같은 변화에 추종될 수 없으므로 귀를 거슬리는 클릭음을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스피커를 손상시키는 원인으로도 된다. 이 때문에 뮤팅회로(4)를 설비한다.
뮤팅회로(4)는 소정의 시정수로 변화할 필요가 있다. 제 3 도는 뮤팅회로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 3 도에서 뮤팅신호가 OFF 상태시에는 트랜지스터(Tr)는 OFF 상태이므로 파워앰프(3)로부터의 신호는 그대로 스피커(2)로 출력된다.
뮤팅신호가 ON 상태로 절환되면 저항(R)의 저항치와 콘덴서(C)의 용량의 곱을 시정수로 하여 뮤팅신호가 서서히 트랜지스터(Tr)의 베이스로 인가되므로 음향신호가 서서히 트랜지스터(Tr)로 유입되어 스피커(2)로 출력되는 음향신호의 강도가 저하된다.
콘덴서(C)가 포화된 상태에서 음향신호의 감소량은 일정하게 된다. 뮤팅신호가 ON 상태로부터 OFF 상태로 절환되었을때에는 역으로 콘덴서(C)에 축적된 전기량이 서서히 방출되어 뮤팅회로에 유입되는 음향신호가 감소되어 최종적으로 트랜지스터(Tr)가 OFF 상태로 된다.
다음에 동작을 설명하겠다. 제 4 도는 스탠드바이 신호와 뮤팅신호의 타이밍을 나타낸 도면이다. 뮤팅기능을 동작시키는 뮤팅지시신호가 ON상태로 되면 뮤팅신호(4)를 동작시키는 뮤팅신호가 ON상태로 된다.
이로 인해서 뮤팅회로(4)는 동작을 개시하지만 출력신호를 저하시키는 정도가 소정의 시정수로 서서히 변화되므로 뮤팅회로(4)에 의한 감쇠특성은 도면과 같이 변화된다.
이 때문에 스피커(2)로의 출력신호가 너무 급격히 변화되지 않게 되므로 이상음이 발생되는 일은 없다. 단 이것만으로는 충분한 출력레벨의 저하가 얻어지지 않으므로 다음에 스탠드바이 신호에 의해서 파워앰프 특성은 급격히 저하되지만 뮤팅회로(4)에 의해서 스피커(2)로의 출력신호가 이미 대폭으로 저하되어 있기 때문에 변화량이 그다지 커지지 않으므로 이상음이 발생되는 일도 없다.
뮤팅기능을 해체할때에도 스피커(2)로의 출력신호가 급격히 변화되면 이상음이 발생되기 때문에 뮤팅지시신호가 OFF 상태로 된 경우에 우선 파워엠프(3)의 스탠드바이 신호를 ON 상태로 하고 파워앰프(3)의 출력 특성을 통상 레벨로 되돌린다.
이때에는 뮤팅회로(4)가 동작되고 있으므로 스피커(2)에서 이상음은 발생되지 않는다. 그후 뮤팅신호를 OFF 상태로 하면 뮤팅회로(4)에 의한 감쇠는 서서히 없어지고 정상상태로 복귀된다. 이때의 스탠드바이 신호와 뮤팅신호의 시간차는 파워앰프(3)가 비동작 상태로부터 동작상태로 절환되는 시간 이상이면 좋고 실제로는 상당히 짧아도 충분하다.
또 본예에서는 뮤팅회로(4)를 파워앰프(3)의 전단에 배치하였으나 파워앰프의 후단에 배치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뮤팅시에 음향신호를 충분히 저하시키고 또 뮤팅동작의 절환시에도 이상음이 발생되지 않는 뮤팅기능을 갖는 오디오용 출력회로가 실현될 수 있어서 회로구성을 간단화 할 수 있다.

Claims (2)

  1. 음원(1)으로부터의 음향신호를 증폭시켜 스피커(2)로 출력하고, 이 출력을 저하시켜 뮤팅을 행하는 오디오용 출력회로(20)에 있어서, 동작상태로부터 전력소비가 급격히 작아지는 비동작상태로 절환하고, 또는 그 반대로 절환하는 스탠드바이 스위치를 가지며, 또한 뮤팅동작 개시요구에 따라 상기 스탠바이 스위치에 의해 스탠바이 상태로 전환되어 뮤팅을 행하는 파워앰프(3)와, 상기 스피커(2)로의 출력신호를 소정시정수로 저하, 상승시키는 뮤팅회로(4)와, 상기 뮤팅의 동작개시시에는 우선 상기 뮤팅회로(4)에 의해 소정시간 후에 상기 파워앰프(3)를 서서히 스탠바이 상태로 하기 위한 뮤팅제어수단(5)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용 출력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뮤팅제어수단(5)은 뮤팅동작 개시시에 우선 상기 뮤팅회로(4)에 의해 소정시간 후에 상기 파워앰프(3)을 서서히 스탠바이 상태로 하고, 뮤팅의 동작정지시에는 소정시간후에 뮤팅회로(4)에 의해 파워앰프(3)을 서서히 동작상태로 하는 것이 특징인 오디오용 출력회로.
KR1019910010778A 1991-06-27 1991-06-27 오디오용 출력회로 KR950013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0778A KR950013614B1 (ko) 1991-06-27 1991-06-27 오디오용 출력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0778A KR950013614B1 (ko) 1991-06-27 1991-06-27 오디오용 출력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3614B1 true KR950013614B1 (ko) 1995-11-13

Family

ID=19316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0778A KR950013614B1 (ko) 1991-06-27 1991-06-27 오디오용 출력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13614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95443B2 (ja) オーディオ装置における信号処理回路
US4542421A (en) Muting circuit in combination with a tape recorder
US5414386A (en) Muting apparatus in car audio system
US5208865A (en) Muting circuit using common mode rejection of differential amplifier
JP3016446B2 (ja) 再生装置
KR950013614B1 (ko) 오디오용 출력회로
US5300892A (en) Audio signal amplifier circuit
US20070093221A1 (en) Audio muting circuit and audio muting method
JPH0543529Y2 (ko)
JPS634250Y2 (ko)
US6198586B1 (en) Voice recording/playback apparatus for producing a noise level of a voice output unit in a voice recording mode
JPS5819696Y2 (ja) テ−プレコ−ダ−
KR890006632Y1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잡음 방지회로
JP2913645B2 (ja) ラジオ付テープレコーダ
JPH0311935Y2 (ko)
JPH0525085Y2 (ko)
KR930008693Y1 (ko) 녹음재생기의 잡음저감회로
JPS5853690Y2 (ja) テ−プレコ−ダ−
KR900008246Y1 (ko) 테이프 데크의 녹음시 이지 (easy) 콘트롤 및 잡음방지회로
KR910006567Y1 (ko) 프리앰프를 이용한 뮤트회로
JP2592047Y2 (ja) 音声信号処理回路
JPH0425661Y2 (ko)
KR930004653Y1 (ko) Op 앰프의 출력 제어회로
JPS58224488A (ja) ラジオ受信機付テ−プレコ−ダ
KR0127525B1 (ko) 카오디오의 빨리감기(ff)/빨리 되감기(rew)시 음단절 현상 방지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10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